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575B1 -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 Google Patents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575B1
KR101005575B1 KR1020100024726A KR20100024726A KR101005575B1 KR 101005575 B1 KR101005575 B1 KR 101005575B1 KR 1020100024726 A KR1020100024726 A KR 1020100024726A KR 20100024726 A KR20100024726 A KR 20100024726A KR 101005575 B1 KR101005575 B1 KR 101005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eel
midsole
sol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주) 거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거림케미칼 filed Critical (주) 거림케미칼
Priority to KR102010002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뒤꿈치에 완충장치를 설치한 신발 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창을 구성하는 미드솔은 앞창과 뒤꿈치 창이 서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되, 전체의 몸체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으로 한 연질 뒤꿈치 창을 형성하고, 상기 뒤꿈치 창과 착용자의 뒤꿈치가 대응되는 중심부에 코일 스프링이 매립되도록 설치하여 뒤꿈치 창과 앞창을 접착하고, 미드솔 상면에 인솔을 접착하고 미드솔 저면에 아웃솔을 접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관절환자에게 제공함은 물론 관절이 약한 환자, 다리의 길이가 미세하게 차이가 나는 사람들이 착용시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연질의 뒤꿈치 창과 코일 스프링의 완충작용에 의해 흡수하게 되므로 관절에 충격이 가지지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보행습관의 잘못으로 인하여 척추의 휨과 고관절에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Joint protection middle sole of sole shoe}
본 발명은 신발의 미드솔 뒤꿈치에 완충장치를 설치한 신발 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 우측 발 길이가 미세하게 차이 나는 사람, 관절염환자, 관절이 약한 사람 등이 의사의 처방에 따라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신발의 미드솔을 앞창과 뒤꿈치 창으로 분리구성한 후 뒤꿈치 창 전체를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하되 뒤꿈치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완충장치를 매설하여 환자가 보행시 하중에 대한 수직 및 전후·좌우충격을 흡수토록 함으로 발목관절 또는 무릎관절, 고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발의 길이 차이에 의해 한쪽 다리로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충장치를 갖는 신발 창은 별도의 기구적인 장치에 의해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즉, 완충장치로서는 에어 튜브를 이용한 쿠션장치, 스프링을 이용한 쿠션장치, 뒤꿈치 창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쿠션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으나, 기존의 이러한 쿠션장치들은 신발창과는 관계없이 신발창에 설치된 쿠션장치에 의해 쿠션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장치가 뒤꿈치 창과 쿠션이 일체화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신발의 뒤꿈치 창의 쿠션과 이에 설치된 쿠션장치가 일체형으로 완충작용이 일어나지 못하고, 설치된 완충장치의 쿠션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완충장치는 신발 사용자의 체중과 보행습관에 적합하게 완충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성인이 보행시 하중에 의해 기계적인 작동으로 쿠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신발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각자 체형에 알맞는 신발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장애요소를 갖는 특수 환자 이외에는 통상적인 관절환자 들이 본인의 신체적인 체형에 알맞는 신발을 선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 또한, 완충장치를 갖는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0238273호(선행기술 1)의 판 스프링이 내장된 신발 밑창은 후방부에 공간부(23)가 형성되어져 탄성부재가 내장된 신발 밑창(2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전방부가 경사면을 이루며 절곡 형성되어져 상단의 안착부(12)와 하단 고정부(18)의 사이에는 후방부가 내측으로 다시 2중으로 절곡 형성된 제 1탄지부(14)와 중간부에 상기 안착부(12)를 탄지하는 제 2탄지부(16)가형성되어져 이루어진 신발 밑창은 제1 탄지부와 제2탄지부에 의해 쿠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1은 정상적인 성인이 착용할 경우에는 보행시에는 완충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관절이 약한 어린환자나 노인들은 성인과 달리 걸음 것이가 불편하고 체중에 따른 하중이 다르므로 탄성 부재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환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서 강약조절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도1참조)
