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024B1 -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 Google Patents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024B1
KR100880024B1 KR1020070109756A KR20070109756A KR100880024B1 KR 100880024 B1 KR100880024 B1 KR 100880024B1 KR 1020070109756 A KR1020070109756 A KR 1020070109756A KR 20070109756 A KR20070109756 A KR 20070109756A KR 100880024 B1 KR100880024 B1 KR 10088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pport protrusion
shoe
midsole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호
Original Assignee
최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호 filed Critical 최은호
Priority to KR102007010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바닥면에 요철형 쿠션재를 다수라인으로 형성하여 2번에 걸친 쿠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뒷꿈치 부분을 구름운동되도록 곡면처리하여 사용자가 보행시 뒷꿈치로부터 시작하여 앞부분까지 구름운동으로 걷도록 하며, 보행시 보행자의 무름관절과 고관절 및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고 바른 자세로 보행할 수 있도록 쿠션기능을 최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는, 지면에 대해 경사지고, 중앙이 하부 방향으로 호형태로 라운드진 캡(∩) 형태의 상부면 지지돌기를 일정간격을 두고 정렬한 상부패드와;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고, 상부패드의 상부 지지돌기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타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토록 하기위해, 중앙이 호형태로 라운드진 유(∪)자 형태의 하부면 지지돌기를 일정간격을 두고 정렬한 하부패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착지 및 중심이동단계에서 2단 쿠션작용에 의해서 부드러운 착지와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단, 쿠션, 건강, 신발

Description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A Shoe Having Multilevel Qusion}
본 발명은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 바닥면에 요철형 쿠션재를 다수라인으로 형성하여 2번에 걸친 쿠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뒷꿈치 부분을 구름운동되도록 곡면처리하여 사용자가 보행시 뒷꿈치로부터 시작하여 앞부분까지 구름운동으로 걷도록 하며, 보행시 보행자의 무름관절과 고관절 및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고 바른 자세로 보행할 수 있도록 쿠션기능을 최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운동은 크게 3단계의 과정으로서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동단계,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이탈하는 단계를 좌우의 발이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종래의 신발은 뒤축의 형상이 지면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며 구두의 경우에는 뒤축에 예리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어서 착지 단계시에 이 모서리가 지면에 가장 먼저 닿게 되는데, 뒤축의 모서리는 접지면적이 좁은 선형형상이기 때문에 착지 시의 충격이 크고, 착지의 다음 단계인 중심이동단계로의 이동이 단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목관절은 물론 다리와 신체의 각 관절에 급격한 충격력이 전 달되어 착지감이 좋지 못하고 보행이 부자연스럽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10-0584527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신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신발의 미드솔 분해도이며, 도 3은 종래 신발의 미드솔 결합도로서,
상기 기술의 요지는, 갑피(1), 깔창(2), 미드솔(3) 및 아웃솔(4)로 구성된 통상의 신발(5)에 있어서 미드솔(3)은 뒤축이 한쪽 측면에서 다른 한쪽 측면으로 관통되어 있고 지면에 대해 이루는 뒤축의 주요경사각이 0∼40도 각도를 이루는 반타원형 형태의 터널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널부(12)의 상부면에 1∼20개의 폴리우레탄 지지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패드(10)와;
상기 상부패드(10)의 터널부(12)에 대칭되는 형태로 한쪽 측면에서 다른 한쪽 측면으로 관통되어 있고 지면에 대해 이루는 주요경사각이 0∼40도 각도를 이루는 반타원형 형태의 터널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널부(22)의 하부면에 있어서 상부패드(10)의 폴리우레탄 지지돌기(14)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1∼20개의 폴리우레탄 지지돌기(24)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패드(20)와;
상기 상부패드(10)의 폴리우레탄 지지돌기(14)와 하부패드(20)의 폴리우레탄 지지돌기(24)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부패드(10)의 터널부(12) 가장자리에 하부패드(20)의 터널부(22) 가장자리를 접착하여 미드솔의 터널부(30)가 형성된 상태로 미드솔의 완제품이 형성된다.
