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927B1 -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927B1
KR101260927B1 KR1020100066306A KR20100066306A KR101260927B1 KR 101260927 B1 KR101260927 B1 KR 101260927B1 KR 1020100066306 A KR1020100066306 A KR 1020100066306A KR 20100066306 A KR20100066306 A KR 20100066306A KR 101260927 B1 KR101260927 B1 KR 10126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midsole
cushion
foot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706A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 거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거림케미칼 filed Critical (주) 거림케미칼
Priority to KR1020100066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92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창에 쿠션을 형성하는 스프링부재를 중창 성형과정에서 일체형으로 성형 되도록 하여 전체 부품 소요 및 제조공정수를 줄여 원가를 낮추면서도 기능적으로는 변형이 적은 체감 쿠션이 강화된 고 신뢰성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동시에 스프링 부재를 중창에 직접 매립형으로 성형하여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제조단계에서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게 전체 금형 수정 없이 탄성력만 조정하여 다양한 형식의 신발창 제조가 가능하므로 의료용을 비롯한 여러 일반 및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2중 쿠션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바닥창(20);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발의 경계선 형상을 기준으로 앞부분(y1)과 뒷부분(y2)으로 나누어지고 그 뒷부분(y2) 부분에는 금속 스프링부재(50)를 내장형으로 갖는 연성쿠션부(40)가 위치하는 동시에 앞부분(y1)과 뒷부분(y2)은 상기 연성쿠션부(40)와 일체화되는 합성수지로 성형 되고 그 뒷부분(y2)은 앞부분(y1)에 비해 높이(h1)가 높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성형 되어 상기 바닥창(20)의 상부 표면을 따라 안착 되어 바닥창(20)과 접착되는 중창(30); 상기 중창(30)의 표면 뒷부분(y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발 뒤꿈치 부분의 편중을 방지하고 발의 밀착을 뒷부분(y2)의 중심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리브(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SHOE OF DOUBLE CUSHION 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창에 쿠션을 형성하는 스프링부재를 중창 성형과정에서 일체형으로 성형 되도록 하여 전체 부품 소요 및 제조공정수를 줄여 원가를 낮추면서도 기능적으로는 변형이 적은 체감 쿠션이 강화된 고 신뢰성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동시에 스프링 부재를 중창에 직접 매립형으로 성형하여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제조단계에서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게 전체 금형 수정 없이 탄성력만 조정하여 다양한 형식의 신발창 제조가 가능하므로 의료용을 비롯한 여러 일반 및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2중 쿠션 신발창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창은 충격을 완화하고 착화감을 좋게 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된 쿠션 소재를 이용하여 금형을 통해 성형 되고 부분적으로 완충 구조를 적용하여 제조된다.
여러 종류의 쿠션 신발창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고 발포수지로 된 쿠션재를 솔(sole)에 장착하거나 뒷굽에 공실을 만들고 여기에 별도의 완충장치를 설치하거나 쿠션재를 끼워서 접착하는 형식이 대표적이다.
도 1은 중창(10)과 바닥창(11)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신발창에 스프링(12)으로 된 완충장치(13)를 설치한 것으로, 완충장치(13)를 설치하기 위하여 바닥창(11)에 설치홈(14)을 형성하고 이곳에 완충장치(13)를 설치한 종래 쿠션 신발창의 예이다.
완충장치(13)가 설치된 도 1과 같은 구조를 포함하여 쿠션이 있는 신발창은 발의 뒤꿈치가 닿는 근방에 공기주머니, 또는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된 쿠션 부재를 장착하여 발바닥과 발 뒤꿈치를 부드럽게 받쳐주면서 보행 중에 발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부드러우면서 쿠션이 있는 쿠션재가 나머지 충격을 완화하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신발창에 완충장치(13) 또는 쿠션 부재를 설치하면 그렇지 않은 신발창에 비해 완충성능이 좋아진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523160호의 '신발 쿠션조절 삽입구조물'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495502호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지는 신발창'이 있다. 이 기술은 발의 뒤꿈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바닥창(아웃솔) 및 중창(미드솔) 사이에 별도의 설치공간을 만들고 그 공간에 완충구조물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기술들은 도 1의 종래 도면으로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바닥창 및 중창에 공실을 형성하고 그 공실 내에 직접 완충구조물을 끼우고 복잡한 조립과 접착을 병행하여야 하는 형식이므로 여러 부품이 사용되고 제조도 복잡해진다. 그만큼 생산성이 낮고 원가도 높다.
