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70B1 -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 Google Patents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70B1
KR101535470B1 KR1020130048089A KR20130048089A KR101535470B1 KR 101535470 B1 KR101535470 B1 KR 101535470B1 KR 1020130048089 A KR1020130048089 A KR 1020130048089A KR 20130048089 A KR20130048089 A KR 20130048089A KR 101535470 B1 KR101535470 B1 KR 10153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ortion
foot
shoe
protrus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595A (ko
Inventor
허정훈
Original Assignee
허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훈 filed Critical 허정훈
Priority to KR102013004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상면 및 하면과, 일측 단부가 발가락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측고단부 보다 높이가 낮은 측저단부 및 타측 단부가 발 뒤꿈치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상기 측저단부 보다 높이가 높은 측고단로 이루어진 측면으로 구성되는 키높이 신발깔창에 있어서, 상기 측저단부 측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저단부와 측고단부의 높이차에 의해 발바닥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돌출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측저단부 측 하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고단부 측 하면에는 중앙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중앙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기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삼각형 형상의 측면돌기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중앙돌기 및 측면돌기 사이에는 서로 연결된 홈 형상의 에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 사이에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완충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우수한 탄력성을 제공하여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발 뒤꿈치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도록 하여 보행 시 허리 및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리 및 전신의 피로를 덜어 줌으로써 경쾌한 보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신발을 착용 후 도보시 발 뒤꿈치의 하중에 의한 상하 반복운동으로 인해 탄력성 있는 신발깔창 저면으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우수한 통기성은 신발 내부의 습한 공기를 신속하게 순환시켜 줌으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주며 이로 인해 악취의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습진이나 무좀 등의 질병을 예방하여 건강한 발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진행방향으로 발바닥이 밀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발 뒤꿈치의 하중을 중앙이 아닌 발 뒤꿈치의 좌우 양측으로 분산하되 쿠션감을 주는 부재들이 서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하중의 쏠림현상을 극복하면서도 착화감을 상승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The height up multi-functional insole}
본 발명은 신발깔창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착용자에게 우수한 탄력성을 제공하여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발 뒤꿈치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도록 하여 보행 시 허리 및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발 내부의 악취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습진이나 무좀 등의 질병을 예방하여 건강한 발을 유지할 수 있는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보행을 편하게 하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미적으로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장신구의 하나로 인류 역사상 오랜 장신구 중의 하나로 그 형태 및 기능 면에서 다양하게 개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신발 개량의 역사는 신발의 형태와 강도를 유지하고 보행 중에 신체의 체중이 집중되는 발바닥의 피로를 경감하기 위하여 신발의 내부에 깔창을 넣어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신발깔창은 보행 중에 발바닥의 충격을 완화시켜 발의 피로를 경감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내부에 깔창을 깐 신발은 외피에 의해 외부와 내부의 공기가 서로 원활하게 통풍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있어, 신발을 장시간 신다 보면 신발 속에 나쁜 공기가 적체되면서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발가락 사이에 땀이 차므로 인해 발냄새와 무좀, 습진 등 각종 병균이 쉽게 발병할 수 있도록 서식처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신발깔창의 하면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신발깔창이 안착 되어 신발과 접촉하는 측면이 밀접하게 접촉되어 있음으로 인해 신발깔창의 하면에 존재하는 공기가 신발 내부로 골고루 순환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신발을 구성하는 바닥창이나 중창 등에 별도의 환기통로를 형성시켜 내부의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으나, 이는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많은 제작비용으로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바닥창으로 환기통로가 형성된 신발은 비가 올 때 바닥창의 환기통로를 통해 신발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비 온 후에 흙탕길을 지나갈 때 환기통로가 흙탕물에 쉽게 막힘으로써 신발 내부의 통풍이 되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폐단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신발 자체의 미적인 면과 기능성 면을 더해 착용자의 키가 커 보이 도록 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이 더해지고 있다.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17954호에는 '신발의 바닦창'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상기 고안은 바닥창을 소정의 높이로 두껍게 형성하되, 착용 시 지면에 닿게 되는 바닥창의 앞부분과 측면을 소정의 각도와 폭으로 바닥창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돌아가면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깍아 내어 정면과 측면에서 볼 때 두껍게 형성한 바닥창이 보이지 않게 하거나 두께가 얇아 보이게 함으로써 기존의 신발 바닥창의 두께와 비슷하게 보여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신발의 바닥을 두껍게 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보행에 있어서 투박한 보행을 야기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꺼운 바닥은 결과적으로 발을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키높이 신발깔창의 착용자에게 우수한 탄력성을 제공하여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신발 내부의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키높이 신발깔창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6601호, 2010년 07월 22일 공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키높이 신발깔창의 착용자에게 우수한 탄력성을 제공하여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발 