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683A -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683A
KR20110007683A KR1020090065239A KR20090065239A KR20110007683A KR 20110007683 A KR20110007683 A KR 20110007683A KR 1020090065239 A KR1020090065239 A KR 1020090065239A KR 20090065239 A KR20090065239 A KR 20090065239A KR 20110007683 A KR20110007683 A KR 2011000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ole
insole
buffer space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복선
Original Assignee
정복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복선 filed Critical 정복선
Priority to KR102009006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683A/ko
Publication of KR2011000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갑피와 접합되는 인솔(insole)(12)과, 인솔(12) 저면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충격완화 및 뒤틀림을 잡아주는 미드솔(midsole)(14)과, 미드솔(14)의 저면에 부착되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아웃솔(outsole)(16)로 이루어지며, 미드솔(14)과 아웃솔(16)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6)의 상면 중앙에는 미드솔(14)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Shank)부분의 수직 하방을 받치는 돌출턱(16a)이 형성되는 한편, 돌출턱(16a)의 중앙에는 상기 미드솔(14)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S1)을 갖는 제1함몰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14)은 상면에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인솔(12)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S2)을 갖는 제2함몰부(14-2) 및 또 하나의 완충공간(S3)을 갖는 제3함몰부(14-1)가 형성되며, 저면 중간에는 상기 제1함몰부(16-1)에 대한 완충공간(S1)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4함몰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제3함몰부(14-1)에는 다수의 요철부(14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솔(12)의 저면에는 미드솔(14)의 제2함몰부(14-2)에 대한 완충공간(S2)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5함몰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인솔, 미드솔, 아웃솔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신발 밑창에 있어, 착용자의 발바닥을 기준으로 전반부, 중앙, 후반부에 각기 받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가 용이 하도록 하여 신발착용 후 워킹 동작으로서 얻어지는 운동효과에 대한 피로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발 밑창, 인솔, 미드솔, 아웃솔

Description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A shoe sole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each par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인솔, 미드솔, 아웃솔로 구성된 신발 밑창의 각 구성요소의 형상을 개선하여 보행시 신발밑창을 통해 전방, 중간 및 후방측에 전달되는 충격 정도를 분산시켜 완화되도록 하여 피로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신발 중 운동을 위한 신발 종류는 발을 감싸는 갑피의 저면으로는 지면을 받칠 수 있는 신발 밑창이 부착된다.
최근 근자에는 신발을 착용하고 걷기만 하는 보행으로도 충분히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는 신발이 개발 및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한국특허 제10-377822호를 살펴보면, 신발의 뒷축이 없으며 신발의 밑창 바닥이 곡면(호형)인 마사이족처럼 걷는 신발을 마사이워킹(Masai Walking) 전 문 롤링워킹신발(active rolling walking foorware: 잘 굴러가는 보행신발)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한국특허 제10-377822호에서는 "마사이 워킹(Masai Walking)으로 걷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워킹협회, 세계워킹협회, 신발업계 및 일반 수요자들은 신발의 뒷축이 없으며 신발의 밑창 바닥이 곡면(호형)인 마사이족처럼 걷는 신발을 마사이 맨발 기술(Masai Barefoot Technology)신발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인터넷뿐만 아니라 일반서적, 신문, 잡지, TV방송에서 마사이워킹(Masai Walking) 전문슈즈 또는 마사이족 워킹전문슈즈라고 호칭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신발에 적용 설치되는 신발 밑창(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갑피(1)와 접합되는 인솔(insole: 12)과, 충격 및 뒤틀림을 잡아주는 미드솔(midsole: 14), 지면과 접촉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아웃솔(outsole: 16)으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보행시 지면에 대한 착용자 발의 운동은, 크게 3단계의 과정으로서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동단계,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이탈하는 단계를 좌우의 발이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종래의 신발은 뒤축의 형상이 지면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며 구두의 경우에는 뒤축에 예리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어서 착지 단계시에 이 모서리가 지면에 가장 먼저 닿게 되는데, 뒤축의 모서리는 접지면적이 좁은 선형형상이기 때문에 착지 시의 충격이 크고, 착지의 다음 단계인 중심이동단계로의 이동이 단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목관절은 물론 다리와 신체의 각 관절에 급격한 충격력이 전 달되어 착지감이 좋지 못하고 보행이 부자연스럽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일명 마사이족 워킹 형태를 갖도록 제작된 신발은 신발 밑창으로 하여금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신발착용에 의한 보행법에 대한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운동을 목적으로 개발된 운동화는 보통 신발 밑창의 미드솔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일환으로 그 소재가 쿠션감이 있도록 좀더 소프트하면서 복원력이 뛰어난 폴리우레탄 소재로서 제작된다.
