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57Y1 - 신발용 깔창 - Google Patents

신발용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57Y1
KR200467057Y1 KR2020120000586U KR20120000586U KR200467057Y1 KR 200467057 Y1 KR200467057 Y1 KR 200467057Y1 KR 2020120000586 U KR2020120000586 U KR 2020120000586U KR 20120000586 U KR20120000586 U KR 20120000586U KR 200467057 Y1 KR200467057 Y1 KR 200467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insole
sheet
phalanges
elastic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섭
Original Assignee
한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섭 filed Critical 한호섭
Priority to KR2020120000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heel or toe c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발의 내부의 바닥면에 결합 구성되어 신체의 하중 및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신발의 안쪽 바닥면에 안착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발가락의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 중 말절골(末節骨)과 기절골(基節骨) 사이의 안쪽부가 안착되는 상부가 상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깔창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발가락의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 중 말절골(末節骨)과 기절골(基節骨) 사이의 안쪽부가 안착되는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깔창의 한쪽 방향으로 집중되는 하중에도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발가락의 좌우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완충작용을 위한 탄력 이외에 신발 착용자의 진행방향으로 탄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용 깔창{INSOLE OF SHOES}
본 고안은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결합 구성되어 신체의 하중 및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신발용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용 깔창은 신발의 내부 바닥면에 결합 구성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깔창은 신발 자체의 탄력성에 부가적인 탄력성이나 통기성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시 및 운동시 완충효과를 통해 착용감은 물론 신발과 발바닥 사이의 통풍을 향상시켜 보다 편안한 착용성과 발의 피로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보조기구이다.
초기 깔창은 단순히 신발 내부의 바닥면을 마감하거나 장식적인 소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기능성 깔창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신발 내부의 냄새를 억제하는 깔창, 지압효과를 갖는 깔창, 신발 내부의 통기성을 향상시킨 깔창, 쿠션을 통해 완충효과를 향상시킨 깔창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성 깔창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깔창과 신발 내부의 바닥면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깔창이 신발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깔창들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경사진 노면 또는 산행 시 발에 체중이 실려 신발 내에서 미끄러지거나, 혹은 한쪽으로 집중되면 압력이 집중되는 발가락이 눌려져 아프고 휘어 굽어지는 등의 기형 발가락이 될 우려가 있으며, 심지어는 몸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신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깔창들은 대부분 깔창의 배면에 미그럼 방지 돌기 및 요철이 형성된 구조로, 실질적으로 발바닥이 접촉되는 깔창의 상면은 매끄러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사진 노면 또는 산행시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발바닥에 체중이 집중되는 경우 발바닥이 쉽게 미끄러지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더욱이, 발바닥에 땀이 차거나 습기가 존재하는 경우 발바닥과 깔창 간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16463호(등록일 : 2006.05.09)(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행문헌1에 개시된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선행문헌1의 도2 발췌).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1에 따른 신발깔창(11)은 신축가능한 시트(13)와, 시트(13) 상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용 부재(12)로 이루어진다. 미끄럼 방지용 부재(12)는 발바닥이 위치하는 시트(12)의 상면에 형성되어 보행시 체중에 의해 신체가 앞으로 쏠리더라도 발가락 및 발바닥이 미끄러지지 않고 시트 전체 면에 힘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신체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1에 따른 신발깔창은 미끄럼 방지용 부재(12)를 통해 깔창의 길이방향(장방향)으로 발가락 및 발바닥의 미끄러짐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으나 깔창의 폭방향(단방향)으로 힘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여전히 발가락 및 발바닥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길이방향에 있어서도 미끄럼 방지용 부재(12)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됨에 따라 발가락 또는 발바닥이 밀착되는 시트의 면적이 감소하여 신발 앞쪽으로 신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미끄럼 방지용 부재(12) 상에서 발가락 및 발바닥의 미끄러짐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신발깔창과 관련하여,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251125호(등록일 : 2001.10.08)(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행문헌2에 개시된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선행문헌2의 도1 발췌).
도 2를 참조하면, 선행문헌2에 따른 신발깔창(10)은 발가락이 위치하는 신발깔창의 안착부(70)에 각 발가락 사이를 분리하기 위해 그 면상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분리대(20)를 포함하고, 안착부(70)에는 하부로 함몰된 오목 홈(40)이 형성되어있다.
