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441B1 -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 Google Patents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441B1
KR101351441B1 KR1020120028659A KR20120028659A KR101351441B1 KR 101351441 B1 KR101351441 B1 KR 101351441B1 KR 1020120028659 A KR1020120028659 A KR 1020120028659A KR 20120028659 A KR20120028659 A KR 20120028659A KR 101351441 B1 KR101351441 B1 KR 101351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uffer
buffer member
groove
midsole
bell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961A (ko
Inventor
함홍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마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마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마에코
Priority to KR102012002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44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돌기부가 상부면의 전,후방에 형성되고, 전,후방돌기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전,후방홈부와, 하부전방홈부내에 형성된 전방삽입부에 제2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되고, 하부후방홈부내에 형성된 후방삽입부에 제1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된 중창으로 구성하여 갑피의 하부가 상기 중창의 가외둘레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 상부면이 중창의 가외둘레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중창의 하부에 밑창으로 구성하여 보행이나 구보 시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중창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2탄성완충부재들이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신발을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신발용 쇽업중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SHOCK ABSORBER MID-SOLE FOR FUNCTIONAL SHOES}
본 발명은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방돌기부가 상부면의 전,후방에 형성되고, 전,후방돌기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전,후방홈부와, 하부전방홈부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전방삽입부에 제2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되고, 하부후방홈부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후방삽입부에 제1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된 중창으로 구성하여 갑피의 하부가 상기 중창의 가외둘레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 상부면이 중창의 가외둘레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중창의 하부에 밑창으로 구성하여 보행이나 구보 시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중창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2탄성완충부재들이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신발을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신발용 쇽업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창은 중창과 밑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신발창은 발을 편안하게 하여 신발을 신고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업무를 보더라도 발이 편안하게 유지되게 하고, 걷거나 뛰기에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발의 보조기구이다.
이러한 신발은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며 그 종류만도 수십 가지에 이르고 있으며, 또한 신발은 그 용도와 기능에 따라 운동화, 구두, 슬리퍼, 농구화, 축구화 및 등산화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최근 들어서는 각종 기능을 추가하여 편안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신발창의 구성인 중창 또는 밑창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교통수단 등과 같이 과학의 발달에 의하여 운동부족 및 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하여 비만 등의 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하여 아침에 공원 등에서 조깅 등의 운동을 많이 하고 있는 바, 상기한 조깅을 하는 사람은 비교적 가벼운 신발과 트레이닝을 착용하고 달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이나 신발창인 중창과 밑창은 보행이나 조깅 등을 할 때 다리 관절에 무리한 충격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능이 미흡하여 관절의 연골과 척추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발이나 신발창인 중창과 밑창은 구조적으로 쿠션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의 피로가 빨리 오고 운동량을 높일 수 없으므로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걷거나 뛸 때에 착용자의 체중에서 오는 충격이 여과 없이 발로 전달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피로감을 더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10-2005-007122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후방돌기부가 상부면의 전,후방에 형성되고, 전,후방돌기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전,후방홈부와, 하부전방홈부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전방삽입부에 제2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되고, 하부후방홈부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후방삽입부에 제1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된 중창으로 구성하여 갑피의 하부가 상기 중창의 가외둘레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 상부면이 중창의 가외둘레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중창의 하부에 밑창으로 구성하여 보행이나 구보 시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중창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2탄성완충부재들이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신발을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기능성신발용 쇽업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 후방상부에 후방돌출부(11)가 형성되고, 전방상부에 전방돌출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기 후방돌출부(11) 하부에 형성된 하부후방홈부(20)와; 상기 하부후방홈부(20)에 다수개로 형성된 후방삽입부(30)와: 상기 후방삽입부(30)에 삽입되는 제1탄성완충부재(40)와; 상기 몸체(10)의 상기 전방돌출부(12) 하부에 형성된 하부전방홈부(50)와; 상기 하부전방홈부(50)에는 다수개로 형성된 전방삽입부(60)와; 상기 전방삽입부(60)에 삽입되는 제2탄성완충부재(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금형몰드로 상기 후방삽입부(30)가 형성될시 삽입되어 상기 후방삽입부(30)에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는 금형몰드로 상기 전방삽입부(60)가 형성될시 삽입되어 상기 전방삽입부(60)에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삽입부(30)는 복수개의 