상기 특허기술은, 하부패드(20)는 상부패드(10)의 터널부(12)에 대칭되는 형태로 한쪽 측면에서 다른 한쪽 측면으로 관통되어 있고 지면에 대해 이루는 주요경 사각이 0∼40도, 바람직하게는 20∼40도 각도를 이루는 반타원형 형태의 터널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널부(22)의 하부면에 있어서 상부패드(10)의 폴리우레탄 지지돌기(14)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1∼20개, 바람직하게는 5∼10개의 폴리우레탄 지지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 터널은 터널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경도를 반으로 줄여주며 완충효과를 증가시키고 착지시 터널부(30)가 지면과 나란한 상태로 놓이도록 하여 수축에 의한 완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착지 및 중심이동 단계시 수축된 터널부(30)는 이탈단계에서 형상이 복원되어 반발력을 발생하므로 보행 효율을 높인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제작과정에서 상부패드 지지돌기와 하부패드 지지돌기를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므로 공정의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부패드 지지돌기와 하부패드 지지돌기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엊갈리면서 공간부로 빠져나갈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정확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제작과정 뿐만 아니라 신발을 오래 착용하면 지지돌기가 일치하지 못하고 다른 부분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 쿠션감이 현져하게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특허기술은 착지후 복원과정에서 한번의 쿠션감을 제공할 뿐이기 때문에 그다지 큰 쿠션감을 제공하기는 곤란하다.
즉, 상부패드 지지돌기와 하부패드 지지돌기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터널부의 수축 및 복원만으로 쿠션감을 제공하므로, 단지 1차례의 쿠션작용만을 할뿐 보 다 강력한 쿠션감을 제공하기 곤란한 것이다.
특히, 지지돌기에 강한 힘을 제공하지 않으면 터널부가 수축되지 못하여 쿠션감이 아애 없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다단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도 충분한 쿠션감을 착용자에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2단계에 걸쳐서 쿠션감을 제공토록 하여 신발 착용자에게 쿠션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갑피, 깔창, 미드솔 및 아웃솔로 구성된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미드솔은, 지면에 대해 경사지고, 중앙이 하부 방향으로 호형태로 라운드진 캡(∩) 형태의 상부면 지지돌기를 일정간격으로 정렬한 상부패드와;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고, 상부패드의 상부면 지지돌기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중앙이 호형태로 라운드진 유(∪)자 형태의 하부면 지지돌기를 일정간격으로 정렬한 하부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면 지지돌기와 하부면 지지돌기는 양측면 상부에 평탄면을 형성하고, 중앙에 호 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돌기와 하부 지지돌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돌기와 하부 지지돌기는 하부면보다 상부면의 면적이 좁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 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착지 및 중심이동단계에서 착지충격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발목관절과 다리 및 신체에 불연속적인 충격을 유발하지 않으며, 2단 쿠션작용에 의해서 부드러운 착지와 자연스러운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바, 뒤축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착지단계시 1차 쿠션작용과 이어 뒷축에 무게중심이 집중될때 2차 쿠션작용이 발생하여, 완충 효과가 뛰어나고 이후 이탈 단계시 2차례에 걸친 쿠션해제에 따른 반발력에 의해서 가뿐하고 경쾌한 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보행시 뒷꿈치에서 부터 시작하여 앞부분까지 전달되므로 구름운동을 갖고, 보행시 바른자세를 유도하여 관절의 무리를 방지하며, 허리의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름운동으로 보행하므로 보행시 피로감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미드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상부패드와 하부패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1차 쿠션 작용을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2차 쿠션 진입을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2차 쿠션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신발의 미드솔에 지지대를 삽입한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상부패드(100)와, 하부패드(200)로 더 설치하여 구성하며, 상부패드(100)는 지면에 대해 경사지고, 중앙이 하부 방향으로 호형태로 라운드진 캡(∩) 형태의 상부면 지지돌기(110)를 일정간격을 두고 정렬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부패드(110)는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외측 공간부(12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태이며 동시에 상부면 지지돌기(110) 내측으로 내측 공간부(130)가 존재하며, 상기 외측 공간부(120)와 내측 공간부(130)가 직교되는 형태이다.
