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536B1 -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 Google Patents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536B1
KR101313536B1 KR1020130000612A KR20130000612A KR101313536B1 KR 101313536 B1 KR101313536 B1 KR 101313536B1 KR 1020130000612 A KR1020130000612 A KR 1020130000612A KR 20130000612 A KR20130000612 A KR 20130000612A KR 101313536 B1 KR101313536 B1 KR 10131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llars
insole
hollow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817A (ko
Inventor
치 치우
Original Assignee
젠 양스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 양스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 양스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9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lateral arch, i.e. the cuboid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Abstract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을 개시한다. 연성 탄성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그 중 상기 상면에는 공기투과층이 접합되며,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발 본체 영역, 발뒤꿈치 영역 및 발바닥 장심 영역을 포함하는 발바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하면 중 발뒤꿈치 영역은 지지 블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그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가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중공 탄성 기둥과 복수개의 제2 중공 탄성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은 상기 발 본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은 발바닥 장심 영역 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1 돌출 높이와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2 돌출 높이는 모두 상기 지지 블록의 제3 돌출 높이보다 큰 따라서 안창이 압력을 받은 후 곧바로 에어매트식 배기와 탄성 완충 효과가 발생하여, 신발 내의 공기 밀폐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POKET SPRING TYPE ELASTIC INSOLE}
본 발명은 신발류의 부품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습관적으로 신발 내에 탄성 안창을 장착하여 신발을 신었을 때의 탄성 쾌적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탄성 안창은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표면에 공기가 투과되는 천을 깔더라도 배기가 잘 되지 않고 땀냄새가 날 수 있었다.
대만 실용신안 M422883은 신발 공간 내에 장착되는 ‘통기성 탄성 안창’을 개시하였다. 여기서, 통기성 탄성 안창은 상층, 중층 및 저층을 포함하며, 상기 중층은 중공의 긴 형상의 튜브체이며, 상기 중층은 상층과 저층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튜브체의 양측 개구단은 안창의 발끝 영역과 발뒤꿈치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안창이 압력을 받을 때 호흡 배기 작용이 인체의 발바닥과 안창 사이의 압접면에 미치지 못하고, 또한 상기 튜브체의 변형 정도는 탄성 안창이 압력을 받는 두께 변화에 제한되어, 안창이 압력을 받아 명확하게 변형되는 정도가 되어야만 비로소 안창 내에 명확한 기체 유통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안창이 압력을 받은 후 곧바로 에어매트식 배기와 탄성 완충 효과가 발생하여, 신발 내의 공기 밀폐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압력을 받지 않을 때는 자동적으로 에어 매트에 기체를 보충하는 효과를 갖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의 해결은 이하의 기술 방안을 채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발명은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을 개시한다. 연성 탄성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그 중 상기 상면에는 공기투과층이 접합되며,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발 본체 영역, 발뒤꿈치 영역 및 발바닥 장심 영역을 포함하는 발바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하면 중 발뒤꿈치 영역은 지지 블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그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가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중공 탄성 기둥과 복수개의 제2 중공 탄성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은 상기 발 본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은 발바닥 장심 영역 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1 돌출 높이와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2 돌출 높이는 모두 상기 지지 블록의 제3 돌출 높이보다 크다.
본 발명의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이하의 기술적 조치를 채용함으로써 더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2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의 제1 돌출 높이보다 더 크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연성 탄성 필름에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을 가진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원형이 아닌 격자 모양의 오목홈일 수 있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발뒤꿈치 영역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과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내부 공간은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상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공기투과층은 상기 제1,2 중공 탄성 기둥들의 개구들과 연통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에어홀을 가진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의 직경은 상기 개구들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공기투과층은 복수개의 투기공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을 관통하며 상기 개구들과는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는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하면의 발가락 부위를 향하는 측변에는 복수개의 제2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과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형상은 저부가 막힌 반원추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은, 이하의 장점과 효과를 가진다.