홈부(30a)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부(60)는 다수개의 홈부(60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삽입부(30)들을 서로 연결하는 후방연결돌기부(30b)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부(60)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연결돌기부(6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자바라기둥체(40a)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자바라기둥체(40a)들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하부연결부(40b,40c)로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기둥체(40a)의 내부에는 스프링(40d)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자바라기둥체(70a)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자바라기둥(70a)들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하부연결부(70b,70c)로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기둥체(70a)의 내부에는 스프링(70d)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가외둘레의 내부에는 심재(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상기 심재(80)의 상부는 연성부재(80a)로 형성되고, 상기 연성부재(80a)의 하부에는 경성부재(80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하부둘면에 갑피(90)의 하부둘레가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91)의 상부면이 접착제로 접착되되, 상기 절곡부(91)의 상부면은 상기 심재(80)와 서로 마주되게 설치되고, 상기 절곡부(91)의 상부면과 상기 심재(80)가 고정수단(100)으로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밑창(200)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중앙의 내부에는 금속심재(1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후방돌기부가 상부면의 전,후방에 형성되고, 전,후방돌기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전,후방홈부와, 하부전방홈부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전방삽입부에 제2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되고, 하부후방홈부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후방삽입부에 제1탄성완충부재가 삽입된 중창으로 구성하여 갑피의 하부가 상기 중창의 가외둘레에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 상부면이 중창의 가외둘레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중창의 하부에 밑창으로 구성하여 보행이나 구보 시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중창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2탄성완충부재들이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신발을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탄성완충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탄성완충부재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탄성완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탄성완충부재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용 쇽업중창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용 쇽업중창은 몸체(10)와, 하부후방홈부(20)와, 후방삽입부(30)와, 제1탄성완충부재(40)와, 하부전방홈부(50)와, 전방삽입부(60)와, 제2탄성완충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후방상부에 후방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상부에 상부돌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돌출부(11) 및 상부돌출부(12)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에는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후방돌출부(11) 및 상부돌출부(12)는 일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돌출부(11)는 발바닥의 후방의 충격을 완충하고, 상기 전방돌출부(12)는 발바닥의 전방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가외둘레의 내부에는 심재(8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상기 심재(80)의 상부는 연성부재(80a)로 형성되고, 상기 연성부재(80a)의 하부에는 경성부재(80b)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심재(80)는 후술되는 갑피(90)의 절곡부(91)의 상부면이 상기 심재(80)가 내재된 상기 몸체(10)의 하부면에 접착되고, 고정수단(100)으로 고정되어 진다.
즉, 상기 심재(80)는 상기 절곡부(91)에 상기 고정수단(100)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갑피(90)의 상기 절곡부(91)가 상기 몸체(10)의 하부가외둘레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중앙의 내부에는 금속심재(110)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중앙부가 장기간 반복 절곡되는 피로도에 의해 손상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후방홈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후방홈부(20)는 상기 후방돌출부(11)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후방홈부(20)는 일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후방홈부(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랍직하나, 그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후방삽입부(30)는 상기 하부후방홈부(2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후방삽입부(30)는 홈부(30a)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부(30)들을 서로 연결하는 후방연결돌기부(30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도 2 및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상기 후방삽입부(30)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의 상부가 삽입되어 구성되나,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금형몰드로 상기 후방삽입부(30)가 형성될시 삽입되어 상기 후방삽입부(30)에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의 상부는 상기 후방삽입부(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들의 상부는 상기 하부후방홈부(20)에서 압축 및 팽창되고,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의 하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밑창(200)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작동홈부(202)에서 압축 및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자바라기둥체(4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바라기둥체(40a)는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되어도 변형 및 훼손되지 않는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바라기둥(40a)들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하부연결부(40b,40c)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자바라기둥체(40a)의 내부에는 스프링(40d)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40d)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자바라기둥체(40a)의 바닥면에 고정돌기(40e)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들은 상기 후방돌출부(11)와 함께 발바닥의 전방의 충격을 완화하여 준다.