아울러, 하부패드(200) 역시 상부패드(10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바, 지면에 대해 경사지고, 중앙이 상부 방향으로 호형태로 라운드진 유(∪)자 형태의 하부면 지지돌기(210)를 일정간격을 두고 정렬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하부패드(200)는 하부면 지지돌기(210)와 외측 공간부(220)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태이며 동시에 하부면 지지돌기(210) 내측으로 내측 공간부(230)가 존재하며, 상기 외측 공간부(220)와 내측 공간부(230)가 직교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드(100)와 하부패드(200)의 지지돌기(110, 210)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며, 이에 따라 신발의 길이방향으로 외측 공간부가 확보되고, 아울러 외측 공간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통합 내측 공간부(300)가 확보된다. 상기 내측 공간부와 외측 공간부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하부면 지지돌기(210)는 양측면 상부에 평탄면(111, 211)을 형성하고, 중앙에 호 형태의 내측 공간부(130, 230)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 공간부(130, 230)를 합치시키면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의 통합 내측 공간부(300)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하부면 지지돌기(210)는 각각 하부면보다 상부면의 면적이 좁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작한다. 상기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하부면 지지돌기(210)를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하는 이유는 압축시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돌기의 압축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지지돌기를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하지 않으면 지지돌기가 외부로 삐져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며, 신발이 오래되면 압축 현상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하부면 지지돌기(210)를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여 지지돌기(110, 210)의 압축이 오래 지속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2단계의 쿠션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신발 착용자가 최초 지면을 착지하게 되면 상부패드(100)의 상부 면 지지돌기(110)와 하부패드(200)의 하부면 지지돌기(210)가 압축되면서 외측 공간부로 팽창되어 1차 쿠션작용이 일어난다. 도 6은 1차 쿠션작용에 의해서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하부면 지지돌기(210)가 압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신발 착용자가 지면을 착지하는 순간 각각의 지지돌기(110, 210)가 신체의 무게에 따른 압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돌기(110, 210)에 눌림 현상이 일어남과 동시에 외부로 팽창하여 수평방향으로 외측 공간부(120, 220)로 퍼저나간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0, 210)의 상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며 이때 착용자는 1차 쿠션감을 느끼게 된다.
이후, 신발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신발뒷축으로 집중되면 상부패드(100)와 하부패드(200)의 지지돌기(110, 210)에 형성된 통합 내측 공간부(300)가 쪼그라들면서 상호 완전히 압착되어 2차 쿠션작용이 일어난다. 도 7은 2차 쿠션이 진행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8은 2차 쿠션이 완료된 것을 도시 하였다.
즉, 신체의 무게가 신발뒷축에 집중되게 되면 상부패드(100)의 지지돌기(110) 내측에 형성된 내측 공간부(130)와 하부패드(200)의 지지돌기(210) 내측에 형성된 내측 공간부(230)가 강한 압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통합 내측 공간부(300)가 서서히 쪼그라들면서 나중에는 완전히 밀착된다.
이에 따라 신발 착용자는 2차 쿠션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무게가 적게 나가는 사람이 최초 지지돌기(110, 210)의 압축으로 인한 쿠션감을 덜 느끼더라도 나중에 지지돌기의 통합 내측 공간부(300)가 압착되면서 발생하는 2차 쿠션감을 느낄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이는 종래의 신발에 단순히 지지돌기의 압축에 따른 쿠션감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무게가 적게 나가는 착용자가 정확히 쿠션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신발의 뒷축에 무게중심이 집중될때 지지돌기의 내측 공간부가 쪼그라들면서 확실히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부패드(100)의 상부면 지지돌기(110)가 캡형태이고 하부패드(200)의 하부면 지지돌기(210)가 유자형태이므로 지지돌기(110, 210)의 평탄면(111, 211)을 지지점으로 하여 내측 공간부로 쉽게 눌려질 수 있어서 2차 쿠션감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착용자의 연속적인 걷는 동작에 의해서 무게중심이 앞으로 넘어가면 2단계 동작에 의해서 쿠션해제가 일어난다.