뒤꿈치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도록 하여 보행 시 허리 및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리 및 전신의 피로를 덜어 줌으로써 경쾌한 보행을 할 수 있는 키높이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두 번째 목적은 신발깔창의 저면으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신발 내부의 습한 공기를 신속하게 순환시켜 줌으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주어 악취의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습진이나 무좀 등의 질병을 예방하여 건강한 발을 유지할 수 있는 키높이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세 번째 목적은 진행방향으로 발바닥이 밀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발 뒤꿈치의 하중을 중앙이 아닌 발 뒤꿈치의 좌우 양측으로 분산하되 쿠션감을 주는 부재들이 서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하중의 쏠림현상을 극복하면서도 착화감을 상승시키는 키높이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상면 및 하면과, 일측 단부가 발가락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측고단부 보다 높이가 낮은 측저단부 및 타측 단부가 발 뒤꿈치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상기 측저단부 보다 높이가 높은 측고단로 이루어진 측면으로 구성되는 키높이 신발깔창에 있어서, 상기 측저단부 측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저단부와 측고단부의 높이차에 의해 발바닥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돌출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측저단부 측 하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고단부 측 하면에는 중앙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중앙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기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삼각형 형상의 측면돌기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중앙돌기 및 측면돌기 사이에는 서로 연결된 홈 형상의 에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 사이에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완충홈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키높이 신발깔창의 착용자에게 우수한 탄력성을 제공하여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발 뒤꿈치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도록 하여 보행 시 허리 및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리 및 전신의 피로를 덜어 줌으로써 경쾌한 보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높이 신발깔창을 착용 후 도보시 발 뒤꿈치의 하중에 의한 상하 반복운동으로 인해 탄력성 있는 신발깔창 저면으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우수한 통기성은 신발 내부의 습한 공기를 신속하게 순환시켜 줌으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주며 이로 인해 악취의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습진이나 무좀 등의 질병을 예방하여 건강한 발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진행방향으로 발바닥이 밀리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발 뒤꿈치의 하중을 중앙이 아닌 발 뒤꿈치의 좌우 양측으로 분산하되 쿠션감을 주는 부재들이 서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하중의 쏠림현상을 극복하면서도 착화감을 상승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신발깔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상면 및 하면과, 일측 단부가 발가락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측고단부 보다 높이가 낮은 측저단부 및 타측 단부가 발 뒤꿈치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상기 측저단부 보다 높이가 높은 측고단로 이루어진 측면으로 구성되는 키높이 신발깔창에 있어서, 상기 측저단부 측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저단부와 측고단부의 높이차에 의해 발바닥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돌출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측저단부 측 하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고단부 측 하면에는 중앙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중앙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기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삼각형 형상의 측면돌기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중앙돌기 및 측면돌기 사이에는 서로 연결된 홈 형상의 에어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 사이에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완충홈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신발깔창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키높이 신발깔창은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상면(110) 및 하면(120)과, 일측 단부가 발가락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측고단부(131) 보다 높이가 낮은 측저단부(132) 및 타측 단부가 발 뒤꿈치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상기 측저단부(132) 보다 높이가 높은 측고단부(131)로 이루어진 측면(13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은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상면(110) 및 하면(120)과 측면(130)으로 구성되는 신발깔창으로서 상기 측면(130)은 일측 단부가 발가락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측고단부(131) 보다 높이가 낮은 측저단부(132) 및 타측 단부가 발 뒤꿈치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상기 측저단부(132) 보다 높이가 높은 측고단부(13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저단부(132) 측 상면(110)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저단부(132)와 측고단부(131)의 높이차에 의해 발바닥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돌출지지턱(140)이 형성되고, 상기 측저단부(132) 측 하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돌기(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지지턱(1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에 형성된 측고단부(131) 및 측저단부(132)의 특성상 발 뒤꿈치 쪽에서 발 앞꿈치 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앞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측저단부(132) 측 하면에 형성된 미세돌기(150)는 다수개가 촘촘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미세돌기(150)는 종래의 신발깔창에 형성되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것이며, 이러한 미세돌기(150)는 신발깔창의 하면(120)이 접촉되는 신발 내부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측고단부(131) 측 하면에는 중앙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중앙돌기(16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중앙돌기(16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삼각형 형상의 측면돌기(170)가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돌기(160) 및 측면돌기(170) 사이에는 서로 연결된 홈 형상의 에어라인(18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170) 사이에는 일자형의 완충홈(190)이 형성된다.
