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057B1 -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057B1
KR101351057B1 KR1020120110908A KR20120110908A KR101351057B1 KR 101351057 B1 KR101351057 B1 KR 101351057B1 KR 1020120110908 A KR1020120110908 A KR 1020120110908A KR 20120110908 A KR20120110908 A KR 20120110908A KR 101351057 B1 KR101351057 B1 KR 10135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ock
midsole
support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필
Original Assignee
이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필 filed Critical 이상필
Priority to KR102012011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착화시 발전체가 웨이브스프링과 판스프링 그리고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이 상하는 물론이고 전후좌우로 유동성 있게 움직이면서 외부충격에 대처할 수 있어 보행 안전성과 아울러 착화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개량된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에 안창이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측으로 갑피가 결합된 중창 및 중창 하측에 결합된 밑창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중창의 후미에 웨이브스프링을 설치한 제1완충부와, 장심부를 지지하도록 중창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제2완충부와,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판스프링 또는 다중웨이브스프링을 설치한 제3완충부에 의해 발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쿠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심부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의 전방으로 극성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발바닥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판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판에는 온열 효과, 항균효과, 탈취효과가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진 귀사문석(貴蛇紋石)을 결합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Spring shoes having shock absorbing func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화시 발전체가 웨이브스프링과 판스프링 그리고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이 상하는 물론이고 전후좌우로 유동성 있게 움직이면서 외부충격에 대처할 수 있어 보행 안전성과 아울러 착화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개량된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의 신발은 걷거나 뛸 때 발을 보호하는 도구로서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착화감 향상에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착용감 향상을 위해 신체로부터 제공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신발 밑창을 EVA발포수지 등으로 구성하거나, 내부에 스프링 혹은 에어챔버 등을 삽입하는 다양한 구성의 것이 개발되고 있고, 발에서 분비되는 땀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통풍이 이루어지게 한 신발 및 신발의 내부에 끼워서 사용하는 깔창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은 대부분 발뒤꿈치 부분에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보행이나 조깅 등을 할 때 다리 관절에 무리한 충격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능이 미흡하여 관절의 연골과 척추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신발 깔창은 구조적으로 쿠션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의 피로가 빨리 오고 운동량을 높일 수 없으므로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신발은 깔창에 기능성을 부여한 제품을 이용하여 악취제거 및 세균 억제의 기능성을 제공코자 하나, 이들의 경우 한두 번의 세탁에 의해 기능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아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지속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충격 흡수 기능을 강화하여 착화감을 향상시키고, 밑창의 꺼짐이 없고, 신발 내부의 악취 발생도 없앨 수 있는 '쿠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을 개발하여 출원 등록(특허 10-0937229호)한 바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는 걷거나 뛸 때 족압이 강하게 작용하는 발뒤꿈치 부분이 내장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으로 충분히 완충되므로 착용감 향상과 함께 보행자의 관절을 보호하는 효과를 득할 수 있고, 또한 발바닥 전체와 접하는 완충패드에 의해 악취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어 신발을 항상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고, 발바닥 지압효과, 혈액순환촉진 등의 부가적인 효과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등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등록특허의 경우 발뒤꿈치를 바치고 있는 쿠션수단으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의 경우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지름이 3~4mm로 스프링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코일스프링 사용으로 인해서 신발이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자는 충격 흡수 기능을 강화하여 착화감을 향상시키고, 밑창의 꺼짐이 없으며, 신발 내부의 악취 발생도 없앨 수 있는 쿠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을 경량화 할 수 있도록 한 '쿠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을 개발하여 특허출원(공개특허 10-2012-0095732호(2012.08.29.))한 바 있다.
