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683A -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 Google Patents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683A
KR20130024683A KR1020110104473A KR20110104473A KR20130024683A KR 20130024683 A KR20130024683 A KR 20130024683A KR 1020110104473 A KR1020110104473 A KR 1020110104473A KR 20110104473 A KR20110104473 A KR 20110104473A KR 20130024683 A KR20130024683 A KR 2013002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area
ground
midsol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로 쿠라시나
마사루 이치카와
야스히로 모리카와
코지 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아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아식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아식스
Publication of KR2013002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earthing or groun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적으로 착용함으로써 자세 교정이나 근육 증강의 트레이닝이 될 수 있는 신발의 신발바닥을 제공하는 것이다.
비밟기 영역(11a)은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접지하지 않고, 또한 착용자의 하중이 미드솔(2)의 상면에 가해짐으로써,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21, 31, 22, 32)가 접지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띠형상부(4, 2b)가 하방으로 내려가 돌출부(40)가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Description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SHOE SOLE OF SHOE SUITABLE FOR TRAINING}
본 발명은 일상적으로 착용함으로써 자세 교정이나 근력 증강의 트레이닝이 될 수 있는 신발의 신발바닥에 관한 것이다.
발바닥의 하중의 중심이 일정한 압력 중심을 따른 상태에서 보행함으로써, 아름다운 보행 자세가 얻어진다. 그러나, 현대인 특히 여성이나 고령자는 근력이 약하고, 그 때문에 압력 중심이 보행중에 발의 내외로 동요하기 쉽다.
트레이닝용으로 접지면이 돌출된 신발의 개량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하기의 특허문헌 1이 존재한다. 또, 신발바닥의 전족부의 적어도 일부를 10mm 이상의 두께로 설정함과 아울러, 전족부의 적어도 일부를 발꿈치부 이상으로 바닥을 높게 한 근력 증강용의 신발바닥도 공지이다.(특허문헌2)
PCT/JP2009/2329 (요약) 일본 특허 제3302612호 (요약)
그러나 최근 안정성을 한층 더 유지하면서 트레이닝하는 것이 가능한 신발, 근활동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발 등이 요망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신발바닥은 트레이닝에는 적합하지만, 예를 들면 신발바닥의 전족부가 지나치게 두꺼워지거나 하여 외관상 스마트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지 않고 셰이프업의 효과를 나타내는 신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트레이닝의 신발바닥에 개량을 더해, 안정적인 보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및/또는 신발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셰이프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신발바닥을 제공하는 것이다.
착지시에 접지하는 접지면을 가지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 위에 배치되고 착지의 충격을 완화하는 미드솔을 구비한 신발바닥에 있어서, 발의 아치를 포함하는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비밟기부와, 상기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비밟기부와, 상기 내측 비밟기부와 외측 비밟기부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아웃솔의 부위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아웃솔의 일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접지면은 상기 내측 비밟기부 및 외측 비밟기부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비밟기 영역은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접지하지 않고, 또한 착용자의 하중이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가 접지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띠형상부가 하방으로 내려가 상기 돌출부가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기술하는 (i)~(iii)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효과(i) :
본 발명의 신발바닥을 가지는 신발을 착용자가 착용하여 보행하면,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중앙의 돌출부가 접지하고, 또한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가 접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띠형상부의 존재를 접지시의 반력에 의해 발바닥에 느낄 수 있고, 당해 띠형상부 위에 압력 중심이 위치하도록 걷고자 함으로써, 안정적인 보행 자세의 유지나, 추가적인 근활동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효과(ii) :
특히, 본 발명의 신발바닥에 있어서는, 비밟기 영역의 돌출부는 비착용시에 접지하지 않고, 또한 보행의 하중에 의해 접지한다. 즉, 비밟기 영역의 미드솔의 상면은 래스트(신발의 제작시에 신발 내에 삽입되는 족형)에 의해 설계된 레벨보다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언덕길을 올라갈 때와 유사한 상태로 발이나 발목이 변형한다. 그 결과, 신발바닥의 전족부를 그다지 두껍게 하지 않아도 언덕길을 올라갈 때와 마찬가지의 부하가 다리 등의 근육에 가해져, 구두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셰이프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효과(iii) :
또한, 비밟기 영역의 돌출부는 보행시의 하중에 의해 접지한다. 따라서, 착용중에 돌출부에 의한 보행의 안정성이 저해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는 전후 방향으로 분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전후 방향으로 분단되어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는 띠형상부가 발의 긴 축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우 외에, 띠형상부가 비밟기부의 외측 가장자리 또는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비스듬히 전방 등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띠형상」은 띠형상부의 발 폭 방향의 폭보다 띠형상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큰 것을 의미한다.