제1 중공 탄성 기둥, 제2 중공 탄성 기둥과 지지 블록의 특정 위치와 높이의 조합 관계를 하나의 기술 수단으로 할 수 있으며, 안창이 압력을 받지만 아직 발뒤꿈치 영역의 지지 블록을 압박할 만큼 힘이 크지 않을 때, 제1 중공 탄성 기둥, 제2 중공 탄성 기둥이 압력을 받음에 따라 변형되어, 내부 공기가 그 개구를 통해 위로 분출되며, 압력을 받지 않을 때는 제1 중공 탄성 기둥, 제2 중공 탄성 기둥이 즉시 원래의 형상을 회복하여, 신발 내의 기체가 다시 제1 중공 탄성 기둥, 제2 중공 탄성 기둥으로 도입되도록 하여, 안창이 에어백 방식의 포켓 스프링식 탄성을 가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안창이 압력을 받은 후 곧바로 에어매트식 배기와 탄성 완충 효과가 발생하므로, 신발 내의 공기 밀폐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의 구성 요소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의 구성 입체 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의 연성 탄성 필름을 하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의 연성 탄성 필름을 하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의 도 4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의 착용 시의 측면 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이러한 도시들은 모두 제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것은 실제 실시의 형상 및 치수의 비례이며, 보다 명료한 설명을 위한 일종의 선택적인 구체적 디자인에 불과한 것이다. 동일하지 않은 응용의 등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형상, 치수와 수량은 모두 축소, 확대 또는 간략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은 도 1의 구성 요소 분해도, 도 2의 입체 조합도, 도 3의 연성 탄성 필름을 하면에서 바라본 입체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은 공기투과층(110)과 연성 탄성 필름(120)을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을 하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의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의 하면을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을 도 4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은 상면(121)과 하면(122)을 가진다. 상기 공기투과층(110)은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의 상면(121)에 접합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공기투과층(110)은 가죽 재질의 재료, 예를 들어, 통기성 가죽, 새끼 양가죽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는 합성 가죽 또는 통기성 직물일 수 있다.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본체의 재료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유연하고 탄성이 풍부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또한 탄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어 연장되는 여러 가지 탄성체 에어백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투과층(110)은 통기성 가죽을 재료로 선택할 때, 본체가 양호한 통기성을 갖는다. 접착제를 도포하고 열가압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투과층(110)과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을 결합시켜, 상기 공기투과층(110)과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을 예를 들어 일체로 성형되는 긴밀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성 탄성 필름(120)은 발 본체 영역(131), 발뒤꿈치 영역(132) 및 발바닥 장심 영역(133)을 포함하는 발바닥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중 상기 발뒤꿈치 영역(132)은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에 대응하며 인체의 발 뒤꿈치와 접촉되는 영역이며, 상기 발바닥 장심 영역(133)은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에 대응하며 인체의 발바닥 장심 영역(인체의 발바닥 내측의 작은 폭을 가지며 만곡되는 방사상의 부위)에 접촉되는 영역이며, 상기 발 본체 영역(131)은 인체의 발가락끝에서 접촉되는 영역과 발뒤꿈치에서 접촉되는 영역 사이이면서 상기 발바닥 장심 영역(13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다. 상기 발뒤꿈치 영역(132)에는 지지 블록(125)이 설치되어, 인체의 발뒤꿈치를 지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블록(125)은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고, 또한 제조와 성형이 용이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블록(125)은 원형이 아닌 격자 모양의 오목홈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블록(125)이 상기 발뒤꿈치 영역(132)을 전부 덮게 하여, 발뒤꿈치를 보다 잘 지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의 하면(122) 가장자리에는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이 신발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12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의 하면(122)의 발가락 부위를 향하는 측변에는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과 대응하는 발끝의 전단이 신발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미끄럼 방지 스트립(127)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 본체 영역(131)과 상기 발바닥 장심 영역(133)의 전체 영역 범위는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126)과 상기 지지 블록(125)이 둘러싸는 범위로 정의된다. 그 밖에,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스트립들(127)과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들(126)은 동일하지 않은 방향의 미끄럼 방지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하지 않은 방향의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스트립들(127)은 평행이며 사용자의 발가락에 대응하여,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이 힘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발가락 부위에서 좌우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더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들(126)은 단속적인 막대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들(126)의 각각의 길이는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스트립(127)들의 각각의 길이보다 크지 않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은 상기 하면(12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며 개구부가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의 상면(121)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중공 탄성 기둥(123)과 복수개의 제2 중공 탄성 기둥(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은 상기 발 본체 영역(13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은 발바닥 장심 영역(133) 내에 위치한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의 제1 돌출 높이H1와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의 제2 돌출 높이H2는 모두 상기 지지 블록(125)의 제3 돌출 높이H3보다 크다. 