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224Y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224Y1
KR200404224Y1 KR20-2005-0021793U KR20050021793U KR200404224Y1 KR 200404224 Y1 KR200404224 Y1 KR 200404224Y1 KR 20050021793 U KR20050021793 U KR 20050021793U KR 200404224 Y1 KR200404224 Y1 KR 200404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ole
midsole
sho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진
Original Assignee
박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진 filed Critical 박선진
Priority to KR20-2005-0021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가 보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흡수하는 스프링 요소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밑창과, 중창과, 상기 밑창과 중창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FOOTWEAR}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보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요소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 중 또는 운동 중 발을 보호하고 노면의 반발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완충 기능을 위해 신발의 신발창의 재질을 충격을 흡수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하여 왔다. 신발창은 신발의 바닥을 형성하고 노면 또는 임의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밑창과 밑창 위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발이 접촉하게 되는 중창으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밑창과 중창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신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신발의 완충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밑창과 중창 모두 또는 중창을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충격 흡수성 재료로 형성하거나, 밑창과 중창사이에 또는 중창 위에 완충성능이 보다 우수한 별개의 창을 더 구비시켜 신발의 완충 기능을 증대시키는 개선이 당해분야에 지속적으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밑창 또는 중창을 완충 성능이 양호한 재료로 구성하여도, 착용자가 착용한 후 장시간 보행하거나 심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거나 매우 딱딱한 노면을 장시간 보행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착용자는 발에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구두의 경우 밑창이 경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까닭에 착용후 장시간 보행후에 착용자가 느끼는 발의 피로감은 보다 심하게 된다. 또한, 요통이 있거나 무릎 관절에 통증을 느끼는 착용자의 경우, 부드러운 흙길을 걷는 것이 착용자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부드러운 흙길이 주위에 많지 않은 까닭에 종래의 신발창 구조를 채용한 신발을 착용하고 부드럽지 않은 길을 보행하게 되어 이러한 착용자는 보행 중에 통증을 심하게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신발 착용후 착용자가 장시간 보행하거나 심한 운동을 하여도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확실히 완화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고, 착용자가 마치 부드러운 흙길을 보행하고 있는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신발창을 가진 신발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노면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한 충격을 확실히 완화시키고 흡수할 수 있으며, 착용후 보행 중에 착용자가 발에 가볍고 즐거운 느낌을 가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마치 부드러운 흙길을 보행하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신발창을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착용자가 가진 각종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는 신발창을 가진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밑창과, 중창과, 상기 밑창과 중창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발은, 상기 스프링 각각을 내장하고 고무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프링 내장 튜브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는 상기 중창의 밑창을 향하는 표면 상에 결합되고, 상기 밑창의 중창을 향하는 표면 상에 다수의 정합공이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합공의 깊이는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의 길이의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는 상기 중창의 표면 상의 발앞꿈치 및 발뒤꿈치 부위에 중간 부위 보다 조밀하게 배치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창의 표면 상의 중간 부위에 배치된 스프링 내장 튜브가 나머지 부위에 배치된 스프링 내장 튜브보다 긴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은, 상하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고 서로 연결된 가요성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에 상기 스프링이 상기 가요성 판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스프링 내장 깔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의 표면에 녹방지 코팅이 도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요성 판은 고무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서의 신발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신발창의 좌측 부분이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도 1의 신발창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서의 신발창(100)은 밑창(110)과 중창(130)을 구비하며, 중창(130)의 밑창(110)을 향하는 표면(130a) 상에 다수의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구비되고, 밑창(110)의 중창(130)을 향하는 표면(110a) 상에 다수의 정합공(111)이 스프링 내장 튜브(120)에 각기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정합공(111)에 서로 정합되어 결합됨으로써, 밑창(110), 중창(130)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 내장 튜브(120)로 이루어진 신발창(100)이 구성된다.
밑창(110)은 노면과 접촉하는 신발창의 가장 아래쪽 부재로서, 공지된 재료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중창(130)을 향하는 표면(110a) 상에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정합공(111)이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개수와 배열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밑창(110)의 표면(110a) 상에 형성된 정합공(111)은 원통형의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삽입되어 유지되며,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합공(111)의 깊이(d)는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길이(l)의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프링 내장 튜브(120)는 그 전체 길이의 1/3이 정합공(111)에 삽입되고, 나머지 2/3는 삽입되지 않는다.
