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986B1 -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986B1
KR101201986B1 KR1020100062774A KR20100062774A KR101201986B1 KR 101201986 B1 KR101201986 B1 KR 101201986B1 KR 1020100062774 A KR1020100062774 A KR 1020100062774A KR 20100062774 A KR20100062774 A KR 20100062774A KR 101201986 B1 KR101201986 B1 KR 101201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outsole
insole
sole
midso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077A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 거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거림케미칼 filed Critical (주) 거림케미칼
Priority to KR102010006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9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드솔에 스프링부재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쿠션 신발창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조공정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원가를 낮추고 변형이 적은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고, 스프링 부재를 미드솔에 별도로 안착하지 않고 직접 매립형으로 성형하여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탄성력을 조정하여 의료용 및 다양한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쿠션 신발창과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성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기 아웃솔(20) 및 인솔(30), 상기 아웃솔(20)과 인솔(30) 사이에서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받쳐주기 위하여 발(60)을 기준으로 앞 축(41)과 뒤 축(42)으로 나누어지고 그 뒤 축(42) 부분이 앞 축(41) 부분에 비해 높이(h1)가 높고 탄력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폼으로 성형된 미드솔 본체(43)로 구성된 미드솔(40), 상기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에 일체형으로 함몰 매립되어 발의 뒤꿈치를 미드솔 본체(43)의 자체 탄성 변형에 따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금속 스프링부재(50), 상기 아웃솔(20)과 인솔(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드솔 본체(43)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안내하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아웃솔(20)과 인솔(30)에 형성된 스커트부(2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SHOE OF CUSHION 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미드솔에 스프링부재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쿠션 신발창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조공정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원가를 낮추고 변형이 적은 고신뢰성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고, 스프링부재를 미드솔에 직접 매립형으로 성형하여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제조 단계에서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탄성력을 조정하여 의료용 및 다양한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쿠션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창은 충격을 완화하고 착화감을 좋게 하기 위해 쿠션 소재를 이용하고 완충 구조를 적용하여 제조된다.
쿠션이 있는 여러 종류의 신발창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고 발포수지로 된 쿠션재를 솔(sole)에 장착하거나 뒷굽에 공실을 만들고 여기에 쿠션재를 끼워 접착하거나 완충장치를 설치하는 형식이 대표적이다.
도 1은 중창(10)과 바닥창(11)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신발창에 스프링(12)으로 된 완충장치(13)를 설치한 것으로, 완충장치(13)를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창(11)에 설치홈(14)을 형성하고 이곳에 완충장치(13)를 설치한 종래 쿠션 신발창의 예이다.
완충장치(13)가 설치된 도 1과 같은 구조는 포함하여 쿠션이 있는 신발창은 발의 뒤꿈치가 닿는 근방에 공기주머니, 또는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등의 쿠션 부재를 장착하여 발바닥과 발 뒤꿈치를 부드럽게 받쳐주면서 보행 중에 발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신발창보다 부드러우면서 쿠션이 있는 쿠션재가 나머지 충격을 완화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완충장치(13) 또는 쿠션 부재를 설치하면 그렇지 않은 신발창에 비해 완충성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523160호의 '신발 쿠션조절 삽입구조물'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495502호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지는 신발창'이 있다. 이 기술은 발의 뒤꿈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아웃솔 및 미드솔 사이에 별도의 설치공간을 만들고 그곳에 완충구조물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기술들은 도 1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아웃솔 및 미드솔에 형성된 공실 내에 직접 완충구조물을 끼우고 접착하는 형식이므로 여러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제조도 복잡하다. 그만큼 생산성도 낮고 원가가 높다.
또한, 완충구조물은 기구적으로 발의 뒤 축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체중에 의해 충격을 완화해주는 기능을 하는데 체중을 반복해서 받게 되면 어느 시점부터 쿠션 성능이 약화 되어 착화감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고, 뒷굽은 두꺼운 층으로 적층 되어 있어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쿠션 신발창과 관련하여 소개된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959406호에 개시된 '삼단 쿠션 신발창'이 알려져 있다.