선행문헌2에 따른 신발깔창은 발가락 사이에 분리대를 설치하고, 분리대를 통해 발가락을 상호 분리시켜 발가락 사이에서 발생되는 땀이 쉽게 증발하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사이의 땀으로 인해 발생되는 발냄새와 습진, 무좀 및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더불어 선행문헌2에서는 분리대와 오목 홈을 통해 깔창의 폭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발가락이 폭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2에 따른 신발깔창에서는 분리대가 발 부위 중 비교적 힘을 받지 못하는 발가락(말절부) 사이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발가락의 측부가 분리대에 지지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신발깔창의 폭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발가락이 분리대에 지지되지 못하고 하중이 집중되는 쪽으로 발 전체가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선행문헌1 및 2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04935호(등록일 : 2003.02.07)(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선행문헌3 또한 선행문헌1 및 2와 마찬가지로 발가락과 발바닥의 미끄러짐 방지에 있어서 어느 정도 효과는 있으나 신발 착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여전히 깔창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발가락과 발바닥의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신발깔창의 탄력성은 완충작용뿐만 아니라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또는 운동시 발에 일정한 탄력을 제공해야 하는데 전술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한 기존의 신발깔창들은 대부분 완충작용을 위한 탄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필요한 탄력(발이 진행방향으로 튀어나가도록 미는 힘)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기존의 신발깔창들은 깔창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탄력성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깔창의 탄력성이 깔창의 재질에 의해 좌우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고가의 재질의 깔창 사용으로 제품 단가가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문헌1] KR 20-0416463 Y1, 2006. 05. 09. [문헌1] KR 20-0251125 Y1, 2001. 10. 08. [문헌1] KR 20-0304935 Y1, 2003. 07. 07.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고안은 깔창의 한쪽 방향으로 집중되는 하중에도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발가락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용 깔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완충작용을 위한 탄력 이외에 신발 착용자의 진행방향으로 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용 깔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신발의 안쪽 바닥면에 안착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발가락의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 중 말절골(末節骨)과 기절골(基節骨) 사이의 안쪽부가 안착되는 상부가 상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깔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에는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가 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앞단에 일대일 대응하여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상부에는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상면에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신장된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는 각각 반구형 바(b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는 발가락의 말절골(末節骨)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 중 말절골이 안착되는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상면은 평면, 경사면, 오목면 또는 볼록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발가락의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 중 말절골(末節骨)과 기절골(基節骨) 사이의 안쪽부가 안착되는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깔창의 한쪽 방향으로 집중되는 하중에도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발가락의 좌우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완충작용을 위한 탄력 이외에 신발 착용자의 진행방향으로 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용 깔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용 깔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들 중 일례로 제1 탄력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 착용자가 보행시 또는 운동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들 중 일례로 제1 탄력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100)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신발류, 예를 들면 구두, 실내화, 운동화, 부츠, 장화 등의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그 내부의 안쪽바닥에 안착되거나, 혹은 신발의 밑창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형'이라 함은 성형공정을 통해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된 구조, 혹은 접착공정 또는 봉제(縫製)공정을 통해 상호 일체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의미한다.
도 3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100)은 신발의 안쪽 바닥면에 삽입 안착된 시트(110)와, 시트(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발가락의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 중 말절골(末節骨)과 기절골(基節骨) 사이의 안쪽부가 안착되는 상부가 시트(110)의 폭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를 포함한다.
