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205A - 삼단 쿠션신발창 - Google Patents

삼단 쿠션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205A
KR20100014205A KR1020090094704A KR20090094704A KR20100014205A KR 20100014205 A KR20100014205 A KR 20100014205A KR 1020090094704 A KR1020090094704 A KR 1020090094704A KR 20090094704 A KR20090094704 A KR 20090094704A KR 20100014205 A KR20100014205 A KR 2010001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ole
groove
primary
so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406B1 (ko
Inventor
강대성
성필규
Original Assignee
(주) 비더플러스
엠케이 엔터프라이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더플러스, 엠케이 엔터프라이즈 엘티디 filed Critical (주) 비더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9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406B1/ko
Priority to PCT/KR2009/006245 priority patent/WO2011043507A1/ko
Publication of KR2010001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단 쿠션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창본체의 뒤축부분에 경도가 각기 다른 1, 2차쿠션을 차례로 부착하여 삼단으로 우수한 쿠션을 발휘하도록 하고, 신발창본체에 설치되는 생크를 전후방생크로 분리구성한 뒤에 전후방생크가 마주 대하는 부분에 각기 핑거부와 골부분이 반복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를 형성하며, 이들 전후방생크의 끼움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핑거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발바닥의 경혈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창본체(2)에 생크가 매설되고, 신발창본체(2)의 후방 저면에 하측이 개방되는 쿠션홈(3)이 형성되며, 그 쿠션홈(3)에 쿠션재가 부착 설치된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신발창본체(2) 보다 낮은 경도로 형성되는 2차쿠션(5)과, 2차쿠션(5)보다 경도가 낮은 1차쿠션(4)으로 분리 형성되며, 쿠션홈(3)의 저면에 1차쿠션(4)이 개재된 상태에서 2차쿠션(5)이 부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생크는 전후방생크(9,10)로 분리 형성되며, 전후방생크(9,10)가 마주대하는 부분에는 각기 핑거부(13)와 골부분(14)이 교대로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15)가 형성되며, 이들 전후방생크(9,10)의 끼움부(15)가 신발창본체(2)의 내측에서 서로가 틈새를 두고 끼워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창, 신발창본체, 삼단쿠션, 전후방생크, 핑거부, 골부분, 끼움부

Description

삼단 쿠션신발창{Shoe with 3-layer type cushion sole}
본 발명은 삼단 쿠션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창본체의 뒤축부분에 경도가 각기 다른 1, 2차쿠션을 차례로 부착하여 삼단으로 우수한 쿠션을 발휘하도록 하고, 신발창본체에 설치되는 생크를 전후방생크로 분리구성한 뒤에 전후방생크가 마주 대하는 부분에 각기 핑거부와 골부분이 반복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를 형성하며, 이들 전후방생크의 끼움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핑거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발바닥의 경혈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창에 쿠션을 제공하는 것은 주로 신발창의 뒤축에 에어백이나, 신발창 보다 부드러우면서 탄력이 있는 합성수지체 등의 쿠션부재를 설치하여 신발창이 발바닥을 부드럽게 지지하면서 보행중에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1차로 완화시킴과 더불어, 신발창보다 부드러우면서 쿠션이 우수한 쿠션부재로서 2차로 충격을 완화시켜 2단쿠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2단으로 쿠션을 제공하는 신발창은 쿠션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신발창보다는 우수한 쿠션력을 발휘하나, 3단으로 쿠션체를 형성하는 것보다는 쿠션 이 처지는 이쉬움이 있는데, 현제까지는 3단으로 쿠션을 제공하는 신발창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신발창에 설치되는 생크(경질지지대)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신발창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뒤축이 둥글게 형성된 호형신발창에서는 뒤축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생크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서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신발창의 