밑창(110) 위에 배치된 중창(130)은 착용자의 발이 접촉하는 부재로서, 예컨대 인체에 무해한 고무, 합성수지 또는 가죽을 재질로 하여 발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130)의 밑창(110)을 향하는 표면(130a) 상에 착용자가 발을 내디딜 때 노면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그 전면에 걸쳐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 내장 튜브(120)는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진 튜브를 포함한다.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 부분(122)은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개방된 타단 측 외주부에 중창(130)에 결합되는 부분인 플랜지(122a)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내부, 즉 튜브 부분(122)의 내부 공간에 스프링(121)이 삽입되어 있으며, 스프링(121)은 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서의 신발창(1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신발창(100)의 일부, 예컨대 밑창(1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피혁과 같은 신발의 외형을 구성하는 요소(140)가 결합되어 신발로 제조될 수 있다.
밑창(110)과 중창(130)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노면의 반발력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흡수한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발을 내디뎌 노면에 밟게 되면,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압축되면서 노면으로부터의 반발력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흡수한다. 이 때,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튜브 부분(122)이 고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튜브 부분(122) 자체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 코일 스프링(121)과 함께 압축된다. 이 경우,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내장 튜브(120)는 그 길이를 따라서 1/3이 정합공(111) 내에 삽입되어 있고 나머지 2/3는 삽입되어 있지 않으므로,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압축과 팽창이 가능한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작동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발을 내디뎌 밑창(110)이 노면과 접촉할 때,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압축되면서 착용자의 발과 노면 사이에 걸리는 힘을 흡수하므로, 착용자는 자신의 발에 보다 적은 하중이 걸리게 됨을 느끼게 되어 편안하게 노면을 밟을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노면으로부터 발을 떼면, 압축된 스프링(121)은 내부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팽창하므로, 착용자는 자신의 발이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느낌을 받게 될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보행에 도움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착용자는 노면에 발을 내딛거나 노면으로부터 발을 뗄 때,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보다 편한한 보행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착용자의 발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경감되므로, 착용자의 발에 누적될 수 있는 피로감도 저하될뿐만 아니라, 스프링(121)의 압축과 팽창시 착용자는 자신의 발에 가해지는 “튀는”느낌을 받게 되어,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보행이 또한 가능하다.
한편, 착용자의 발바닥은 대체로 발앞꿈치의 전족부, 발뒤꿈치의 후족부 및 그 사이의 중족부로 구분될 수 있고, 여기서, 착용자의 발바닥의 전족부, 후족부 및 중족부의 외측(발형상에서 발날 부분)은 대체로 평평하고, 중족부의 내측은 오목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중창이 평평하게 형성된 경우, 발바닥 전면이 중창(130)에 접촉하지 않고 중족부의 내측은 중창(130)과 들떠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창(130)의 중앙 부분에서 착용자의 내측을 향한 부분, 즉 중족부의 내측은 상방으로 융기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스프링 내장 튜브(120)의 길이 또한 중족부의 내측 이외의 부분에 배치된 스프링 내장 튜브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장된 스프링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바닥 전면에 걸쳐 중창(130)이 접촉하게 될뿐만 아니라,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또한 발바닥 전면에 걸쳐 그 충격 완화 및 흡수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중창의 저면도로서, 착용자의 좌측 신발에 적용되는 중창(130)의 저면도이다. 착용자가 맨발인 상태에서 또는 신발을 신고 노면을 밟을 때,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노면의 반발력에 의한 충격은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가해지지는 않는다. 대체로 착용자는 자신의 발뒤꿈치 부분으로부터 먼저 노면을 밟게되고, 그후 발날 부분이 노면과 닿게 되며 마지막으로 발앞꿈치 부분이 노면과 닿게 된다. 한편, 착용자가 노면으로부터 발을 뗄 때에는, 발뒤꿈치가 먼저 이탈되고 차례로 발날 부분과 발앞꿈치가 노면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착용자가 발을 내딛거나 뗄 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이 발 부위마다 다르고 중창(130)에 결합되는 스프링 내장 튜브(120) 각각은 모두 동일한 힘을 발휘하므로, 스프링 내장 튜브(120)는 부위에 따라서, 즉 충격이 많이 가해지는 부위에 보다 조밀하게 배치되는 것이 착용자의 안락한 보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내장 튜브(120)는 중창(130)의 세로 방향에서 발앞꿈치 부위(a1)와 발뒤꿈치 부위(a3)에 중앙 부위(a2)보다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조밀하게 배치된 발앞꿈치 부위(a1)와 발뒤꿈치 부위(a3)는 노면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한 충격을 보다 많이 완화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게되어, 더욱 안락한 착용자의 보행이 가능해 진다.