상기한 쿠션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은 상기 쿠션부재 내입구멍에 내입되는 쿠션부재는 합성수지 폼에 상측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며 직경이 1~2mm으로 가는 스프링강으로 제작한 테이퍼형의 코일스프링을 인서트 구성하여 신발의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신발 전체의 중량을 경량화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코일스프링의 특징이 주로 상하 신축이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또 발바닥과 전하는 부분의 코일스프링 탄성력이 미약하여 발전체에 고른 쿠션력을 전달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발뒷굼치에 위치하는 테이프형의 코일스프링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될 때 상후가 하부에 내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상하탄성에는 매우 유용하나 노면 여건에 의해 신발이 틀어지는 경우 발에 안전한 쿠션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신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KR 100937229 B1 2010.01.08. KR 1020120095732 A 2012.08.29.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착화시 발전체가 웨이브스프링과 판스프링 그리고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이 상하는 물론이고 전후좌우로 유동성 있게 움직이면서 외부충격에 대처할 수 있어 보행 안전성과 아울러 착화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개량된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안창이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측으로 갑피가 결합된 중창 및 중창 하측에 결합된 밑창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중창의 후미에 웨이브스프링을 설치한 제1완충부와, 장심부를 지지하도록 중창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제2완충부와,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판스프링을 설치한 제3완충부에 의해 발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쿠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안창이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측으로 갑피가 결합된 중창 및 중창 하측에 결합된 밑창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있어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중창의 후미에 웨이브스프링 설치한 제1완충부와, 장심부를 지지하도록 중창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한 제2완충부와,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다중웨이브스프링을 설치한 제3완충부에 의해 발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쿠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장심부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의 전방으로 극성이 서로 다른 한 쌍의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발바닥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바닥을 지지하는 판스프링 또는 다중웨이브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판에는 온열 효과, 항균효과, 탈취효과가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진 귀사문석(貴蛇紋石)을 결합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을 착화 할 경우 발뒤꿈치와 장심 및 발바닥이 각각 웨이브스프링과, 코일스프링 및 판스프링 또는 웨이브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발전체가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브스프링이 상하 쿠션은 물론이고, 전후좌우로의 유동성 있는 압축이 가능하므로 외부 환경에 따라 체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편안한 보행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며, 발바닥이 판스프링 또는 웨이브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 체중에 의해 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발을 들어 올릴 때 발전체를 갑피쪽으로 밀어 올렸다가 지면에 닿을 때 가압되면서 압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존 스프링 신발에 비해 쿠션력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심부 또한 내장된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고, 장심부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어 장시간 보행시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바닥을 지지하고 있는 판스프링 또는 웨이브스프링을 잡아주는 고정판에 귀사문석(貴蛇紋石)이 결합되어 있어 귀사문석에서 제공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등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과 더불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고 또 항균효과, 탈취효과를 제공하여 신발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웨이브스프링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웨이브스프링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장심부를 자기장을 제공하는 영구자석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판스프링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정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웨이브스프링의 발췌 사시도 등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안창(2)이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측으로 갑피(3)가 결합된 중창(4) 및 중창(4) 하측에 결합된 밑창(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중창(4)의 후미에 설치한 웨이브스프링(14)을 설치한 제1완충부(10)와, 장심부를 지지하도록 중창(4)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제2완충부(20)와,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중창(4)에 판스프링(32)을 설치한 제3완충부(30)에 의해 발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쿠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완충부(10)는 중창(4)의 뒤쪽 발뒤꿈치와 접하는 쪽에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을 형성하고, 이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에는 중앙에 쿠션돌기(13)가 형성된 받침구(12)를 내장하고 받침구(12)에 하단이 지지되도록 웨이브스프링(14)을 내장하며, 고무재질의 덮개판(15)을 이용하여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을 밀폐하여 신발(1)을 착화시 발뒤꿈치를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덮개판(15)은 가장자리가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구(12)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하고 쿠션돌기(13)는 스펀지 구성으로 형성하여 상호 조립하거나 인서트 성형토록 한다.
상기 제1완충부(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완충부(20)는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의 전방으로는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을 형성하고, 이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에는 상하부에 지지판(22)이 결합된 코일스프링(23)을 내입 고정하여 착화시 장심부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부 지지판(22)은 호형으로 형성하고 하부 지지판(22)은 평판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완충부(20)의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 전방 좌우측에는 2개의 자석내입공간(24)을 형성하고, 이들 자석내입공간(24)에는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영구자석(25)을 매립되게 설치한다. 이때 영구자석(25)은 착화 상태의 발에 자기장이 제공될 수 있는 세기의 자력을 갖는 강력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토록 한다.
그리고 그 전방으로는 제3완충부(30)가 설치되며, 이는 함몰된 판스프링 내입공간(31)을 넓게 형성하고, 이에 판스프링(32)을 설치한다.