내부에 매설하거나 신발창의 상면에 부착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생크는 신발창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과 신발창의 뒤축이 처지지 않도록 하는 단순한 기능을 하는 미흡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창본체의 후방 하측에 신발창본체 보다 경도나 낮은 1, 2차쿠션을 설치하되, 1차쿠션은 2차쿠션 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하면서 신발창본체의 저면과 2차쿠션의 저면을 신발창본체 보다 질긴 논슬립창으로 커버하여 신발창의 뒤축부분에 우수한 삼단의 쿠션을 제공함과 더불어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는 2차쿠션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신발창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생크를 전후방생크로 분리구성한 뒤에, 전후방생크가 마주 대하는 부분에 각기 핑거부와 골부분이 반복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를 형성하며, 이들 전후방생크의 끼움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핑거부에 형성된 돌기부가 발바닥의 경혈점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창본체에 생크가 매설되고, 신발창본체의 후방 저면에 하측이 개방되는 쿠션홈이 형성되며, 그 쿠션홈에 쿠션재가 부착 설치된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신발창본체 보다 낮은 경도로 형성되는 2차쿠션과, 2차쿠션보다 경도가 낮은 1차쿠션으로 분리 형성되며, 쿠션홈의 저면에 1차쿠션이 개재된 상태에서 2차쿠션이 부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생크는 전후방생크로 분리 형성되며, 전후방생크가 마주대하는 부분에는 각기 핑거부와 골부분이 교대로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가 형성되며, 이들 전후방생크의 끼움부가 신발창본체의 내측에서 서로가 틈새를 두고 끼워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삼단 쿠션신발창은, 신발창본체의 후방 하측에 신발창본체 보다 경도나 낮으면서 서로의 경도가 다른 1, 2차쿠션을 설치하면서 신발창본체의 저면과 2차쿠션의 저면을 신발창본체 보다 질긴 논슬립창으로 커버하여 신발창의 뒤축부분에 삼단의 우수한 쿠션을 제공하는 효과와, 경도가 낮은 2차쿠션의 마모를 방지함과 더불어 신발창본체와 2차쿠션과의 접합부를 보호하여 신발창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신발창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생크가 전후방생크로 분리 형성된 상태에서 이 전후방생크가 마주 대하는 부분에 손 형태로 형성되는 끼움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설치되어서, 이 신발창이 설치된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전후방측의 핑거부가 상측으로 솟아오르면서 발바닥의 경혈점을 자극하여 발건강에 두움을 주게 되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삼단 쿠션신발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1)은 통상 쿠션을 지닌 고무재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성형한 신발창본체(2)에 생크가 매설되고, 신발창본체(2)의 후방측 저면에 하 측이 개방되는 쿠션홈(3)이 형성되며, 그 쿠션홈(3)에 쿠션재가 부착 설치된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의한 신발창(1)에 설치되는 쿠션재는 신발창본체(2) 보다 낮은 경도로 형성되는 2차쿠션(5)과, 2차쿠션(5) 보다 경도가 낮은 1차쿠션(4)으로 분리 형성되며, 쿠션홈(3)의 저면에 1차쿠션(4)이 개재된 상태에서 2차쿠션(5)이 부착 설치된다.
즉, 신발창본체(2)와 2차쿠션(5) 보다 경도가 낮은 1차쿠션(4)은 신발창본체(2)의 쿠션홈(3) 저면과 2차쿠션(5)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도 1에서는 2차쿠션(5)의 상면에 상면홈(6)을 형성하여 1차쿠션(4)의 저면이 상면홈(6)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 설치고, 상기 신발창본체(2)와 2차쿠션(5)의 저면에 논슬립창(8)이 부착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생크는 전후방생크(9,10)로 분리 형성되며, 전후방생크(9,10)가 마주 대하는 부분에는 각기 핑거부(13)와 골부분(14)이 교대로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15)가 형성되며, 이들 전후방생크(9,10)의 끼움부(15)가 신발창본체(2)의 내측에서 서로가 틈새를 두고 끼워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핑거부(13) 상면에는 발바닥에 분포된 경혈점을 자극하는 돌기부(16)를 형성하여 발바닥을 마사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생크(9,10)의 전체에는 전후방생크(9,10)와 신발창본체(2)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이 통공(12)으로 신발창 본체(2)를 형성하는 소재가 통하게 성형되며, 전방생크(9)의 전방에는 신발창본체(2)와 전방생크(9)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발끝부분의 구부림이 자유롭게 하는 다수개의 절개부(11)가 형성된다.