미드솔은 주로 수지의 발포체로 형성되지만, 상기 발포체 이외에 고무 탄성을 가지는 연질 수지가 뒷발이나 내측 및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아웃솔은 고무의 발포체 또는 비발포체나 우레탄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바닥을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2B의 IIA-IIA선으로 단면한 비착용 상태의 신발바닥의 종단면도, 도 2B는 미드솔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신발바닥과 발의 골격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다.
도 4는 신발바닥을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다.
도 5A~도 5F는 각각 도 4의 VA~VF에 있어서의 비착용 상태의 신발의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변형전 및 변형후의 신발바닥을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접지면과 가상의 평평한 노면 사이에는 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하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저면의 종단면의 포락선이 상방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원호 형상의 곡선을 따른 형상을 가지는 아치형상의 돌출부의 저면은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고, 노면에 상기 비밟기 영역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지하기 쉽다.
또한, 원호 형상의 곡선에는 원의 일부인 원호 이외에 포물선, 타원, 쌍곡선 등의 일부가 포함되고, 또한 돌출부 및 미드솔을 보에 비유한 단순보나 양단 고정의 부정정보의 휨 곡선이나, 이들 곡선에 근사한 곡선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발바닥은 상기 비밟기 영역보다 전방의 밟기 영역과 상기 비밟기 영역보다 후방의 발꿈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상기 발꿈치 영역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밟기 영역의 후단까지, 상기 발의 내측 및 외측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 발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발꿈치 영역의 상기 전단보다 후방의 제1 접지부에 있어서 상기 노면에 접지하고, 또한 상기 밟기 영역의 상기 후단보다 전방의 제2 접지부에 있어서 상기 노면에 접지하고, 상기 제1 접지부와 제2 접지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포락선이 상기 원호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전후의 접지부 사이에 있어서 형성된 원호 형상의 곡선은 미드솔을 통하여 아웃솔이 하방으로 저하함으로써, 비밟기 영역에 있어서 돌출부의 접지면이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지하고, 이것을 발바닥에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접지부가 상기 발꿈치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발꿈치 영역의 상기 전단까지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지부가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로부터 상기 밟기 영역의 상기 후단까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착지시에 발꿈치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접지할 때에 제1 접지부가 발꿈치 영역의 중심 또는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퍼스트 스트라이크 또는 힐 콘택트시에 접지 상태가 안정되기 쉬울 수도 있다.
발꿈치 영역 및 밟기 영역의 쌍방이 접지하는 풋 플랫에 있어서는, 우선 제1 및 제2 접지부가 접지한다. 풋 플랫에 있어서, 발바닥의 하중이 미드솔의 상면에 가해지면, 미드솔과 함께 비밟기 영역의 띠형상부가 변형하여 돌출부가 하방으로 내려가 접지하여, 비밟기 영역에 띠형상부를 느낀다.
상기 풋 플랫으로부터 발이 차기 시작하기 직전의 미드 스탠스에 이르기까지, 상기 띠형상부가 하방으로 내려감으로써 상기 제2 접지부의 미드솔의 상면이 비밟기 영역의 미드솔 상면에 대하여 높은 레벨이 되고, 착용자의 다리의 근육에는 언덕길을 오르는 것 같은 부하가 가해진다. 그 결과, 신발바닥의 전족부를 그다지 바닥이 높게 하지 않아도, 셰이프업 효과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꿈치 영역의 아웃솔의 저면은 상기 제1 접지부가 상기 발꿈치 영역의 내측 발꿈치부 및 외측 발꿈치부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발꿈치 영역의 미드솔의 상면에 상기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제1 접지부가 접지하면, 상기 발꿈치 영역의 띠형상부가 압축되어, 상기 내측 발꿈치부 및 외측 발꿈치부의 쌍방이 접지한다.