상기 판스프링(32)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3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신발(1)의 크기에 따라 2개 혹은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32)은 아치형상의 양단부에 지지판(32a)을 형성하고, 지지판(32a)에는 걸림구멍(32b)을 형성하여 판스프링 내입공간(31)에 돌출되도록 형성한 스토퍼(31a)에 걸림되게 하며, 상기 판스프링 내입공간(31)에는 판스프링(32)을 보호하고 잡아주도록 판스프링(32)과 동일한 높이를 구성된 고정판(33)을 결합한다.
상기 고정판(33)은 판스프링(32)의 아치부분이 노출되는 구멍(33a)이 형성된 상태로 바닥이 판스프링 내입공간(31)에 접착 고정된다. 고정판(33)은 탄성을 제공하는 EVA와 같은 발포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고정판(33)의 전방에는 귀사문석결합홈(33b)을 형성하고 이에 귀사문석(34)을 결합한다.
상기 귀사문석(貴蛇紋石)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고 기(氣)가 많이 나오며, 항균효과와 항곰팡이 억제력, 음이온 방사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보석의 일종으로 흑녹옥이라고도 한다.
상기 제1완충부(10)에 적용되는 웨이브스프링(14)은 도 4에 도시된 중도에 파형의 요철부(14a)가 형성되도록 얇은 스프링강판을 코일스프링과 같이 제조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가압할 때 상하 압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가압력이 강한 쪽으로 전후좌우로 유동성 있는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한 스프링이다.
상기 제2완충부(20)의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의 전방에 설치되는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영구자석(2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창(2)의 상측으로 강력한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이 자기장은 발바닥에 제공되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아치형상으로 구성되는 판스프링(32)은 도 7과 같이 발바닥에서 제공되는 가압력을 강력하게 지지하므로 스프링 변형에 의해 중창(4)의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발바닥의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며, 또한 보행시 지면에서 발을 들어 올릴 때 발바닥을 위로 밀어 올리고 지면과 맞닿을 때 발바닥을 압박하여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판스프링(32)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판(33)에 귀사문석 분말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귀사문석에서 제공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25)과 더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어 보행 피로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음이온 등에 의해 항균효과, 탈취효과를 제공하여 신발(1)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1)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2완충부(20)의 자석내입공간(24)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제3완충부(30)의 구성을 달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 제공하는 제3완충부(30)는 자석내입공간(24)의 전방에 함몰된 다중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35)을 넓게 형성하고, 이에는 다중웨이브스프링(36)을 설치한다.
상기 다중웨이브스프링(36)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웨이브스프링을 동심으로 배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보행시 체중 전체가 발바닥 쪽으로 집중되는 가압력에 강력한 지지력을 제공하고, 가압력이 해제될 때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다중웨이브스프링(36)은 발뒤꿈치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다중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35)에는 다중웨이브스프링(36)이 노출되는 구멍(37a)이 형성된 고정판(37)을 결합하며, 고정판(37)의 전방에는 귀사문석결합홈(37b)을 형성하고 이에 귀사문석(34)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3완충부(30)를 신발(1)에 적용할 경우 발바닥 부분이 다중웨이브스프링(36)에 의해 지지되므로 신발(1) 내에서 발전체를 지지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발이 신발(1)의 앞쪽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할 때 다중웨이브스프링(36)이 전방으로 쏠리면서 체중을 지탱하게 되며, 또한 노면의 장애물 등에 의해 발이 측방으로 기울 때에도 다중웨이브스프링(36)에 의해 발바닥을 지지하면서 체중을 지탱하게 되는 것으로 보행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1)을 착화할 경우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제1완충부(10)와, 장심 부분을 지지하는 제2완충부(20) 그리고 발바닥을 지지하는 제3완충부(30)가 발전체를 지지하면서 탄성력으로 발을 밀어 올리는 작용을 하므로 장시간 보행에도 보행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완충부(10)와 제3완충부(30)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이 비틀리는 경우에도 발전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 보행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완충부(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영구자석(25)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자기장과 더불어 제3완충부(30)의 고정판(33)(37)에 결합되어 있는 귀사문석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혈액순환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귀사문석에서 제공되는 음이온에 의한 탈취 및 항균작용으로 발 냄새 제거와 곰팡이균 서식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신발(1)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화, 구두, 단화, 캐주얼화 등 다양한 구성의 신발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2:안창 3:갑피