다음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이실시예가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쿠션홈(3)의 저면에 1차쿠션(4)의 상면이 삽입 부착되는 1차쿠션홈(3a)이 추가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실시예에서의 쿠션홈(3)은 1차쿠션(4)의 상면이 삽입되어 부착되는 1차쿠션홈(3a)과, 2차쿠션(5)의 양측 상면이 삽입되어 부착되는 2차쿠션홈(3b)이 이단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실시예에서는 1차쿠션(4)의 상면이 삽입되어 부착되는 1차쿠션홈(3a)과 2차쿠션(5)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홈(6)의 사이에 1차쿠션(4)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실시예에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삼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이실시예와 유사하나, 삼실시예에는 전후방생크(9,10)가 마주 대하는 부분의 신발창본체(2) 내측에 공간부(7)를 형성하여 본 발명이 설치된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하는 과정에서 전후방생크(9,10)가 마주 대하는 부분이 솟아오를 때, 그 솟아오르는 부분이 쉽게 솟아올라 발바닥에 대한 자극을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일 내지 삼실시예에 모두 적용 설치되는 1차쿠션(4)은 2차쿠 션(5) 보다 경도가 낮은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설치하거나, 내측에 에어가 채워진 에어백을 설치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신발창본체(2)의 경도가 2차쿠션(5) 보다 높고, 1차쿠션(4)은 2차쿠션(5) 보다 경도가 낮다고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적용하는 신발창본체(2)의 경도는 58도, 2차쿠션(5)의 경도는 40도, 1차쿠션(4)의 경도는 28~32도가 되도록 시작품을 제작하고 있으며, 참고로 일반적인 운동화에 설치되는 신발창본체의 경도는 62도로 제작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신발창본체(2)와, 1,2차쿠션(4,5)의 경도를 위에서 언급한 경도로 반드시 제작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경도수치는 참고사항임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1)이 부착된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을 하게 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신발창(1)에는 상측부터 신발창본체(2)와, 1차쿠션(4), 그리고 2차쿠션(5)이 차례로 적층되어 3단의 층을 이루며 3단으로 쿠션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보행 중 뒤축에 가장 큰 하중이 작용하는데, 본 발명의 신발창(1)에는 뒤축부분에 3단으로 쿠션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발뒤축에 작용하는 충격을 우수하게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신발창본체(2)는 1,2차쿠션(4,5) 보다 경도(58도 내외)가 높아서 발바닥을 충분히 지지해주게 되어 발바닥이 내측이나 또는 외측으로 급격히 주저앉지 않게 한다.
위에서 칭한 경도 58도는 너무 단단하지도 않고 너무 무르지도 않은 상태로서 엄지로 강하게 눌렀을 때, 쿠션감을 느낄 정도로 쿠션을 지니고 있는 상태로서 발바닥을 지지함과 아울러 발바닥에 딱딱한 느낌을 주지 않고 약간은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위와 같이 신발창본체(2)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상황에서 그 하측에는 신발창본체(2) 보다 절반정도로 경도가 낮은 1차쿠션(4)이 위치하고 있어서 이 1차쿠션(4)에서 푹신한 느낌으로 압축되면서 2차로 쿠션이 작용하게 되며, 그 하측에 설치된 2차쿠션(5)은 1차쿠션(4) 보다는 경도가 높고 신발창본체(2) 보다는 경도나 낮아서 1차쿠션(4)이 최대로 압축되는 것을 그 하측에서 받쳐주면서 3차로 쿠션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1)은 뒤축 부분에서 3단계로 완충작용을 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뒤축부분에서 완충작용을 할 때, 가장 경도나 낮아 무른 1차쿠션(4)이 신발창본체(2)와 2차쿠션(5)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면서, 1차쿠션(4)의 전후방측에서는 2차쿠션홈부(3b) 부분이 1차쿠션(4) 보다 경도가 높은 신발창본체(2)와 2차쿠션(5)의 전후방이 받치고 있어서, 2차쿠션홈부(3b) 부분이 크게 압축되지 않고 1차쿠션(4)이 설치된 부분에서 상하로 신축의 폭이 큼에 따라 1차쿠션(4)이 설치된 부분에서 우수한 쿠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창(1)에서 2차쿠션(5)과 신발창본체(2)의 저면을 질긴 소재로 형성된 논슬립창(8)이 부착 설치되어서 논슬립창(8) 보다 질기지 않은 신발창본체(2)와 2차쿠션(5)의 마모를 예방함과 아울러, 신발창(1)의 저면부분에서 신발창본체(2)와 2차쿠션(5)이 연결되는 부분이 질긴 소재로 된 논슬립창(8)이 커버함에 따라 2차쿠션(5)과, 2차쿠션(5)이 연결된 부분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함께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1)이 부착 설치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제일 먼저 뒤축이 지면을 디딜 때, 위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신발창본체(2) 및 1,2차쿠션(4,5)에 의해 3단으로 쿠션작용을 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발뒤축이 후방생크(10)의 후방측을 누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뒤축이 후방생크(10)의 후방측을 강하게 디딜 때,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생크(10)의 후방측이 디뎌지면서 그 전방측은 허공에 뜬 상태가 되는데, 생크는 전후방생크(9,10)로 분리 형성된 상태에서 전후방생크(9,10)가 마주 대하며 끼워진 끼움부(15)가 순간적으로 솟아오르게 된다.
