KR200335961Y1 -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 Google Patents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961Y1
KR200335961Y1 KR20-2003-0030273U KR20030030273U KR200335961Y1 KR 200335961 Y1 KR200335961 Y1 KR 200335961Y1 KR 20030030273 U KR20030030273 U KR 20030030273U KR 200335961 Y1 KR200335961 Y1 KR 200335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ir
main body
insole
rear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균
Original Assignee
정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균 filed Critical 정영균
Priority to KR20-2003-0030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앞축부(11)와 뒷축부(12)를 구비한 신발(10)의 바닥면(15)에 면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신발 깔창 본체(20)와; 상기 본체 뒷축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뒷축부(12)의 바닥면(15)과 상기 본체(20) 뒷축부(12)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 수용부(31)를 형성하는 펌핑부(30)와; 상기 공기 수용부(31)로부터 상기 앞축부(11)를 향하여 상기 신발(10) 바닥면(15)과 상기 본체 저면(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유로(41)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부(40)와; 상기 공기유로(41)와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앞축부(11)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0)를; 포함하는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1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INSOLE FOR FOOTWEAR HAVING PUMPING APPARATUS AND FOOTWEA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깔창에 관한 것이다.
신 또는 신발이란 발에 신는 물건의 총칭으로, 용도나 구조에 따라서 운동화, 구두, 스케이트, 장화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그런데 구두 또는 장화 등과 같이 발등을 싸는 폐쇄성 신발은 통상 밀폐된 상태로 착용되기 때문에 통풍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가튼 폐쇄성 신발은 발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냄새 등이 배출되지 않으며, 심하게는 좋지 않은 악취가 신발에 배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착용자의 발 주변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깔창의 평면도이다.
도2는 도 1의 신발 깔창이 신발에 장차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 깔창이 신발의 바닥면과 일체를 이루는 슬리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신발 깔창의 펌핑부가 본체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신발 깔창의 본체가 수축된 상태 및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1의 신발 깔창의 본체가 복원된 상태 및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 100 : 신발 깔창
11 : 앞축부 12 : 뒷축부
15 : 바닥면
20 : 신발 깔창 본체 21 : 본체 저면
30 : 펌핑부 31 : 공기 수용부
40 : 공기 유로부 41 : 공기유로
50 : 공기 배출구 60 : 공기 유입구
200 : 슬리퍼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창(100)은 앞축부(11)와 뒷축부(12)를 구비한 신발(10)의 바닥면(15)에 면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신발 깔창(100) 본체(20)와; 상기 본체 뒷축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뒷축부(12)의 바닥면(15)과 상기 본체(20)뒷축부(12)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 수용부(31)를 형성하는 펌핑부(30)와; 상기 공기 수용부(31)로부터 상기 앞축부(11)를 향하여 상기 신발(10) 바닥면(15)과 상기 본체 저면(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유로(41)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부(40)와; 상기 공기유로(41)와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앞축부(11)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0)를; 포함하는 펌핑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앞축부(11)와 뒷축부(12)를 구비한 신발(10)의 바닥면(15)에 면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신발 깔창(100) 본체(20)와; 상기 본체 뒷축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뒷축부(12)의 바닥면(15)과 상기 본체(20) 뒷축부(12)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 수용부(31)를 형성하는 펌핑부(30)와; 상기 공기 수용부(31)로부터 상기 앞축부(11)를 향하여 상기 신발(10) 바닥면(15)과 상기 본체 저면(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유로(41)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부(40)와; 상기 공기유로(41)와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앞축부(11)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0)를; 포함하는 펌핑수단이 구비하는 신발 깔창(100)을 포함하는 신발(10)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창(100)은 신발 깔창(100) 상의 발바닥 및 발 주변에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펌핑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신발(10)의 착용자의 발바닥의 눌림과 눌림의 해제를 공기유동 발생의 구동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발 주위에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펌핑수단은 신발 깔창 또는 신발의 바닥면을 이루는 층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발 주변에 공기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깔창의 평면도이며, 도2는 도 1의 신발 깔창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신발 깔창이 신발의 바닥면과 일체를 이루는 슬리퍼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신발 깔창의 펌핑부가 본체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이루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깔창(100)은 앞축부(11)와 뒷축부(12)를 구비한 신발(10)의 바닥면(15)에 면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신발 깔창 본체(20)와; 상기 본체 뒷축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뒷축부(12)의 바닥면(15)과 상기 본체(20) 뒷축부(12)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 수용부(31)를 형성하는 펌핑부(30)와; 상기 공기 수용부(31)로부터 상기 앞축부(11)를 향하여 상기 신발(10) 바닥면(15)과 상기 본체 저면(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유로(41)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부(40)와; 상기 공기유로(41)와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앞축부(11)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0)를; 포함하는 펌핑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발 깔창(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을 감싸는 폐쇄성 신발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을 감싸지 않는슬리퍼(200) 등과 같은 개방성 신발에도 장착되어 통풍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신발 깔창(100)은 장착되는 신발(10)과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신발(10)과 일체로 제작, 즉 신발(10)의 바닥면 자체를 이루거나, 신발(10)과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30)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빈 돌출구조로서,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된 신발 깔창(100)의 일부, 즉 뒤축부(12)에 아랫쪽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위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핑부(30)는 신발 깔창(100)의 본체(20)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펌핑부(30)는 착용자의 발바닥의 지압효과를 주도록 일정한 패턴을 가지면서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펌핑부(30)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60)는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 좋다.