한편, 개별 스프링(121)의 압축량을 착용자가 부드러운 흙길을 보행할 때 노면이 압축되는 정도에 맞추어 설정할 경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100)을 구비한 신발을 착용하고 딱딱한 노면을 보행할 때에도 마치 부드러운 흙길을 보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를 착용자가 부드러운 흙길을 보행할 때 노면이 압축되는 정도로 개별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설정하면, 요통이나 무릎에 통증이 있는 착용자가 딱딱한 노면을 보행할 때에도 마치 부드러운 흙길을 걷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발앞꿈치 부위(a1) 또는 발뒤꿈치 부위(a3)에 착용자가 발생시키는 하중이 주로 걸리게 되므로, 이들 부위 둘 다 또는 어느 하나에 배치된 스프링들의 스프링 상수를 위와 같이 설정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내장 튜브(120)는 중창(130)에 결합되어 있고, 스프링 내장 튜브(120)와 중창(130)이 밑창(110)에 결합되게 하는 정합홈(111)이 밑창(110)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즉 스프링 내장 튜브(120)가 밑창에 결합되어 있고 정합홈(111)이 중창(130)의 밑창을 향하는 표면(130a)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서의 신발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신발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서의 신발창(200)은, 노면과 접촉하는 밑창(210)과, 착용자의 발이 놓이는 중창(230)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고 다수의 스프링(221)을 내장한 스프링 내장 깔창(2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신발창(200)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는 요소(240)가 결합되면 신발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210)과 중창(230)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내장 깔창(220)이 스프링 내장 튜브(12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착용자가 가진 각종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도록 밑창(210) 상에 자유로이 놓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밑창(210)과 중창(230)은 임의의 신발에 채용되는 밑창과 중창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중창(230)을 생략하고 스프링 내장 깔창(220)이 중창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스프링 내장 깔창(220)은, 상하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공간(224)을 한정하고 서로 연결된 가요성 판(222, 223)과, 상기 공간(224)에 배치되고 가요성 판(222, 223)에 결합된 다수의 스프링(221)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221)은 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 내장 깔창(22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보이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상하의 판들 사이가 노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 내장 깔창(220)이 내부가 보이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프링 내장 깔창(220)의 내외부를 통해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스프링 내장 깔창(220)의 측면 일부에 통기공(220a)이 형성되어 있다. 밑창(210)과 접촉하는 가요성 판(222)은 스프링 내장 깔창(220)의 바닥을 형성하고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21)을 아래에서 위로 지지하며, 중창(230)과 접촉하는 가요성 판(223)은 스프링 내장 깔창(220)의 상면을 형성하고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21)을 위에서 아래로 지지한다. 이들 가요성 판(222, 223)은 예컨대 고무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크기에 맞게 발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판(222, 223) 사이에 결합된 스프링(221)은 예컨대 접착 방식으로 각각의 판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노면에 발을 내딛거나 노면으로부터 발을 뗄 때, 신발(240) 내에서 착용자의 발이 전후좌우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동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가요성 판(222, 223) 사이에 결합된 스프링(221)은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압축과 팽창을 경험하게 되므로, 스프링(221)이 고정되는 위치를 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가요성 판(222, 223)의 서로 마주하는 면의 각각에 스프링(221)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고정부, 예컨대 환상의 돌출부(222a, 223a)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221)은 상측 돌출부(223a)와 하측 돌출부(222a) 사이에 위치되며, 이들에 의해 스프링의 위치 한정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221)은 신발 내부에서 착용자의 발 아래 놓이고 스프링 내장 깔창(220)의 내부가 신발 내부와 서로 소통하므로, 착용자의 발에서 분비되는 땀 등의 수분으로 인해 스프링(221)의 표면에 녹이 슬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221)은 그 표면에 녹방지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예컨대, 녹방지 코팅 등이 스프링(221)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스프링(221) 자체가 녹방지가 가능한 강으로 이루어지면, 스프링 내장 깔창(220)을 장기간 사용해도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21)의 표면에 녹이 스는 문제가 회피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배치된 상황에서, 착용자가 발을 내디뎌 밑창(210)이 노면과 접촉하거나 노면으로부터 발을 떼면, 스프링 내장 깔창(220) 내부에 결합된 다수의 스프링(221)이 압축 및 팽창하면서, 착용자의 발과 노면 사이에 걸리는 힘이 스프링(221)에 의해 완화되거나 흡수되므로, 착용자는 안락한 보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발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경감되므로, 착용자의 발에 누적될 수 있는 피로감도 저하되며, 스프링(221)의 압축과 팽창시 착용자의 발에 느껴지는 “튀는”느낌으로, 착용자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한 신발창(100)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구비된 