여기서 기재된 ‘돌출높이’란 어떠한 명칭의 부재가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의 상기 하면(122)으로부터 상기 부재의 가장 돌출된 단부까지의 수직 거리를 가리킨다. 상기 지지 블록(125)의 제3 돌출 높이H3는 상기 지지 블록(125)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의 가장자리에서 이를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의 상기 제2 돌출 높이H2는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의 돌출 높이H1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이 가지는 제1 돌출 높이H1는 약 6~3mm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이 가지는 제2 돌출 높이H2는 약 8~11mm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블록(125)이 가지는 제3 돌출 높이H3는 약 5~8mm 사이일 수 있다. 그 밖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블록(125)의 지지면은 대략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을 향해 경사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이 압력을 받아 변형됐을 때, 상기 지지 블록(125)의 지지면이 신발 바닥에 보다 평평하게 접하면서, 양자의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124)과 상기 지지 블록(125)의 상기 특정 위치와 높이의 조합 관계는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 수단으로, 안창이 압력을 받지만 아직 발뒤꿈치의 상기 지지 블록(125)을 압박할 만큼 힘이 크지 않을 때,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이 압력을 받음에 따라 변형되어, 내부 공기가 그 개구를 통해 위로 분출되며, 압력을 받지 않을 때는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이 즉시 원래의 형상을 회복하여, 신발 내의 기체가 다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로 도입되도록 하여, 안창이 에어백 방식의 포켓 스프링식 탄성을 가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안창이 압력을 받은 후 곧바로 에어매트식 배기와 탄성 완충 효과가 발생하므로, 신발 내의 공기 밀폐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과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은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의 개구는 연성 탄성 필름(120)의 상면(121)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는 각각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의 개구(123A)와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의 개구(124A)(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로 구분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과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의 형상은,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과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이 압력을 받은 후 형상의 완전한 회복이 쉽도록, 저면이 막힌 형태로 된 반원추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투과층(110)은 복수개의 상기 개구(123A, 124A)에 정확히 맞는 에어홀(111)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과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이 압력을 받아 상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다공의 에어백 탄성 구조를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은 신발(10) 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걸을 때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이 압력을 받음에 따라,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과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이 변형되어, 반복적으로 인체 족부(20)의 저부에 대해 상부로 공기를 분출하거나 상부로 공기 압력의 반작용력을 가하여, 발바닥에 직접 공기를 분출하여 완충함으로써 탄성 쾌적감을 얻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홀(111)의 직경은, 상기 공기투과층(110)의 강도 및 인체 족부와의 접촉되는 접합면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들(123A, 124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공기투과층(110)은 복수개의 투기공(112)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은 복수개의 관통공(128)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연성 탄성 필름(120)을 관통하며, 또한 착용 시 신발 내의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123)과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124)로부터 상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100) 외부까지의 기체 유동 경로를 단축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들(123A, 124A)과는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음으로써, 기체 순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을 어떠한 형식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상에 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출원 범위 내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간단한 수정, 등가의 변화와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 신발 20 : 족부
100 :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110 : 공기투과층
111 : 에어홀 112 : 투기공
120 : 연성 탄성 필름