시트(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 내부의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혹은 성형공정, 접착공정 또는 봉제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110)의 재질은 제한을 두지 않으나 완충작용을 위해 일정한 탄력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재질에 유해세균의 항균 및 살균효과를 위해 숯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는 시트(110)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공정, 접착공정 또는 봉제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는 성형공정, 접착공정 또는 봉제공정, 바람직하게는 성형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상호 결합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에서, 제1 탄력부재(120)에는 엄지 발가락, 제2 탄력부재(130)에는 검지 발가락, 제3 탄력부재(140)에는 중지 발가락, 제4 탄력부재(150)에는 약지 발가락, 그리고 제5 탄력부재(150)에는 새끼 발가락에 각각 대응하여 해당 지골의 말절골과 기절골 사이의 안쪽부가 안착되게 된다.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는 시트(110)의 폭방향(단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크기(상면의 면적)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그 상면에 안착되는 각 발가락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해당 발가락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다른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탄력부재(120)는 다른 탄력부재들에 비해 가장 크게 형성하고, 나머지 탄력부재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거나, 혹은 제5 탄력부재(160)만을 가장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는 시트(110)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높이가 다르다. 그 이유는 각 발가락의 형상 및 크기가 다르기 때문인데, 5개의 발가락 중 가장 큰 발가락인 엄지 발가락의 두께를 고려하여 제1 탄력부재(120)의 높이는 가장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탄력부재들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안착과 시트(110)의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발가락이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머지 탄력부재들 또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여 각 탄력부재들 간에 단차가 발생하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탄력부재(120)는 가장 낮게 형성하고, 제2 탄력부재(130)는 가장 높게 형성하고, 제3 탄력부재(140)는 제2 탄력부재(130)보다 낮고 제1 탄력부재(120)보다 높으며, 제4 탄력부재(150)는 제3 탄력부재(140)보다 낮고, 제1 탄력부재(120)보다 높으며, 제5 탄력부재(160)는 제4 탄력부재(150)보다 낮고, 제1 탄력부재(120)보다 높거나, 혹은 낮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1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각 상부에는 시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121, 131, 141, 151, 161)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121, 131, 141, 151, 161)는 발가락의 각 지골의 말절골이 안착되는 방향으로 후크(hook) 구조로 돌출되어 있으며, 신발 착용시 말절골과 기절골 사이의 안쪽부가 접하는 부위에 통증이 유발되지 않도록 종단부가 일정 곡률로 라운딩(rounding)되어 있다.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121, 131, 141, 151, 161)에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발 뒤꿈치를 들어올리는 경우 각 지골의 말절골과 기저골 사이의 안쪽부 살이 걸쳐 발가락이 신발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진행방향으로 이동 또는 도약시 일정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시트(110)의 폭 방향으로 신장된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122, 132, 142, 152, 1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122, 132, 142, 152, 162)는 그 상면에 안착되는 발가락 각 지골의 말절골과 기저골 사이의 안쪽부를 압박하여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발가락이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면에서 시트(11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122, 132, 142, 152, 1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거나 혹은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반구형 바(ba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0)는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가 접하는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각 앞단에 일대일 대응하여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111, 112, 113, 114, 1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111, 112, 113, 114, 115)는 시트(1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몰된 구조를 가지며, 그 폭은 시트(110)의 폭방향으로 해당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폭보다 동일하거나 작은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은 폭으로 형성하여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그 이유는 이웃한 것끼리 상호 연결되는 경우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111, 112, 113, 114, 115)에서 시트(110)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어 쉽게 꺾이거나 장시간 사용시 손상되어 결국 시트(110)가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트(110)는 도 4의 원형점선과 같이 제1 내지 제5 지골의 각 말절골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신발 착용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높이에 의해 말절골 부위가 시트(110)의 상면에 닿지 않고 공중에 붕 뜬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 보행시 또는 운동시에 안정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우천시 외부로부터 신발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경우 발가락이 물에 그대로 노출되어 불편함과 세균번식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4와 같이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 특히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121, 131, 141, 151, 161),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111, 121, 131, 141, 151)는 발가락의 편안함, 미끄럼 방지, 그리고 탄력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121, 131, 141, 151, 161)를 시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양측에 각각 라운딩 구조로 형성하거나, 혹은 일측부가 삼각형 구조로 형성하거나, 혹은 라운딩 구조의 곡률이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d)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111, 112, 113, 114, 115)가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앞단 또는 후단에 위치한 시트(110)에 삼각형 홈 구조로 형성하거나, 혹은 반원형 홈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g) 및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면은 미끄러짐을 극대화하는 한편, 발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면은 도 5의 (g)와 같이 시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분할되고 이분할된 지점이 뾰족하게 함몰되거나, 혹은 (h)와 같이 라운딩 구조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면이 함몰된 구조에서 (g)와 같이 이분할된 지점을 경계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각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h)와 같이 일정한 곡률을 갖고 