4:중창 5:밑창
10:제1완충부 11: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
12:받침구 13:쿠션돌기
14:웨이브스프링 15:덮개판
20:제2완충부 21:코일스프링 내입공간
22:지지판 23:코일스프링
24:자석내입공간 25:영구자석
30:제3완충부 31:판스프링 내입공간
31a:스토퍼 32:판스프링
32a:지지판 32b:걸림구멍
33,37:고정판 33a,37a:구멍
33b,37b:귀사문석결합홈 34:귀사문석
35:다중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 36:다중웨이브스프링

Claims (5)

  1. 상부에 안창(2)이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측으로 갑피(3)가 결합된 중창(4) 및 중창(4) 하측에 결합된 밑창(5)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1)에 있어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중창(4)의 후미에 설치한 웨이브스프링(14)을 설치한 제1완충부(10)와;
    장심부를 지지하도록 중창(4)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제2완충부(20)와;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중창(4)에 판스프링(32)을 설치한 제3완충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완충부(10)는 중창(4)의 뒤쪽 발뒤꿈치와 접하는 쪽에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을 형성하여 중앙에 쿠션돌기(13)가 형성된 받침구(12)와 웨이브스프링(14)을 내장하며, 고무재질의 덮개판(15)으로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을 밀폐하며,
    상기 제2완충부(20)는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의 전방으로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을 형성하여 상하부에 지지판(22)이 결합된 코일스프링(23)을 내입 고정하며,
    상기 제3완충부(30)는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의 전방으로 판스프링 내입공간(31)을 넓게 형성하여 아치형상의 양단부에 지지판(32a)을 형성한 판스프링(32)을 내입 설치하고, 판스프링(32)의 아치부분이 노출되는 구멍(33a)이 형성된 고정판(33)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2. 상부에 안창(2)이 결합되며 가장자리 상측으로 갑피(3)가 결합된 중창(4) 및 중창(4) 하측에 결합된 밑창(5)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1)에 있어서;
    발뒤꿈치를 지지하도록 중창(4)의 후미에 설치한 웨이브스프링(14)을 설치한 제1완충부(10)와;
    장심부를 지지하도록 중창(4)에 코일스프링(23)을 설치한 제2완충부(20)와;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중창(4)에 다중웨이브스프링(36)을 설치한 제3완충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완충부(10)는 중창(4)의 뒤쪽 발뒤꿈치와 접하는 쪽에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을 형성하여 중앙에 쿠션돌기(13)가 형성된 받침구(12)와 웨이브스프링(14)을 내장하며, 고무재질의 덮개판(15)으로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을 밀폐하며,
    상기 제2완충부(20)는 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11)의 전방으로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을 형성하여 상하부에 지지판(22)이 결합된 코일스프링(23)을 내입 고정하며,
    상기 제3완충부(30)는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의 전방으로 다중웨이브스프링 내입공간(35)을 넓게 형성하여 다중웨이브스프링(36)을 설치하고, 다중웨이브스프링(36)이 노출되는 구멍(37a)이 형성된 고정판(37)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20)의 코일스프링 내입공간(21) 전방 좌우측에 형성한 2개의 자석내입공간(24)과,
    상기 자석내입공간(24)에 내입 고정되는 극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영구자석(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3)의 전방에는 귀사문석결합홈(34b)을 형성하고, 귀사문석(34)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7)의 전방에는 귀사문석결합홈(37b)을 형성하고, 귀사문석(34)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KR1020120110908A 2012-10-05 2012-10-05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KR101351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08A KR101351057B1 (ko) 2012-10-05 2012-10-05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08A KR101351057B1 (ko) 2012-10-05 2012-10-05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057B1 true KR101351057B1 (ko) 2014-01-10

Family

ID=5014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08A KR101351057B1 (ko) 2012-10-05 2012-10-05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05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3400A (zh) * 2014-01-17 2015-07-22 纳米新能源(唐山)有限责任公司 磁疗发电鞋