b)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259487호(선행기술 2)의 기능성 신발은 일단은 신발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신발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24,26)가 형성된 신발밑창(20)과, 상기 공기통로(24,26) 상에 설치되는 에어펌프(30)와, 상기 공기통로(24,26)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에어펌프(30)에 결합되는 흡입밸브(38) 및 배출밸브(39)와, 상기 신발밑창(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중창(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신발내부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된 통풍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밑창(20)의 에어펌프(30)에 대응되는 바닥면에는 관통공(28)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펌프(30)의 하측에는 그 하단부가 신발밑창(20) 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관통공(28)에 끼워지는 가압부재(60)가 구비되어, 보행시 상기 가압부재(60)가 지면에 닿아 상기 에어펌프(30)를 가압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이 제공되었으나, 선행기술 2 역시 에어펌프를 하중으로 누르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나, 노약자들의 경우에는 보행시 누르는 힘이 각각 상이함으로 에어펌프의 펌핑력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관절환자의 다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도2참조)
c) 또 다른 선행기술 제10-0766217호(선행기술 3)의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은 걸음걸이 교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충격흡수기능도 가지며 밑창의 불균등한 마모를 완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기술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연질의 전방미드솔과 상기 전방미드솔 하면에는 전방아웃솔이 형성되어 전족부를 이루고, 상기 전방미드솔의 상면과 연결되어 후족부를 구성하는 경질의 후방미드솔로 구성되는 메인밑창과; 탄성체의 저면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후방아웃솔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의 상면에는 상기 후방미드솔의 저면에 연결하기 위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속돌기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보조밑창과; 상기 후방미드솔 하부면에 상기 구속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홈들의 중심부에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체결을 위해 후방미드솔 상부면까지 천공되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결합좌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밑창에 대해 보조밑창을 사용자의 걸음걸이 특성에 맞게 결합위치를 변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3은 일반 성인이 보행 때 잘못된 걸음걸이 습관에 의하여 발 뒤꿈치가 지면에 닿을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보정할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사람의 걸음걸이 형태와 체중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서 보조밑창의 완충정도가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선행기술 3이 관절염환자나, 노약자의 다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체중과 보행습관에 따라서 일일히 별도제작하여야만 효과를 볼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완충력을 갖는 맞춤 신발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도3참조)
상기 선행기술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신발 뒤축에 설치되는 완충장치는 그 형태만 서로 상이할 뿐 뒤꿈치 창의 쿠션과 관계없이 중앙부 또 는 밑바닥에 공간 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 내에 별도의 완충장치를 내설하여 보행시 사람의 체중에 의하여 완충장치가 공간부 내에서 쿠션작용을 갖도록 구성 됨으로서 뒤꿈치 창의 쿠션과는 별개로 완충장치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 모든 신발이 착용자의 체중과 걸음걸이의 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제조됨으로 관절이 약한 사람들에게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의 미드솔을 앞창과 뒤꿈치 창으로 분리구성하되 뒤꿈치 창의 전체 재질을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하고 뒤꿈치 창의 중심부에 뒤꿈치 창의 몸체와 일체로 탄발될 수 있는 완충장치를 매립설치하여 사용자의 하중에 대응되는 완충작용이 일어나 발목, 무릎, 고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보조보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뒤꿈치 창과 스프링의 완충작용이 일체화되도록 함으로 남녀노소 각 체중과 걸음걸이의 형태에 대응되는 각도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작용이 일어나므로 잘못된 걸음걸이에 의한 척추의 휨을 방지하고 잘못된 걸음걸이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인솔, 미드 솔, 아웃 솔로 신발 창이 이루어지고, 상기 신발 창을 구성하되 미드 솔은 앞창과 뒤꿈치 창으로 구성하여 뒤꿈치 창의 뒤꿈치 중심부분에 완충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신발 창 중에서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미드솔을 앞창과 뒤꿈치 창으로 분리 구성하되 앞창은 기존의 신발 재질로 구성하고 뒤꿈치 창은 폴리우레탄에 기공이(미세 구멍)이 들어 있는 우레탄 폼을 형성하되 이의 원료는 폴리에테르폼을 사용하여 유연성이 좋은 연질 폼 수지액이 되도록 하여 뒤꿈치 창의 성형틀에 부어 성형한다. 