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990Y1 -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990Y1
KR200361990Y1 KR20-2004-0017108U KR20040017108U KR200361990Y1 KR 200361990 Y1 KR200361990 Y1 KR 200361990Y1 KR 20040017108 U KR20040017108 U KR 20040017108U KR 200361990 Y1 KR200361990 Y1 KR 200361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pad body
elastic pad
chamb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문수
Original Assignee
(주) 스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트라스 filed Critical (주) 스트라스
Priority to KR20-2004-0017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행과 달릴 때에 발생하는 발의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하기 위한 신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신발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미드솔의 앞굼치와 뒷꿈치 저면에 각각의 수용실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수용실내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각각의 탄성패드체를 삽입하고, 상기 미드솔 바닥에 아웃솔을 접착하여 각각의 탄성패드를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창과, 미드솔의 제2수용실 상부에 돔형상의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미드솔의 수용실에 설치되는 탄성패드체에는 미드솔의 신축을 위한 절개홀을 형성하며, 상기 미드솔에 형성된 수용실 사이에 유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수용실에는 배기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2수용실과 배기로에 일방향 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제1수용실과 탄성패드체 및 안창에 뚫어 형성한 통기공과, 깔창의 바닥면에 형성하는 흡기공이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갖추어 탄성패드체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때 돔형상의 가압부에 의해 탄성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탄성패드체의 절개홀에 의해 중창의 구부러짐이 원활히 되며, 일방향밸브로 신발내부의 공기를 일방향밸브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shoes for absorbing sock}
본 고안은 보행시 또는 달릴 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하기 위한 신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기능은 발에 착용하여 보행하거나, 뛸 때에 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과 무릎관절등을 충격으로부터 보호 하는 목적이 있으며, 발바닥이 다치지 않게 하는 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발의 바닥은 지면과 마찰력을 높혀서 미끄러지지 않게 함과, 걸음걸이를 정확하게 하도록 고무소재의 아웃솔(out sole)이 있고, 상기 아웃솔에는 신발의 갑피가 고정되며 쿠션력을 발바닥에 제공하여 발의 피로와, 발바닥을 다치지않게 보호하는 미드 솔(mid sole)이 접착된 상태의 구조를 갖는 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미드솔저면에 아눗솔을 접착시킨 구조만으로는 보행 시 혹은 달릴 때 지면에 발이 닿을 때 발생되는 충격이 충분하게 흡수되지 못해 발목과 무릎관절에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고 있으므로 인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어 그 열에 의해 발이 피곤해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의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부재인 스프링을 상판과 하판으로 고정하여서 된 탄성패드체를 장착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의 탄성패드체의 상판과, 하판은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우레탄 소재로 성형하였고, 상기 상,하판에 접착되는 아웃솔은 고무재, 미드솔은 프라스틱 우레탄(P·U)재로 성형하였으므로 이들이 탄성패드체의 상하판에 접착된 상태에서는 미드솔의 앞꿈치 부분이 접착된 탄성패드체의 단단한 성질로 인해 잘 구부러지지 않아 보행에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실에 탄성패드체를 설치하여 아웃솔을 접착하면 수용실은 밀폐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이때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코일스프링에 작용하게 되어도 공기가 수용실에 채워져 있는 관계로 코일스프링이 원활하게 압축되지 않아 탄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패드체가 미드솔과 함께 원활하게 움직이면서 충격흡수를 안정적으로 이루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탄성패드체가 압축 될때 수용실에 있는 공기가 미드솔 외부로 이동하게 하여 충격흡수를 안정적으로 이루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의 목적은 신발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미드솔의 앞굼치와 뒷꿈치 저면에 각각의 수용실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수용실내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각각의 탄성패드체를 삽입하고, 상기 미드솔 바닥에 아웃솔을 접착하여 각각의 탄성패드를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창과, 미드솔의 제2수용실 상부에 돔형상의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미드솔의 수용실에 설치되는 탄성패드체에는 미드솔의 신축을 위한 절개홀을 형성하며, 상기 미드솔에 형성된 수용실 사이에 유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수용실에는 배기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2수용실과 배기로에 일방향 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제1수용실과 탄성패드체 및 안창에 뚫어 형성한 통기공과, 깔창의 바닥면에 형성하는 흡기공이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신발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을 적용하는 탄성패드체에 대한 발췌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을 탄성패드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을 안창에 대한 부분 발췌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을 탄성패드체의 구조를 보인 종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을 신발 뒷굼치가 지면에 닿을 때 변형되는 미드솔과 내부 상태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을 신발 앞굼치가 눌려질 때 변형되는 미드솔과 내부의 상태 단면도.