즉, 지지돌기(110, 210)가 외측 공간부(120, 220)로 확장되면서 1차 쿠션해제 동작이 발생하는바, 외측 공간부(120, 220)의 중앙이 상부로 팽창하고 이에 따라 외측 공간부(120, 22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돌기(110, 210)가 맞물려 내측으로 압축되었던 통합 내측 공간부(300)가 지지돌기(110, 210)의 압축이 해제되면서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면서 2차 쿠션해제 동작이 발생하는바, 지지돌기(110, 210)의 통합 내측 공간부(300)가 완전히 확장되면서 2차 쿠션해제 동작이 마무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이용자는 신발을 땅에 착지하면서 2차례에 걸친 쿠션감을 체험하게 되는바, 먼저 지지돌기 자체가 압축되면서 1차 쿠션작용이 발생하고, 지지돌기 사이의 공간부가 압축되면서 2차 쿠션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보다 강력한 쿠션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신발들이 지지돌기의 압축으로 인한 1차 쿠션밖에 제공받지 못하던 것과 구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2차에 걸친 쿠션작용을 전달받게 되어 신발착용에 편리성을 대폭 증가시킨다.
특히, 관절이나 무릅에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부드러운 쿠션감에 의해서 활동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야외활동의 기회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미드솔이 장착된 신발에서 미드솔 내부에 지지부재(400)를 삽입하여 구성하는바, 이는 밑창 및 신발의 원형이 잘 보존되고 보행시에 굴곡 및 신장의 변형되는 빈도가 높은 밑장의 원래 형상으로의 복원이 원할하며, 밑창의 형상이 탄력적이면서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보행의 안정성이 높여준다.
뿐만 아니라 이탈단계에서 복원력에 의해 반발력이 부가되어 앞굼치를 보행방향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경쾌한 보행이 이루어지며 보행효율이 높다.
도 1은 종래 신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 신발의 미드솔 분해도.
도 3은 종래 신발의 미드솔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미드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상부패드와 하부패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1차 쿠션 작용을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2차 쿠션 진입을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2차 쿠션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신발의 미드솔에 지지대를 삽입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갑피
2: 깔창
3: 미드솔
4: 아웃솔
5: 신발
100: 상부패드
110: 상부패드 지지돌기
111: 상부패드 평탄면
120: 상부패드 외측 공간부
130: 상부패드 내측 공간부
200: 하부패드
210: 하부패드 지지돌기
211: 하부패드 평탄면
220: 하부패드 외측 공간부
230: 하부패드 내측 공간부
300: 통합 내측 공간부
400: 지지부재

Claims (5)

  1. 갑피(1), 깔창(2), 미드솔(3) 및 아웃솔(4)로 구성된 통상의 신발(5)에 있어서,
    미드솔(3)과 아웃솔(4) 사이에는, 지면에 대해 경사지고, 중앙이 하부 방향으로 호형태로 라운드진 캡(∩) 형태를 갖는 일자형 패널형태의 상부면 지지돌기(110)를 외측 공간부(120)와 교번으로 일정간격으로 정렬한 상부패드(100)와;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고, 상부패드의 상부면 지지돌기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중앙이 호형태로 라운드진 유(∪)자 형태를 갖는 일자형 패널형태의 하부면 지지돌기(210)를 외측 공간부(220)와 교번으로 일정간격으로 정렬한 하부패드(20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하부면 지지돌기(210)는 양측면 상부에 평탄면(111, 211)을 형성하고, 중앙에 호 형태의 공간부(130, 230)를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130, 230)가 합치되면서 통합 내측공간부(30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지지돌기(110)와 하부면 지지돌기(210)는 테이퍼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5. 삭제
KR1020070109756A 2007-10-30 2007-10-30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KR10088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56A KR100880024B1 (ko) 2007-10-30 2007-10-30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56A KR100880024B1 (ko) 2007-10-30 2007-10-30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024B1 true KR100880024B1 (ko) 2009-01-22

Family

ID=4048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756A KR100880024B1 (ko) 2007-10-30 2007-10-30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02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86B1 (ko) 2009-05-27 2009-08-21 이창호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0912646B1 (ko) 2009-05-29 2009-08-21 이창호 내부 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0913990B1 (ko) * 2009-06-09 2009-09-02 이창호 내부 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의 미드솔 제작방법
KR100913991B1 (ko) * 2009-06-09 2009-09-02 이창호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의 미드솔 제작방법
KR100959406B1 (ko) 2009-10-06 2010-05-24 (주) 비더플러스 삼단 쿠션신발창
WO2010137769A1 (ko) * 2009-05-27 2010-12-02 Lee Chang Ho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1731627B1 (ko) 2015-04-28 2017-04-28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634U (ja) * 1997-08-28 1998-03-10 株式会社ライオン 軽量運動靴
KR19990085460A (ko) * 1998-05-18 1999-12-06 박영설 운동화 밑창.
