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66Y1 -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66Y1
KR200410566Y1 KR2020050034031U KR20050034031U KR200410566Y1 KR 200410566 Y1 KR200410566 Y1 KR 200410566Y1 KR 2020050034031 U KR2020050034031 U KR 2020050034031U KR 20050034031 U KR20050034031 U KR 20050034031U KR 200410566 Y1 KR200410566 Y1 KR 200410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ole
shoe
support portion
shoe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디
Priority to KR2020050034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66Y1/ko
Priority to PCT/KR2006/005162 priority patent/WO2007064176A1/en
Priority to US12/095,864 priority patent/US200803019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1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with closable air-sl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내부의 안창 상면에 적층하여 사용하는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은 발바닥 중앙부에 밀착되며, 격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h)들을 구획하는 각 빗살(L)의 저면에 다수의 탄성돌기(P)들이 형성된 중앙지지부(41)와; 발바닥 후방부에 밀착되며, 그 저면에 다수의 고정돌기(P')들이 돌출 형성된 후방지지부(4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은, 상기 통공을 통하여 통풍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에 형성된 밴딩 가능한 구조의 탄성돌기에 의해 신발 깔창이 각 사용자의 발바닥에 항상 밀착된 상태로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깔창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안창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신발의 내부에 삽입된 깔창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깔창, 인솔, 고탄성, 통공, 관통공, 돌기

Description

신발 깔창{Insole}
도 1은 종래 신발의 바닥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신발의 안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신발의 깔창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제1실시예 신발 깔창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제1실시예 신발 깔창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1실시예 신발 깔창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 제2실시예 신발 깔창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 제2실시예 신발 깔창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제3실시예 신발 깔창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중앙지지부 42. 후방지지부
43. 상면커버 h. 통공
H. 관통공 L. 빗살
P. 탄성돌기 P'. 고정돌기
본 고안은 신발 내부 안창에 적층시켜 사용하는 깔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아치부를 포함한 발바닥 중앙부를 밀착 지지하는 중앙지지부와, 중앙지지부의 후방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발바닥 후방부를 밀착 지지하는 후방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지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을 구획하는 빗살의 저면과 후방지지부의 저면에 다수의 돌기가 하향 돌출됨으로써, 깔창 저면의 통풍성을 개선하고 발바닥을 유연하게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깔창의 위치가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한,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걷게 되면서 발달되어 온 신발은, 초기에는 단지 걷기 불편하지 않으면서 다치지 않도록 단순히 발을 보호하는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나, 생활 수준의 향상과 함께 신발 제조 기술이 발전되면서 보행용, 산악용, 교정용 특정 운동용 등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신발들이 개발되었다.
특히, 근래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체중이 집중되는 발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되었는 바, 단순히 발을 보호하는 수단 이상 역할을 가진 신발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즉, 신발이 지녀야 할 보호 기능 외의 중요한 기능으로, 발바닥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쿠션성, 발을 감싸고 있는 갑피 내부를 환기해주기 위한 통풍성 등을 비롯하여 그 외에도 신발의 사용 용도에 따라 특정 부분을 강 화 및 보강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있다.
상기의 특성들 중 쿠션성은, 사람이 서 있는 동안 체중이 집중되는 발의 피로와, 발을 통해 뇌까지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써, 주로 신발의 바닥부를 중심으로 집중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종래 신발이 가지고 있는 쿠션성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 신발의 바닥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는 밑창(11)과, 밑창(11)의 상면에 적층되며 쿠션성을 제공하기 위한 중창(12)과, 중창(12)의 상면에 적층되며 그 상면이 발바닥에 접촉하게 되는 안창(13)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밑창(11)에도 다소의 쿠션성이 부여되나, 지면에 닿게 되는 그 특성상 쿠션성보다는 내마모성이 더욱 강조되기 때문에 밑창(11)의 쿠션성은 부족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창(12)에 충분한 쿠션성을 부여하게 되는 바, 중창(12)은, 탄성 복원력이 뛰어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그 내부에 에어 포켓 혹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장착하는 구조로 제조되었다.
상기와 같이 쿠션성이 강화된 신발 중창(12)은, 발에 가해지는 전체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나, 쿠션성에 중점을 두어 제조되기 때문에 그 상면에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되기도 하고, 미관 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한 바, 중창(12)의 상면에 안창(13)을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바닥부가 마무리된다.
