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69U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69U
KR20230001869U KR2020220000682U KR20220000682U KR20230001869U KR 20230001869 U KR20230001869 U KR 20230001869U KR 2020220000682 U KR2020220000682 U KR 2020220000682U KR 20220000682 U KR20220000682 U KR 20220000682U KR 20230001869 U KR20230001869 U KR 202300018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tepping
block
space
stepp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금
Original Assignee
정봉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금 filed Critical 정봉금
Priority to KR2020220000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869U/ko
Publication of KR20230001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4Soles also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경질의 디딤블록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코자 한 것으로서, 신발 밑창에서 발꿈치가 눌리는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족답 시 발꿈치가 압력을 받도록,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밑창보다 경질로 구성되는 디딤블럭과, 발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안정적인 족답이 되도록 상기 밑창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갑피와 결합되는 기립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해 경질의 디딤블럭에 의해 뒤꿈치가 가압되어 발 내부의 혈관에 흐르는 혈액에 압력이 가해져 혈류가 펌핑되어 발가락 끝까지 심장까지 혈류가 보다 잘 흐르도록 유도하여, 혈액 순환을 돕고 건강이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s}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밑창에 경질의 디딤블록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신발에 대한 한 것이다.
신발 밑창에 추가 부재를 더 구성하여 신발 밑창의 효과와 기능을 개선하는 기술이 종래에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종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94191호(2002년 11월 04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펌프의 펌핑작용으로 신발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통풍장치가 설치된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 보행시 착지에 따라 펌프가 펌핑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축자재되는 탄성부재를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발포 우레탄 수지로 하므로서 통풍효과는 물론 착용감 및 지압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통풍장치가 설치된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밑창의 발뒤꿈치부에 관삽입구가 전후방으로 형성된 펌프안착부를 요입 형성하여 이에 관삽입구에 대응되는 신발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관과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배기관이 본체의 외측으로 연설되고, 대향하는 관 선단에 각각 부착된 체크밸브가 본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신축 자재되는 탄성 부재를 본체의 내부에 내설시켜 캡으로 밀봉처리한 통기 펌프를 안착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를 발포 우레탄으로 성형하되 가압판의 저면에 다수의 신축돌봉을 형성시켜 신축 자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공고되어 있다.
다른 종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1057호(2014년 01월 10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착화시 발전체가 웨이브스프링과 판스프링 그리고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이 상하는 물론이고 전후좌우로 유동성 있게 움직이면서 외부충격에 대처할 수 있어 보행 안전성과 아울러 착화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개량된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로, 상부에 안창이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측으로 갑피가 결합된 중창 및 중창 하측에 결합된 밑창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중창의 후미에 웨이브스프링을 설치한 제1완충부와, 장심부를 지지하도록 중창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제2완충부와,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판스프링 또는 다중웨이브스프링을 설치한 제3완충부에 의해 발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쿠션을 제공하는 기술이 공고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346677호(2022년 01월 04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사화나 숙녀화 등을 통칭하는 신발의 아웃솔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용 아웃솔의 상면 중 발바닥의 앞꿈치부와 뒤꿈치부에 각기 안치홈부를 형성하여 이들 안치홈부에 탄성진동체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의 탄성진동체는 상,하 분할 케이스 내의 자석체와 이들 분할 케이스 사이에 자석체를 갖는 진동판에 의해 단순 결합 및 구성되게 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앞꿈치부에는 저면에 탄발스프링이 배열 형성된 별도 구비의 스프링완충패드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탄성진동체로부터 발생하는 무수한 진동력으로 인해 발의 통증이나 피로감이 현저히 감소시키고자 하는 기술이 공고되어 있다.
KR 20-0294191 Y1 (2002.11.04.) KR 10-1351057 B1 (2014.01.10.) KR 10-2346677 B1 (2022.01.04.)
종래에는 신발 밑창에 추가 부재를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여 족답 시 쿠션력을 높여 충격을 완화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었으나, 쿠션력이 높아지는 만큼 신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고 약해짐에 따라 발의 혈액순환이 저해되는 문제가 함께 발생하였다.