이때 뒤꿈치 창의 중심부에는 코일형 스프링을 성형틀에 위치시킨 후 폴리에테르폼 수지액을 부어 뒤꿈치 창을 성형함으로 연질로 이루어진 뒤굼치 창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수축된 후 뒤꿈치 창과 스프링의 탄발이 일체로 이루어져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폼제의 우레탄폼을 별도로 제조하여 연질 우레탄 폼을 제공함으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쿠션이 발생되는 동시에 뒤꿈치 창 중심축에 매립된 스프링이 우레탄 폼의 수축과 탄발력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완충작용을 갖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뒤꿈치 창을 전체적으로 연질로 하고 사용자의 뒤꿈치와 대응되는 뒤꿈치 창 중심부에 완충장치인 코일 스프링을 매립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지시 전후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발목관절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시 뒤꿈치 창의 쿠션과 코일 스프링의 탄발에 의해 뒤꿈치를 밀어 줌으로 보조보행 작용을 갖도록 한 관절 보호를 위한 신발 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 미드솔을 앞창과 뒤꿈치 창으로 분리구성하되 뒤꿈치 창의 전체 재질을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하고 착용자의 뒤꿈치와 대응되는 뒤꿈치 창의 중심부에 뒤꿈치 창과 일체로 탄발될 수 있는 완충장치를 매립설치하여 사용자의 하중에 대응되는 완충작용이 일어나 발목, 무릎, 고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뒤꿈치 창과 스프링의 완충작용이 일체화되도록 함으로 남녀노소 각 체중과 걸음걸이의 형태에 대응되는 각도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잘못된 보행에 의한 자세를 교정하고 척추의 휨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신발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 창에 판 스프링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기능성 신발로서 신발 창에 설치된 에어 펌핑장치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수축 및 탄발될 수 있도록 된 단면도.
도3은 종래의 신발 창에 걸음걸이 교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신발 창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신발 창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미드솔과 아웃솔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착용자가 보행시 착지의 힘이 내측으로 쏠리는 경우의 예시도.
도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착용자가 보행시 착지의 힘이 외측으로 쏠리 는 경우의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신발 창이 설치된 도면대용 실물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솔, 미드 솔, 아웃 솔로 신발 창이 이루어지고, 상기 신발 창의 미드솔 뒤꿈치 부분에 완충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미드솔(10)은 앞창(11)과 뒤꿈치 창(12)이 서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되, 전체를 연질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으로 뒤꿈치 창(12)을 형성하고,
상기 뒤꿈치 창(12)과 착용자의 뒤꿈치가 대응되는 중심부에 코일 스프링(13)이 매립되도록 설치하여 뒤꿈치 창과 앞창을 접착하고 미드솔 상면에 인솔을 접착하고 미드솔 저면에 아웃솔(20)을 접착하여 신발 창(1)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꿈치 창은 앞창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를 경사면으로 형성하되 이의 경사면은 파형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꿈치 창에 매립되는 스프링은 철사 굵기 4∼4.5㎜, 직경 45∼50φ, 높이 35㎜의 규격을 매립하여 뒤꿈치 창과 일체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드솔을 구성하는 뒤꿈치 창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N=C=O) 및 분자의 말단에 -OH기를 2개 이상 가진 폴리올로 이루어진 원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 폴리에스테르, EV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소재가 석유유래 유기용매 또는 메틸에틸케톤에서 선택되는 유기용매에 용해된 강도개선용 액상 조성물 30 내지 70 중량부를 추가 첨가한 액상을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뒤꿈치 창 성형 틀에 부어 건조 및 경화하여 연질 폴리 우레탄 폼의 뒤꿈치 창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드솔의 뒤꿈치 창은 폴리 우레탄 액상을 남자의 경우 신발규격 250∼255㎜에 60g, 260∼265㎜에 70g, 270∼275㎜에 80g, 280㎜에 90g을 성형틀에 넣고, 여자의 경우 신발규격 225∼230㎜에 55g, 235∼240㎜에 60g, 245∼250㎜에 70g을 넣어 뒤꿈치 창을 성형함으로 신발의 규격에 따라서 뒤꿈치 창의 연질 강도를 달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미드솔(10)의 뒤꿈치 창(12)은 폴리에테르계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뒤꿈치 창을 성형 함으로서 연질의 뒤꿈치 창을 제공하여 뒤꿈치 창의 전체적 부분에서 완충작용과 쿠션작용을 가지므로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구분없이 착용자의 체중에 대응되는 완충작용을 가지므로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신발 창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신발 창(1)을 구성하기 위해 미드솔(10)과 아웃솔(20), 인솔로 구성하되, 상기 인솔과 아웃솔은 통상의 신발에서 사용하는 재질을 사용하여 성형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미드솔(10)에 관한 것으로 미드솔(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앞창(11)과 뒤꿈치 창(12)을 분리 구성하여 각각 성형한다.