상기 기술은, 신발창 본체의 뒤축 부분에 경도가 다른 1, 2차 쿠션을 차례로 부착하여 삼단으로 우수한 쿠션을 발휘하도록 하고, 신발창 본체에 설치되는 생크를 전후방 생크로 분리 구성한 뒤에 전후방 생크가 마주 대하는 부분에 각기 핑거부와 골부분이 반복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를 형성하며, 이들 전후방 생크의 끼움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핑거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발바닥의 경혈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1차 쿠션과 2차 쿠션이 분리되어 있고, 끼움부 및 핑거부 등의 복잡한 형상적 조합으로 되어 있어 여러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제조가 복잡하며 생산성이 낮고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으며, 변형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양한 쿠션 신발창은 쿠션 구조물의 설계 및 설치 위치, 사용하는 재료 등에 따라 완충 성능에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쿠션 구조물 부품 조립과 관련된 생산성 저하, 많은 부품 사용에 의한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다.
또한, 쿠션 및 완충 구조물은 주로 공기 튜브, 탄성체 등의 탄력 구조를 이용하는 유니트로 제작되어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크고 반영구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쿠션 및 완충구조물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완충 신발은 운동용 런닝화, 일상적 착용화에 제한적으로 장착되고 있으며, 단 부품 상태로 완성할 수 없으므로 탄성력을 신발 사용 용도에 맞게 사전 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의료용 및 다양한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쿠션 신발창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스프링부재를 갖는 신발창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조공정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원가를 낮추고 변형이 적은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부재를 신발창에 별도로 안착 되지 않고 신발창을 구성하는 미드솔에 직접 매립하여 일체형으로 성형 함으로서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완충력을 사전 조정하여 계획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의료용 및 다양한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신발, 무릅 관절 환자용 신발, 특수목적 신발 등 완충 강도 조절이 필요한 광범위한 분야의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창은,
하부에 위치하는 아웃솔, 상부에 위치하는 인솔, 아웃솔과 인솔 사이에 놓이는 미드솔로 구성되는 쿠션 신발창에 있어서,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성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기 아웃솔 및 인솔;
상기 아웃솔과 인솔 사이에서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받쳐주기 위하여 발을 기준으로 앞 축과 뒤 축으로 나누어지고 그 뒤 축 부분이 앞 축 부분에 비해 높이가 높고 탄력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폼으로 성형된 미드솔 본체로 구성된 미드솔;
상기 미드솔 본체의 뒤 축에 일체형으로 함몰 매립되어 발의 뒤꿈치를 미드솔 본체의 자체 탄성 변형에 따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금속 스프링부재;
상기 아웃솔과 인솔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드솔 본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안내하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아웃솔과 인솔에 형성된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솔은, 상기 미드솔 본체의 뒤 축 밑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가려주기 위해 스커트가 상기 미드솔 본체의 뒤 축 부분인 밑면 아치 라인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미드솔 본체의 바닥면을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솔은, 상기 미드솔 본체의 뒤 축 윗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가려주기 위해 스커트가 미드솔 본체의 뒤 축 부분인 윗면 아치 라인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은 상기 미드솔 본체의 윗면 뒤 축과 접촉하는 안착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아웃솔의 앞 부분 안착면과 접촉하는 안착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솔과 인솔은 상기 미드솔 본체에 비해 연성이 낮고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스프링부재는 금속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지면에 닿는 아웃솔, 발 바닥이 접촉하는 인솔, 아웃솔과 인솔 사이에 놓여져 발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미드솔로 이루어지는 쿠션 신발창 제조 방법에 있어서,
쿠션 신발창을 구성하는 상기 아웃솔, 인솔, 미드솔을 각각 성형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미드솔의 성형 전 단계에서 금속 스프링부재를 금형에 넣고 수지를 공급하여 스프링부재가 뒤 축에 함몰 매립된 미드솔 본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미드솔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아웃솔을 접착하는 2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미드솔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인솔을 접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부재를 갖는 쿠션 신발창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공정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낮추고 변형이 적은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부재가 신발창에 별도로 안착 되지 않고 신발창을 구성하는 미드솔에 직접 매립하여 사출 성형 되도록 함으로서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완충력을 사전 조정하여 계획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의료용 및 다양한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신발, 무릅 관절 환자용 신발, 특수목적 신발 등 스프링부재를 통한 완충 강도 조절이 필요한 광범위한 분야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는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쿠션 신발창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인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 미드솔의 일부 절결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 미드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탄성 분포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제조 공정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인솔 저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 미드솔의 일부 절결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 미드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탄성 분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결합 상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제조 공정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쿠션 신발창은, 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주요 부분은, 하부에 위치하는 아웃솔(20), 상부에 위치하는 인솔(30), 아웃솔(20)과 인솔(30) 사이에 놓이는 미드솔(40), 미드솔 본체(43)에 매립된 이 재질 의 금속 스프링부재(50)로 구성된다.