이 경우, 접지 상태가 더욱 안정되어, 언덕길 효과가 증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착용 상태 그리고 상기 밟기 영역 및 발꿈치 영역의 미드솔의 상면에 상기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풋 플랫의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의 아웃솔의 저면은 상기 제2 접지부가 상기 내측 밟기부 및 외측 밟기부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를 발바닥에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언덕길 효과가 커질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에 상당하는 부위의 상기 아웃솔의 두께가, 당해 부위의 전방 및 후방의 아웃솔의 두께에 비해 크다.
이 경우, 미드솔보다 영률이 큰, 즉 압축되기 어려운 아웃솔의 두께가 커지고, 그 만큼 상기 미드솔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제2 발가락의 MP 관절에 있어서, 미드솔의 상면으로부터 아웃솔의 저면까지의 전체적인 솔의 압축 강성이 크고, 그 때문에 보행시에 상기 부위에 있어서 솔의 바닥 높임이 유지되어 언덕길 효과에 의한 셰이프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보행시에 착용자의 체중이 띠형상부에 가해짐으로써, 비밟기부가 아래로 가라앉으므로 언덕길을 올라가는 것과 마찬가지의 부하가 다리의 근육에 가해진다. 그 때문에, 셰이프업 효과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가락의 MP 관절을 덮는 아웃솔의 두께가 큰 MP부가 상기 중앙부로부터 발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두께가 큰 MP부가 MP 관절을 덮고 발의 내외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MP 관절의 굴곡시의 부하가 커지고, 언덕길 효과가 증대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 상기 MP부의 바로 위의 미드솔의 부위에는 미드솔의 상면에 미드솔보다 영률이 큰 경질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굴곡시의 부하가 더욱 커질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밟기 영역에 있어서의 내측 및 외측의 전단부에 설치된 상기 아웃솔의 경도보다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아웃솔의 경도 쪽이 크다.
이 경우, 돌출부는 단단하며, 그 때문에 발바닥에 띠형상부의 존재 또는 띠형상부로부터의 반력을 착용자는 느끼기 쉬울 것이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띠형상부를 의식하여 보행하고, 그 결과, 소기의 아름다운 보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상기 효과(i)가 얻어지기 쉬울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따라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왼발용의 신발바닥(1)이 예시되어 설명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발바닥(1)은 아웃솔(3) 및 미드솔(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아웃솔(3)의 접지면에 형성된 미세한 홈(소위 의장)은 생략되어 있다.
아웃솔(3)은 도 6A 및 도 6B의 노면(R)과 접하는 접지면을 가지고 있다.
미드솔(2)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 위에 배치되고, 착지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미드솔(2)은 아웃솔(3)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미드솔(2)의 저면에는 망점으로 나타내는 복수개의 파트로 분리된 아웃솔(3)이 설치되어 있다. 아웃솔(3) 및 미드솔(2)의 내외의 중앙에는, 도 1의 띠형상부(4) 및 도 2B의 띠형상부(2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밟기 영역(12a) ;
도 3에 있어서, 전족부는 밟기 영역(12a)을 포함한다. 밟기 영역(12a)은 중족 지절간관절(MP)을 포함하고, 상세하게는 제1 발가락~제4 발가락의 제1 중족골(B41)~제4 중족골(B44)의 골두와, 제1 발가락~제4 발가락의 제1 기절골(B31)~제4 기절골(B34)을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밟기 영역(12a)에는, 상기 미드솔(2) 및 아웃솔(3)의 내측 밟기부(23, 33), 외측 밟기부(24, 34) 및 띠형상부(2b, 4)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밟기부(23, 33)는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발의 내측(IN)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외측 밟기부(24, 34)는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발의 외측(OUT)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2B 및 도 4에 나타내는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2) 및 아웃솔(3)에는 내측 비밟기부(21, 31), 외측 비밟기부(22, 32) 및 띠형상 비밟기부(2b1,401)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비밟기부(21, 31)는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발의 내측(IN)을 덮는 부분이다. 외측 비밟기부(22, 32)는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발의 외측(OUT)을 덮는 부분이다.
