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307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307B1
KR100518307B1 KR1020050012557A KR20050012557A KR100518307B1 KR 100518307 B1 KR100518307 B1 KR 100518307B1 KR 1020050012557 A KR1020050012557 A KR 1020050012557A KR 20050012557 A KR20050012557 A KR 20050012557A KR 100518307 B1 KR100518307 B1 KR 10051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layer
layer
shoe
sole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보용
Original Assignee
심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보용 filed Critical 심보용
Priority to KR102005001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밑창의 뒷굽에 설치된 쿠션층에 의해 보행자가 발뒤꿈치를 지면에 딛었을 때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으며, 쿠션층에 매설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충격흡수력 및 완충효과를 더 높일 수 있고, 쿠션층은 밑창보다 저밀도 및 고탄력의 재질로 되어 있어, 신발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가볍고 편한 신발을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네오프렌 재질로 되면 가벼우며 복원력이 우수하며, 밑창의 발앞꿈치 부분에 지압층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는 보행시 지압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이 걸어다닐 때에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다.
통상의 신발 구조를 보면, 발등과 발목 부분을 보호하는 갑피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 주행성을 향상시키며 완충의 작용을 동시에 행하는 밑창으로 구성되는바, 갑피를 밑창에 연결시킨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보통 신발의 내측 바닥면에 깔창을 깔거나 신발 밑창과 뒤축을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그러나 밑창 자체의 재질을 전부 완충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할 경우에는 비용 상승에 따른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지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시 마모가 쉽게 발생되어 장시간 착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행자가 발뒤꿈치를 지면에 딛었을 때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으며, 쿠션층에 매설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충격흡수력 및 완충효과를 더 높일 수 있으며, 가볍고 편한 신발을 생산할 수 있고, 지압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은, 밑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뒷굽에 형성되는 쿠션층 안착홈;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수직하게 매설되고, 상기 밑창보다 저밀도 및 고탄력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층 안착홈에 안착되는 쿠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 상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경과 일치하는 제 1중공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중공홈부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 1중공홈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2중공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 상기 쿠션층 안착홈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압층 안착홈;및 상기 쿠션층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발앞꿈치 부위의 상면에 오목한 형태의 오목부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압층 안착홈에 안착되는 지압층;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 및 상기 지압층은 네오프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신발은 신발 몸체(100)와 밑창(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 몸체(100)의 갑피(110)는 신발의 외형을 이루며, 갑피(110)의 하면에는 내피(1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내피(130)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와 같이 갑피(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갑피(110)의 하면에는 밑창(200)이 결합된다.
밑창(20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PU)이나 EVA 등을 사용할 경우 충격흡수력이 좋다.
밑창(200)의 뒷굽(210)에는 쿠션층 안착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쿠션층 안착홈(23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지압층 안착홈(250)이 형성된다.
쿠션층 안착홈(230)은 뒷굽(210)의 깊이와 거의 비슷하도록 깊게 형성되며, 이에 비해 지압층 안착홈(250)은 쿠션층 안착홈(230)의 깊이보다 훨씬 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층 안착홈(230)에는 쿠션층(300)이 밑창(200)의 다른 면보다 돌출되도록 안착된다.
이러한 쿠션층(300)은 보행시 보행자의 족답 압력에 의해 상하로 신축 작용을 하면서 착용자 발 뒤꿈치에 쿠션감을 줄 수 있다.
여기에서, 쿠션층(300)은 밑창(200)보다 저밀도 및 고탄력의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네오프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오프렌 재질은 가벼우며, 복원력이 우수하다.
쿠션층(30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310)이 수직하게 매설되어 있고, 코일스프링(310)의 내측 상부에는 코일스프링(310)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제 1중공홈부(330)가 형성된다.
제 1중공홈부(330)의 하면 중앙부에는 제 1중공홈부(3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2중공홈부(320)가 형성된다.
제 2중공홈부(320)의 형성은 쿠션층(300) 성형시 발생될 수 있는 쿠션층(300) 내부와 외부의 온도구배를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또한 쿠션층(300) 내부에 매설된 코일스프링(310)의 압축시 제 2중공홈부(320)에 의해 쿠션층(300) 내부의 변형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쿠션층(300)의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중공홈부(330)는 쿠션층(300) 내부에 코일스프링(310)을 매설하여 쿠션층(300)을 성형할 때 코일스프링(310) 내측의 가운데 부분에 제 2중공홈부(3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310)을 잡아주는 금형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쿠션층(30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지압층(350)이 형성되고, 지압층(350)은 밑창의 지압층 안착홈(250)에 안착된다.
이러한 지압층(350)은 쿠션층(300)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발앞꿈치 부분이 닿는 부위의 상면에 오목한 형태의 오목부(351)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지압층(350)은 쿠션층(300)과 마찬가지로 밑창보다 저밀도 및 고탄력의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네오프렌 재질로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쿠션층(300)과 지압층(35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쿠션층(300)과 지압층(350)은 각각 따로 제작되어 쿠션층 안착홈(230) 및 지압층 안착홈(250)에 각각 안착될 수도 있으며, 제작시 편리함을 위하여 쿠션층(300)과 지압층(350)은 본 명세서와 같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보행자가 발의 후측을 지면에 딛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보행자가 발의 전측을 지면에 딛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을 착용한 보행자가 발의 후측을 지면에 딛게 되면, 발의 후측인 발뒤꿈치가 닿는 쿠션층(300)에 보행자의 체중이 실려 쿠션층(300)이 압축된다.
이때, 쿠션층(300)에 매설된 코일스프링(310)도 함께 압축되면서 제 1중공홈부(330)및 제 2중공홈부(320)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어 압축이 일어나므로, 보행자는 발뒤꿈치를 지면에 딛었을 때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자가 발의 전측을 지면에 딛게 되면, 쿠션층(300) 및 코일스프링(31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제 1중공홈부(330)및 제 2중공홈부(320)의 체적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고, 발의 전측인 발앞꿈치가 닿는 지압층(350)에 보행자의 체중이 실려 복수의 오목부(351)에 의해 보행자는 지압효과를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신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밑창의 뒷굽에 설치된 쿠션층에 의해 보행자가 발뒤꿈치를 지면에 딛었을 때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을 보호할 수 있으며, 쿠션층에 매설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충격흡수력 및 완충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쿠션층은 밑창보다 저밀도 및 고탄력의 재질로 되어 있어, 신발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가볍고 편한 신발을 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네오프렌 재질로 되면 가벼우며 복원력이 우수하다.
한편, 밑창의 발앞꿈치 부분에 지압층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자는 보행시 지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
도 3a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보행자가 발의 후측을 지면에 딛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보행자가 발의 전측을 지면에 딛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발 몸체 110 : 갑피
130 : 내피 200 : 밑창
210 : 뒷굽 230 : 쿠션층 안착홈
250 : 지압층 안착홈 300 : 쿠션층
310 : 코일스프링 330 : 제 1중공홈부
320 : 제 2중공홈부 350 : 지압층
351 : 오목부