이렇게 전후방생크(9,10)가 마주대하는 부분이 순간적으로 솟아오른 상태에서 뒤이어 곧바로 발바닥의 중앙부분이 지면을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전후방생크(9,10)의 솟아오른 끼움부(15)가 발바닥의 중간부분에 밟히게 된다.
이때, 전후방생크(9,10)의 끼움부(15)에 형성된 핑거부(13)에는 돌기부(1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그 돌기부(16) 들이 발바닥에 밟히면서 발바닥을 자극하게 되는데, 발바닥의 중앙부분, 특히 족궁(아치부) 부위에는 다수개의 경혈점이 분포되어서 그 다수개의 경혈점들이 돌기부(16)에 자극되면서 마사지 효과를 볼 수 있 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측으로 솟아오른 부분이 발바닥의 중앙부에 밟히면서 전후방생크(9,10)가 마주 대하는 부분이 하측으로 내려가고, 뒤이어 발바닥의 전방하측이 지면을 밟을 때에도 발바닥에 밟힌 부분은 내려가고 밟히지 않은 부분은 후방생크(10) 보다는 그 상하로 오르내리는 높이가 낮지만 전방생크(9)도 앞쪽은 내려가고 뒤쪽은 올라가게 된다.
위와 같이 전후방생크(9,10)가 발바닥에 밟히는 부분이 내려가고 밟히지 않은 부분이 올라가는 것은 전후방생크(9,10)를 호형으로 형성하면서, 이들 전후방생크(9,10)가 마주 대하는 부분이 양측 손가락을 마주 끼운 상태와 같은 상태에서 쿠션을 지닌 신발창본체(2)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임에 따라 전후방생크(9,10)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발바닥은 위와 같이 상하로 움직이는 끼움부(15)의 돌기부를 반복적으로 밟으면서 발바닥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경우에 전후방생크(9,10)의 끼움부(15)가 위치하는 부분에 신발창본체(2)를 형성하는 소재가 채워지지 않고 중공 상태인 공간부(7)가 형성되어서 상기와 같이 전후방생크(9,10)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솟아오름과 내려감을 반복할 때, 그 전후방생크(9,10) 부분이 더욱더 잘 구부려지게 되고, 발바닥에 더욱 더 근 자극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단 쿠션신발창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전후방생크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단 쿠션신발창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단 쿠션신발창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창 2 : 신발창본체 3 : 쿠션홈
4 : 1차쿠션 5 : 2차쿠션 6 : 상면홈
7 : 공간부 8 : 논슬립창 9 : 전방생크
10 : 후방생크 11 : 절개부 12 : 통공
13 : 핑거부 14 : 골부분 15 : 끼움부
16 : 돌기부

Claims (5)

  1. 신발창본체(2)에 생크가 매설되고, 신발창본체(2)의 후방 저면에 하측이 개방되는 쿠션홈(3)이 형성되며, 그 쿠션홈(3)에 쿠션재가 부착 설치된 신발창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신발창본체(2) 보다 낮은 경도로 형성되는 2차쿠션(5)과, 2차쿠션(5)보다 경도가 낮은 1차쿠션(4)으로 분리 형성되며, 쿠션홈(3)의 저면에 1차쿠션(4)이 개재된 상태에서 2차쿠션(5)이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단 쿠션신발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쿠션(5)의 상면 중앙에는 1차쿠션(4)의 하측면이 삽입되어 부착되는 상면홈(6)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홈(3)은 1차쿠션(4)의 상면이 부착되는 1차쿠션홈(3a)과 2차쿠션(5)의 양측 상면이 삽입되어 부착되는 2차쿠션홈(3b)이 이단으로 형성되어 1차쿠션홈(3a)과 상면홈(6)의 사이에 1차쿠션(4)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단 쿠션신발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전후방생크(9,10)로 분리 형성되며, 전후방생크(9,10)가 마주대하는 부분에는 각기 핑거부(13)와 골부분(14)이 교대로 형성되는 손 형태의 끼움부(15)가 형성되며, 이들 전후방생크(9,10)의 끼움부(15)가 신발창본체(2)의 내측에서 서로가 틈새를 두고 끼워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단 쿠션신발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본체(2)와 2차쿠션(5)의 저면에 논슬립창(8)이 부착되고, 상기 각각의 핑거부(13) 상면에는 돌기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단 쿠션신발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쿠션(4)은 내측에 에어가 채워진 에어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단 쿠션신발창.