띠형상 비밟기부(2b1, 401)는 각각 상기 띠형상부(2b, 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띠형상 비밟기부(2b1, 401)는 내측 비밟기부(31(21))와 외측 비밟기부(32(22)) 사이에 있어서 전후로 긴 띠형상의 부분이다.
따라서, 띠형상부(4)의 일부를 구성하는 띠형상 비밟기부(401, 2b1)의 폭방향(W)의 양 사이드에는 내측 비밟기부(31, 21) 및 외측 비밟기부(32, 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띠형상부(2b, 4)는 내측 밟기부(23, 33)와 외측 밟기부(24, 34) 사이, 및 내측 비밟기부(21, 31)와 외측 비밟기부(22, 32)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도 2의 미드솔(2)의 띠형상부(2b)는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도 2B 및 도 3에 있어서, 미드솔(2)은 예를 들면 EVA 등의 수지의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B의 미드솔(2)에 있어서의 띠형상부(2b)의 경도는 상기 띠형상부(2b) 이외의 부분(2a)의 경도보다 크다. 또한, 띠형상부(2b)에는 망점이 그려져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드솔(2)의 상기 부분(2a)의 발포체의 경도는 C경도로 53도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한편, 띠형상부(2b)의 경도는 C경도로 75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C경도는 JIS K 7312에 규정되는 경도를 말한다.
또한, 미드솔(2)의 발꿈치 영역(13a)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경도가 작은 도 2A의 EVA의 파트(200)나 겔(201)을 배치해도 된다.
도 1의 망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은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파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드솔(2)의 후족부 및 전족부의 저면에 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띠형상부(4)의 양 사이드의 미드솔(2)의 저면에는 각각 비발포의 수지 파트로 이루어지는 내측 및 외측 강화 플레이트(39)가 배치되어 있다. 각 강화 플레이트(39)는 미드솔(2)의 EVA보다 영률이 크고, 미드솔(2)의 이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에 상당하는 부위의 상기 아웃솔(3)의 경도보다 상기 돌출부(40)를 형성하는 아웃솔(3)의 경도 쪽이 커도 되지만, 양자는 동일해도 된다. 또, 아웃솔의 띠형상부(4)의 경도는 아웃솔의 다른 부위에 비해 경도가 커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내측 및 외측의 전단부(38)에 설치된 상기 아웃솔(3)의 경도보다 상기 돌출부(40)를 형성하는 아웃솔(3)의 경도 쪽이 커도 된다.
또한, 경도의 차이에 따라서 아웃솔(3)의 각 파트에 대해서는, 서로 상이한 망점의 크기 및 밀도로 나타나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에 상당하는 부위의 상기 아웃솔(3)의 두께는 당해 부위의 전방 및 후방의 아웃솔(3)의 두께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가락의 MP 관절을 덮는 아웃솔(3)의 두께가 큰 MP부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발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도 2A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에 상당하는 부위의 상기 아웃솔(3)의 두께를 당해 부위의 전방 및 후방의 아웃솔(3)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고, 당해 부위의 상기 미드솔(2)의 두께, 경도 등을 당해 부위의 전방 및 후방의 미드솔(2)의 것에 비해 적당히 크게 해도, 아웃솔(3)의 두께를 바꾼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2B의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상기 MP부의 바로 위의 미드솔(2)의 부위에는 미드솔(2)의 상면에 미드솔(2)보다 영률이 큰 경질 플레이트(2p)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질 플레이트(2p)의 전방 및 후방의 미드솔(2)의 부위에는 함몰부(2c)를 형성해도 된다.
