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814A - 기능성 신발물품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814A
KR20130056814A KR1020120087436A KR20120087436A KR20130056814A KR 20130056814 A KR20130056814 A KR 20130056814A KR 1020120087436 A KR1020120087436 A KR 1020120087436A KR 20120087436 A KR20120087436 A KR 20120087436A KR 20130056814 A KR20130056814 A KR 20130056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wing
outsole
reinforcing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12008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6814A/ko
Publication of KR2013005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신발물품이 개시된다. 신발물품은 미드솔(midsole), 미드솔의 하부에 제공되는 아웃솔(outsole), 및 미드솔 및 아웃솔의 사이에 제공되며 미드솔 및 아웃솔을 서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보강부재는 미드솔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되어(integratedly branched off) 아웃솔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향굴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물품{ARTICLE OF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신발에 대한 인식 또한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창부분을 통해서는 보행 및 주행시 충격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고, 밑창부분이 무거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으며 가벼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02651호(2009.06.05.공개)와 같이,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행시 신체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밑창부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적절한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신발물품은 미드솔(midsole), 미드솔의 하부에 제공되는 아웃솔(outsole), 및 미드솔 및 아웃솔의 사이에 제공되며 미드솔 및 아웃솔을 서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보강부재는 미드솔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되어(integratedly branched off) 아웃솔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향굴곡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을 따라 미드솔의 측단부에 인접한 미들솔의 저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지지 가능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는 미드솔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복수개의 상향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향굴곡부는 상향날개부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향날개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될 수 있다.
하향굴곡부는 지지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되어 아웃솔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 여기서, 하향굴곡부가 지지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된다 함은, 하향굴곡부 및 지지부가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공되어 별도로 조립 또는 결합된 형태가 아닌, 지지부 및 하향굴곡부가 단일체(single body)를 이루도록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하향굴곡부와 상향날개부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라 함은, 평면 투영시 하향굴곡부와 상향날개부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향굴곡부와 상향날개부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는 인체의 하중이 하향굴곡부 및 상향날개부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하향굴곡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향굴곡부는 제1굴곡부, 제1굴곡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굴곡부, 및 제1굴곡부와 제2굴곡부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굴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의 상단은 각각 이웃하는 서로 다른 상향날개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미드솔은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의 높이만큼 아웃솔에 대해 공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향굴곡부는 제1굴곡부, 제2굴곡부 및 연결굴곡부를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는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는 단 하나의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지지부로부터 분기되어 안쪽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가 단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직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굴곡부 및 제2굴곡부가 직선 및 곡선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향굴곡부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굴곡부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대략 "C"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의 외면(저면)이 아웃솔의 상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보강부재와 아웃솔이 고정될 수 있다. 바닥부는 대략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부가 하향굴곡부와 함께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향날개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향날개부는 제1날개부, 제1날개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날개부, 및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하단은 각각 이웃하는 서로 다른 하향굴곡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향날개부는 제1날개부, 제2날개부 및 연결날개부를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향날개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되되, 하향굴곡부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하향굴곡부의 단부 및 상향날개부의 단부는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향굴곡부와 상향날개부는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측면 투영시 대략 파형(waveform)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향날개부 역시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드솔에 대한 상향날개부의 배치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미드솔에는 전술한 상향날개부에 대응하는 자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향날개부는 자리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미드솔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향날개부 및 하향굴곡부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향날개부와 하향굴곡부의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술한 지지부, 하향굴곡부 및 상향날개부가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처럼 설명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지지부, 하향굴곡부 및 상향날개부를 포함하는 보강부재는 단일 공정에 의해 동시에 단일체(singl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는 전체적으로 전방부가 개구된 말굽형상(horseshoe-shaped)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 한번의 압착 공정에 의해 미드솔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아웃솔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아웃솔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부재의 하부에는 밑창판이 제공될 수 있으며, 아웃솔은 밑창판의 하부에 적층되는 논슬립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웃솔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반발탄성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방쿠션부 및 후방쿠션부가 제공될 수 있다.
