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229B1 -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 Google Patents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229B1
KR101051229B1 KR1020080029385A KR20080029385A KR101051229B1 KR 101051229 B1 KR101051229 B1 KR 101051229B1 KR 1020080029385 A KR1020080029385 A KR 1020080029385A KR 20080029385 A KR20080029385 A KR 20080029385A KR 101051229 B1 KR101051229 B1 KR 101051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ole
coil spring
cushioning
conic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642A (ko
Inventor
조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존
Priority to KR102008002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22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30Protecting the ball-joint against pressure while 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으로 관절을 보호하는 건강신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발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에 소정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되 발 앞꿈치는 하부를 향할수록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는 지압돌기가 복수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앞꿈치부와 뒤꿈치부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앞꿈치부측 완충패드는 각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압돌기와 결합돌기가 일체로 마련된 채 연결 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망사 형태의 단면을 갖는 완충패드와; 상기 완충패드의 하부측 결합돌기와 밑창의 앞꿈치측 홈부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하단부가 결합되는 밑창에는 외면을 감싸 유동을 방지시키고,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가 일체로 마련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의 홈과 완충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상,하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완충패드와 밑창 사이에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복수 개재되어 이들을 통해 짧은 작동공간에서도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되며, 원추형 스프링의 구조특성상 인접한 권선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스프링의 고유기능인 탄성 및 복원력을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된 완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성의 향상 및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밑창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전체 신발의 높이를 높게 하지 않게 되어 즉, 신발외관이 왜곡되어 접지 면에 의한 마찰력과 안정성 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제품의 상품성 향상에 따른 구매력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a shock absorbing health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상생활에서 걷기나 조깅 기타 달리기 등을 행할 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은 물론이고, 장시간 쾌적한 상태에서 착용이 가능한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에 신고 걷는데 쓰이는 것으로서, 일상생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 크게 구두와 운동화 기타 전문스포츠화 및 실내화 등으로 다양하게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와서는 좀 더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신발들이 속속히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신발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은 현대인들이 과학의 발달과 산업화로 교통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운동 부족 및 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하여 비만 등의 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점을 갖고 생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건강 증진의 목적으로 걷기, 조깅이나 등산 등 기타 다양한 운동을 행하고 있다.
이때 운동을 행하거나 보행등을 행함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신발 자체가 완충의 기능이 충분하지 못함으로써 관절의 연골과 척추, 경추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출원번호 10-2006-55200호와, 20-2006-15945호, 10-2004-41282, 10-2004-47371호등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완충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된 완충 신발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 신발들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문제점들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복수의 스프링과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상,하판 등이 개재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신발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외관을 해치고 역시 운동이나 보행등을 하는데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일반적으로 원통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작동거리의 제한 때문에 큰 완충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장시간 착용 시에는 스프링의 인접 권선이 접촉하여 파손되거나 탄성을 잃어 전혀 완충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야기된다.
셋째, 구조적으로 많은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조립성이 떨어지고 원가 상승 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넷째, 스프링이 우레탄(P.U)에 내장되어 있는 방식의 경우에는 우레탄에 의해 스프링 자체의 탄성력이 저해되고 P.U와 동시 성형할 때 스프링의 열처리가 풀리면서 탄성을 잃게 되어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며 오랫동안 착용 시 P.U소재가 물과 접촉하면서 가수분해현상이 발생되어 성형물이 부스러지게 되면 스프링이 이완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전체 높이를 높게 하지 않고도 다수의 스프링을 배열 설치하여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 시 에도 스프링의 완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조립성이 용이하고 원가 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는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밑창의 발 앞꿈치는 하부를 향할수록 볼록한 단면 형상을 발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에 소정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되 발 앞꿈치는 하부를 향할수록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는 지압돌기가 복수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앞꿈치부와 뒤꿈치부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앞꿈치부측 완충패드는 각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압돌기와 결합돌기가 일체로 마련된 채 연결 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망사 형태의 단면을 갖는 완충패드와; 상기 완충패드의 하부측 결합돌기와 밑창의 앞꿈치측 홈부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하단부가 결합되는 밑창에는 외면을 감싸 유동을 방지시키고,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가 일체로 마련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의 홈과 완충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상,하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원추형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밑창에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의 외면을 감싸 유동을 방지시키고,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가 일체로 마련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한 특징은, 상기 중간 창은 앞꿈치부와 뒤꿈치부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앞꿈치부측 완충패드는 각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압돌기와 결합돌기가 일체로 마련된 채 연결 리브(rib)를 통해 연결되어 망사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완충패드와 밑창 사이에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복수 개재되어 이들을 통해 짧은 작동공간에서도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원추형 스프링의 구조특성상 인접한 권선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아 스프링의 고유기능인 탄성 및 복원력을 유지하여 장시간 안정된 완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성의 향상 및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밑창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전체 신발의 높이를 높게 하지 않게 되어 즉, 신발외관이 왜곡되어 접지 면에 의한 마찰력과 안정성 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방지되어 제품의 상품성 향상에 따른 구매력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절보호 건강 신발의 결합관계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단면도들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 보호 건강 신발은, 크게 밑창(100)과 완충패드(200) 그리고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과 완충부재(400)로 대별된다.