즉, 상기 안창(13)이 바닥부의 마감재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창(13)은 대략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크고 작 은 굴곡이 있는 발바닥 특히, 아치부에 밀착되지 못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전체적으로 완화시켜 주지 못할 뿐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신을 경우에는 발바닥의 평발화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발바닥의 아치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쿠션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아치부에 밀착되도록 상향 볼록한 둔턱부(A)가 형성된 개량안창(21)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이 아치부에 밀착되는 둔턱부(A)는, 보행시 발바닥 특히 아치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하시켜 발의 피로감을 저하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일률적으로 대량 생산되기 때문에 즉, 둔턱부(A)의 볼록한 형상이 하나의 형태로 획일화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발바닥 아치부와 상기 두턱부가 잘 맞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 바, 경우에 따라서는 아치부에 오히려 더 큰 압박감을 주게 되거나, 아치부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안창(13) 또는 개량안창(21) 등은, 착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쿠션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아치형 둔턱부 또한 계속적으로 반복 부여되는 체중에 의해 점차 평탄화됨으로써, 발바닥의 아치부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안창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탄성 복원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크고 작은 굴곡을 가진 발바닥을 밀착 지지하지 못하게 되며, 결국, 발의 피로감이 커질 수 밖에 없는 바, 특히, 오래 걷는 사람이나 평발인 사람들의 경우 안창만을 이용하여서는 아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탄성 특성을 가진 재질로 만들어지며 안창의 상면에 적층하여 발바닥 아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신발 깔창이 개발되었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깔창(30)은, 발바닥의 전방단부에서 아치부직전까지의 전방부를 제외한, 아치부를 포함한 발바닥 중앙부와 아치부 이후 발바닥 후방단부까지의 후방부를 각각 지지하는 중앙지지부(31)와 후방지지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깔창(30)은, 발바닥 아치부에 접촉하여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볼록하게 형성된 둔턱부(A)가 구비되며, 이 둔턱부(A)가 체중을 극복하여 아치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약간의 탄성 변형만이 가능한 고탄성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탄성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바, 아치부를 충분히 지지하여 평발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는 있으나, 고탄성 재질의 특성상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딱딱한 느낌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장시간 이용시 오히려 발바닥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신발 바닥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종래 깔창들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굴곡을 가진 아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되, 통풍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체중에 따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에 대한 충격과 피로감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시간 사용시에도 발에 무리를 주지 않는 신발 깔창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하는 중앙지지부에 격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중앙지지부를 포함한 전체 저면에 하향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은, 아치부에서 뒤꿈치까지의 발바닥에 밀착되는 바, 아치부를 포함한 발바닥 중앙부를 밀착 지지하는 중앙지지부와, 중앙지지부의 후방단부로부터 뒤꿈치까지의 발바닥 후방부를 밀착 지지하는 후방지지부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조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중앙지지부는, 아치부를 포함한 발바닥 중앙부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특히, 발바닥의 아치부에 밀착되는 상향 볼록한 둔턱부가 형성된 판의 형상을 한다.
그리고, 상기 둔턱부에는 다수의 통공들이 격자형으로 관통 형성되며, 이 통공들은 서로 평행하며 교차하는 다수의 빗살들에 의해 분리 구획되는 동시에 각 빗살의 저면에는 다수의 탄성돌기들이 하향 돌출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통공들에 의해 중앙지지부의 탄성력이 작아지면서 유연성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아치부에 느껴지는 딱딱함이 해소되는 동시에 신발 내부의 통풍성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 통공들에 의해 중앙지지부의 탄성력이 작아짐으로써, 아치부를 적절한 힘으로 지지해줄 수 없게 되는 바, 이를 보완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상기 통공들을 구획하는 빗살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들이다.