또한, 완충구조물은 기구적으로 발의 뒤 부분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체중에 의해 충격을 완화해주는데 어느 시점부터 탄성 성능이 약화 되어 착화감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고, 뒷굽은 두꺼운 층으로 적층 되어 있어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쿠션 신발창과 관련하여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959406호에는 '삼단 쿠션 신발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신발창 본체의 뒤부분 부분에 경도가 다른 1, 2차 쿠션을 차례로 부착하여 삼단으로 우수한 쿠션을 발휘하도록 하고, 신발창 본체에 설치되는 생크를 전후방 생크로 분리 구성한 뒤에 전후방 생크가 마주 대하는 부분에 각기 핑거부와 골부분이 반복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를 형성하며, 이들 전후방 생크의 끼움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핑거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발바닥의 경혈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1차 쿠션과 2차 쿠션이 분리되어 있고, 끼움부 및 핑거부 등의 복잡한 형상적 조합으로 되어 있어 여러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제조가 복잡하며 생산성이 낮고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으며, 변형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다양한 쿠션 신발창은 쿠션 구조물의 설계 및 설치 위치, 사용하는 재료 등에 따라 완충 성능에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쿠션 구조물을 포함한 부품 조립과 관련된 생산성 저하, 많은 부품 사용에 의한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다.
또한, 쿠션 및 완충 구조물은 주로 공기 튜브, 탄성체 등의 탄력 구조를 이용하는 모듈로 제작되어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크고 반영구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쿠션 및 완충구조물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완충 신발은 운동용 런닝화, 일상적 착용화에 제한적으로 장착되고 있으며, 단 부품 상태로 완성할 수 없으므로 탄성력을 신발 사용 용도에 맞게 사전 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의료용 및 다양한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쿠션 신발창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스프링부재를 갖는 신발창 제작에서 소요 부품 및 제조공정을 줄여 원가를 낮추고 변형이 적은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부재를 신발창에 별도로 안착하지 않고 신발창을 구성하는 중창에 직접 스프링부재를 매립하고 중창에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서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체감 쿠션이 강화된 고 신뢰성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완충력을 사전 조정하여 계획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의료용을 포함한 여러 일반 및 특수목적용 신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신발, 무릎 관절 환자용 신발, 특수목적 신발 등 완충 강도 조절이 필요한 광범위한 분야의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쿠션 신발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은,
신발의 바닥이 되는 바닥창, 상기 바닥창의 상부에 접착되는 중창, 중창에 설치되어 발의 뒷부분을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금속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쿠션 신발창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바닥창;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발의 경계선 형상을 기준으로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그 뒷부분에는 금속 코일스프링을 내장형으로 갖는 연성쿠션부가 위치하는 동시에 앞부분과 뒷부분은 상기 연성쿠션부와 일체화되는 합성수지로 성형 되고, 그 뒷부분은 앞부분에 비해 높이가 높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성형 되어 상기 바닥창의 상부 표면을 따라 안착 되어 바닥창과 접착되는 중창;
상기 중창의 표면 뒷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발의 밀착 위치를 뒷부분의 중심부로 안내하여 발 뒤꿈치 부분의 편중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성쿠션부는, 연성쿠션부 본체와, 상기 연성쿠션부 본체가 중창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중창에 일체형으로 성형 되어 중창의 뒷부분을 형성하고 연성쿠션부 본체의 내부에는 금속 코일스프링이 내장형으로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창은, 지면에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수직부 방향으로 절곡 되어 높이를 갖는 테두리를 형성하여 중창을 안착시키는 턱과, 상기 중창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으로 구성되며,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중창은, 상기 바닥창의 안착면을 따라 밀착 접착되는 바닥면이 있고 뒷부분은 상기 바닥창에 형성된 턱의 내벽을 따라 접착되는 단차턱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뒷부분을 구성하는 연성쿠션부의 반발 탄성은 앞부분과 뒷부분의 가이드리브 부분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스프링부재를 갖는 쿠션 신발창 구조를 단순화하여 부품수와 제조 공정을 개선하여 원가를 낮추면서도 기능적으로는 탄성 변형이 적은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부재가 신발창에 별도로 안착 되지 않고 신발창을 구성하는 중창에 직접 매립되어 사출 성형 되는 구조이므로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 없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완충력을 사전 조정하여 계획적인 제작이 가능하여 의료용, 다양한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신발창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신발, 무릎 관절 환자용 신발, 특수목적 신발 등 스프링부재를 통한 완충 강도 조절이 필요한 광범위한 분야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는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쿠션 신발창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쿠션부의 일부 절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쿠션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쿠션부의 탄성 분포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제조 공정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바닥창과 중창의 실물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2중 쿠션 신발창의 완성품 사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쿠션부의 일부 절취 사시도 이다.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쿠션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쿠션부의 탄성 분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일측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제조 공정 순서도이다 .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바닥창과 중창의 실물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2중 쿠션 신발창의 완성품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은, 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은, 신발의 바닥이 되는 바닥창(20), 바닥창(20)의 상부에 접착되는 중창(30), 중창(30)에 설치되어 발의 뒷부분을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금속 스프링부재(50)로 구성된다.