발의 혈액순환이 좋지 않으면 발이 차가워지거나 저리거나 붓는 등의 건강상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신발 밑창에 디딤블럭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여 걸을 때 혈액 순환을 더 원활이 하고, 추가로 밑창의 구조를 개선하여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자 함을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고안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기능성 신발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발 밑창에서 발꿈치가 눌리는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족답 시 발꿈치가 압력을 받도록,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밑창보다 경질로 구성되는 디딤블럭과, 발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안정적인 족답이 되도록 상기 밑창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갑피와 결합되는 기립지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딤블럭은 발꿈치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오목한 곡면부와, 디딤블럭의 측면에 하부가 좁아지도록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록경사면과, 상기 공간부는 내측면에서 블록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공간경사면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질의 디딤블럭이 신발 밑창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디딤블럭과 공간부 사이에 개재되게 구성되는 밑창보호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디딤블럭이 공간부 내부에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밑창보호수단과 디딤블럭이 끼움 결합되게 디딤블럭에 구성되는 결합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기능성 신발은 경질의 디딤블럭이 더 구비되어,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족답시 지면에 발이 닿았을 때 발이 좌우로 뒤틀어지는 것을 디딤블럭이 방지하여 안정적인 걸음걸이를 유도한다.
또한 족답시 뒤꿈치의 하중이 디딤블럭을 가압하면, 경질의 디딤블럭에 의해 뒤꿈치가 가압되어 발 내부의 혈관에 흐르는 혈액에 압력이 가해져 혈류가 펌핑되어 발가락 끝까지 심장까지 혈류가 보다 잘 흐르도록 유도하여, 혈액 순환을 돕고 건강이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것은 노후에 치매 또는 파킨슨 병 등에 걸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만약 혈액 순환을 위해 인솔 전체가 경질로 이루어질 경우 걸을 때 신체가 앞으로 쏠려 허리가 아플 수 있으나, 본 고안에는 이를 방지하여 아웃솔인 밑창은 탄성을 가지고, 디딤블럭만 경질로 구성하여 걸을 때 불편함이 없고자 하였다.
또한 밑창의 테두리에 기립지지부가 더 구성되어 발목이 꺾이는 것을 예방하여 걸음이 안정적이고,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신발을 오랫동안 신어도 발 볼에 의해 갑피의 측면이 심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례가 적용된 신발 밑창의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례가 적용된 신발의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디딤블럭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밑창보호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본 고안은 기능성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며,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어 해석해서는 아니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기능성 신발(1)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에 결합되는 밑창(11)이 구성되고, 밑창(11)에서 기능성 신발(1) 사용자의 발꿈치가 눌려지는 부분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1)에 편형의 디딤블럭(2)이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공간부(111)가 상향으로 개구되고, 디딤블럭(2)이 공간부(111)로 하향되어 결합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에 추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디딤블럭(2)을 신발 밑창(11)의 발포 또는 사출시 미리 내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디딤블럭(2)의 형상은 신발 밑창(11)의 두께보다 얇은 편형으로 형성하여 발꿈치를 하부에서 골고루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딤블럭(2)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주요한 특징은 신발 밑창(11)보다 경질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딤블럭(2)이 구비된 기능성 신발(1)을 신고 족답 시 발꿈치의 하중이 디딤블럭(2)에 직접 전달되고, 디딤블럭(2)은 경질로 이루어져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시키기보다 반발력에 의한 반작용으로 발꿈치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과 족답 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결합된 하중에 의해 디딤블럭(2)이 발꿈치를 가압함에 따라 발이 자극을 받아 혈액이 발가락 끝까지 잘 전달되고, 혈류는 다시 반대방향인 심장까지 잘 올라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디딤블럭(2)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디딤블럭(2)의 상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발꿈치 하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발꿈치의 곡률에 대응하여 디딤블럭(2)이 상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딤블럭(2)의 외측면과, 상기 디딤블럭(2)에 대응하는 공간부(111)의 내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블럭(2)의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블록경사면(22)이 디딤블럭(2)에서 측면의 둘레방향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블록경사면(22)이 형성되는 경우, 공간부(111)의 내측면에도 이에 대응하는 공간경사면(111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경우 디딤블럭(2)에 작용하는 하중은 디딤블럭(2)의 하부에서 하향되는 하중이 작용하여 공간부(111)의 특정부분(내측 저면)이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는데,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족답 시 발생하는 하중의 일부는 디딤블럭(2)의 하부에 작용하고, 하중의 나머지는 블록경사면(22)과 공간경사면(111a)에 작용하므로 하중 중 일부가 측방으로 분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추가로 블록경사면(22)과 공간경사면(111a)이 형성되면, 밑창(11)에 형성된 공간부(111)에 디딤블럭(2)을 결합할 때 삽입이 쉬워지고,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이 용이해지는 이점도 발생한다.