그러나, 착용자의 신체가 하중이 가해지는 발바닥의 균형적인 하중 지탱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미드솔의 경도를 전방측과 후방측이 각기 다르게 제작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는바, 경도부분은 각기 다르게 제작하는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그 두께부위를 다르게 제작하는 경우와 해당부위를 압축하는 경우이다.
이 때문에 신말밑창에 있어, 미드솔의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원인이 되고, 특히 신발을 착용후 보행상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신체하중으로 가해지는 상대적인 충격완화 기능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인솔과 미드솔 내에 완충효과가 있는 스프링부재, 경도가 다른 재질의 인서트 완충보강재를 삽입하여 제작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또한 실질적인 제작비용의 부담감과 함께 신발제작에 따른 제품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솔, 미드솔, 아웃솔로 구성된 신발 밑창의 각 구성요소의 형상을 개선하여 보행시 신발 밑창을 통해 전방, 중간 및 후방측에 전달되는 충격 정도를 분산시켜 완화되도록 하여 피로를 현저히 저감시켜 신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갑피와 접합되는 인솔(insole)과, 인솔 저면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충격완화 및 뒤틀림을 잡아주는 미드솔(midsole)과, 미드솔의 저면에 부착되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아웃솔(outsole)로 이루어지며, 미드솔과 아웃솔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상면 중앙에는 미드솔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Shank)부분의 수직 하방을 받치는 돌출턱이 형성되는 한편, 돌출턱의 중앙은 상기 미드솔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을 갖는 제1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은 상면에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인솔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을 갖는 제2함몰부 및 또 하나의 완충공간을 갖는 제3함몰부가 형성되며, 저면 중간에는 상기 제1함몰부에 대한 완 충공간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4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함몰부에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솔의 저면에는 미드솔의 제2함몰부에 대한 완충공간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5함몰부가 형성된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이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인솔, 미드솔, 아웃솔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신발 밑창에 있어, 착용자의 발바닥을 기준으로 전반부, 중앙, 후반부에 각기 받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신발착용 후 워킹 동작으로서 얻어지는 운동효과에 대한 피로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인 신발 밑창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각부의 완충작용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갑피와 접합되는 인솔(insole)(12)과, 인솔(12) 저면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충격완화 및 뒤틀림을 잡아주는 미드솔(midsole)(14)과, 미드솔(14)의 저면에 부착되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아웃 솔(outsole)(16)로 이루어지며, 미드솔(14)과 아웃솔(16)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6)의 상면 중앙에는 미드솔(14)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Shank)부분의 수직 하방을 받치는 돌출턱(16a)이 형성되는 한편, 돌출턱(16a)의 중앙에는 상기 미드솔(14)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S1)을 갖는 제1함몰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아웃솔(16)은 I.G(Intergral Skin Form)수지와 무발포 수지(Non Form)를 각각 1회씩 쇼팅(Shoting)하며, 일반적으로 신발밑창용 에스테르 우레탄 수지보다 밑바닥의 앞,뒤쪽에만 적응하여 마찰력을 줄여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도록 한다.
상기 미드솔(14)은 상면에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인솔(12)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S2)을 갖는 제2함몰부(14-2) 및 또 하나의 완충공간(S3)을 갖는 제3함몰부(14-1)가 형성되며, 저면 중간에는 상기 제1함몰부(16-1)에 대한 완충공간(S1)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4함몰부(14-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드솔(14)은 소프트 폼(Soft Form)수지로 발포시켜 제작되며 신발 밑창용으로 사용되는 수지 등급 중 경도가 제일 낮고 밀도가 낮은 제품으로서 부드러운 착화감과 낮은 밀도로 경량을 위해 사용되며, 상기 인솔보다는 부드러운 연질로 신발밑창의 구부림 동작이 뛰어나다.