KR1020090094704A 2009-10-06 2009-10-06 삼단 쿠션신발창 KR10095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04A KR100959406B1 (ko) 2009-10-06 2009-10-06 삼단 쿠션신발창
PCT/KR2009/006245 WO2011043507A1 (ko) 2009-10-06 2009-10-28 삼단 쿠션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704A KR100959406B1 (ko) 2009-10-06 2009-10-06 삼단 쿠션신발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205A true KR20100014205A (ko) 2010-02-10
KR100959406B1 KR100959406B1 (ko) 2010-05-24

Family

ID=4208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704A KR100959406B1 (ko) 2009-10-06 2009-10-06 삼단 쿠션신발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9406B1 (ko)
WO (1) WO2011043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92B1 (ko) * 2011-02-25 2011-09-27 김영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DE202014006327U1 (de) * 2014-08-11 2015-11-13 Globalmind Gmbh Schuh
EP3244766B1 (en) * 2015-01-12 2022-06-29 Under Armour, Inc. Sole structure with bottom-loaded compression
US10441027B2 (en) 2015-10-02 2019-10-15 Nike, Inc. Footwear plate
US10842224B2 (en) 2015-10-02 2020-11-24 Nike, Inc. Plate for footwear
US10448704B2 (en) 2015-10-02 2019-10-22 Nike, Inc.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CN105249601A (zh) * 2015-11-25 2016-01-20 厦门乔丹科技有限公司 灯泡气垫鞋底
KR101638396B1 (ko) 2016-04-21 2016-07-13 주식회사 지지코리아 길이 범용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EP3487344B1 (en) 2016-07-20 2019-11-20 Nike Innovate C.V. Method of forming a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344078B2 (en) 2018-04-16 2022-05-31 Nike, Inc. Outsole plate
WO2019204202A1 (en) 2018-04-16 2019-10-24 Nike Innovate C.V. Outsole pl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68B1 (ko) 2007-05-22 2008-02-01 주식회사 아이비워킹 건강 신발
JP5123589B2 (ja) * 2007-07-18 2013-01-23 株式会社タイカ 平面異相型緩衝材並びにこの平面異相型緩衝材を具えたシューズ
KR100800055B1 (ko) 2007-10-10 2008-02-01 (주)알와이엔코리아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0880024B1 (ko) 2007-10-30 2009-01-22 최은호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KR100807362B1 (ko) * 2007-11-08 2008-03-05 (주)알와이엔코리아 전후방 소프트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밑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406B1 (ko) 2010-05-24
WO2011043507A1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406B1 (ko) 삼단 쿠션신발창
US11910868B2 (en) Sole with projections and article of footwear
EP3244766B1 (en) Sole structure with bottom-loaded compression
EP2106714B9 (en)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KR100575875B1 (ko)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신발창
US20110308106A1 (en) Midsole for a shoe which has the shock-dispersing function and the same foot rolling function
WO201106878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KR100603062B1 (ko) 저면이 호형으로 형성된 신발창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20090012624A (ko)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KR100518307B1 (ko) 신발
KR100912386B1 (ko)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200457896Y1 (ko) 신발 깔창
KR100941789B1 (ko) 중공쿠션돌기가 구비되는 신발창과 이를 위한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KR10105122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200467057Y1 (ko) 신발용 깔창
KR102346677B1 (ko)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101220444B1 (ko) 신발창
CN215737184U (zh) 一种皮鞋底及皮鞋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CN212678502U (zh) 一种蜂巢减压型的鞋底
KR200335185Y1 (ko) 스프링 완충구가 형성된 바닥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