도8은 도7의 A부 확대도.
도9는 본 고안 중 탄성패드체에 설치하는 보조판의 확대 단면도로서 변형 전상태 및 변형 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신발 101 : 갑피 103 : 깔창
104 : 흡기공 105 : 안창 106 : 흡기공
107 : 가압부 109 : 슬릿 110 : 미드솔
113 : 제1수용실 115 : 제2수용실 117 : 유통로
119 : 배기로 120 : 아웃솔 200 : 탄성패드체
203 : 하판 204 : 절개공간 205 : 고정리브
213 : 상판 217 : 연결편 220 : 보조판
300 : 일방향밸브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신발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적용하는 탄성패드체에 대한 발췌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탄성패드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고안 중 안창에 대한 부분 발췌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 중 탄성패드체의 구조를 보인 종 단면도이다.
도1에 따르면 신발(100)의 갑피(101)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미드솔(110)의 앞굼치와 뒷꿈치 저면에서 각각의 수용실(113)(115)을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수용실(113)(115)내에 코일스프링(210)이 설치된 각각의 탄성패드체(200)를 삽입하고, 상기 미드솔(110) 바닥에 아웃솔(120)을 접착하는 구성으로 탄성패드체(200)는 고정된다.
상기 미드솔(110)에 형성된 제1수용실(113)의 상면을 돔형상으로 돌출시켜 코일프링(210)의 눌림상태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한 가압부(1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110)의 상면에 접착되는 안창(105)에도 돔형으로 된 가압부(107)를 형성한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가압부(107)의 면을 방사형으로 절결하여 형성되는 슬릿(109)에 의해 각각의 편(108)을 형성한다.
상기 미드솔(110)의 제1 수용실(113)의 상면과 미드솔(110)의 상면에 접착되는 안창(105)에는 신발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수개의 구멍을 뚫어 흡기공(106)을 형성하고, 상기 미드솔(110)의 제1,제2수용실(113)(115)사이에 유통로(117)을 오목하게 파내어 형성한다.
상기 미드솔(110)에 뚫린 흡기공(114)의 상면에는 안창(105)의 흡기공(106)에 삽입되어 위치고정을 하는 위치선정리브(111)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유통로(117)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신발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미드솔(110)의 제2 수용실(115)에는 배기로(119)를 뚫어 형성한다.
상기 미드솔(110)의 제2수용실(115)에 형성된 유통로(117)와 배기로(119)에는 일방향 밸브(300)를 각각 삽입하여 제1수용실(113)에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제2수용실(115)에서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미드솔(110)의 제1,제2 수용실(113)(115)에 삽입되는 탄성패드체(200)는 상판(203)과 하판(213)으로 되고 상판(203)과 하판(213)사이로 코일스프링(210)이 설치되는 구성인데, 상기 코일스프링(21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판(203)과 하판(213)에는 걸림턱(207)이 구비된 고정리브(205)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리브(205)의 입구에는 코일스프링(21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도면(206)을 만곡지게 형성한다.
상기 코일스프링(210)이 설치되는 탄성패드체(200)의 상판(203) 중앙부를 소정의 형태로 절개하여서 상판의 중간부분이 수축할 수 있는 공간(204)을 형성하여 신발이 구부러질때 변형되는 미드솔(110)과 함께 상판(203)의 패드가 함께 변형되게 한다.