상기 하부전방홈부(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전방홈부(50)는 상기 몸체(10)의 상기 전방돌출부(12) 하부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전방홈부(50)는 상기 전방돌출부(12)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전방홈부(50)는 일정의 깊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전방홈부(5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랍직하나, 그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방삽입부(60)는 상기 하부전방홈부(5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삽입부(60)는 홈부(60a)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부(60)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연결돌기부(60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는 도 2 및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는 상기 전방삽입부(60)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의 상부가 삽입되어 구성되나,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70)는 금형몰드로 상기 전방삽입부(60)가 형성될시 삽입되어 상기 전방삽입부(60)에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의 상부는 상기 전방삽입부(6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들의 상부는 상기 하부전방홈부(50)에서 압축 및 팽창되고,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의 하부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밑창(200)의 후방에 형성된 전방작동홈부(202)에서 압축 및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작동홈부(202)와 상기 후방작동홈부(202)는 공기통로(203)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방작동홈부(202)의 후방에는 공기배출구(20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자바라기둥체(70a)가 형성되어 구성되나, 상기 자바라기둥체(70a)는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바라기둥체(70a)는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되어도 변형 및 훼손되지 않는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바라기둥(70a)들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하부연결부(70b,70c)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자바라기둥체(70a)의 내부에는 스프링(70d)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70d)의 하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자바라기둥체(70a)의 바닥면에 고정돌기(70e)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들은 상기 전방돌출부(12)와 함께 발바닥의 전방의 충격을 완화하여 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부둘면에 갑피(90)의 하부둘레가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91)의 상부면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갑피(90)는 신발을 구성하는 통상의 직물 또는 합성수재 또는 가죽재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91)의 상부면은 상기 심재(80)와 서로 마주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절곡부(91)의 상부면과 상기 심재(80)가 고정수단(100)으로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00)은 고정못, 스테이플러로 상기 절곡부(91)와 상기 심재(80)를 관통하여 고정구성되거나, 미싱의 바늘에 삽입되는 고정실을 상기 절곡부(91)와 상기 심재(80)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갑피(90)가 상기 몸체(10)에 설치될시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시트(92)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00)으로 상기 갑피(90)의 상기 절곡부(91)와 상기 심재(80)를 고정하는 것은 상기 절곡부(91)가 상기 심재(80) 및 상기 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갑피(90)의 내부에 반복적으로 삽입되는 발의 둘레가 상기 절곡부(91)에 피로도를 가중하여 상기 절곡부(91)가 상기 몸체(10)의 하부둘레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발이 삽입되어진 갑피(90)가 오랜 보행시 상기 갑피(90)의 상기 절곡부(91)가 상기 몸체(10)의 하부둘레면에 쉽게 이탈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몸체 11: 후방돌출부
12: 전방돌출부 20: 하부후방홈부
30: 후방삽입부 30a: 홈부
30b: 후방연결돌기부 40: 제1탄성완충부재
40a: 자바라기둥체 40b: 상부연결부
40c: 하부연결부 40d: 스프링
50: 하부전방홈부 60: 전방삽입부
60a: 홈부 60b: 전방연결돌기부
70: 제2탄성완충부재 70a: 자바라기둥체
70b: 상부연결부 70b: 하부연결부
70d: 스프링 80: 심재
80a: 연성부재 80b: 경성부재
90: 갑피 91: 절곡부
100: 고정수단 110: 금속심재
200: 밑창

Claims (11)

  1. 후방상부에 후방돌출부(11)가 형성되고, 전방상부에 전방돌출부(12)가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기 후방돌출부(11) 하부에 형성된 하부후방홈부(20)와;
    상기 하부후방홈부(20)에 다수개로 형성된 후방삽입부(30)와:
    상기 후방삽입부(30)에 삽입되는 제1탄성완충부재(40)와;
    상기 몸체(10)의 상기 전방돌출부(12) 하부에 형성된 하부전방홈부(50)와;
    상기 하부전방홈부(50)에는 다수개로 형성된 전방삽입부(60)와;