즉, 중앙지지부의 상향 볼록한 둔턱부 저면은 신발 안창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그 상면이 발바닥 아치부에 밀착된 상태이며, 둔턱부는 통공들에 의해 탄 성력이 작아졌기 때문에 아치부에 의해 작은 힘이 가해지기만 하여도 둔턱부가 하향 방향 즉, 그 저면이 안창 상면에 밀착되면서 발바닥의 아치부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바, 이때, 빗살들의 저면에 돌출된 탄성돌기들에 의해 둔턱부가 지지되고, 결국, 발바닥 아치부가 중앙지지부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아치부에 의해 중앙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상기 탄성돌기가 탄성적으로 밴딩되면서 힘을 흡수함으로써, 아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격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에 의해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중앙지지부는, 탄성돌기들에 의해, 둔턱부에 부여되는 하중이나 충격, 또는 발바닥 굴곡 정도가 다른 각 사용자의 발에 따라 둔턱부의 탄성 변형량이 변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발바닥의 중앙부를 밀착 지지하는 중앙지지부는, 다수의 통공들에 의해 유연성이 증가된 둔턱부가 1차 탄성 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저면에 형성된 탄성돌기들이 밴딩되는 방법으로 2차 탄성 변형됨으로써, 항상 중앙지지부가 발바닥 중앙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발바닥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중앙지지부의 후방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후방지지부는, 아치부 이후 발뒤꿈치까지의 발바닥 후방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그 저면에 상기 탄성돌기와 형상이 유사한 다수의 고정돌기들이 하향 돌출 형성된 구조로서, 이 고정돌기들의 하단부가 안창의 상면를 단단히 누르게 됨으로써, 보행시, 본 고안의 깔창이 신발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들은, 본 고안 깔창의 후방단부에서 전방단부 측으로 일정 거리 들어온 곳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깔창의 후방단부가, 가장 후방측에 위치한 고정돌기를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가장 후방측에 위치한 고정돌기를 작용점으로 하여 후방 측으로 이를 벗어난 후방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쿠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은, 신발 안창의 상부에 적층하여 사용하는 깔창의 용도 외에, 중창의 상부에 적층되는 안창 또는 밑창의 상면에 적층되는 중창 등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신발 깔창의 사시도를, 도 5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신발 깔창의 저면 사시도를, 도 6에 본 고안 제1실시예 신발 깔창의 측면도를, 도 7에 본 고안 제2실시예 신발 깔창의 평면도를, 도 8에 본 고안 제2실시예 신발 깔창의 저면 사시도를, 도 9에 본 고안 제3실시예 신발 깔창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신발 깔창은, 아치부 이전의 전방부를 제외한 발바닥 형상을 하는 판상으로서, 아치부를 포함한 발바닥 중앙부에 밀착되도록 상향 볼록한 둔턱부(A)가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h)들이 격자형으로 관통 형성되고, 이 통공(h)들을 구획하는 각 빗살(L)의 저면에 다수의 탄성돌기(P)들이 하향 돌출 형 성된 중앙지지부(41)와;
상기 중앙지지부(41)의 후방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발뒤꿈치까지의 발바닥 후방부에 밀착되며, 저면에 다수의 고정돌기(P')들이 하향 돌출 형성된 후방지지부(42)로 구성된다.
이때, 중앙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의 각 상면은 서로 동일 면을 이루며,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지지부(41)의 두께는 후방지지부(42)의 두께보다 얇은 구조로서, 돌기가 없다고 가정할 때, 중앙지지부(41)의 테두리 저면과 후방지지부(42)의 저면은 안창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나, 테두리 저면을 제외한 중앙지지부(41)의 저면은 안창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직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둔턱부(A)가 형성된 중앙지지부(41)의 저면은, 상향 블록한 형상에 의해 타 저면보다 안창의 상면으로부터 더욱 높이 이격된 상태가 됨으로써, 중앙지지부(41) 저면 특히, 두턱부(A) 저면의 탄성 변형 변위가 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충격 흡수 범위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중앙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의 각 저면에 돌출 형성된 탄성돌기(P)와 고정돌기(P')는 그 하단부가 안창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는 바, 고정돌기(P')보다 탄성돌기(P)의 길이가 더욱 길게 형성되며, 탄성돌기(P)들 중에서도 둔턱부(A) 저면에 구비된 탄성돌기(P)의 길이가 더욱 긴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P')의 경우에는 외부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가능한 짧고 굵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돌기(P)는 외부 하중에 의 해 탄성적으로 밴딩이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고정돌기(P')는, 그 하단부가 안창의 상면에 단단히 밀착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깔창이 신발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앵커(anchor)의 역할을 하는데 필요한 강성을 가져야 하며, 탄성돌기(P)는, 두께가 얇은 동시에 다수의 통공(h)들에 의해 강성 즉, 탄성력이 약화된 중앙지지부(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돌기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P')는, 후방지지부(42)의 후방단부 저면보다는 후방단부에서 내측으로 20∼40mm정도 들어온 위치의 저면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가장 후방측에 위치한 고정돌기(P')를 벗어나 연장된 후방단부가 이 최후방 고정돌기(P')를 작용점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후방단부의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해 