아웃솔의 전방부에는 미드솔의 전방부 바닥면과 밀착되는 전방쿠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쿠션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쿠션부는 밑창판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관통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미드솔의 전방부 바닥면을 지지하는 전방받침패드, 및 전방받침패드와 밑창판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전방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지지대는 전방받침패드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며, 전방받침패드는 아웃솔의 바닥면보다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미드솔의 전방부 바닥면에는 전방받침패드에 대응하는 전방받침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전방받침패드는 전방받침부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웃솔의 후방부에는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후방쿠션부가 형성될 수 있다. 후방쿠션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쿠션부는 밑창판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관통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방받침패드, 및 후방받침패드와 밑창판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후방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고, 후방지지대는 후방받침패드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며, 후방받침패드는 아웃솔의 바닥면보다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과 후방받침패드 사이에는 완충재가 개재될 수 있다. 완충재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완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에 의하면,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음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도와주는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 및 하향굴곡부를 포함하는 보강부재에 의해 아웃솔에 대해 미드솔이 이격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발생시 복수개의 하향굴곡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충격력이 하향굴곡부를 통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 및 흡수될 수 있다. 또한, 하향굴곡부는 탄성적으로 복원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도와줄 수 있는 반발탄성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행 및 주행 중 추진(take off)시 추진력(반발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가 미드솔의 저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지 않고 미드솔의 주연부에 인접한 저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 구름보행에 필요한 원호상의 보행경로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는 지지부가 미드솔의 저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경우에는 미드솔의 과도한 유연성을 억제할 수는 있으나, 지지부의 강성에 의해 구름보행이 안정적으로 보장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가 미드솔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적절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바닥 전체면에 걸쳐 보행경로를 따라 미드솔 및 보강부재가 원호상으로 적절히 압축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능률적인 추진식 구름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재는 상향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향날개부는 신발의 갑피 부분까지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을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신발의 착용감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장기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향굴곡부는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향날개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될 수 있기 때문에,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발탄성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하향굴곡부와 상향날개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중첩되게 배치됨에 따라, 하향굴곡부와 상향날개부는 하중 발생시 하중에 대응하여 거의 동시에 작용(탄성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상향날개부 및 하향굴곡부에 의한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솔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미드솔과 직접 연계되어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의 추진식 구름보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전/후방쿠션부를 제공함으로써, 추진식 구름보행이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행시 또는 정지시에 지면과 발바닥 사이의 완충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여 착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체중을 한층 더 고르게 분산하여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후방쿠션부를 구성하는 후방받침패드는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미드솔의 후방부가 후방쿠션부의 상부에 제공된 간격만큼 인체의 하중에 의하여 1차적으로 눌려진 다음, 후방쿠션부의 후방받침패드를 하방으로 다시 누르게 되므로, 총 2차에 걸쳐 충격완화 및 보행추진기능에 필요한 압축변형 및 반발탄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드솔과 아웃솔의 사이는 거의 빈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재를 배치하기 위해 미드솔을 별도로 분리한 후 미드솔의 사이에 보강부재를 매립할 필요없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보강부재가 단순히 삽입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을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물품은 미드솔(midsole)(100), 아웃솔(outsole)(300) 및 보강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미드솔(100)은 통상의 고무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드솔(10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미드솔이 미발포체로 형성되거나 여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부재(200)는 미드솔(100) 및 아웃솔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아웃솔에 대해 미드솔(100)이 이격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부재(200)는 미드솔(10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부(210), 및 상기 지지부(210)로부터 일체로 분기되어 아웃솔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향굴곡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200)는 미드솔(1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 및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200)의 재질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는 뒤꿈치(heel) 부위의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부재의 후방 부위가 전체적으로 막힌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부재의 후방 부위에 복수개의 상향날개부 및 하향굴곡부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210)는 미드솔(10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어 미드솔(100)의 저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을 따라 미드솔(100)의 측단부에 인접한 미드솔(100)의 저면 부위를 부분적으로 지지 가능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부(210)는 미드솔(100)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복수개의 상향날개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하향굴곡부(230)는 상향날개부(220)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향날개부(220)로부터 일체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하향굴곡부(230)는 