    상기 전방삽입부(60)에 삽입되는 제2탄성완충부재(70)로 구성되고,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금형몰드로 상기 후방삽입부(30)가 형성될시 삽입되어 상기 후방삽입부(30)에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가 고정되고,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는 금형몰드로 상기 전방삽입부(60)가 형성될시 삽입되어 상기 전방삽입부(60)에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가 고정되고,
    상기 후방삽입부(30)는 홈부(30a)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부(60)는 홈부(60a)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부(30)들을 서로 연결하는 후방연결돌기부(30b)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삽입부(60)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연결돌기부(6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완충부재(4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자바라기둥체(40a)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자바라기둥체(40a)들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하부연결부(40b,40c)로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기둥체(40a)의 내부에는 스프링(40d)이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탄성완충부재(70)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자바라기둥체(70a)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자바라기둥(70a)들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하부연결부(70b,70c)로 형성되며, 상기 자바라기둥체(70a)의 내부에는 스프링(70d)이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가외둘레의 내부에는 심재(80)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 상기 심재(80)의 상부는 연성부재(80a)로 형성되고, 상기 연성부재(80a)의 하부에는 경성부재(80b)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중앙의 내부에는 금속심재(1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28659A 2012-03-21 2012-03-21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KR101351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59A KR101351441B1 (ko) 2012-03-21 2012-03-21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659A KR101351441B1 (ko) 2012-03-21 2012-03-21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61A KR20130106961A (ko) 2013-10-01
KR101351441B1 true KR101351441B1 (ko) 2014-01-14

Family

ID=4963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659A KR101351441B1 (ko) 2012-03-21 2012-03-21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159B1 (ko) * 2015-08-21 2017-03-29 박종회 완충부재를 갖는 신발 밑창을 성형하는 금형장치 및 완충부재를 갖는 신발 밑창
KR102203504B1 (ko) * 2018-09-12 2021-01-15 박종회 Y형 허리쇠를 갖는 공기완충형 밸런스 신발
KR102172574B1 (ko) * 2019-06-17 2020-11-06 주식회사 제이와이 기능성 경량화 신발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신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095Y1 (ko) * 2006-06-14 2006-09-14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095Y1 (ko) * 2006-06-14 2006-09-14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961A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319B2 (ja) 靴、及び靴底部品
US8146272B2 (en)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CN101589863B (zh) 结合了具有可压缩插入件的鞋底结构的鞋类物品
US20180000196A1 (en) Comfort system for boots
KR20120085780A (ko) 지지 시스템을 가진 신발
KR100758023B1 (ko) 완충 작용을 갖는 인솔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677653A (zh) 鞋帮结构、制作鞋的方法和鞋结构
KR20090012624A (ko)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KR101351441B1 (ko)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KR101250517B1 (ko) 신발 깔창
KR101164112B1 (ko) 충격 완충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747003A (ja) 靴 底
KR101319821B1 (ko) 신발창
KR100463570B1 (ko)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101149489B1 (ko)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KR102173221B1 (ko) 인솔 일체형 신발 제조방법
KR200238254Y1 (ko) 충격흡수 신발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KR200361990Y1 (ko)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20070060634A (ko)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KR200292146Y1 (ko) 신발용 피스톤 기능 시스템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20130091039A (ko) 다단쿠션을 갖는 기능성 신발밑창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KR200404224Y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