상기 공기 배출구(50)는 신발 깔창(100)의 본체(2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통풍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축부(11)의 발가락 수용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로(41)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깔창(100)의 저면에 홈을 파서 형성될 수 있으며, 신발 깔창(100) 본체(2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은 도 1의 신발 깔창의 본체가 수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1의 신발 깔창에 발생하는 공기 유동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창(100)은 신발(10)에 일체로 제작된 상태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0)의 바닥면(15) 상에 장착된다.
상기 신발 깔창(100)이 장착된 상태로 착용자는 신발(10)을 착용하게 되며, 신발(10)의 착용과 함께 착용자는 걷거나 뛰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착용자가 걷거나 뛰게 되면, 착용자의 발바닥은 신발 깔창(100)의 본체(20)를 누르게 되고,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펌핑부(30)가 눌리게 되고 상기 공기 수용부(31) 안의 공기가 공기 유로(31)를 따라서 이동하여 공기 배출부(50)로 배출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공기 배출부(50)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그 부근의 발바닥 또는 발가락 등의 주변에 흐르게 된다.
착용자의 발바닥이 상기 본체(20)에서 떨어지게 되면 펌핑부(30)는 탄성에 위하여 원상태로 복원되며, 공기 유로(31) 또는 공기 유입구(60)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즉 착용자의 이동에 의하여 발바닥 및 본체(2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눌림 및 복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공기 배출구(50)를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거나 흡입되면서 그 부근의 발 주위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발바닥 또는 발 주변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켜 착용자로 하여금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발 주위에 공기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발냄새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무좀 등의 발병을 방지 내지는 완화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앞축부(11)와 뒷축부(12)를 구비한 신발(10)의 바닥면(15)에 면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신발 깔창 본체(20)와;
    상기 본체 뒷축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뒷축부(12)의 바닥면(15)과 상기 본체(20) 뒷축부(12)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 수용부(31)를 형성하는 펌핑부(30)와;
    상기 공기 수용부(31)로부터 상기 앞축부(11)를 향하여 상기 신발(10) 바닥면(15)과 상기 본체 저면(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유로(41)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부(40)와;
    상기 공기유로(41)와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앞축부(11)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0)를; 포함하는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의 상측에는 공기 유입구(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50)는 상기 앞축부(11)의 발가락 수용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상기 본체(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신발 깔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상기 본체(20)의 표면과 동일한 신발 깔창.
  6. 앞축부(11)와 뒷축부(12)를 구비한 신발(10)의 바닥면(15)에 면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신발 깔창 본체(20)와;
    상기 본체 뒷축부(12)에 형성되어, 상기 신발 뒷축부(12)의 바닥면(15)과 상기 본체(20) 뒷축부(12)의 저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 수용부(31)를 형성하는 펌핑부(30)와;
    상기 공기 수용부(31)로부터 상기 앞축부(11)를 향하여 상기 신발(10) 바닥면(15)과 상기 본체 저면(21)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유로(41)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부(40)와;
    상기 공기유로(41)와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본체(20) 앞축부(11)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50)를; 포함하는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100)을 포함하는 신발(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의 상측에는 공기 유입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50)는 상기 앞축부(11)의 발가락 수용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10).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상기 본체(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신발.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상기 본체(20)의 표면과 동일한 신발.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깔창(100)은 상기 바닥면(15)과 일체를 이루는 신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슬리퍼(200)인 신발.
KR20-2003-0030273U 2003-09-25 2003-09-25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KR200335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273U KR200335961Y1 (ko) 2003-09-25 2003-09-25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273U KR200335961Y1 (ko) 2003-09-25 2003-09-25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961Y1 true KR200335961Y1 (ko) 2003-12-11

Family

ID=4942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273U KR200335961Y1 (ko) 2003-09-25 2003-09-25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9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220A (ko) * 2010-03-18 2011-09-26 이조코리아(주) 지압 및 공기 순환기능이 구비된 슬리퍼
KR102487785B1 (ko) 2021-12-21 2023-01-12 문정열 신발 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220A (ko) * 2010-03-18 2011-09-26 이조코리아(주) 지압 및 공기 순환기능이 구비된 슬리퍼
KR102487785B1 (ko) 2021-12-21 2023-01-12 문정열 신발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3250A (ko) 신발 깔창
KR200335961Y1 (ko)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102012076B1 (ko) 신발
KR101055699B1 (ko) 댄스스포츠 신발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200192508Y1 (ko) 환기성을 갖춘 신발패드
KR200343131Y1 (ko) 발바닥지압용 신발
KR200304935Y1 (ko) 발가락 삽입식 지압 신발 깔창
KR200292628Y1 (ko) 자석신발
CN220212066U (zh) 一种凉鞋
CN218008380U (zh) 一种防溅水的花园鞋
KR102012077B1 (ko) 신발용 안창
KR200440638Y1 (ko) 공기순환 중창을 이용한 신발
KR200248609Y1 (ko) 분리형 신발 밑창
KR20060030845A (ko) 뒤축을 개량한 건강 신발
KR200175949Y1 (ko) 신발
KR20030007347A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200226066Y1 (ko) 슬리퍼
KR200229761Y1 (ko) 공기순환식 신발
KR200362021Y1 (ko) 착탈식 통풍장치를 가진 신발
KR200371868Y1 (ko) 운동화
KR200207648Y1 (ko) 신발용 깔창
KR20160000216U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030031515A (ko) 자석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