쿠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최후방 고정돌기(P')와 후방단부 사이의 거리(d)가 20mm에 미치지 못하면 후방단부의 탄성 변형이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양이 작아 쿠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40mm를 초과하게 되면 최후방 고정돌기(P')를 벗어난 후방단부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져 탄성력이 저하함으로써 쿠션성이 감소하게 되어 적절한 쿠션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P)는, 통공(h)들을 구획하는 각 빗살(L)과 빗살(L)의 각 교차점 저면에 돌출시키는 것이 중앙지지부(41)의 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후방지지부(12)는 발바닥 후방부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가장 큰 압력이 가해지는 곳인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지부(12)의 중앙에 상면과 저면을 관통 하는 관통공(H)을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바, 이는, 발바닥 후방부가 상기 관통공(H)을 통하여 안창의 상면에 집적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신발 후방부의 통풍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발바닥의 후방부에 쿠션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후방지지부(42) 저면의 고정돌기(P')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H)의 테두리에 인접한 저면에 돌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고정돌기(P')들에 가능한 더욱 큰 하중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지지부(42)의 유동성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깔창은 발바닥에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표면이 비교적 딱딱하며 적절한 강성을 갖는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발바닥에 느껴지게 되는 딱딱한 느낌 즉, 편안함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깔창의 전체 상면에 이.브이.에이(E.V.A) 수지, 가죽,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유연하면서도 쿠션성이 우수한 상면커버(43)를 접착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신발 깔창은, 발바닥의 중앙부를 밀착 지지하는 중앙지지부에 구비된 통공을 통하여 통풍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하중의 크기에 따라 깔창의 저면에 돌출된 탄성돌기들의 밴딩 정도가 변화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되며, 고정돌기에 의해 보행시 발생되는 깔창의 유동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신발 내부 안창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사용되는 판상의 깔창에 있어서,
    아치부를 포함한 발바닥 중앙부에 밀착되며, 격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h)들을 구획하는 각 빗살(L)의 저면에 다수의 탄성돌기(P)들이 돌출 형성된 중앙지지부(41)와;
    상기 중앙지지부(11)의 후방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발뒤꿈치까지의 발바닥 후방부에 밀착되며, 그 저면에 다수의 고정돌기(P')들이 하향 돌출 형성된 후방지지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부(42) 중앙에는 관통공(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P)는 고정돌기(P')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P')의 후방단부와 후방지지부(42)의 후방단부 사이의 거리(d)는 20∼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h)들이 형성된 중방지지부(41)의 두께는 후방지지부(42)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의 각 상면은 서로 동일 면을 이루며, 통공(h)들이 형성된 중방지지부(41)의 저면은, 후방지지부(42)의 저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7. 제 1항에 있어서, 중앙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의 전체 상면에는 이.브이.에이(E.V.A) 수지, 가죽, 폴리우레탄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상면커버(43)가 부가적으로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KR2020050034031U 2005-12-02 2005-12-02 신발 깔창 KR200410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31U KR200410566Y1 (ko) 2005-12-02 2005-12-02 신발 깔창
PCT/KR2006/005162 WO2007064176A1 (en) 2005-12-02 2006-12-02 Insole
US12/095,864 US20080301979A1 (en) 2005-12-02 2006-12-02 In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31U KR200410566Y1 (ko) 2005-12-02 2005-12-02 신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66Y1 true KR200410566Y1 (ko) 2006-03-13

Family

ID=3809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031U KR200410566Y1 (ko) 2005-12-02 2005-12-02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301979A1 (ko)
KR (1) KR200410566Y1 (ko)
WO (1) WO20070641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42B1 (ko) 2006-09-27 2007-05-10 (주)한신코리아 안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80350B1 (ko) 2012-07-03 2014-04-15 ㈜ 명장글로벌 충격 흡수용 인솔
WO2018155741A1 (ko) * 2017-02-24 2018-08-30 박경우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6762A1 (de) * 2008-08-21 2010-02-24 Masai Marketing & Trading AG Schuhboden mit Luftventilation
NL2001985C (en) * 2008-09-15 2010-03-16 Sara Lee De Nv Insole for footwear.