121 : 상면 122 : 하면
123 : 제1 중공 탄성 기둥 123A : 개구
124 : 제2 중공 탄성 기둥 124A : 개구
125 : 지지 블록
126 :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 127 : 제2 미끄럼 방지 스트립
128 : 관통공
131 : 발 본체 영역 132 : 발뒤꿈치 영역
133 : 발바닥 장심 영역
H1 : 제1 돌출 높이
H2 : 제2 돌출 높이
H3 : 제3 돌출 높이

Claims (12)

  1. 연성 탄성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그 중 상기 상면에는 공기투과층이 접합되며,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발 본체 영역, 발뒤꿈치 영역 및 발바닥 장심 영역을 포함하는 발바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하면 중 발뒤꿈치 영역은 지지 블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은 그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가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중공 탄성 기둥과 복수개의 제2 중공 탄성 기둥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은 상기 발 본체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은 발바닥 장심 영역 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1 돌출 높이와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2 돌출 높이는 모두 상기 지지 블록의 제3 돌출 높이보다 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제2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의 제1 돌출 높이보다 더 큰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연성 탄성 필름에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원형이 아닌 격자 모양의 오목홈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발뒤꿈치 영역을 완전히 덮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의 지지면은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을 향해 경사질 수 있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과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내부 공간은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상면으로 개구되며, 상기 공기투과층은 상기 제1,2 중공 탄성 기둥들의 개구들과 연통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에어홀을 가지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의 직경은 상기 개구들의 직경보다 작은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투과층은 복수개의 투기공을 더 가지며, 이는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을 관통하며 상기 개구들과는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제1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설치되어 있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탄성 필름의 하면의 발가락 부위를 향하는 측변에는 복수개의 제2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설치되어 있는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 탄성 기둥들과 상기 제2 중공 탄성 기둥들의 형상은 저부가 막힌 반원추체인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KR1020130000612A 2012-02-29 2013-01-03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KR101313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03582U TWM430868U (en) 2012-02-29 2012-02-29 Pocket spring type elastic insole
TW101203582 2012-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817A KR20130099817A (ko) 2013-09-06
KR101313536B1 true KR101313536B1 (ko) 2013-10-01

Family

ID=4672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612A KR101313536B1 (ko) 2012-02-29 2013-01-03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75050B2 (ko)
KR (1) KR101313536B1 (ko)
CN (1) CN202890707U (ko)
MY (1) MY172061A (ko)
SG (1) SG193063A1 (ko)
TW (1) TWM43086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8756A1 (en) * 2012-09-03 2015-07-30 Rebecca Patchett Footwear Insole
US20140250722A1 (en) * 2013-03-08 2014-09-11 Chao Meng Shoes Material Company Limited Insole
CN104544697B (zh) * 2014-12-16 2016-07-06 百卓鞋业(恩平)有限公司 一种全方位保护劳保鞋结构
US10206456B2 (en) 2015-05-27 2019-02-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member with geometric patterns
US9775405B2 (en) * 2015-05-27 2017-10-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member with regional patterns
US10537151B2 (en) 2015-05-27 2020-01-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member with aperture patterns
US9861159B2 (en) 2015-05-27 2018-0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member with apertures
ITUB20155851A1 (it) * 2015-11-24 2017-05-24 Diadora Sport S R L Suola,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CN107048583B (zh) * 2017-04-26 2023-08-08 广州美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抗震按摩空调鞋及其鞋垫
FR3084246B1 (fr) * 2018-07-26 2020-09-25 Stephane Jose Fonseca Semelle interieure amovible a auto-aeration par air sous pre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9859A1 (en) 1987-05-22 1990-03-28 Riccardo Galasso Removable innersole for footwear
KR200290595Y1 (ko) 2002-06-18 2002-10-04 최진홍 육각 다중셀형의 완충수단을 가지는 신발용 깔창
KR100755029B1 (ko) 2006-03-14 2007-09-06 주식회사 세건 신발 깔창
KR100881769B1 (ko) 2008-05-09 2009-02-04 정용희 신발깔창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894A (en) * 1909-06-14 1911-04-18 Matthew Byrne Pneumatic insole and arch-support.