지지부(210)로부터 일체로 분기되어(integratedly branched off) 아웃솔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 여기서, 하향굴곡부(230)가 지지부(210)로부터 일체로 분기된다 함은, 하향굴곡부(230) 및 지지부(210)가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공되어 별도로 조립 또는 결합된 형태가 아닌, 지지부(210) 및 하향굴곡부(230)가 단일체(single body)를 이루도록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령, 지지부(210) 및 하향굴곡부(230)는 통상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하향굴곡부(230)와 상향날개부(220)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라 함은, 평면 투영시 하향굴곡부(230)와 상향날개부(220)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향굴곡부(230)와 상향날개부(220)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는 인체의 하중이 하향굴곡부(230) 및 상향날개부(220)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하향굴곡부(23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향굴곡부(230)는 지지부(210)의 측면으로부터 일체로 분기되는 제1굴곡부(232), 상기 제1굴곡부(232)와 이격되게 지지부(210)의 측면으로부터 일체로 분기되는 제2굴곡부(234), 및 상기 제1굴곡부(232)와 제2굴곡부(234)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굴곡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굴곡부(232) 및 제2굴곡부(234)의 상단은 각각 이웃하는 서로 다른 상향날개부(22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미드솔(100)은 제1굴곡부(232) 및 제2굴곡부(234)의 높이에 대응하여 아웃솔에 대해 공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향굴곡부(230)가 제1굴곡부(232), 제2굴곡부(234) 및 연결굴곡부(236)를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향굴곡부(23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향굴곡부(230)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굴곡부(232) 및 제2굴곡부(234)는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굴곡부(232) 및 제2굴곡부(234)는 단 하나의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지지부(210)로부터 분기되어 안쪽으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굴곡부(232) 및 제2굴곡부(234)가 단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직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굴곡부(232) 및 제2굴곡부(234)가 직선 및 곡선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향굴곡부(230)는 아웃솔의 상면을 마주하도록 연결굴곡부(236)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되는 바닥부(2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향굴곡부(230)는 바닥부(238)를 포함하여 대략 "C"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38)의 외면(저면)이 아웃솔의 상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보강부재(200)와 아웃솔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238)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바닥부(238)는 대략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부(238)의 외면은 아웃솔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과 같이 바닥부(238)가 하향굴곡부(230)와 함께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닥부(238)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연결굴곡부(23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1과 같이 바닥부(238)의 일부 부위(P)가 연결굴곡부(236)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210)는 미드솔(100)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복수개의 상향날개부(220)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상향날개부(22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향날개부(220)는 지지부(210)의 측면으로부터 일체로 분기되는 제1날개부(222), 상기 제1날개부(222)와 이격되게 지지부(210)의 측면으로부터 일체로 분기되는 제2날개부(224), 및 제1날개부(222)와 제2날개부(224)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날개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날개부(222) 및 제2날개부(224)의 하단은 각각 이웃하는 서로 다른 하향굴곡부(23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향날개부(220)가 제1날개부(222), 제2날개부(224) 및 연결날개부(226)를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향날개부(22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되되, 전술한 하향굴곡부(230)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하향굴곡부(230)의 단부 및 상향날개부의 단부는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향굴곡부(230)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상향날개부(220)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향굴곡부(230)와 상향날개부(220)는 측면 투영시 대략 파형(waveform)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222) 및 제2날개부(224)는 직선 및 곡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날개부(222) 및 제2날개부(224)는 단 하나의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가 단 하나 또는 복수개의 직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가 직선 및 곡선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미드솔(100)에 대한 상향날개부(220)의 배치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미드솔(100)에는 전술한 상향날개부(220)에 대응하는 자리홈(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향날개부(220)는 자리홈(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미드솔(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리홈(110)은 미드솔(100)의 성형시 함께 성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가공을 통해 자리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향날개부(220) 및 하향굴곡부(230)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향날개부(220)와 하향굴곡부(230)의 사이에는 보강리브(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40)는 상향날개부(220)와 하향굴곡부(230)의 사이에서 상향날개부(220)와 하향굴곡부(230)를 지지함으로써, 하중 발생시 상향날개부(220) 및 하향굴곡부(23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술한 지지부(210), 하향굴곡부(230) 및 상향날개부(220)가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처럼 설명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지지부(210), 하향굴곡부(230) 및 상향날개부(220)를 포함하는 보강부재(200)는 단일 공정에 의해 동시에 단일체(singl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전방부가 개구된 말굽형상(horseshoe-shaped)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 한번의 압착 공정에 의해 미드솔(10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부재가 분리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보강부재가 복수개로 분리된 경우에는 미드솔과 각 보강부재가 여러번에 걸친 압착 공정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보강부재는 말굽형상을 갖는 단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상향날개부(220)가 보강부재(200)의 전구간에 걸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부재의 특정 구간에만 부분적으로 상향날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향날개부는 보강부재의 후방부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드솔(100)의 좌,우 측면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보강부재(200)의 상향날개부(220)는 신발의 갑피 부분까지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을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신발의 