KR100584527B1 (ko) * 2005-12-07 2006-05-30 이호형 터널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제작방법
KR20070061600A (ko) * 2005-12-10 2007-06-14 (주)알와이엔코리아 터널부가 형성된 롤링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634U (ja) * 1997-08-28 1998-03-10 株式会社ライオン 軽量運動靴
KR19990085460A (ko) * 1998-05-18 1999-12-06 박영설 운동화 밑창.
KR100584527B1 (ko) * 2005-12-07 2006-05-30 이호형 터널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제작방법
KR20070061600A (ko) * 2005-12-10 2007-06-14 (주)알와이엔코리아 터널부가 형성된 롤링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 제작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86B1 (ko) 2009-05-27 2009-08-21 이창호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WO2010137769A1 (ko) * 2009-05-27 2010-12-02 Lee Chang Ho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0912646B1 (ko) 2009-05-29 2009-08-21 이창호 내부 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0913990B1 (ko) * 2009-06-09 2009-09-02 이창호 내부 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의 미드솔 제작방법
KR100913991B1 (ko) * 2009-06-09 2009-09-02 이창호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의 미드솔 제작방법
KR100959406B1 (ko) 2009-10-06 2010-05-24 (주) 비더플러스 삼단 쿠션신발창
WO2011043507A1 (ko) * 2009-10-06 2011-04-14 주식회사 비더플러스 삼단 쿠션신발창
KR101731627B1 (ko) 2015-04-28 2017-04-28 김덕기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024B1 (ko) 다단 쿠션기능을 갖는 건강신발
CN105310180B (zh) 姿势矫正用适应型鞋垫
JP5686187B2 (ja) 履物の靴底
KR100780556B1 (ko) 에어백 및 터널부가 형성된 마사이워킹 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KR102097381B1 (ko) 충격흡수 및 보행추진 기능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0912386B1 (ko) 쿠션공간부가 형성된 후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0765805B1 (ko) 터널부가 형성된 롤링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825433B1 (ko)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0800063B1 (ko) 에어백 및 터널부가 형성된 마사이워킹 전문 롤링신발 장착용 미드솔
KR100807365B1 (ko) 측면패드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KR100807362B1 (ko) 전후방 소프트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밑창 구조
KR100941367B1 (ko) 측방지지돌기와 측방관통터널이 형성된 측방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KR100800060B1 (ko) 에어백 및 상하터널부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KR101230053B1 (ko) 보행이 편한 하이힐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100800055B1 (ko)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구조
KR100912646B1 (ko) 내부 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
JP6721995B2 (ja) 筋力をトレ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履物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JP3211541U (ja) 履物
US1285871A (en) Artificial foot.
KR100913991B1 (ko)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의 미드솔 제작방법
KR101088459B1 (ko) 다중경도에 의한 충격흡수 및 보행추진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0913990B1 (ko) 내부 터널돌기형 마사이워킹용 신발밑창의 미드솔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