신발창(200)에서의 스프링 내장 깔창(220)의 가요성 판(223)은 착용자의 발의 중족부의 오목한 내측과 밀착하도록 발의 중족부가 위치하는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그 내부의 스프링(221)이 또한 볼록한 부분에 대응하도록 그 외의 부위의 스프링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착용자의 발앞꿈치나 발뒤꿈치에 보다 조밀하게 배치되면 스프링(221)에 의한 충격 완화 및 흡수효과가 보다 정밀하게 나타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스프링 내장 깔창(220)의 상하측 표면을 이루는 가요성 판(222, 223)이 착용자의 발모양 및 발크기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 내장 깔창(220)이 밑창(210)과 분리되므로, 착용자는 자신이 가진 각종의 신발에 상기 스프링 내장 깔창(220)을 배치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는 신발을 착용할 때마다 안락한 보행을 보장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의하면, 착용자가 노면에 발을 내딛거나 노면으로부터 발을 뗄 때, 노면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한 충격을 확실히 완화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고, 착용자가 발에 가볍고 즐거운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신발창을 구비한 신발이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가지며 착용자가 가진 각종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는 신발창을 구비한 신발이 제공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서의 신발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창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중창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서의 신발창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신발창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밑창 111 : 정합공
120 : 스프링 내장 튜브 121 : 스프링
122 : 고무 튜브 130 : 중창

Claims (8)

  1. 밑창과,
    중창과,
    상기 밑창과 중창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
    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각각을 내장하고 고무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프링 내장 튜브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는 상기 중창의 밑창을 향하는 표면 상에 결합되고,
    상기 밑창의 중창을 향하는 표면 상에 다수의 정합공이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공의 깊이는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의 길이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내장 튜브가 상기 중창의 표면 상의 발앞꿈치 및 발뒤꿈치 부위에 중간 부위 보다 조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표면 상의 중간 부위에 배치된 스프링 내장 튜브가 나머지 부위에 배치된 스프링 내장 튜브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한정하고 서로 연결된 가요성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에 상기 스프링이 상기 가요성 판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스프링 내장 깔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표면에 녹방지 코팅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이 고무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2005-0021793U 2005-07-27 2005-07-27 신발 KR200404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93U KR200404224Y1 (ko) 2005-07-27 2005-07-27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93U KR200404224Y1 (ko) 2005-07-27 2005-07-27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224Y1 true KR200404224Y1 (ko) 2005-12-20

Family

ID=4370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793U KR200404224Y1 (ko) 2005-07-27 2005-07-27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15B1 (ko) 2008-07-04 2010-07-14 주식회사화승 신발용 인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15B1 (ko) 2008-07-04 2010-07-14 주식회사화승 신발용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5785B2 (en) Midsole for a shoe
US7900376B2 (en) Shoe spring and shock absorbing system
EP2106714B9 (en)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EP2446768A2 (en) Midsole for a shoe
KR200426095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EP0853896A2 (en) Footwear with mountain goat traction elements
KR100959406B1 (ko) 삼단 쿠션신발창
US20110308106A1 (en) Midsole for a shoe which has the shock-dispersing function and the same foot rolling function
KR200410566Y1 (ko) 신발 깔창
WO2007148910A1 (en)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KR100518307B1 (ko) 신발
US20100281709A1 (en) Elastic Shoes For Cushioning Against Impact
KR10105122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200457896Y1 (ko) 신발 깔창
KR200404224Y1 (ko) 신발
KR102346677B1 (ko)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100974504B1 (ko) 신발용 밑창
KR101208487B1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102345807B1 (ko)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캐쥬얼화용 아웃솔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90007621U (ko) 충격흡수기능을 가지는 신발용 중창, 이러한 중창을 구비한신발창 및 신발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KR20130091039A (ko) 다단쿠션을 갖는 기능성 신발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