주요 부분은,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바닥창(20)이 구성된다.
그리고,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받쳐주기 위하여 발의 경계선 형상을 기준으로 앞부분(y1)과 뒷부분(y2)으로 나누어지고 그 뒷부분(y2)에는 금속 스프링부재(50)를 내장형으로 갖는 연성쿠션부(40)가 위치하는 동시에 앞부분(y1)과 뒷부분(y2)은 상기 연성쿠션부(40)와 일체화되는 합성수지로 성형 되고 그 뒷부분(y2)은 앞부분(y1)에 비해 높이(h1)가 높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성형 되어 상기 바닥창(20)의 상부 표면을 따라 안착 되어 바닥창(20)과 접착되는 중창(30)이 구성된다.
그리고, 중창(30)의 표면 뒷부분(y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발 뒤꿈치 부분의 편중을 방지하고 발의 밀착을 뒷부분(y2)의 중심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리브(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창(20)은, 도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에 접촉하는 바닥면(21)과, 바닥면(21)으로부터 일체로 수직부 방향으로 절곡 되어 높이를 갖는 테두리를 형성하여 중창(30)을 안착시키는 턱(22)과, 중창(3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창(30)은, 도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창(20)의 안착면(23)을 따라 밀착 접착되는 바닥면(31)이 있고 뒷부분(y2)은 상기 바닥창(20)에 형성된 턱(22)의 내벽을 따라 접착되는 단차턱(3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창(30)의 뒷부분(y2)을 구성하는 연성쿠션부(40)의 반발 탄성은 앞부분(y1)과 뒷부분(y2)의 가이드리브(33) 부분에 비해 더 높게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발 탄성력은 합성수지 재질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사용하는 합성수지의 경도를 선택하는 것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발바닥이 접촉하여 눌려지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구분하고 또한 가이드리브(33) 부분은 발이 중창(30) 표면에 닿아 밀착될 때 발 뒤꿈치 부분의 편중을 방지하고 발의 밀착을 뒷부분(y2)의 중심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므로 경도가 높은 경질성 합성수지를 선택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중창(30)의 뒷부분(y2) 표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리브(33)는 변형을 줄이기 위해 연성쿠션부(40)에 비해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연성쿠션부(40)는, 도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창(30)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일체형으로 성형 되어 중창의 뒷부분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금속 코일스프링(51)이 내장형으로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1'은 금형에서 연성쿠션부(4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홈이다. 홈(41)은 재료 사용량과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의미 있는 기능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신발의 바닥이 되는 바닥창(20)과 발을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중창(30)을 각각 성형 금형을 통해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후 상기 바닥창(20)의 상부에 중창(30)을 안착시켜 각각 성형 금형을 통해 합성수지로 성형한 후 상기 바닥창(20)의 상부에 중창(30)을 안착시켜 바닥창(20)과 중창(30)을 접착하여 제조된다.
제조 공정은 도 9의 제조공정 순서도와 같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따라 제조된 실물 사진이다.