Claims (4)

  1. 밑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의 뒷굽에 형성되는 쿠션층 안착홈;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수직하게 매설되고, 상기 밑창보다 저밀도 및 고탄력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층 안착홈에 안착되는 쿠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 상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경과 일치하는 제 1중공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중공홈부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 1중공홈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2중공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 상기 쿠션층 안착홈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압층 안착홈;및
    상기 쿠션층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발앞꿈치 부위의 상면에 오목한 형태의 오목부가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압층 안착홈에 안착되는 지압층;이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삭제
KR1020050012557A 2005-02-16 2005-02-16 신발 KR10051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57A KR100518307B1 (ko) 2005-02-16 2005-02-16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57A KR100518307B1 (ko) 2005-02-16 2005-02-16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307B1 true KR100518307B1 (ko) 2005-09-29

Family

ID=3730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557A KR100518307B1 (ko) 2005-02-16 2005-02-16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3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271A1 (en) * 2006-05-02 2007-11-08 Hyun-Wook Ryoo Jump shoes
WO2009017350A1 (en) * 2007-07-30 2009-02-05 Hyun-Wook Ryoo Shoes with elastic bodies
KR100964034B1 (ko) 2008-05-17 2010-06-15 김상대 완충구가 내입된 구두굽
KR101005575B1 (ko) * 2010-03-19 2011-01-05 (주) 거림케미칼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KR101051044B1 (ko) 2009-09-29 2011-07-21 안인태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1201986B1 (ko) 2010-06-30 2012-11-15 (주) 거림케미칼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241B1 (ko) * 2019-02-13 2019-08-13 정영석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271A1 (en) * 2006-05-02 2007-11-08 Hyun-Wook Ryoo Jump shoes
WO2009017350A1 (en) * 2007-07-30 2009-02-05 Hyun-Wook Ryoo Shoes with elastic bodies
KR100964034B1 (ko) 2008-05-17 2010-06-15 김상대 완충구가 내입된 구두굽
KR101051044B1 (ko) 2009-09-29 2011-07-21 안인태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1005575B1 (ko) * 2010-03-19 2011-01-05 (주) 거림케미칼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KR101201986B1 (ko) 2010-06-30 2012-11-15 (주) 거림케미칼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2010241B1 (ko) * 2019-02-13 2019-08-13 정영석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WO2020166919A1 (ko) * 2019-02-13 2020-08-20 정영석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US11926116B2 (en) 2019-02-13 2024-03-12 Young Suk Jung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having resilient members embedded there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642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6598320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CA2488274C (en) Outsole
US8387279B2 (en)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JP5207555B2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US7249425B2 (en) Shoe sole having soft cushioning device
KR100518307B1 (ko) 신발
KR101216763B1 (ko) 건강 신발
KR20100014205A (ko) 삼단 쿠션신발창
KR101933660B1 (ko) 전후방 탄성체 미드솔
KR200444068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0376979Y1 (ko) 신발용 바닥판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200489122Y1 (ko) 등산화 밑창
KR101241422B1 (ko) 다중 경도에 의한 구름보행 기능을 갖는 신발 중창 및 그 중창이 설치된 신발
KR101762709B1 (ko) 미드솔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신발
CN210299723U (zh) 一种鞋底及鞋
KR20090007621U (ko) 충격흡수기능을 가지는 신발용 중창, 이러한 중창을 구비한신발창 및 신발
CN220987779U (zh) 一种防损伤减震运动鞋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102001997B1 (ko)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KR200404224Y1 (ko) 신발
KR102567784B1 (ko)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