띠형상부(4) ;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의 띠형상부(4)는 미드솔(2)의 띠형상부(2b)에 대체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미드솔(2)의 띠형상부(2b)를 덮도록 겹쳐져 설치되어 있다. 아웃솔(3)의 띠형상부(4)는 미드솔(2)의 띠형상부(2b)보다 후방의 제1 접지부(41)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3)의 띠형상부(4)는 발의 전후 방향(X)으로 긴 띠형상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띠형상부(4)의 폭은 도 2B의 띠형상부(2b)와 대체로 동일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의 상기 내측 비밟기부(31)와 외측 비밟기부(32) 사이에는, 아웃솔(3)의 띠형상부(4)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띠형상 비밟기부(4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0) ;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웃솔의 띠형상부(4)의 파트는 예를 들면 1개의 돌출부(40)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0)는 전후 방향(X)으로 긴 띠형상이며, 또한 돌출부(40)는 띠형상부(4)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A~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0)의 접지면은 그 양측의 접지면을 구성하는 내측 비밟기부(31), 외측 비밟기부(32), 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밟기부(34)의 접지면보다 하방(Z1)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40)는 띠형상이며, 양측의 부분(31~34)보다 돌출부(40)가 접지하기 쉽다. 그 때문에, 착용자는 착지로부터 땅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동안에 띠형상부(4)에 대응하는 부위를 발바닥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돌출부(40)가 하방(Z1)으로 돌출되어 있다」는 평탄한 노면에 신발바닥의 이면을 대면시킨 경우에, 띠형상부(4)에 있어서 접지하고, 당해 띠형상부(4)의 양측의 부위가 접지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돌출부(40)에는 미세한 홈(의장)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홈의 부분은 양측의 부위의 접지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세로홈(2d, 3d) ;
도 1, 도 4 및 도 5A~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부(2b, 4)와, 그 양측의 신발바닥의 부분 사이에는 세로홈(2d, 3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드솔(2)의 세로홈(2d)은 미드솔(2)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고, 한편, 상기 아웃솔(3)의 세로홈(3d)은 아웃솔(3)의 띠형상부(4)와 그 양측의 부분(31, 32)을 분리하고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홈(2d, 3d)은 띠형상부(4)와 그 양 사이드의 내측 비밟기부(21, 31), 외측 비밟기부(22, 32), 내측 밟기부(23, 33), 외측 밟기부(24, 34) 및 전단부(35)와의 연속성이 저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드솔(2) 및 아웃솔(3)에는 다수의 가로홈(2g, 3g)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로홈(2g, 3g)은 신발바닥의 굴곡을 용이하게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비밟기 영역(11a)은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접지하지 않고,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의 접지면과 가상의 평평한 노면(R) 사이에는 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하는 공극(S)이 형성되도록,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40)의 저면의 종단면의 포락선(L40)이 상방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의 곡선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의 접지면과 가상의 평평한 노면(R) 사이에 공극(S)이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40)의 저면의 종단면의 포락선이 상방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는 구성(도 6A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공극(S)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40)에 볼록형상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돌출부(40)가 복수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착용자의 하중이 상기 미드솔(2)의 상면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21, 31, 22, 32)가 접지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띠형상부(4, 2b)가 하방으로 내려가 상기 돌출부(40)가 접지하는 것 같은 구성이면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1의 상기 돌출부(40)는 적어도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밟기 영역(12a)의 후단까지, 상기 발의 내측 및 외측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 발의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A의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는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상기 전단보다 후방의 제1 접지부(41)에 있어서 상기 노면(R)에 접지하고, 또한 상기 밟기 영역(12a)의 상기 후단보다 전방의 제2 접지부(42)에 있어서 상기 노면(R)에 접지하며, 상기 제1 접지부(41)와 제2 접지부(42) 사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의 포락선이 상기 원호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포락선은 원호 형상의 곡선에 한정되지 않고,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띠형상부(4, 2b)가 하방으로 내려가 돌출부(40)가 접지하도록 하는 곡선이면 된다. 예를 들면, 미소한 요철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곡선도 포락선에 포함된다.