상기 인솔(12)의 저면에는 미드솔(14)의 제3함몰부(14-1)에 대한 완충공간(S2)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5함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3함몰 부(14-1)에는 다수개의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상기 요철부(14a)에 의해 신발밑창(10)이 더욱 용이하게 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미드솔(14)의 제2함몰부(14-1)와 대응되는 저면에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한 충격완화돌기(12a)가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인솔(12)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바닥의 허리쇠(Shank)부분과 그 후방을 받쳐 신발 밑창(10)의 뒤틀림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쇠(11)가 내부에 매입된다.
상기 보강쇠(11)는 만곡지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홈(11a)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인솔(12)내부에서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홈(11b)이 형성된 구조이다.
참고로 상기 인솔(12)은 I.G(Intergral Skin Form)수지로 발포를 하여 성형제작된 것으로서, 그 표면은 고밀도 구조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쿠션을 부여하여 편안한 착화감과 충격완화를 돕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신발 밑창에 대한 충격 흡수구조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지된 바와 같이 신발의 형태를 갖춘 갑피(도면에서 제외함)로부터 인솔(12)을 부착하고, 미드솔(14), 아웃솔(14)의 순서로 부착하여 신발 밑창(10)을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신발 밑창(10)의 각 구성요소는 전반적으로 저면 선두측과 후미측이 라운딩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명 마사이족 워킹 방식을 통해 얻어지는 운동효과와 함께 상기 신발 밑창의 인솔(12), 미드솔(14), 아웃솔(16)의 각 부에 마련된 충격 흡수구조로서 피로를 줄이면서 운동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보행, 뛰는 동작에서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은 미드솔(14)에서 완충되도록 하여 피로를 저감시키는데 있으나, 본원발명에서는 발바닥의 전반부, 중간, 후반부에 각기 전달되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발바닥의 전반부는 미드솔(14)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요철부(14a)에 의해 보행 떠는 운전시 신발밑창(10)이 보다 용이하게 휘어지어, 착용감이 좋고 차량 폐달 등의 조작시 피로감이 저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신발밑창(10)을 구성하는 인솔(12)의 내부에 매입된 보강쇠(11)는 인솔의 성형시 매입되어 그 내부에서는 지지홈(11b)으로 하여금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신발 밑창의 형태를 유지시켜 준다.
즉, 전반적으로 신발밑창(10)의 허리부분을 보호하여 신발의 착화상태에서 보행동작이나 운동시 신발밑창의 뒤틀림 발생을 줄여줌과 동시에 만곡진 보강쇠의 자체가 인솔의 누름발생시 상태적인 탄력성을 제공하게 되며, 보강쇠(11)에 형성된 보강홈(11a)은 만곡진 형태로 유지된 보강쇠의 자체 변형을 방지시켜 준다.
또한, 상기 인솔(12)의 저면에 대한 미드솔(14)의 제2함몰부(14-2)의 형성에 따라 제공되는 완충공간(S2)에서는 미세한 완충효과로서 발바닥 전반부의 피로를 저감시켜 준다.