KR101682329B1 (ko) * 2016-01-06 2016-12-02 홍정임 신발용 쿠션포켓, 아웃솔, 미들솔 및 신발
KR20170060334A (ko) * 2015-11-24 2017-06-01 권동혁 체험 공유를 통한 포인트 취득 및 사용 그리고 다이어트 가능한 스프링 신발의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 체험 시스템
KR101760432B1 (ko) 2015-07-09 2017-07-21 김희경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20200044438A (ko) * 2018-10-19 2020-04-29 이병열 천연광물 지지구를 구비한 기능성 깔창
EP3675674A4 (en) * 2017-08-29 2021-05-19 Spira, Inc. SPRING CUSHIONED SHOE WITH ENCAPSULATED SPRING
KR20230001869U (ko) 2022-03-17 2023-09-26 정봉금 기능성 신발
KR102624731B1 (ko) * 2022-09-14 2024-01-11 김정곤 충격완화 기능 및 혈류개선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신발
EP4360491A1 (en) * 2022-10-26 2024-05-01 ASICS Corporation Sole and sho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73Y1 (ko) 2001-04-03 2001-10-11 김광우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100374727B1 (ko) 2000-10-07 2003-03-15 안우형 탄력을 갖는 신발
KR100974859B1 (ko) 2009-02-10 2010-08-11 김경숙 신발의 쿠션장치
KR101018905B1 (ko) 2010-08-16 2011-03-02 강민구 체중 다중제어 스프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형교정과 관절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의료용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727B1 (ko) 2000-10-07 2003-03-15 안우형 탄력을 갖는 신발
KR200238273Y1 (ko) 2001-04-03 2001-10-11 김광우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KR100974859B1 (ko) 2009-02-10 2010-08-11 김경숙 신발의 쿠션장치
KR101018905B1 (ko) 2010-08-16 2011-03-02 강민구 체중 다중제어 스프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형교정과 관절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의료용 신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3400A (zh) * 2014-01-17 2015-07-22 纳米新能源(唐山)有限责任公司 磁疗发电鞋
KR101760432B1 (ko) 2015-07-09 2017-07-21 김희경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20170060334A (ko) * 2015-11-24 2017-06-01 권동혁 체험 공유를 통한 포인트 취득 및 사용 그리고 다이어트 가능한 스프링 신발의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 체험 시스템
KR101682329B1 (ko) * 2016-01-06 2016-12-02 홍정임 신발용 쿠션포켓, 아웃솔, 미들솔 및 신발
EP3675674A4 (en) * 2017-08-29 2021-05-19 Spira, Inc. SPRING CUSHIONED SHOE WITH ENCAPSULATED SPRING
US11497273B2 (en) 2017-08-29 2022-11-15 Spira, Inc. Spring cushioned shoe with encapsulated spring
KR20200044438A (ko) * 2018-10-19 2020-04-29 이병열 천연광물 지지구를 구비한 기능성 깔창
KR102135059B1 (ko) * 2018-10-19 2020-08-26 이병열 천연광물 지지구를 구비한 기능성 깔창
KR20230001869U (ko) 2022-03-17 2023-09-26 정봉금 기능성 신발
KR102624731B1 (ko) * 2022-09-14 2024-01-11 김정곤 충격완화 기능 및 혈류개선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신발
EP4360491A1 (en) * 2022-10-26 2024-05-01 ASICS Corporation Sole and sho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5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신발
KR101231022B1 (ko)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WO2010037258A1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KR101420049B1 (ko) 충격 흡수 및 반발 탄성을 갖는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5029B1 (ko) 신발 깔창
KR200468794Y1 (ko) 슬리퍼
KR100937229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638145B1 (ko) 발바닥 지압용 신발
JP2010509020A (ja) 衝撃吸収部を有する靴
KR20110094777A (ko) 충격 흡수용 패드가 장착된 신발
KR200477324Y1 (ko) 스프링을 구비하는 덧버선 타입 실내화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101791188B1 (ko) 기능성 깔창
KR200478808Y1 (ko) 통기성과 보행 안정성이 향상된 신발창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20140047426A (ko) 신발 안창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200467738Y1 (ko)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화
CN213307765U (zh) 一种具有防水减震功能的婴儿鞋子
KR200456481Y1 (ko) 기능성 보조 깔창
KR200414220Y1 (ko) 좌우대칭형 샌들
KR200481007Y1 (ko) 통기성과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된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