상기 분리 성형되어 접착 결합되는 미드솔(10)의 앞창과 뒤꿈치 창의 연결부(14)는 각각 "
Figure 112010080586316-pat00001
"형의 파형 경사면(15)을 형성하여 서로 중첩되어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4)의 파형 형상으로 된 경사면(15)은 뒤꿈치 창의 경사면(15)이 앞창의 경사면(15)에 올려져 중첩되는 형상으로 접착된다. 이와 같이 뒤꿈치 창(12)이 앞창(11)에 올려지도록 중첩되는 것은 뒤꿈치 창(12)의 높이가 높고 앞창(11)의 높이 낮은 관계로 착용자가 보행시 뒤꿈치를 지면에 착지한 후 발바닥으로 중심이 이동되기 때문에 미드솔의 연결부(14)에 전달되는 전단력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완충부가 발바닥의 오목부 입구까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오목부의 입구란 뒤꿈치에서 발바닥 방향으로 하여 오목부가 시작되는 분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미드솔을 구성하는 뒤꿈치 창(12)은 소프트한 재질을 사용하기 위해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을 선택하였다.
상기 뒤꿈치 창을 연질 재질로 성형하기 위한 제조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드솔을 구성하는 뒤꿈치 창을 성형하기 위해 먼저, 폴리이소시아네이트(-N=C=O) 및 분자의 말단에 -OH기를 2개 이상 가진 폴리올로 이루어진 원료조성물 선택하는 단계,
상기 2개 이상 가진 폴리올로 이루어진 원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 폴리에스테르, EV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소재가 석유유래 유기용매 또는 메틸에틸케톤에서 선택되는 유기용매에 용해된 액상 조성물 30 내지 70 중량부를 추가 첨가하여 폴리 우레탄 액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드솔(10) 형상으로 형성된 성형 틀 뒤꿈치 중심부 위치에 코일 스프링(13)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액상을 뒤꿈치 창 성형 틀에 부어 건조 및 경화하는 단계;
상기 경화되어 미드솔(10) 형상으로 성형된 폴리우레탄 폼을 성형틀에서 탈형시켜 모서리를 다듬어 미드솔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우레탄 결합(Urethane Bond)은 활성 수산기 (-OH)를 갖고 있는 알콜과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갖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가 부가중합 반응 (Addition Polycmrization Reaction)에 의해 반응열을 발생시키면서 형성된다. 즉,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 Group)를 가지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류와 1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갖는 알콜류를 다관능기 (Polyfunctional)라고 하며 관능기가 적정조건 하에서 고온의 열을 발산시키면서, (-NHCOO-)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질을 생성시키는데 이것을 우레탄 결합(Uolyurethanc)이라고 하고, 1000이상의 분자가 결합된 것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우레탄계 합성고무에는 스펀덱스가 있으며, 우레탄계 합성고무에는 연질, 반경질, 경질 등의 폴리에스테르계와 폴리에테르계로 구분된다. 통상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프로필렌글리콜과 에틸렌글리콜을 아디프산과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로 만들고, 양단에 OH기를 가진 분자량 3,000까지의 것을 나프탈렌-1, 5-디이소시안산으로 우레탄화시킴과 동시에 고분자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연질경질의 차이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보다 저발포성 재질이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인장력과 경도가 높고 완성제품에 주로 쓰인다.
반면에, 본 발명의 뒤꿈치 창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고발포성 재질로서, 각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재료이고, 그의 적용 분야는 보다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로 이루어진 원료조성물을 혼합 반응하는 우레탄 반응 공정에, 액상의 조성물이 첨가되어 발포된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은 상기 원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액상 조성물 30 내지 70 중량부가 첨가되어 발포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은 액상 고무, 액상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이하 "EVA"라고 한다) 액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1종 이상을 사용하여 미드솔의 소재로 사용하였다.