착용감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행시에는 보강부재(200)가 미드솔(100)의 과도한 압축변형을 적절하게 억제시키는 강성을 부여함으로써, 미드솔(100)의 유연성을 조절하여 추진식 구름보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보행시에는 보강부재(200)의 하향굴곡부(230)가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착지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추진식(propelled) 구름보행이라 함은, 보행시의 충격흡수와 더불어 구(sphere)가 평면 위를 구르듯이 자연스럽고 능률적인 보행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솔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아웃솔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부재(200)의 하부에는 밑창판(40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아웃솔은 밑창판(400)의 하부에 적층되는 논슬립창(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아웃솔이 서로 다른 재질의 복수개의 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밑창판(400)은 높은 강도 및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논슬립창(500)은 슬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상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밑창판(400)의 저면은 논슬립창(50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보강부재(200)의 저면 중 일부는 밑창판(400)의 상면을 덮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200)의 저면 중 다른 일부는 논슬립창(50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아웃솔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반발탄성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방쿠션부(310) 및 후방쿠션부(32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웃솔의 전방부에는 미드솔(100)의 전방부 바닥면과 밀착되는 전방쿠션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쿠션부(31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방쿠션부(310)는 전방받침패드(312) 및 전방지지대(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받침패드(312)는 밑창판(40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관통부(4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미드솔(100)의 전방부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전방지지대(314)는 전방받침패드(312)의 주연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제공되며, 전방받침패드(312)와 밑창판(400)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전방지지대(314)는 전방받침패드(312)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며, 상기 전방받침패드(312)는 아웃솔의 바닥면보다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드솔(100)의 전방부 바닥면에는 전방받침패드(312)에 대응하는 전방받침부(120)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방받침패드(312)는 전방받침부(120)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전방받침부를 배제하고 전방받침패드가 미드솔의 전방부 바닥면을 직접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웃솔의 후방부에는 미드솔(100)의 후방부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후방쿠션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쿠션부(32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후방쿠션부(320)는 후방받침패드(322) 및 후방지지대(3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받침패드(322)는 밑창판(400)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관통부(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미드솔(100)의 후방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후방지지대(324)는 후방받침패드(322)의 주연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제공되며, 후방받침패드(322)와 밑창판(400)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후방지지대(324)는 후방받침패드(322)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며, 상기 후방받침패드(322)는 아웃솔의 바닥면보다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드솔(100)의 후방부 바닥면에는 후방받침패드(322)에 대응하는 후방받침부(130)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후방받침패드(322)는 후방받침부(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술한 밑창판(400), 전방받침패드(312), 전방지지대(314), 후방받침패드(322) 및 후방지지대(324)가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처럼 설명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밑창판(400), 전방받침패드(312), 전방지지대(314), 후방받침패드(322) 및 후방지지대(324)는 단일 공정에 의해 동시에 단일체(singl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바닥으로부터 후방쿠션부(320) 및 전방쿠션부(310)에 가해지는 하중 및 변형량을 고려하여 추진식 구름보행에 적합하도록, 상기 전방쿠션부(310)의 전방받침패드(312)는 후방쿠션부(320)의 후방받침패드(322)보다 상대적으로 미드솔(100)과의 접촉면적이 넓은 대신 배치되는 위치가 낮게 설정될 수 있고, 후방쿠션부(320)의 후방받침패드(322)는 전방쿠션부(310)의 전방받침패드(312)보다 상대적으로 미드솔(100)과의 접촉면적인 좁은 대신 배치되는 위치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행의 시작점이 되는 발뒷꿈치와 보행의 종결점이 되는 앞발 부분에 후방쿠션부(320)와 전방쿠션부(310)가 각각 제공되기 때문에, 보강부재(200)가 설치된 조건하에서도 발뒷꿈치로부터 앞발에 이르기까지 원호 형상의 보행경로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추진식 구름보행이 한층 더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발뒷꿈치가 지면과 맞닿는 보행의 시작 시점에서는, 미드솔(100)의 후방부가 후방쿠션부(320)의 상부에 제공된 간격만큼 인체의 하중에 의하여 1차적으로 눌려진 다음, 후방쿠션부(320)의 후방받침패드(322)를 하방으로 다시 누르게 되므로, 총 2차에 걸쳐 충격완화 및 보행추진기능에 필요한 압축변형 및 반발탄성이 제공되고, 앞발이 지면과 맞닿은 보행의 종결시점에서는 인체의 하중에 의하여 전방쿠션부(310)가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충격완화 및 보행추진기능을 마무리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는 아웃솔 및 밑창판의 절개부위(또는 관통부위)를 시각적으로 보다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아웃솔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미드솔 부위를 어두운 색으로 하여 아웃솔과 구분될 수 있게 하였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방받침패드가 단순히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과 후방받침패드 사이에 완충재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미드솔(100)의 후방부 바닥면과 후방받침패드(322) 사이에는 완충재(33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330)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완충재(330)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완충재(330)는 미드솔(100)보다 연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완충재(330)가 EVA(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완충재(330)가 적용된 구조에서는, 발뒷꿈치가 지면과 맞닿은 보행 초기시점에 원호상의 구름보행을 유도하는 압축변형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으며, 미드솔(100)과 후방쿠션부(320)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완충재(330)에 의하여 보행시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안정적인 추진식 구름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완충재가 후방받침패드에 대응되는 크기(면적)를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재가 후방받침패드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완충재가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으로부터 후방받침패드에 인접할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된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미드솔 200 : 보강부재