상기 상판(203)은 구부러짐이 좋도록 중간을 절개하여 공간(204)을 형성한다. 상기 절개공간(204)은 소정의 폭을 절개하여 도 2 처럼 분리형태의 상판(203)을 형성할 수 있고, 절단되는 면을 부분적으로 절단해 내어 좁은 폭이 도 3 처럼 상호 교차되는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체(200)의 상하면에는 미드솔의 수용실 또는 아웃솔을 부착하기 위하여 신축 변형성이 좋은 재질로 된 보조판(220)을 설치하는 데, 상기 보조판(220)은 상판(221)과 하판(222)을 공간을 두고 수평상태에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판의 신축성 올(225)이 하판에, 하판의 신축성 올(225)이 상판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올(225)의 신축되는 범위 내에서 상판(221)과 하판(222)이 수평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미드솔(110)의 제1수용실(113)과 제2수용실(115)사이에 형성한 유통로(117)에 일방향밸브(300)를 설치하고, 제2수용실(115)에 뚫은 배기로(119)에도 일방향밸브(300)를 삽입한다. (도1 )
도 5처럼 탄성패드체(200)의 상,하판(203)(213)의 고정리브(205)에 코일스프링(210)을 조립하면 고정리브(205)의 입구에 형성된 만곡진 유도면(206)이 코일스프링(210)의 삽입을 원할하게 유도하고, 고일스프링(21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고정리브(205)내경에서 돌출된 걸림턱(207)이 코일스프링(210)의 외경에 걸리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패드체(200)의 상,하판(203)(213)에 접착제를 도포시켜서 수평방향으로 신축공간을 구비한 보조판(220)을 덧대어 접착시키고, 상기 보조판(220)의 상,하면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미드솔(110)의 제1수용실(113)과 제2수용실(115)내로 탄성패드체(200)를 삽입하여서 미드솔(110)의 저면에 아웃솔(120)을 씌워 접착한다.
이러한 미드솔(110)의 상면에 갑피(100)를 부착하게 되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패드체(200)가 장착된 신발(100)이 형성된다.
상기의 신발(100)내부는 미드솔(110) 상면에는 표면강도가 딱딱하게 유지되는 안창(105)을 접착 고정하고, 상기 안창(105)위에는 땀을 흡수할 수 있고, 세탁이 용이한 소재로 된 깔창(103)을 설치하되 제1수용실(113)에 뚫린 흡기공(114)과 안창(105)에 뚫린 흡기공(106)이 일치되게 한다.
상기의 신발 조립과정에서 안창(105)에 뚫린 흡기공(106)을 미드솔(110)의앞꿈치 측에 돌출된 위치선정리브(111)에 삽입되게 하면 미드솔(110)의 흡기공(114)과 안창(105)에 뚫린 흡기공(106)이 자연적 일치하게 된다. 또한, 안창(105)의 뒷꿈치 측에 형성된 돔형의 가압부(107)를 미드솔(110)의 뒷꿈치 측에 얹으면 슬릿(109)에 의한 각각의 편(108)이 미드솔(110)의 가압부(112)에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미드솔(110)의 가압부(112)와 위치선정리브(111) 구조에 의해 안창(105)과 미드솔(110)의 흡기공(106,114)을 누구나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처럼 흡기공(106)(114)이 일치하게 되면 이는 미드솔(110)에 형성된 유통로(117)와 배기로(119)와도 일치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십발(100)을 착화하여 보행하게 되면 도6과 같이 지면에 닿으면서 신체의 하중으로 미드솔(110)이 압축되면서 제2수용실(115)에 삽입된 탄성패드체(200)도 같이 압축된다.
이때 탄성패드체(200)의 코일스프링(210)은 충격에 의해 눌리고 동시에 반발하려는 성질에 의해 충격을 자연적 흡수하게 된다.
또한 미드솔(110)이 발에 의해 눌릴때 돔형상의 가압부(107)는 탄성패드체(200)방향으로 눌려서 자연적 탄성패드체(200)의 코일스프링(210)을 더 누르게 되고, 미드솔(110)의 상면에 위치한 안창(105)의 돔형상에 구비된 각각의 편(108)이 슬릿(108)에 의해 활동적으로 가압부(107)를 누르는 작용을 한다.
이처럼 탄성패드체(200)의 코일스프링(210)이 가압부(107)에 의해 더 눌리면 그에 따른 충격흡수가 더 크게 이루어져 결국 사용자는 지면과 부딪힐 때 발생한충격이 줄어든 상태로 느끼게 된다.