한편, 착용자의 하중이 상기 미드솔(2)의 상면에 가해짐으로써, 도 5D의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21, 31, 22, 32)가 접지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6B와 같이 상기 띠형상부(4, 2b)가 하방을 향하여 휨으로써 하방으로 내려가 상기 돌출부(40)가 직접 선형상이 되어 노면(R)에 접지한다.
상기 제1 접지부(41)는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중심보다 전방이며, 또한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상기 전단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접지부(42)는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도 3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보다 후방이며 상기 밟기 영역(12a)의 상기 후단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E의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아웃솔(3)의 저면은 상기 제1 접지부(41)가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내측 발꿈치부(35) 및 외측 발꿈치부(36)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미드솔(2)의 상면에 상기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제1 접지부(41)가 접지하면, 상기 제1 접지부(41)의 바로 위의 미드솔(2)은 유연하며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솔이 압축되어, 상기 내측 발꿈치부(35) 및 외측 발꿈치부(36)의 쌍방이 접지한다.
도 5B의 상기 비착용 상태 그리고 상기 밟기 영역(12a) 및 발꿈치 영역(13a)의 미드솔(2)의 상면에 상기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풋 플랫의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12a)의 아웃솔(3)의 저면은 상기 제2 접지부(42)가 이것의 내외의 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밟기부(34)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밟기 영역(12a)은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여도 된다.
본 발명은 보행 자세의 교정이나 근력 증강의 트레이닝용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다.
1 : 신발바닥
2 : 미드솔
2b1 : 띠형상 비밟기부
2d, 3d : 세로홈
3 : 아웃솔
4, 2b : 띠형상부
11a : 비밟기 영역
12a : 밟기 영역
13a : 발꿈치 영역
21, 31 : 내측 비밟기부
22, 32 : 외측 비밟기부
23, 33 : 내측 밟기부
24, 34 : 외측 밟기부
35 : 내측 발꿈치부
36 : 외측 발꿈치부
40 : 돌출부
41 : 제1 접지부
42 : 제2 접지부
IN : 내측
MP : 중족 지절간(MP)관절
R : 노면
S : 공극
X : 전후 방향

Claims (10)

  1. 착지시에 접지하는 접지면을 가지는 아웃솔(3)과, 상기 아웃솔(3) 위에 배치되고 착지의 충격을 완화하는 미드솔(2)을 구비한 신발바닥(1)에 있어서,
    발의 아치를 포함하는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발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비밟기부(21, 31)와,
    상기 비밟기 영역(11a)에 있어서 발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비밟기부(22, 32)와,
    상기 내측 비밟기부(21, 31)와 외측 비밟기부(22, 32)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긴 띠형상의 띠형상부(4, 2b)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부(4, 2b)에 있어서의 상기 아웃솔(3)의 부위는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아웃솔(3)의 일부를 형성하는 돌출부(40)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40)는 전후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40)의 접지면은 상기 내측 비밟기부(21, 31) 및 외측 비밟기부(22, 32)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여기에 있어서, 상기 비밟기 영역(11a)은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접지하지 않고, 또한 착용자의 하중이 상기 미드솔(2)의 상면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내측 및 외측 비밟기부(21, 31, 22, 32)가 접지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띠형상부(4, 2b)가 하방으로 내려가 상기 돌출부(40)가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의 접지면과 가상의 평평한 노면(R) 사이에는 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관통하는 공극(S)이 형성되도록,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40)의 저면의 종단면의 포락선이 상방을 향하여 볼록한 원호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바닥(1)은 상기 비밟기 영역(11a)보다 전방의 밟기 영역(12a)과 상기 비밟기 영역(11a)보다 후방의 발꿈치 영역(13a)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40)는 적어도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밟기 영역(12a)의 후단까지, 상기 발의 내측 및 외측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 발의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되고,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는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상기 전단보다 후방의 제1 접지부(41)에 있어서 상기 노면에 접지하고, 또한 상기 밟기 영역(12a)의 상기 후단보다 전방의 제2 접지부(42)에 있어서 상기 노면에 접지하고, 상기 제1 접지부(41)와 제2 접지부(42) 사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0)의 포락선이 상기 