아웃솔(20)은, 지면과 닿으며 전체 신발창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바닥은 연속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홈(21)으로 파여진 일반적인 미끄럼 방지 표면을 갖는다.
아웃솔(20)은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성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 된다.
인솔(30)은, 발바닥이 고르게 접촉하도록 발의 바닥면 곡률에 상당하는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그리고 신발창의 전체 형상 유지를 위해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성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 된다.
미드솔(40)은, 아웃솔(20)과 인솔(30) 사이에서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받쳐주기 위하여 발(60)을 기준으로 앞 축(41)과 뒤 축(42)으로 나누어지고 그 뒤 축(42) 부분이 앞 축(41) 부분에 비해 높이(h1)가 높고 탄력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폼으로 성형된 미드솔 본체(43)로 구성된다.
그리고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에 일체형으로 함몰 매립되어 발의 뒤꿈치를 미드솔 본체(43)의 자체 탄성 변형에 따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금속 스프링부재(50)를 포함한다.
미드솔 본체(43)는, 금속 스프링부재(50)를 뒤 축(42)에 둠으로서 도 6과 같이 앞 축(41)과 뒤 축(42)의 탄성이 다른 탄성 분포를 나타낸다. 즉 뒤 축(41) 영역 a는 앞 축(41) 영역 b보다 금속 스프링부재(43)가 갖는 스프링 계수만큼 탄력이 크다.
영역 a 부분은 발(60)의 뒤꿈치(61) 부분이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영역 b영역에 비해 높은 탄력을 주어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 금속 스프링부재(50)의 스프링 계수를 조절하면 쿠션 강도 조절도 가능하다.
그리고 아웃솔(20)과 인솔(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드솔 본체(43)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안내하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아웃솔(20)과 인솔(30)에 형성된 스커트부(22)(31)를 포함한다.
또한, 아웃솔(20)은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밑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가려주기 위해 스커트(22)가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부분인 밑면(44) 아치 라인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미드솔 본체(43)의 바닥면을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23)을 구비한다.
아웃솔(20)에 있는 스커트(22)는, 미드솔 본체(43)와 접합력을 증진시키고 결합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여 외관을 개선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결합을 유도하여 정교한 결합이 가능하여 불량을 줄이는 품질관리 및 작업성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또한, 인솔(30)은,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윗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가려주기 위해 스커트(31)가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부분인 윗면(45) 아치 라인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은 미드솔 본체(43)의 윗면 뒤 축(42)과 접촉하는 안착면(32)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아웃솔(20)의 앞 부분 안착면(23a)과 접촉하는 안착면(32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솔(30)에 있는 스커트(31)는, 미드솔 본체(43)와 접합력을 증진시키고 결합면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여 외관을 개선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결합을 유도하여 정교한 결합이 가능하여 불량을 줄이는 품질관리 및 작업성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또한, 아웃솔(20)과 인솔(30)은 미드솔 본체(43)에 비해 연성이 낮고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드솔 본체(43)에 매립되어 일체화되는 금속 스프링부재(50)로는, 성형성과 스프링 계수를 감안한 탄성력 조절이 용이한 금속 코일스프링(5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46'은 금형에서 미드솔 본체(43)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홈이다. 홈(46)은 재료 사용 량과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창 제조방법은 도 9와 같은 순서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닿는 아웃솔(20), 발 바닥이 접촉하는 인솔(30), 그리고 아웃솔(20)과 인솔(30) 사이에 놓여져 발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미드솔(40)로 이루어지는 쿠션 신발창을 제조하는 것으로 주요공정은 다음과 같은 1단계 내지 3단계 공정으로 제조된다.