또한, 미드솔의 뒤꿈치 창과 연결되는 앞창 역시 폴리 우레탄 소재로 성형틀에서 성형하되 앞창은 통상의 신발창의 우레탄재질로 성형하여 경질의 창을 성형한다.
상기 앞창도 뒤꿈치 창과 연결되는 연결부(14)가 "
Figure 112010080586316-pat00002
"형의 파형 경사면(15)으로 이루어져 서로 중첩되도록 하며 앞창의 경사면은 뒤꿈치 창의 경사면 하부에 위치하여 접착되어 미드솔(10)을 형성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신발 창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앞창과 뒤꿈치 창을 접착하여 미드솔을 구성하고, 미드솔의 저면에는 아웃솔(20)을 접착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신발 창은 미드솔과 아웃솔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상면의 경사 각도와 측면에서 보는 두께 등 외형적인 구성은 통상의 신발 창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도5와 같이 결합된 미드솔의 상부 표면에서는 뒤꿈치 창에 매립된 코일 스프링은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미드솔과 아웃솔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미드솔(10)은 앞창과 뒤꿈치 창이 연결되는 연결부(14)가 "
Figure 112010080586316-pat00003
"형의 파형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뒤꿈치 창의 경사면이 앞창의 경사면에 올려져 중첩된 상태로 접착된다.
또한, 상기 뒤꿈치 창(12)의 중심부에는 코일 스프링이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3)은 미드솔(10) 성형시 성형틀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액상의 수지가 투입되어 경화된 후 탈형 되므로 뒤꿈치 창(12)과 코일 스프링(13)은 공간부 없이 서로 일체화로 형성되어 사용시 수축 및 탄발이 일체성을 갖게 된다.
상기 뒤꿈치 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신축성이 부드럽다.
본 발명의 뒤꿈치 창은 연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신축성의 정도를 신발의 규격 별로 달리하여 여자 어린이와 성인, 남자 어린이와 성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 표 1및 표2와 같다.
구 분 250∼255㎜ 260∼265㎜ 270∼275㎜ 280㎜
60g 70g 80g 90g
구 분 225∼230㎜ 235∼240㎜ 245∼250㎜
55g 60g 70g
상기 표1과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뒤꿈치 창의 연질에 대한 강도를 체중에 따라 달리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액을 성형틀에 넣을 때 일례로 여자의 신발 250∼255㎜의 규격인 경우에는 55g을 넣고 성형하면 성형되는 과정에서 적은 양이 넓은 공간에 내장되어 가열 성형됨으로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소프트한 연질로 이루어지고, 발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당연히 신발이 크고 체중이 많이 나가게 됨으로 245∼250㎜를 착용하게 되고 이의 뒤꿈치 창을 성형시에는 폴리우레탄 용액 70g을 성형틀에 넣고 가열 성형함으로 팽창이 덜 일어나므로 250∼255㎜의 55g 때보다 단단한 연질로 성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발을 제조시 남자의 경우 250∼255㎜, 260∼265㎜, 270∼275㎜, 280㎜의 규격으로 나누고, 여자의 경우 225∼230㎜, 235∼240㎜, 245∼250㎜의 규격으로 나누어 뒤꿈치 창의 연질 강도를 달리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발 크기에 따라서 뒤꿈치 창의 연질강도를 달리하므로 발이 커 체중이 많이 나가면 뒤꿈치 창은 수축강도가 연질의 강도가 강한 재질을 사용하고 발 크기가 작은 사람이 사용하는 작은 규격의 신발 뒤꿈치 창에는 연질이 더욱 소프트하게 제작됨으로 착용자는 남녀노소 모두 본인에 적합한 쿠션을 갖는 신발을 선택하여 착용하게 된다.