원호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부(41)가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상기 전단까지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지부(42)가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로부터 상기 밟기 영역(12a)의 상기 후단까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아웃솔(3)의 저면은 상기 제1 접지부(41)가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내측 발꿈치부(35) 및 외측 발꿈치부(36)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미드솔(2)의 상면에 상기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제1 접지부(41)가 접지하면, 상기 발꿈치 영역(13a)의 띠형상부(4, 2b)가 압축되어, 상기 내측 발꿈치부(35) 및 외측 발꿈치부(36)의 쌍방이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착용 상태, 그리고 상기 밟기 영역(12a) 및 발꿈치 영역(13a)의 미드솔(2)의 상면에 상기 착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풋 플랫의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12a)의 아웃솔(3)의 저면은 상기 제2 접지부(42)가 내측 밟기부(33) 및 외측 밟기부(34)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제2 발가락의 MP 관절에 상당하는 부위의 상기 아웃솔(3)의 두께가 당해 부위의 전방 및 후방의 아웃솔(3)의 두께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가락의 MP 관절을 덮는 아웃솔(3)의 두께가 큰 MP부가 상기 중앙부로부터 발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 상기 MP부의 바로 위의 미드솔(2)의 부위에는 미드솔(2)의 상면에 미드솔(2)보다 영률이 큰 경질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밟기 영역(12a)에 있어서의 내측 및 외측의 전단부(38)에 설치된 상기 아웃솔(3)의 경도보다 상기 돌출부(40)를 형성하는 아웃솔(3)의 경도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바닥.
KR1020110104473A 2011-08-29 2011-10-13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KR201300246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5964A JP5324629B2 (ja) 2011-08-29 2011-08-29 トレーニングに適した靴の靴底
JPJP-P-2011-185964 2011-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83A true KR20130024683A (ko) 2013-03-08

Family

ID=4801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473A KR20130024683A (ko) 2011-08-29 2011-10-13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24629B2 (ko)
KR (1) KR201300246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0454B1 (ja) * 2014-04-11 2015-03-2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
JP6113765B2 (ja) * 2014-09-01 2017-04-12 株式会社ベスト 打掛錠
WO2020136916A1 (ja) * 2018-12-28 2020-07-02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および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9129U1 (de) * 1996-11-05 1997-01-02 Bort GmbH, 71384 Weinstadt Rückenkissen mit einer formstabilen Stützplatte
JP2006055600A (ja) * 2004-08-20 2006-03-02 Yoshie Fujikuma 美容・健康スリッパ、サンダル、靴
JP5252697B2 (ja) * 2008-06-12 2013-07-31 ミドリ安全株式会社 つまずき防止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24629B2 (ja) 2013-10-23
JP2013046667A (ja)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683B2 (en) Footwear including a stabilizing sole
US11937665B2 (en) Footwear including a stabilizing sole
KR101598130B1 (ko)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JP5292652B2 (ja) 走行効率の良い運動靴の靴底
US8671589B2 (en) Shoe sole having forwardly and rearwardly facing protrusions
US4638576A (en) Athletic shoe with external counter and cushion assembly
JP4745401B2 (ja) 前後方向が上向きに傾いた靴敷き
JP4590455B2 (ja) ソ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履物
KR20070049648A (ko) 깔창 및 이것을 구비하는 풋웨어 시스템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CN105491906A (zh) 包括具有台阶状突出部的鞋外底的鞋类物品
JP2018153355A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KR10126508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450432B1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24683A (ko) 트레이닝에 적합한 신발의 신발바닥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CN109757819B (zh) 具有推进式减震系统的鞋底及鞋
KR20130128372A (ko) 신발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WO2020136914A1 (ja)
CN218978150U (zh) 一种轻便的散步鞋底
KR20130056814A (ko) 기능성 신발물품
US12096817B2 (en) Sole structure and shoes having the same
JP5832021B2 (ja) 靴底及び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