1단계로, 쿠션 신발창을 구성하는 아웃솔(20), 인솔(30), 미드솔(40)을 각각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한다. 미드솔(40)은 성형 전 단계에서 금속 스프링부재(50)를 금형에 넣고 수지를 공급하여 미드솔(40)의 뒤 축(42) 부분에 금속 스프링부재(50)가 매립 상태로 설치된 일체형 구조의 미드솔 본체(43)를 성형한다.(S100)
여기서, 금속 스프링부재(50)로서 금속 코일스프링(51)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경화 후 변형 없이 형상이 보존된다.
2단계는, 1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미드솔 본체(43)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아웃솔(20)을 접착한다.(S200)
여기서, 아웃솔(20)과 미드솔 본체(43)의 접착은 아웃솔(20)에 형성된 스커트(22)를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을 기준으로 그 바깥을 감 쌓아 줄 수 있도록 접착한다.
3단계는, 1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미드솔(40)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인솔(30)을 접착하는 공정이다.(S300)
여기서, 인솔(30)과 미드솔 본체(43)의 접착은 인솔(30)에 형성된 스커트(31)를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을 기준으로 그 바깥을 감 쌓아 줄 수 있도록 접착한다.
S200~S300 단계의 공정은 우선 순위를 달리하여 제조 가능하다.
아웃솔(20)과 인솔(30)의 사용 재료로는 성형 후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 합성수지를 선택하고, 미드솔(40)은 수축 팽창이 가능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 우레탄 폼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신발창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드솔(40)에 금속 스프링부재(50)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여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 번의 공정으로 금속 스프링부재(50)를 미드솔(50)에 설치하여 완성된다.
종전에는 미드솔 부분에 스프링을 포함한 여러 완충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먼저 미드솔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곳에 미리 제작된 스프링 또는 완충 구조물을 설치하는 형식으로서 복잡한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미드솔(40) 성형 과정에서 미드솔(40)의 뒤 축(42) 부분이 되는 지점에 금속 스프링부재(50)가 위치하도록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스프링부재(50)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좋아지고 동시에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금속 스프링부재(50)가 미드솔 본체(43)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하여 미드솔 본체(43)에 의해 보호되며 그 작동은 미드솔 본체(43) 표면에 체중 하중이 작용하면 미드솔 본체(43)가 갖는 자체 탄성 변형이 있은 뒤 연속적으로 수축 변형을 일으키고 하중이 완화 제거되면 다시 복원되는 형식이므로 탄성 변형이 거의 없고 일정하며, 금속 스프링부재(50)가 미드솔 본체(43)에 매립된 상태여서 파손과 훼손이 거의 없고 쿠션 반복 작동에서 내구성이 좋다.
또한, 금속 스프링부재(50)가 신발창에 별도로 안착 되지 않고 신발창을 구성하는 미드솔(40)에 직접 매립형으로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미드솔(40)에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금속 스프링부재(50)의 탄성을 용도에 맞게 사전 조정하여 별도의 재처리나 금형 수정 없이 곧바로 계획 제조가 가능하므로 의료용 및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드솔 본체(43)를 중심으로 아웃솔(20)과 인솔(30)을 접착할 때 미드솔 본체(43)가 아웃솔(20)과 인솔(30)의 안착면(23)(23a)(32)(32a)들에 정확히 안착되고 그 외곽 가장자리 부분은 스커트(22)(31)에 의해 미드솔 본체(43)와 접착되는 접착면이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아 완성도가 높고 양호한 접착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신발, 무릅 관절 환자가 신을 수 있는 신발, 특수목적 신발 등 사용 용도에 적합한 신발창을 용도에 맞게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20:아웃솔(OUTSOLE)
21:바닥홈
22:스커트
23.23a:안착면
30:인솔(INSOLE)
31:스커트
32.32a:안착면
40:미드솔(MIDSOLE)
41:앞축
42:뒤축
43:미드솔본체
44:밑면
45:윗면
50:금속스프링부재
51:금속코일스프링

Claims (6)

  1. 하부에 위치하는 아웃솔(20), 상부에 위치하는 인솔(30), 아웃솔(20)과 인솔(30) 사이에 놓이는 미드솔(40)로 구성되는 쿠션 신발창에 있어서,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성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된 상기 아웃솔(20) 및 인솔(30);
    상기 아웃솔(20)과 인솔(30) 사이에서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받쳐주기 위하여 발(60)을 기준으로 앞 축(41)과 뒤 축(42)으로 나누어지고 그 뒤 축(42) 부분이 앞 축(41) 부분에 비해 높이(h1)가 높고 탄력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 폼으로 성형된 미드솔 본체(43)로 구성된 미드솔(40);
    상기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에 일체형으로 함몰 매립되어 발의 뒤꿈치를 미드솔 본체(43)의 자체 탄성 변형에 따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금속 스프링부재(50);