또한 어린이들과 같이 체중이 30㎏ 이하일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을 설치할 필요없이 연질 뒤꿈치 창만을 제작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뒤꿈치 창에 매설되는 코일 스프링은 남자의 경우 철사 굵기 4.5㎜, 스프링 원지름 50φ, 높이 35㎜를 모든 신발 규격에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여자의 경우 철사 굴기 4㎜, 스프링 원지름 45φ, 높이 35㎜를 사용하였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뒤꿈치 창 중심부에 매립되어 뒤꿈치 창과 함께 수축과 탄발작용을 하며, 보행시 착지후 보행을 위해 발을 뛸 때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밀어 보행보조 역할을 함으로 보다 더 걸음걸이가 가볍고 부드럽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13)은 신발의 사용시간이 오래 경과 함에 따라서 뒤꿈치 창의 탄력성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성인의 경우에는 연질 폴리우레탄 폼으로만 된 미드솔이 쉽게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뒤꿈치 창의 수명을 오래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3)은 상기에서 그 규격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이 강한 것이 아니라 미드솔의 수축력보다 3∼5배의 수축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13)을 사용하여 성인부터 어린이까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어린이는 10세 이상을 말하는 것이며, 10세 이하일 경우에는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보행시 관절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신발에 본 발명을 적용할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본 발명의 미드솔(10)이 수축되는 정도는 상기 표1과 표2와 같이 제조되어 성인과 어린이는 다른 수축력으로 나타나 뒤꿈치 창(12) 전체를 폴리우레탄 폼으로 성형함으로서 어린이와 노약자도 부드러운 쿠션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뒤꿈치 창은 연질의 폴리우레탄 폼으로 전체를 형성하고 중심부에 코일형태의 스프링(13)이 매립되도록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 신발 착용자가 발을 착지시 전후 좌우로 편중 착지 되더라도 그 착지 방향의 각도에 관계없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관절 등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뒤꿈치 창에서 흡수하게 된다.
도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착용자가 보행시 착지의 힘이 내측으로 쏠리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착용자가 보행시 착지의 힘이 외측으로 쏠리는 경우의 예시도 이다.
본 발명의 미드솔(10)을 구성하는 뒤꿈치 창(12)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착용자가 발을 착지시 내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바닥면을 중심으로 상부면과 코일 스프링이 내측으로 수축되고, 착용자가 발을 착지시 외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도7b와 같이 바닥면이 수평인 상태에서 뒤꿈치 창의 상부면과 코일 스프링은 외측으로 수축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보행습관이 어느 방향으로 편중되어 착지 되더라도 뒤꿈치 창과 스프링이 수축되어 완충작용을 함으로 착지시 가해자는 충격이 관절 등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보행습관이 올바른 사람의 경우에는 발이 지면에 착지시 뒤꿈치가 먼저 지면에 닿은 후 구르듯이 발바닥으로 지면에 접촉되면 다리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되어 관절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나, 보행습관이 잘못된 사람은 발의 뒤꿈치가 지면에 착지되는 순간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지면에 닿은 후 발바닥이 지면에 닿게 됨으로 발바닥의 전체 부분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면과 접촉되면서 체중이 가해지므로 보행자는 발목관절, 무릎관절, 고관절에 편중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보행시 일측으로 편중되어 착지하면서 보행하면 우리 몸의 중추 신경이 균형을 잡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반작용을 갖게 됨으로 척추에 휨이 발생되어 디스크의 원인이 되며, 또한 고관절에 편중된 힘이 가해서 골반이 비뚫어 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원 발명의 뒤꿈치 창은 이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자동차에서 지면이 기울어 있다 하더라도 차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차체는 수평으로 균형이 유지되어 주행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도8은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아웃솔이 설치된 도면대용 실물 사진 로서, 신발의 미드솔 중 뒤꿈치 창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품을 생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미드솔을 형성하는 뒤꿈치 창을 일부 절개하여 코일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대용 실물 사진으로서, 이는 뒤꿈치 창을 성형틀에서 성형시 코일 스프링이 뒤꿈치 창 중심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뒤꿈치 창의 중심부에 매립되는 코일 스프링은 폴리우레탄 폼과 일체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하중에 의하여 수축시 스프링과 뒤꿈치 창이 일체로 수축되도록 하고 탄성시에도 일체로 탄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노약자는 물론 관절이 약한 환자, 다리의 길이가 미세하게 차이가 나는 사람들이 착용시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연질의 뒤꿈치 창과 코일 스프링의 완충작용에 의해 흡수하게 됨으로 관절에 충격이 가지지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보행습관의 잘못으로 인하여 척추의 휨과 고관절에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시 수축되었던 코일 스프링과 뒤꿈치 창이 일체로 탄발되면서 뒤꿈치 저면을 밀어주게 되므로 보행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노약자 또는 일반성인이 장시간 보행하더라도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관절환자에게 제공함은 물론 일반인들이 평소에 착용하여 관절과 다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1:신발 창 10:미드솔