210 : 지지부 220 : 상향날개부
230 : 하향굴곡부 240 : 보강리브
310 : 전방쿠션부 320 : 후방쿠션부
400 : 밑창판 500 : 논슬립창

Claims (15)

  1. 미드솔(midsole);
    상기 미드솔의 하부에 제공되는 아웃솔(outsole); 및
    상기 미드솔 및 상기 아웃솔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미드솔 및 상기 아웃솔을 서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미드솔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되어(integratedly branched off)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향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굴곡부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외면은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미드솔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복수개의 상향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굴곡부는 상기 상향날개부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향날개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굴곡부는,
    제1굴곡부;
    상기 제1굴곡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굴곡부; 및
    상기 제1굴곡부 및 상기 제2굴곡부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굴곡부 및 상기 제2굴곡부는 각각 이웃하는 서로 다른 상기 상향날개부로부터 일체로 분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날개부는,
    제1날개부;
    상기 제1날개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날개부; 및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부의 하단은 상기 제2굴곡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날개부의 하단은 상기 제2굴곡부에 인접한 다른 상기 하향굴곡부의 상기 제1굴곡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에는 상기 상향날개부에 대응하는 자리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향날개부는 상기 자리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굴곡부 및 상기 상향날개부는 각각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하향굴곡부의 단부 및 상기 상향날개부의 단부는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날개부 및 상기 하향굴곡부가 상하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향날개부와 상기 하향굴곡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날개부는 상기 보강부재의 후방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전방부가 개구된 말굽형상(horseshoe-shaped)을 갖는 단일체(single body)로 형성되며, 단일 압착 공정에 의해 상기 미드솔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후방부에는 상기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후방쿠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하부에 제공되는 밑창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후방쿠션부는,
    상기 밑창판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관통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방받침패드; 및
    상기 후방받침패드와 상기 밑창판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후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지지대는 상기 후방받침패드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며, 상기 후방받침패드는 상기 아웃솔의 바닥면보다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판의 저면에는 논슬립창이 제공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저면 중 일부는 상기 밑창판의 상면을 덮도록 고정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저면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논슬립창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후방부 바닥면과 상기 후방받침패드 사이에 제공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전방부에는 상기 미드솔의 전방부 바닥면과 밀착되는 전방쿠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쿠션부는,
    상기 밑창판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관통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미드솔의 전방부 바닥면을 지지하는 전방받침패드; 및
    상기 전방받침패드와 상기 밑창판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전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대는 상기 전방받침패드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제공되며, 상기 전방받침패드는 상기 아웃솔의 바닥면보다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물품.
KR1020120087436A 2012-08-09 2012-08-09 기능성 신발물품 KR20130056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436A KR20130056814A (ko) 2012-08-09 2012-08-09 기능성 신발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436A KR20130056814A (ko) 2012-08-09 2012-08-09 기능성 신발물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317A Division KR101265080B1 (ko) 2011-11-22 2011-11-22 기능성 신발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814A true KR20130056814A (ko) 2013-05-30

Family

ID=4866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436A KR20130056814A (ko) 2012-08-09 2012-08-09 기능성 신발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68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03B1 (ko) * 2013-06-28 2014-01-08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KR101709953B1 (ko) * 2016-04-15 2017-02-27 (주)지원에프알에스 보행 안정감이 향상된 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03B1 (ko) * 2013-06-28 2014-01-08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WO2014208962A1 (ko) * 2013-06-28 2014-12-31 (주)지원에프알에스 기능성 신발물품
KR101709953B1 (ko) * 2016-04-15 2017-02-27 (주)지원에프알에스 보행 안정감이 향상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521B2 (en) Sole structure for shoes and shoe with the sole structure
EP2877053B1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615901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hock absorbing heel system
JP5175340B2 (ja) 靴用の支援プレート具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US945180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members
US20180140040A1 (en) Shoe Insole
US20140202031A1 (en)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display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KR101380100B1 (ko) 신발 밑창
JP6630306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EP2848146A1 (en) Functional shoe article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KR10126508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48703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166572B1 (ko) 신발창
JPH0747003A (ja) 靴 底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319821B1 (ko) 신발창
KR101253208B1 (ko) 경량성을 갖는 고탄성 구조의 신발물품
KR20100056052A (ko) 신사화에 소프트한 큐션을 제공하는 속창
KR10162591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20130056814A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9584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352091B1 (ko) 고탄성을 갖는 경량 신발물품
KR200458358Y1 (ko)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