신발 깔창을 착용 후 도보시 발 뒤꿈치의 하중에 의해 상기 측면돌기(170) 사이에 형성된 완충홈(190)이 벌어지게 되며, 이러한 완충홈(190)으로 인해 탄력성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탄력성은 발 뒤꿈치의 하중에 의한 상하 반복운동으로 인해 신발깔창의 저면으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신발깔창의 저면으로 공급된 신선한 외부 공기는 상기 에어라인(180)을 통해 신발깔창의 하면에 원활한 공기 흐름을 형성하게 함으로서 신발 내부의 습한 공기를 신속하게 순환시켜 줌으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주고 이로 인해 악취의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습진이나 무좀 등의 질병을 예방하여 건강한 발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완충홈(190)은 하중에 의해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측고단부(131) 및 측저단부(132)의 형태상 높이차에 의해 발 뒤꿈치 쪽에서 발앞꿈치 쪽으로 발생하는 쏠림현상을 최소화함으로 인해 착화감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삭제
삭제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마름모 기둥 형상의 연결분산편(300)이 더 포함되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분산편(300)은 상기 측고단부(131) 측 하면에 형성된 중앙돌기(160)와 측면돌기(17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함으로써 상기 중앙돌기(160) 및 측면돌기(170)의 사이가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중앙돌기(160) 및 측면돌기(170)에 의해 발생하는 탄력성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하중에 의해 상기 중앙돌기(160) 및 측면돌기(170)가 너무 벌어져 주저 않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중앙돌기(160) 및 측면돌기(170) 보다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상기 중앙돌기(160) 및 측면돌기(170)에 의한 힘의 분산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힘의 밸런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100 : 신발깔창 110 : 상면
120 : 하면 130 : 측면
131 : 측고단부 132 : 측저단부
140 : 돌출지지턱 150 : 미세돌기
160 : 중앙돌기 170 : 측면돌기
180 : 에어라인 190 : 완충홈
200 : 완충구 300 : 연결분산편

Claims (3)

  1. 발바닥 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상면(110) 및 하면(120)과, 일측 단부가 발가락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측고단부(131) 보다 높이가 낮은 측저단부(132) 및 타측 단부가 발 뒤꿈치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상기 측저단부(132) 보다 높이가 높은 측고단부(131)로 이루어진 측면(130)으로 구성되는 키높이 신발깔창(100)에 있어서,
    상기 측저단부(132) 측 상면(110)에는 테두리를 따라 측저단부(132)와 측고단부(131)의 높이차에 의해 발바닥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록한 형상의 돌출지지턱(140)이 형성되고, 상기 측저단부(132) 측 하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돌기(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고단부(131) 측 하면에는 중앙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중앙돌기(16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기(16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삼각형 형상의 측면돌기(170)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중앙돌기(160) 및 측면돌기(170) 사이에는 서로 연결된 홈 형상의 에어라인(18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돌기(170) 사이에는 일자형의 완충홈(19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고단부(131) 측 하면에 형성된 중앙돌기(160)와 측면돌기(17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며 신발깔창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하는 마름모 기둥 형상의 연결분산편(3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20130048089A 2013-04-30 2013-04-30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153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089A KR101535470B1 (ko) 2013-04-30 2013-04-30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089A KR101535470B1 (ko) 2013-04-30 2013-04-30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95A KR20140129595A (ko) 2014-11-07
KR101535470B1 true KR101535470B1 (ko) 2015-07-15

Family

ID=5245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089A KR101535470B1 (ko) 2013-04-30 2013-04-30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08B1 (ko) * 2016-02-29 2019-01-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우가 동일한 유아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491A1 (en) * 2004-06-04 2005-12-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midsole element
KR20100004417U (ko) * 2008-10-20 2010-04-29 양운용 발가락 충격흡수 깔창
JP2013059603A (ja) * 2011-08-22 2013-04-04 Okamoto Kk 防滑靴底及び防滑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8491A1 (en) * 2004-06-04 2005-12-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movable midsole element
KR20100004417U (ko) * 2008-10-20 2010-04-29 양운용 발가락 충격흡수 깔창
JP2013059603A (ja) * 2011-08-22 2013-04-04 Okamoto Kk 防滑靴底及び防滑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95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512B2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traction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ES2624137T3 (es) Calzado
US10426224B2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breathability, flexibility and water displacement
CA2999168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breathability, and flexibility
CA2860670A1 (en) A flexible sole for footwear
US10426223B2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flexibility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KR101535470B1 (ko) 키높이 다 기능성 신발깔창
JP4172798B2 (ja) 靴中敷き
KR200467057Y1 (ko) 신발용 깔창
CN202588476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鞋底
KR20100083692A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CN205321402U (zh) 一种防滑鞋底
CN205040756U (zh) 一种运动鞋底
JP5687451B2 (ja) シューズ
CN211048537U (zh) 一种儿童鞋底护趾结构
CN209547100U (zh) 一种透气鞋底
KR100731511B1 (ko)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구두밑창
CN208354744U (zh) 一种稳步儿童鞋
CN205585427U (zh) 一种跑鞋鞋底结构
KR200335185Y1 (ko) 스프링 완충구가 형성된 바닥창
KR20130006257U (ko) 키높이조절용 깔창
KR200313770Y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