또한, 상기 신발 밑창(10)에 있어, 착용자 발바닥 저면측 허리쇠(Shank:오목 하게 들어간 부분)부분에 전달되는 충격은 미드솔(14)의 저부측에 형성된 제4함몰부(14-3)과 상기 아웃솔(16)의 상부측 돌출턱(16a) 중간지점에 움푹 패인 제1함몰부(16-1)에 의한 완충공간(S1)으로서, 도 4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완충공간(S1)은 수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는 작용으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착용자 발바닥의 후반부에 받는 충격 및 부게 흡수는 상기 인솔(12)의 제5함몰부(12-1)과 미드솔(14)의 제3함몰부(14-1)로 하여금 형성된 완충공간(S3)은 발바닥 하중과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대응하는 힘이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여 수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는 작용으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는 신발 밑창의 각부(전반, 중간, 후반)에서 완충효과를 갖게 한 것으로서,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위치한 미드솔에서 이상적으로 완충효과를 줄 수 있는 것으로 기존의 일반 신발을 착용 후 행하는 운동효과에서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신발 밑창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신발 밑창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각부의 완충작용을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신발 밑창 11: 보강쇠
11a: 함몰부 11b: 지지홈
12: 인솔 12-1: 제5함몰부
12a: 충격완화돌기 14: 미드솔
14-1: 제3함몰부 14-2: 제2함몰부
14-3: 제4함몰부 16: 아웃솔
16-1: 제1함몰부 16a: 돌출턱
14a: 요철부

Claims (3)

  1. 갑피와 접합되는 인솔(insole)(12)과, 인솔(12) 저면에 부착되어 바닥으로부터 충격완화 및 뒤틀림을 잡아주는 미드솔(midsole)(14)과, 미드솔(14)의 저면에 부착되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아웃솔(outsole)(16)로 이루어지며, 미드솔(14)과 아웃솔(16)의 전방측과 후방측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로 만곡지게 형성된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6)의 상면 중앙에는 미드솔(14)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Shank)부분의 수직 하방을 받치는 돌출턱(16a)이 형성되는 한편, 돌출턱(16a)의 중앙에는 상기 미드솔(14)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S1)을 갖는 제1함몰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14)은 상면에 착용자 발바닥의 허리쇠 부분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인솔(12) 저면과 이격되어 완충공간(S2)을 갖는 제2함몰부(14-2) 및 또 하나의 완충공간(S3)을 갖는 제3함몰부(14-1)가 형성되며, 저면 중간에는 상기 제1함몰부(16-1)에 대한 완충공간(S1)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4함몰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제3함몰부(14-1)에는 다수의 요철부(14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솔(12)의 저면에는 미드솔(14)의 제2함몰부(14-2)에 대한 완충공간(S2)을 대응되게 확장 형성하는 제5함몰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12)은 발바닥의 허리쇠(Shank)부분과 그 후방을 받쳐 신발 밑창(10)의 뒤틀림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쇠(11)가 내부에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쇠(11)는 만곡지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홈(11a)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인솔(12)내부에서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홈(1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KR1020090065239A 2009-07-17 2009-07-17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KR20110007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39A KR20110007683A (ko) 2009-07-17 2009-07-17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239A KR20110007683A (ko) 2009-07-17 2009-07-17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683A true KR20110007683A (ko) 2011-01-25

Family

ID=4361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239A KR20110007683A (ko) 2009-07-17 2009-07-17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6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777B1 (ko) * 2013-03-06 2014-09-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산화
KR101498255B1 (ko) * 2013-05-21 2015-03-05 안강현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환자의 운동을 위한 신발인솔 및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777B1 (ko) * 2013-03-06 2014-09-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산화
KR101498255B1 (ko) * 2013-05-21 2015-03-05 안강현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환자의 운동을 위한 신발인솔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485Y1 (ko)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US986742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longated shock absorbing heel system
US10045589B2 (en) Sole construction for energy storage and rebound
US8671589B2 (en) Shoe sole having forwardly and rearwardly facing protrusions
KR100706610B1 (ko) 시이소 신발 밑창
US4694591A (en) Toe off athletic shoe
US7946058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n articulated midsole and outsole
EP2410886B1 (en)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US6457261B1 (en) Shock absorbing midsole for an athletic shoe
JP2004243132A (ja) 靴底部の構造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US10413015B2 (en)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KR20090082292A (ko) 신발용 보강 케이지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100825437B1 (ko) 허리형태 생크와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0786556B1 (ko)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US20060123665A1 (en) Sole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20110007683A (ko) 각부의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
KR101230053B1 (ko) 보행이 편한 하이힐
KR20130024683A (ko)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KR101241422B1 (ko) 다중 경도에 의한 구름보행 기능을 갖는 신발 중창 및 그 중창이 설치된 신발
CN219781721U (zh) 一种运动鞋及其足弓舒适度自适应鞋底结构
KR20090124479A (ko) 건강 신발
KR20060092594A (ko) 신발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