기능성 신발(1)을 신은 사용자가 족답시 발생하는 하중을 디딤블럭(2)이 기능성 신발(1)의 밑창(11)에 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경질인 디딤블럭(2)이 상대적으로 연질인 밑창(11)을 지속적으로 누르는 것이 오랫동안 반복될 경우 디딤블럭(2)이 밑창(11)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디딤블럭(2)과 공간부(111)의 사이에 밑창(11)과 동일한 재질 또는 밑창(11)보다 연한 재질의 밑창보호수단(3)가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디딤블럭(2)이 족답시 눌려지는 경우 디딤블럭(2)의 하부에서 밑창보호수단(3)가 충격을 흡수하여 밑창(1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밑창보호수단(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하여, 디딤블럭(2)과 공간부(111) 사이에 개재할 수도 있고,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1)의 하면에 상향으로 밑창보호수단(3)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디딤블럭(2)이 가압될 때 밑창보호수단(3)가 눌림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밑창보호수단(3)의 다른 형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변형공간부(31)을 공간부(111) 내측에서 더 구비토록하여, 족답시 가압되는 디딤블럭(2)에 의해 밑창보호수단(3)가 변형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밑창보호수단(3)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1)의 내측에서 상향돌출되게 구비하고, 추가로 상기 밑창보호수단(3)이 디딤블럭(7)에 내입되도록 디딤블록(7)의 하부에 결합부(23)를 오목하게 더 형성하였다.
밑창보호수단(3)이 결합부(23)와 끼움 결합되면 만약 족답시 밑창(11)에 편심되는 하중에 가해지더라도 디딤블럭(2)이 공간부(111)의 내부에서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간부(111)의 특정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블럭(2)의 모서리 부분을 둥근 호형으로 형성하는 라운드부(24)를 더 구성하여 디딤블럭(2)이 공간부(111)의 내부를 가압하더라도 하중이 공간부(111)에 분산되어 작용토록 하여 밑창(11)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밑창보호수단(3)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1)에 격벽형태로 수개가 기립되어 디딤블럭(2)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밑창보호수단(3)은 일자형 격벽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수개의 일자형 격벽이 서로 교차되어 이웃되게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허니콤형태의 격벽이 서로 이웃하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로 디딤블록(7)의 하부에 결합부(23)를 볼록하게 더 형성하고, 결합부(23)가 서로 마주보는 밑창보호수단(3)의 사이게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도 7의 오목한 결합부(23)와 유사하게 디딤블럭(2)이 공간부(111)의 내부에서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블럭(2)과 공간부(111) 사이에 이격공간부(32)를 더 구성하여 디딤블럭(2)이 공간부(111)를 직접 가압하지 않도록 하여 밑창(11)에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밑창보호수단(3)이 하중을 완충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 구성으로써, 상기의 디딤블럭(2)이 구비된 밑창(11)의 둘레방향으로 기립지지부(112)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립지지부(112)는 그 높이를 높게 하고, 갑피(12)가 기립지지부(112)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기립지지부(112)가 높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을 때 신발에서 발이 미끄러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보조하게 된다.