IT1393391B1 (it) 2009-01-10 2012-04-20 Alberto Del Biondi S P A Soletta per calzatura
TWM430868U (en) * 2012-02-29 2012-06-11 Zen Yangs Ind Co Ltd Pocket spring type elastic insole
USD818686S1 (en) 2017-01-19 2018-05-29 Storelli Sports, Inc. Insole
USD858968S1 (en) 2017-01-19 2019-09-10 Storelli Sports, Inc. Insole
USD855957S1 (en) * 2017-05-16 2019-08-13 Airwair Intl. Ltd. Combined footwear sole
FR3077470A1 (fr) * 2018-02-08 2019-08-09 Protalus LLC Semelles intérieures, semelles intérieures pour chaussures à haut talon et procédés pour leur fabrication et leur utilisation
US11992088B2 (en) 2021-05-31 2024-05-28 Chadrian T. Johnson Breathable ergonomic shoe inso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429A (en) * 1889-01-29 1890-06-03 Louis Eckhardt Shoe
US20020088140A1 (en) * 1970-03-10 2002-07-11 Jui-Te Wang Water drainable sole for footwear
CA1039499A (en) * 1975-06-30 1978-10-03 Katsuhisa Terasaki Means for reducing fatigue from wearing footgear
CA1084260A (en) * 1978-04-12 1980-08-26 Jean-Pierre Vermeulen Improved shoe sole containing discrete air-chambers
US4222185A (en) * 1979-04-04 1980-09-16 Nello Giaccaglia Plastic shoe sole for sandals and the like
US5845418A (en) * 1997-10-16 1998-12-08 Chi; Kuan-Min Ventilation insole with air chambers
US6434859B1 (en) * 1999-09-30 2002-08-20 Joo Tae Kim Insole for shoes designed to increase a therapeutic effect based on reflex zone therapy
KR200183173Y1 (ko) * 1999-12-15 2000-05-15 김상정 휴대용품 걸이
KR200203793Y1 (ko) * 2000-06-08 2000-11-15 이봉남 신발 깔개
US6318002B1 (en) * 2000-07-05 2001-11-20 Shu-Mei Chang Ou Integrally injected shoe insole with a middle shoe insole
KR100457101B1 (ko) * 2002-01-16 2004-11-12 주식회사 윙스월드 지압깔창
ITPD20020153A1 (it) * 2002-06-06 2003-12-09 Geox Spa Struttura di calzatura con tomaia permeabile e traspirante che riveste almeno parzialmente la suola impermeabile resa traspirante.
US6915598B2 (en) * 2002-08-06 2005-07-12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Insole with arch sp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42B1 (ko) 2006-09-27 2007-05-10 (주)한신코리아 안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80350B1 (ko) 2012-07-03 2014-04-15 ㈜ 명장글로벌 충격 흡수용 인솔
WO2018155741A1 (ko) * 2017-02-24 2018-08-30 박경우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1979A1 (en) 2008-12-11
WO2007064176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566Y1 (ko) 신발 깔창
EP2770861B1 (en) Dual-density insole with a molded geometry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US10433615B2 (en)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JP2009543657A (ja) シーソー型の靴の靴底
WO2010037258A1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US11219272B1 (en) Insole for ergonomic shoes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20160141053A (ko) 하이힐용 안창
KR101126601B1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1166572B1 (ko) 신발창
US20200163407A1 (en)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EP3892147B1 (en) Shoe
JPH11164704A (ja) 通気性靴底及び通気性靴
JP2005185675A (ja) 履物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200478808Y1 (ko) 통기성과 보행 안정성이 향상된 신발창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100627676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1062081B1 (ko) 등산 효과, 신체 교정 효과, 발의 하중 분산 효과 및 지압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신발
KR102030530B1 (ko) 복원력이 향상된 미드솔
KR101946399B1 (ko) 쿠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인솔
KR200404224Y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