먼저, 밑창(100)의 구조를 보면,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소정깊이로 홈부(110,120)가 소정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앞꿈치 부분에 홈부(11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통상의 신발이 앞꿈치 부분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이를 형성하기가 곤란하며 전체적으로 높게 형성할 경우에는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밑창(100)의 앞꿈치 부분은 하부를 향할수록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홈부(110)를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얻게 되며 또한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완충패드(2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밑창(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이 완충패드(200)의 상면에는 지압돌기(210)가 복수 돌출 형성되는 바, 이 지압돌기(210)는 사용자의 발바닥 면을 가압하여 지압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완충패드(200)의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220)가 소정간격으로 다수 마련된다.
이 결합돌기(220)는 후술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상단 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소프트한 재질 특성상 완충의 효과를 좀 더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이 결합돌기(220)는 매우 큰 충격이 가해져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이 바닥면 즉, 밑창(100)을 향해 탄성 변형될 때 높이 이하로 처지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강한 충격 시 결합돌기(220)가 밑창(100)에 접촉됨으로써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탄성 한계점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은 앞꿈치측 밑창(100)의 홈부(110)와 앞꿈치측 완충패드(200)의 결합돌기(220) 사이에 배열 설치되는 것으로서, 즉, 상술 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220)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가 밑창(10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넓게 형성되는 즉,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에 의해 스프링의 권선부위는 완충과정에서 상호 접촉되지 않게 되어 종래 스프링에서 발생되는 탄성 변형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전체 높이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밑창(100) 부위는 일정시간이 경과되며 마모가 발생되어 신발의 다른 부위와 비교할 때 먼저 파손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밑창(100)의 홈부(110)에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외면을 감싸 유동을 방지시키고,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rib;500)를 일체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이 리브(500)들은 전체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뒤꿈치 완충부재(400)는, 밑창(100)의 뒤꿈치 부분의 홈(120)과 완충패드(200)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판(410,420)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430)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완충패드(200)를 앞꿈치부와 뒤꿈치부로 분리 구성한 구조를 취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뒷부분 완충패드는 통상의 중간창과 동일한 형태를 취한 것이며, 앞꿈치부측 완충패드(200')는 각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압돌기(210)와 결합돌기(220)가 일체로 마련된 채 연결리브(700)를 통해 연결되어 망사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패드(200')의 구조를 분리 구성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완충패드(200)의 구조를 취할 경우, 갑피와 밑창(100)을 접착 시 완충패드(200)가 차지하는 면적 때문에 접착 면적이 좁아져서 갑피와 밑창(100)이 분리될 우려가 내재되어 있고, 발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완충패드(200)와 깔창(600)을 통해 2중으로 접촉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잘 구부러지지 않게 됨으로써 걷기에 힘이 들고 완충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완충패드(200)를 분리 구성한 경우에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이 각각 개별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효과를 얻기 때문에 즉, 발바닥 접촉면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완충의 효과를 느끼는 것은 물론이고 부드러운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미 설명부호 (H)는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부(110,120)를 상호 연통시켜 신발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통로이다.