11:앞창 12:뒤꿈치 창
13:코일 스프링 14:연결부
15:경사면 20:아웃솔

Claims (6)

  1. 신발창은 인솔, 미드솔, 아웃솔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드솔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 고무, EVA 중 어느 하나의 쿠션 소재로 형성하고 뒤꿈치 부분에 완충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쿠션 소재로 이루어진 미드솔(10)은 앞창(11)과 뒤꿈치 창(12)이 서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되, 뒤꿈치 창은 착용자의 발 뒤꿈치가 대응되는 뒤꿈치 창(12)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매립되도록 코일 스프링(13) 설치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매립 설치된 뒤꿈치 창과 앞창은 상호 연결되는 일측 단부를 경사면으로 형성하되 이의 경사면은 파형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연결부를 접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24726A 2010-03-19 2010-03-19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KR101005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26A KR101005575B1 (ko) 2010-03-19 2010-03-19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726A KR101005575B1 (ko) 2010-03-19 2010-03-19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575B1 true KR101005575B1 (ko) 2011-01-05

Family

ID=4361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726A KR101005575B1 (ko) 2010-03-19 2010-03-19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5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12U (ko) * 1998-06-15 2000-01-25 유부열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중창
KR200229896Y1 (ko) 2000-09-22 2001-07-04 김현수 쿠숀 신발창
KR20020029896A (ko) * 1999-07-05 2002-04-20 베르너 클로케만 에틸렌 디아민을 사용한, 트리에틸렌 디아민의 제조 방법
KR20030051578A (ko) * 2003-06-11 2003-06-25 주식회사 대영테크 덮개가 부설된 포장용기의 다면 인쇄장치
KR200351578Y1 (ko) * 2004-02-19 2004-05-27 전성근 다기능 신발
KR100518307B1 (ko) * 2005-02-16 2005-09-29 심보용 신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12U (ko) * 1998-06-15 2000-01-25 유부열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중창
KR20020029896A (ko) * 1999-07-05 2002-04-20 베르너 클로케만 에틸렌 디아민을 사용한, 트리에틸렌 디아민의 제조 방법
KR200229896Y1 (ko) 2000-09-22 2001-07-04 김현수 쿠숀 신발창
KR20030051578A (ko) * 2003-06-11 2003-06-25 주식회사 대영테크 덮개가 부설된 포장용기의 다면 인쇄장치
KR200351578Y1 (ko) * 2004-02-19 2004-05-27 전성근 다기능 신발
KR100518307B1 (ko) * 2005-02-16 2005-09-29 심보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601B2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US6684532B2 (en)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6487796B1 (en) Footwear with lateral stabilizing sole
EP2133000B1 (en) Shoe with insole
US20040221483A1 (en) Footwear midsole with compressible element in lateral heel area
US20100242305A1 (en) Therapeutic cushioned sole
CA2073271A1 (en) Removeable innersole for footwear
US8161667B2 (en) Elastic sole and its shoes having elastic reaction force and shock absorption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AU2010299605A1 (en) Multilayer insole to be fitted in footwear and the like
KR101005575B1 (ko) 관절 보호 미드솔을 갖는 신발 창
KR102411795B1 (ko) 발이 편한 기능성 인솔
KR101059393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CN104780799A (zh) 鞋类物品
JPS61154503A (ja) ミツドソ−ル
KR101497819B1 (ko) 발지압용 쿠션부재
KR102379749B1 (ko) 경도가 상이한 듀얼 솔 구조를 구비한 슬리퍼
EP3970549A1 (en) Shoe insole
JPH0347527Y2 (ko)
JP3049696U (ja) アーチパッドを有する靴中敷き
KR101201986B1 (ko)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101260927B1 (ko) 2중 쿠션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CN220916713U (zh) 一种具有加强结构的矫正塑型鞋垫
CN218418654U (zh) 减震垫及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