본 고안은 깔창(인솔)을 발과 밑창(11)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고, 또는 깔창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깔창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사용자가 기능성 신발(1)을 신고 족답시 뒤꿈치의 하중이 디딤블럭(2)을 가압하면, 경질의 디딤블럭(2)에 의해 뒤꿈치가 가압되어 발 내부의 혈관에 흐르는 혈액에 압력이 가해져 혈류가 펌핑되어 발가락 끝까지 심장까지 혈류가 보다 잘 흐르도록 유도하여, 혈액 순환을 돕고 건강이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기능성 신발
11:밑창
111:공간부
111a:공간경사면
112:기립지지부
12:갑피
2:디딤블럭
21:곡면부
22:블록경사면
23:결합부
24:라운드부
3:밑창보호수단
31:변형공간부
32:이격공간부

Claims (4)

  1. 신발 밑창(11)에서 발꿈치가 눌리는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부(111);
    족답 시 발꿈치가 압력을 받도록, 상기 공간부(111)에 삽입되어 밑창(11)보다 경질로 구성되는 디딤블럭(2);
    발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안정적인 족답이 되도록 상기 밑창(11)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갑피(12)와 결합되는 기립지지부(112);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딤블럭(2)은 발꿈치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오목한 곡면부(21)와, 디딤블럭(2)의 측면에 하부가 좁아지도록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록경사면(22);
    상기 공간부(111)는 내측면에서 블록경사면(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공간경사면(111a);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질의 디딤블럭(2)이 신발 밑창(11)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디딤블럭(2)과 공간부(111) 사이에 개재되게 구성되는 밑창보호수단(3);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디딤블럭(2)이 공간부(111) 내부에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밑창보호수단(3)과 디딤블럭(2)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디딤블럭(2)에 구성되는 결합부(23);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2020220000682U 2022-03-17 2022-03-17 기능성 신발 KR202300018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82U KR20230001869U (ko) 2022-03-17 2022-03-17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82U KR20230001869U (ko) 2022-03-17 2022-03-17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69U true KR20230001869U (ko) 2023-09-26

Family

ID=8819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682U KR20230001869U (ko) 2022-03-17 2022-03-17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800B1 (ko) * 2023-11-07 2024-05-10 주식회사 릿슈코리아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91Y1 (ko) 2002-07-08 2002-11-04 성전영 통풍장치가 설치된 신발밑창
KR101351057B1 (ko) 2012-10-05 2014-01-10 이상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KR102346677B1 (ko) 2020-12-18 2022-01-04 이윤진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91Y1 (ko) 2002-07-08 2002-11-04 성전영 통풍장치가 설치된 신발밑창
KR101351057B1 (ko) 2012-10-05 2014-01-10 이상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KR102346677B1 (ko) 2020-12-18 2022-01-04 이윤진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800B1 (ko) * 2023-11-07 2024-05-10 주식회사 릿슈코리아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20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6694642B2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US7174658B2 (en) Shoe sole structures
US4852274A (en) Therapeutic shoe
US7546699B2 (en) Shoe sole structures
US20110185593A1 (en) Sole for footwear
KR200410566Y1 (ko) 신발 깔창
KR20120085780A (ko)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CN101365357A (zh) 具有带浮动铰链的弹性鞋底夹层的鞋外底
US7353625B2 (en) Resilient cushioning device for the heel portion of a sole
KR20100014205A (ko) 삼단 쿠션신발창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20230001869U (ko) 기능성 신발
JPH0747003A (ja) 靴 底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KR0144240B1 (ko) 통공의 쿠션부가 형성되는 경량화되는 신발밑창구조
KR101051229B1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1351441B1 (ko)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CN218571540U (zh) 防滑抗扭型鞋底
CN211268864U (zh) 一种具有足弓支撑功能的减震舒适鞋底
CN217284915U (zh) 一种具有支撑缓冲功能的鞋底
KR200238273Y1 (ko)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CN209749966U (zh) 一种运动型灭菌按摩鞋
KR101220444B1 (ko) 신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