이러한 공기순환통로(H)는 기존에 공지된 기술로써 자세한 설명은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미 설명부호(600)은 역시 완충패드(200)와 밑창(1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소프트한 재질로 성형된 텍션 즉, 일종의 깔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 신발은, 밑창(100)의 전,후 부분 즉,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에 홈부(110,120)가 형성되고 상면에 위치된 완충패드(200)의 앞꿈치 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220)에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이 개재되고, 뒤꿈치 부분의 홈부(120)에는 완충부재(400)가 개재됨으로써 보행이나 운동 시 이들에 의해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자체 특성에 의해 장시간 착용 시에도 충분한 완충의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이러한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을 배열 설치함에 있어서도 밑창(100)의 높이를 크게 형성하지 않고도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신발 높이를 전체적으로 높게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밑창(100)에 리브(500)가 마련되어 있어 원추형 코일 스프링(300)의 유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이들이 결합된 부위에서 발생되는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완충신발의 결합관계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단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밑창 110,120 : 홈부
200 : 완충패드 200' : 완충패드
210 : 지압돌기
220 : 결합돌기 300 : 원추형 코일 스프링
400 : 완충부재 500 : 리브
700 : 연결리브

Claims (4)

  1. 발 앞꿈치와 뒤꿈치 부분에 소정깊이의 홈부가 형성되되 발 앞꿈치는 하부를 향할수록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갖는 밑창;
    상기 밑창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는 지압돌기가 복수 돌출 형성되고, 하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앞꿈치부와 뒤꿈치부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앞꿈치부측 완충패드는 각 원추형 코일 스프링과 대응되는 위치에 지압돌기와 결합돌기가 일체로 마련된 채 연결 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망사 형태의 단면을 갖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의 하부측 결합돌기와 밑창의 앞꿈치측 홈부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하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밑창에는 외면을 감싸 유동을 방지시키고,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가 일체로 마련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밑창의 뒤꿈치 부분의 홈과 완충패드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력을 발휘하며, 상,하 판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29385A 2008-03-28 2008-03-28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105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85A KR101051229B1 (ko) 2008-03-28 2008-03-28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85A KR101051229B1 (ko) 2008-03-28 2008-03-28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642A KR20090103642A (ko) 2009-10-01
KR101051229B1 true KR101051229B1 (ko) 2011-07-21

Family

ID=4153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385A KR101051229B1 (ko) 2008-03-28 2008-03-28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02B1 (ko) * 2012-09-13 2013-09-03 김재철 기능성 깔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4822A1 (ko) * 2012-10-02 2014-04-10 주식회사 니플렉스 척수 및 관절 질환 예방용 4단계 스프링쿠션 의료용 신발
EP3824753A1 (de) * 2019-11-20 2021-05-26 Caprice Schuhproduktion GmbH & Co. KG Dämpfende schuhsohlenanordnung
KR102232398B1 (ko) * 2020-05-27 2021-03-26 김춘석 부목 성형체의 재성형 후 발가락보호수단의 이동이 가능한 깁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618B1 (ko) *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US20050241184A1 (en) 2003-01-02 2005-11-03 Levert Francis E Shock resistant shoe
KR200426095Y1 (ko) * 2006-06-14 2006-09-14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070060634A (ko)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1184A1 (en) 2003-01-02 2005-11-03 Levert Francis E Shock resistant shoe
KR100464618B1 (ko) *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070060634A (ko)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KR200426095Y1 (ko) * 2006-06-14 2006-09-14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02B1 (ko) * 2012-09-13 2013-09-03 김재철 기능성 깔창
WO2014042380A1 (ko) * 2012-09-13 2014-03-20 Kim Jae Cheol 기능성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642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20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KR100959406B1 (ko) 삼단 쿠션신발창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KR200426095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902651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10105122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0518307B1 (ko) 신발
KR101294119B1 (ko) 완충식 통기성 신발
KR100586694B1 (ko) 신발 깔창
KR200457896Y1 (ko) 신발 깔창
US20200163407A1 (en)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KR100374727B1 (ko) 탄력을 갖는 신발
KR10099655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20230001869U (ko) 기능성 신발
KR200404224Y1 (ko) 신발
KR100755725B1 (ko) 장구형 탄성부재가 결합된 신발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60012482A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중창이 설치된 신발
CN220571653U (zh) 一种具有缓震防滑的鞋底及运动鞋
KR101220444B1 (ko) 신발창
CN213756884U (zh) 一种高弹性气垫运动鞋
KR200426108Y1 (ko) 고형패드가 부착된 신발 깔창
KR101101415B1 (ko) 신발 중창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