    상기 아웃솔(20)과 인솔(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드솔 본체(43)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안내하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아웃솔(20)과 인솔(30)에 형성된 스커트부(2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20)은, 상기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밑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가려주기 위해 스커트(22)가 상기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부분인 밑면(44) 아치 라인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미드솔 본체(43)의 바닥면을 수평 방향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30)은, 상기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윗면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면서 가려주기 위해 스커트(31)가 미드솔 본체(43)의 뒤 축(42) 부분인 윗면(45) 아치 라인에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측은 상기 미드솔 본체(43)의 윗면 뒤 축(42)과 접촉하는 안착면(32)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아웃솔(20)의 앞 부분 안착면(23a)과 접촉하는 안착면(32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20)과 인솔(30)은 상기 미드솔 본체(43)에 비해 연성이 낮고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프링부재(50)는 금속 코일스프링(5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창.
  6. 지면에 닿는 아웃솔(20), 발 바닥이 접촉하는 인솔(30), 아웃솔(20)과 인솔 (30)사이에 놓여져 발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미드솔(40)로 이루어지는 쿠션 신발창 제조 방법에 있어서,
    쿠션 신발창을 구성하는 상기 아웃솔(20), 인솔(30), 미드솔(40)을 각각 성형 금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미드솔(40)의 성형 전 단계에서 금속 스프링부재(50)를 금형에 넣고 수지를 공급하여 금속 스프링부재(50)가 뒤 축(42)에 함몰 매립된 상태의 미드솔 본체(43)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미드솔(40)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아웃솔(20)을 접착하는 2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미드솔(40)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인솔(30)을 접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신발창 제조방법.
KR1020100062774A 2010-06-30 2010-06-30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20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74A KR101201986B1 (ko) 2010-06-30 2010-06-30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74A KR101201986B1 (ko) 2010-06-30 2010-06-30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77A KR20120002077A (ko) 2012-01-05
KR101201986B1 true KR101201986B1 (ko) 2012-11-15

Family

ID=4560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774A KR101201986B1 (ko) 2010-06-30 2010-06-30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060B1 (ko) 2019-08-06 2020-04-01 최애영 기능성 신발 인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42Y1 (ko) 2001-11-07 2002-02-21 풍원제화공업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중창
KR100518307B1 (ko) 2005-02-16 2005-09-29 심보용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42Y1 (ko) 2001-11-07 2002-02-21 풍원제화공업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중창
KR100518307B1 (ko) 2005-02-16 2005-09-29 심보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77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420B2 (en)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US20210059351A1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US6983555B2 (en) Stable footwear that accommodates shear forces
US8671590B2 (en) Shoe stability layer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34328A1 (en) Integral spine structure for footwear
JP6473201B1 (ja) シューズ
US20110154689A1 (en) Shoe sole including shock absorbing structure
WO2011093928A1 (en)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US20080301979A1 (en) Insole
US9179737B2 (en) Sole assembly with plural portions that cooperatively define chamber
CN102724892B (zh) 鞋类物品
US9743711B2 (en) Sole assembly with plural portions that cooperatively define chamber
US7237346B2 (en) Insole with cushion insert
US20200107612A1 (en) Customizable footwear system
KR20090012624A (ko)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US20180160768A1 (en) Comfort system for footwear
CN103841850A (zh) 促进自然运动的鞋
CN102920101A (zh) 具有弹性支撑片的高弹性鞋中底及高跟鞋
KR101201986B1 (ko)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927B1 (ko)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200452734Y1 (ko) 신발중창의 복합완충 구조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KR101638396B1 (ko) 길이 범용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179031B1 (ko) 완충구조를 갖는 신발창
CN218418654U (zh) 减震垫及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