제조방법은, 먼저, 지면에 접촉하는 바닥면(21)과 바닥면(21)으로부터 일체로 수직부 방향으로 절곡 되어 높이(h1)를 갖는 테두리가 일체로 형성된 턱(22) 그리고 중창(3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23)을 일체로 갖는 바닥창(20)을 금형을 통해 형성한다(S100).(도 10의 실물 사진 참조)
그리고, 바닥창(20)과는 별도로 중창(30)의 뒷부분(y2)의 쿠션을 형성하여 발의 뒤꿈치 부분을 반발 탄성으로 받쳐주기 위하여 중창(30)의 뒷부분(y2)을 기준으로 위치하도록 금속 스프링부재(50)를 금형에 넣고 외부에는 연성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금속 스프링부재(50)가 매립되어 성형된 연성쿠션부 본체(42)를 제작한다(S200).(도 3 및 도 10의 실물 사진 참조)
그리고, 상기 S200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연성쿠션부 본체(42)를 중창 성형 금형에 넣어 연성쿠션부 본체(42)의 외부를 합성수지로 피복하는 동시에 앞부분(y1)과 뒷부분(y2) 그리고 바닥창(20)에 밀착되는 바닥면(31)을 일체로 갖는 중창(30)을 성형 제작한다(S300).(도 10의 실물 사진 참조)
그리고, 상기 S300단계를 통하여 성형 제작된 중창(30)을 바닥창(20)에 안착하고 접착하여 2중 쿠션 신발창을 완성한다.(S400~S500).
도 11은 바닥창(20)에 연성쿠션부 본체(42)가 일체로 성형된 중창(30)을 접착하여 완성된 2중 쿠션 신발창의 실물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쿠션 신발창은,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창(20), 상부에 위치하는 중창(30), 중창(30)의 뒷부분(y2)에 위치하고 이 재질 금속 스프링부재(50)가 매립된 연성쿠션부 본체(42)가 중창(30)에 일체형으로 매립된 상태로 형성된다.
바닥창(20)은, 지면과 닿으며 전체 신발창의 바닥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바닥면(21)은 연속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미끄럼 방지 표면을 갖는다. 그리고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 된다.
그리고, 발바닥이 고르게 접촉하도록 발의 바닥면 곡률에 상당하는 형상으로 턱(22)과 안착면(23)이 디자인되어 있다.
중창(30)은, 바닥창(20)의 안착면(23)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바닥창(20)과 대응 형상으로 성형 되는 것으로 발의 바닥면 곡률에 상당하는 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있고 앞부분(y1)과 뒷부분(y2)을 갖는다. 그리고 반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성형 된다.
연성쿠션부(40)는 중창(30)의 뒷부분(y2)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금속 스프링부재(50)가 연성쿠션부 본체(42) 내에 내장형으로 매립되고 이 연성쿠션부(40)는 중창(30)에 안착 되어 성형이 완료되면 뒷 부분(y2)에 일체형으로 함몰 매립되어 발의 뒤꿈치를 금속 스프링부재(50)의 자체 탄성 변형에 따른 반발 탄성으로 발을 탄력적으로 받쳐준다.
중창(30)에서 연성쿠션부(40)는 다른 주변 부분에 비해 연성이 높고 반발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발의 뒤꿈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반발 탄성을 높혀 충격은 줄이고 체감 쿠션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연성쿠션부(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스프링부재(50)를 뒷부분(y2)에 둠으로서 도 5와 같이 앞부분(y1)과 뒷부분(y2)의 탄성이 차이가 나는 탄성 분포를 나타낸다. 즉 뒷부분(y2) 영역 a는 앞부분(y1) 영역 b보다 금속 스프링부재(43)가 갖는 스프링 계수만큼 탄력이 크다.
영역 a 부분은, 도 8과 같이, 발(60)의 뒤꿈치(61) 부분이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영역 b영역에 비해 높은 탄력을 주어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 금속 스프링부재(50)의 스프링 계수를 제작 단계에서 조절하여 사용하면 쿠션 강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중창(30)의 뒷부분(y2)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리브(33)가 돌출되어 있어 발 뒷꿈치(61) 부분이 뒤나 옆으로 밀리지 않고 편중되지 않도록 중심으로 안내하며 또한 미끄러짐을 억제시킨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리브(33) 형성 부분은 경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높고 변형이 적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창(20)의 사용 재료로는 성형 후 형상 변형이 적은 경질 합성수지를 선택하고, 중창(30)은 수축 팽창이 가능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 합성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성쿠션부(40)는 반발 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닥창(20)에 비해 연성이 좋은 합성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창 기능을 기준으로 적합한 합성수지 경도를 대략적으로 높은 것부터 낮은 것으로 구분하여 비교하면, 바닥창-이탈방지턱-중창하부-중창 앞부분-중창 뒷부분-연성쿠션부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아래의 표는 중창(30)의 구성 성분과 연성쿠션부(40)의 구성 성분 조성의 예이다.