라운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5의 (g)에서 이분할된 지점을 경계로 제1 면(동도면 상에서 좌측면)과 제2 면(동도면 상에서 우측면)의 크기는 착용자의 발의 형상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이 제2 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 중 제2 탄력부재(130)는 발가락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시트(110)의 내점(170)의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면이 평면 구조(일자형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말절골과 기절골 사이의 안쪽부가 편안하게 걸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라운딩 구조로 돌출된 구조(볼록면)로 형성하거나, 혹은 도 5의 (g) 및 (h)와 같이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오목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측부가 일자형 구조(평면)로 평행한 구조가 아니라, 일측부는 낮고 타측부는 높은 구조로 경사를 갖는 구조(경사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의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 착용자가 보행시 또는 운동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 착용시 발가락의 제1 내지 제5 지골(201, 202, 203, 204, 205)의 말절골과 기저골 사이의 안쪽부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깔창의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A'는 신발 착용시 발가락이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런 상태에서 보행 또는 운동을 위해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도약시 발 뒤꿈치가 들어 올려지면서 힘은 발바닥의 앞부분, 즉 기저골측으로 집중되고, 이로 인해 'B'와 같이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는 압착(일정한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집중되는 힘이 기저골측에서 말절골측으로 이동하면, 'C'와 같이 압축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의 복원력에 기인한 탄력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제공하게 된다. 즉, 발가락이 진행방향으로 밀려나갈 때, 순간적으로 압축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120, 130, 140, 150, 160)에 의해 탄력이 극대화되어 이동시 또는 도약시 신발 착용자에게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신발깔창
110 : 시트
120, 130, 140, 150, 160 :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
121, 131, 141, 151, 161 :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
122, 132, 142, 152, 162 :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
111, 112, 113, 114, 115, :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

Claims (7)

  1. 신발의 안쪽 바닥면에 안착된 시트; 및
    상기 시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발가락의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 중 말절골(末節骨)과 기절골(基節骨) 사이의 안쪽부가 안착되는 상부가 상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
    를 포함하는 신발용 깔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가 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앞단에 일대일 대응하여 제1 내지 제5 걸림홈부가 형성된 신발용 깔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상부에는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제1 내지 제5 걸림돌출부가 형성된 신발용 깔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상면에는 상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신장된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신발용 깔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걸림돌기부는 각각 반구형 바(bar) 구조를 갖는 신발용 깔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발가락의 말절골(末節骨)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5 지골(指骨) 중 말절골이 안착되는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운 신발용 깔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탄력부재의 각 상면은 평면, 경사면, 오목면 또는 볼록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갖는 신발용 깔창.
KR2020120000586U 2012-01-26 2012-01-26 신발용 깔창 KR200467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586U KR200467057Y1 (ko) 2012-01-26 2012-01-26 신발용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586U KR200467057Y1 (ko) 2012-01-26 2012-01-26 신발용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057Y1 true KR200467057Y1 (ko) 2013-05-28

Family

ID=5371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586U KR200467057Y1 (ko) 2012-01-26 2012-01-26 신발용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7505A (zh) * 2019-09-24 2019-11-22 湖北可兴鞋业有限公司 一种高弹力减震橡胶安全鞋
WO2020242022A1 (ko) * 2019-05-31 2020-12-03 안태훈 위치이동이 가능한 발가락 걸림패드가 구비된 신발창
CN114698901A (zh) * 2020-12-16 2022-07-05 株式会社岩水 一种带支撑的鞋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04A (ja) 1999-07-07 2001-03-21 Asics Corp 靴 底
KR200343131Y1 (ko) 2003-11-28 2004-02-25 김정식 발바닥지압용 신발
JP2007082611A (ja) 2005-09-20 2007-04-05 Eiji Nakanishi 履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04A (ja) 1999-07-07 2001-03-21 Asics Corp 靴 底
KR200343131Y1 (ko) 2003-11-28 2004-02-25 김정식 발바닥지압용 신발
JP2007082611A (ja) 2005-09-20 2007-04-05 Eiji Nakanishi 履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022A1 (ko) * 2019-05-31 2020-12-03 안태훈 위치이동이 가능한 발가락 걸림패드가 구비된 신발창
CN110477505A (zh) * 2019-09-24 2019-11-22 湖北可兴鞋业有限公司 一种高弹力减震橡胶安全鞋
CN114698901A (zh) * 2020-12-16 2022-07-05 株式会社岩水 一种带支撑的鞋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4137T3 (es) Calzado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AU2010352681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CN201278864Y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KR20140144637A (ko) 신발류 물품, 그의 구성요소들 및 관련 제조 방법
EP1307116A1 (en) A shoe midsole
KR100959406B1 (ko) 삼단 쿠션신발창
KR101514680B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AU2010352681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CN113710119A (zh) 可变反射鞋制品技术
US9750303B2 (en) Cambered sole
JP2012501717A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EP2454959A1 (en) A multicomponent sole support assembly for sports footwear
KR200467057Y1 (ko) 신발용 깔창
KR100720959B1 (ko) 측면공간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WO2008146376A1 (ja) 靴および靴の中敷
KR101166572B1 (ko) 신발창
CN205321402U (zh) 一种防滑鞋底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20120085568A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101116323B1 (ko) 보행 추진력 강화를 위한 바닥부 및 그 바닥부를 가지는 기능성 신발
WO2017175424A1 (ja) インソール及びそのインソールの形態を備えた靴
KR101535470B1 (ko)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