US2146888A (en) * 1938-03-11 1939-02-14 Fisch Arthur Elastic sock for footwear
JPS5113603B1 (ko) * 1971-10-20 1976-05-01
US5619809A (en) * 1995-09-20 1997-04-15 Sessa; Raymond Shoe sole with air circulation system
WO1997023142A1 (en) * 1995-12-22 1997-07-03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hoes comprising three-dimensional formed fiber product
IT1283052B1 (it) * 1996-05-22 1998-04-07 Brue S P A Insieme suola-sottopiede,traspirante in un'unica direzione,per scarpe ad areazione forzata
US5845418A (en) * 1997-10-16 1998-12-08 Chi; Kuan-Min Ventilation insole with air chambers
US6178662B1 (en) * 1999-02-02 2001-01-30 David K. Legatzke Dispersed-air footpad
US7703219B2 (en) * 2000-08-04 2010-04-27 Caprice Schuhproduktion Gmbh & Co. Kg Shoe inner sole
US20040020081A1 (en) * 2002-08-01 2004-02-05 Symons Dominic Paul Sport boot
KR200410566Y1 (ko) * 2005-12-02 2006-03-13 주식회사 지에스디 신발 깔창
KR100741628B1 (ko) * 2007-02-07 2007-07-23 양희운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US8112907B2 (en) * 2009-01-03 2012-02-14 Eric Byeung Kim Disposable cushion shoe insert
US20110041365A1 (en) * 2009-08-18 2011-02-24 Nine West Development Corporation Sockliner
TWM422883U (en) 2011-07-22 2012-02-21 shi-rong Zheng Respiratory elastic inso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9859A1 (en) 1987-05-22 1990-03-28 Riccardo Galasso Removable innersole for footwear
KR200290595Y1 (ko) 2002-06-18 2002-10-04 최진홍 육각 다중셀형의 완충수단을 가지는 신발용 깔창
KR100755029B1 (ko) 2006-03-14 2007-09-06 주식회사 세건 신발 깔창
KR100881769B1 (ko) 2008-05-09 2009-02-04 정용희 신발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75050B2 (en) 2016-06-28
TWM430868U (en) 2012-06-11
KR20130099817A (ko) 2013-09-06
MY172061A (en) 2019-11-13
CN202890707U (zh) 2013-04-24
US20130219746A1 (en) 2013-08-29
SG193063A1 (en)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536B1 (ko)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KR100933527B1 (ko) 신발용 인솔
EP2591693B1 (en) Inner sole including an air bag
KR101433355B1 (ko) 트레킹화용 미드솔
CN104797154A (zh) 复合鞋垫及底部组件
KR101379440B1 (ko) 에어쿠션 인솔
CN201986816U (zh) 透气鞋垫
EP2092841A1 (en) Cushion improved structure of shoe ventilating insole
US20140182165A1 (en) Structure of shoe sole having superior ventilation function and double- landing function
CN101112260A (zh) 鞋内底
KR200478808Y1 (ko) 통기성과 보행 안정성이 향상된 신발창
KR20150004425U (ko) 3중 쿠션구조 신발
CN211268838U (zh) 一种透气运动鞋
JP4873660B2 (ja) 換気機能を備える靴中敷のクッション体構造
KR20120003291U (ko) 공기이동이 가능한 듀얼 에어백을 갖는 아치서포트 기능성 인솔
KR101589822B1 (ko)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KR100816279B1 (ko)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33730B1 (ko) 굴곡성 중창 및 이를 이용한 구두
JP3109846U (ja) 靴中底の構造
CN201499706U (zh) 呼吸鞋垫和呼吸鞋
KR101938256B1 (ko) 측면에 통기공이 형성된 인솔
CN2922538Y (zh) 通风按摩鞋
KR200433362Y1 (ko) 신발의 에어장치
CN206062287U (zh) 一种用于高跟鞋的气垫片
KR200368310Y1 (ko) 외측 지지대를 갖는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