주요 성분 중창(중량%) 연성쿠션부(중량%)
HYDROXY TERMINATED POLYESTER POLYOL 50 55
ETHYLENE GLYCOL 6 10
MDI 15~25 15~20
MODIFIED MDI 15~25 15~20
ADDITTVES 5
위 표의 예는 성분 조성을 달리하여 중창(30)과 연성쿠션부(40)의 경도, 그리고 신축성 등 쿠션과 완충에 관여하는 다양한 기능적 성질의 신발창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합성수지의 경도는 전체 신발창의 반발 탄성 변형 부분과 형상 유지가 필요한 비탄성 변형 부분으로 구분하여 합성수지 소재를 적절한 것으로 선택하여 성형하면 된다.
연성쿠션부 본체(42)는 금속 스프링부재(50)의 탄성을 얻기 위해 변형이 쉽게 일어날 정도의 연질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경도가 높으면 체감 쿠션이 현저히 떨어지고 금속 스프링부재(50)에 의한 반발 탄성이 빠르게 일어나지 않는다.
스프링부재로서 금속 스프링부재(50) 중 금속 코일스프링(51)을 사용하면 에어 포켓 형식을 포함한 다른 스프링부재에 비해 내구성이 좋고 변형이 적으며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된 금속 스프링부재(50)를 고온분위기에서 용융 수지에 매립형으로 성형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중창(30)에 금속 스프링부재(50)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종래와 같이 여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금속 스프링부재(50)를 갖는 연성쿠션부 본체(42)를 중창(30) 성형 금형에 위치시키고 한 번의 공정으로 금속 스프링부재(50)가 포함된 연성쿠션부 본체(42)가 중창(30)에 매립 상태로 중창(30) 성형이 완료된다. 따라서 중창(30)의 일반적 성형 과정에 연성쿠션부 본체(42)가 투입되는 것 외에 별도의 쿠션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성형 전후 작업이나 다른 부품 추가가 전혀 없다.
종전에는 도 1과 같이 중창 부분에 스프링을 포함한 여러 완충 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먼저 중창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곳에 미리 제작된 스프링 또는 완충 구조물을 설치하는 형식으로서 복잡한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중창(30) 성형 과정에서 중창(30)의 뒷부분(y2)이 되는 지점에 금속 스프링부재(50)가 매립된 연성쿠션부(40)가 위치하도록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금속 스프링부재(50) 설치에 따르는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좋아지고 동시에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금속 스프링부재(50)가 중창(30)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하여 중창(30)에 의해 보호되며 그 작동은 중창(30) 뒷부분(y2) 표면에 체중 하중이 작용하면 연성쿠션부(40)가 나타내는 자체 탄성 변형이 있은 뒤 연속적으로 수축 변형을 일으키고 하중이 완화 제거되면 다시 복원되는 형식이므로 탄성 변형이 거의 없고 일정하며, 금속 스프링부재(50)가 중창(30)에 매립된 상태여서 파손과 훼손이 거의 없고 쿠션 반복 작동에서 내구성이 좋다.
또한, 금속 스프링부재(50)가 신발창에 별도로 안착 되지 않고 신발창을 구성하는 중창(30)에 직접 매립형으로 일체형으로 성형 되어 반복 사용에 대해서 탄성력 저하가 적으면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신발의 사용 용도에 맞도록 연성쿠션부(40)에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금속 스프링부재(50)의 탄성을 용도에 맞게 사전 조정하여 별도의 재처리나 금형 수정 없이 곧바로 계획 제조가 가능하므로 의료용 및 특수목적용 신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창(30)을 중심으로 바닥창(20)과 접착할 때 중창(30)이 바닥창(20)의 턱(22)과 안착면(23)에 정확히 안착되어 접착되고 그 외곽 가장자리 부분은 턱(22)에 의해 중창(30)의 앞부분(y1)과 뒷부분(y2)이 접착되는 접착면이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아 접착 완성도가 높고 양호한 접착상태의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신발, 무릎 관절 환자가 신을 수 있는 신발, 특수목적 신발 등 사용 용도에 적합한 신발창을 용도에 맞게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20:바닥창
21:바닥면
22:턱
23:안착면
30:중창
31:바닥면
32:단차턱
33:가이드리브
40:연성쿠션부
42:연성쿠션부본체
50:금속스프링부재
51:금속코일스프링

Claims (6)

  1. 신발의 바닥이 되는 바닥창(20), 바닥창(20)의 상부에 접착되는 중창(30), 중창(30)에 설치되어 발의 뒷부분을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금속 스프링부재(50)로 이루어지는 쿠션 신발창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신발창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바닥창(20);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발의 경계선 형상을 기준으로 앞부분(y1)과 뒷부분(y2)으로 나누어지고 그 뒷부분(y2) 부분에는 금속 코일스프링(51)을 내장형으로 갖는 연성쿠션부(40)가 위치하는 동시에 앞부분(y1)과 뒷부분(y2)은 상기 연성쿠션부(40)와 일체화되는 합성수지로 성형 되고 그 뒷부분(y2)은 앞부분(y1)에 비해 높이(h1)가 높고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성형 되어 상기 바닥창(20)의 상부 표면을 따라 안착 되어 바닥창(20)과 접착되는 중창(30);
    상기 중창(30)의 표면 뒷부분(y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발의 밀착 위치를 뒷부분(y2)의 중심부로 향하도록 안내하여 발 뒤꿈치 부분의 편중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성쿠션부(40)는, 연성쿠션부 본체(42)와, 상기 연성쿠션부 본체(42)가 중창(30)의 일부분을 형성하면서 중창에 일체형으로 성형 되어 중창의 뒷부분(y2)을 형성하고 연성쿠션부 본체(42)의 내부에는 금속 코일스프링(51)이 내장형으로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닥창(20)은, 지면에 접촉하는 바닥면(21)과, 상기 바닥면(21)으로부터 일체로 수직부 방향으로 절곡 되어 높이를 갖는 테두리를 형성하여 중창(30)을 안착시키는 턱(22)과, 상기 중창(3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창(30)은, 상기 바닥창(20)의 안착면(23)을 따라 밀착 접착되는 바닥면(31)이 있고 뒷부분(y2)은 상기 바닥창(20)에 형성된 턱(22)의 내벽을 따라 접착되는 단차턱(32)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창(30)의 뒷부분(y2)을 구성하는 연성쿠션부(40)의 반발 탄성은 앞부분(y1)과 뒷부분(y2)의 가이드리브(33) 부분에 비해 더 높으며, 상기 가이드리브(33)의 경도는 연성쿠션부(40)에 비해 더 높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쿠션 신발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66306A 2010-07-09 2010-07-09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06A KR101260927B1 (ko) 2010-07-09 2010-07-09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06A KR101260927B1 (ko) 2010-07-09 2010-07-09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06A KR20120005706A (ko) 2012-01-17
KR101260927B1 true KR101260927B1 (ko) 2013-05-06

Family

ID=4561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306A KR101260927B1 (ko) 2010-07-09 2010-07-09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669A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하지 훈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7535A (zh) * 2020-07-22 2020-11-06 吴忠 一种低硬度缓震pu鞋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33B1 (ko) * 2006-09-15 2007-03-29 윤순모 키 높이 기능을 가지는 안전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033B1 (ko) * 2006-09-15 2007-03-29 윤순모 키 높이 기능을 가지는 안전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669A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하지 훈련기
KR102651152B1 (ko) 2021-10-08 2024-03-26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하지 훈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06A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4420B2 (en)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JP7430530B2 (ja) 履物の物品のための緩衝部材
US6983555B2 (en) Stable footwear that accommodates shear forces
CN102090756B (zh) 鞋底和鞋
US744476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higher density peripheral portion
US7421805B2 (en) Integral spine structure for footwear
JP4388580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インソール構造体
US20110154689A1 (en) Shoe sole including shock absorbing structure
US20110179669A1 (en)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CN102724892B (zh) 鞋类物品
US20080301979A1 (en) Insole
US7237346B2 (en) Insole with cushion insert
US9743711B2 (en) Sole assembly with plural portions that cooperatively define chamber
JP2014161721A (ja) 靴の踵部を靴の内方へ折り曲げて履ける短靴
KR20090012624A (ko)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KR101260927B1 (ko)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60768A1 (en) Comfort system for footwear
US20080086908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forming Insert
KR200452734Y1 (ko) 신발중창의 복합완충 구조
KR101201986B1 (ko)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CN104780799A (zh) 鞋类物品
KR101638396B1 (ko) 길이 범용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7683A (ko)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CN218418654U (zh) 减震垫及鞋
JP3229584U (ja) シューソ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