이후 신발(100)은 자연적 뒷굼치가 지면에서 분리되고 앞굼치가 눌리면서 다음의 보행을 위해 들게 될 때 미드솔(110)의 제1수용실(113)에 삽입된 탄성패드체(200)가 압축되면서 도 7 처럼 구부러진다.
이처럼 탄성패드체(200)가 구부러지면 코일스프링(210)의 작용점이 변형되므로 이때 상판(203)에 형성된 절개공간(204)이 탄성패드체(200)이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탄성패드체(200)에 대한 변형이 미드솔(110)의 변형과 함께 원활하게 이루어져 구부러지고 펼쳐지는 발바닥의 앞굼치에 무리함을 제공하지 않을 뿐만 압축 변형되는 코일스프링(210)의 작용상태를 보호하는 작용과 동시에 충격흡수작용을 이룬게 된다.
특히, 탄성패드체(200)의 상하면에 접착하는 신축성이 좋은 재질의 보조판(220)은 미드솔(110)과 탄성패드(200) 및 아웃솔(120)등이 신축변형을 일으킬 때 재질자체의 성질이 상이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분적인 이질감을 해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미드솔(110)은 재질적인 특성으로 신축되므로 발의 구부러짐과 펼침에 따라 신축되지만 미드솔(110)의 제1수용실(113)과 제2수용실(115)에 장착된 탄성패드체(220)는 신축성이 없는 재질이며, 코일스프링(210)으로 상하판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미드솔(110)이 변형할 때 신축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탄성패드체(200)상측의 미드솔(110)과 탄성패드체(200) 하측의 아웃솔(120)사이에 부착된 보조판(220)은 보조판(220)의 공간에 구비된 상,하판 올에 의해 각각의 방향으로 올의 신축범위만큼 이동할 수 있어서 미드솔(110)과 탄성패드체(200) 사이에서 발생되는 재질적 특성에 의한 강제적 변형을 부드러운 변형이 되게 한다. 특히 탄성패드체(200)의 상판(203)에 형성된 절개 공간(204)은 도6과 도7처럼 변형되는 미드솔(110)에서 변형되는 상태를 공간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신발(100)의 부드러운 변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신발(100)을 착화하여 걷거나 뛸때 뒷굼치가 눌린 다음 앞굼치가 눌리고 다시 뒷굼치가 눌리는 동작을 반복할 때 미드솔(110)의 유통로(117)와 배기로(119)에 설치된 일방향 밸브(300)에서 신발(100)내부의 공기를 유통로(117)를 통해 배기로(119)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뒷꿈치를 밟을 때 제2수용실(115)에 설치된 일방향밸브(300)가 막혀서 수용실 내에 있는 공기는 자연적 배기로(119)에 설치된 일방향밸브(300)를 통해 배기된다. 이때 제1 수용실(113)은 눌리는 상태가 아니므로 깔창(103)과 안창(105)의 흡기공(104)(106)을 통해 신발(100)내의 공기가 흡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앞굼치를 밟게 되면 제1 수용실(113)이 압축되기 때문에 채워진 공기는 자연적 유통로(117)를 통해 일방향 밸브(300)를 거쳐 제2수용실(115)로 이동하여 채워진다. 이때 제2수용실(115)의 배기로(119)에 설치된 일방향밸브(300)는 닫힌 상태여서 공기는 제2수용실(115)내에 채워지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뒷굼치와 앞굼치가 번갈아 눌리는 상태로 인하여 충격이 흡수되는 작용을 이루면서 신발내의 공기가 신발외부로 배출되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신발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착화한 상태에서 신발의 내부온도가 내려가는 작용을 이루고 , 따라서 냄새도 제거되는 작용을 함께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신발을 착화하였을 때 미드솔과 안창의 가압부가 발 뒷굼치에 접촉되고 보행시나 뛸대에 국부적으로 깊게 눌려지는 작용으로 탄성패드체의 압축효과를 높이고, 일방향 밸브가 신발내부의 공기가 유입하는 작용과 배출시키는 작용을 각각 이루게 함으로써 신발내의 공기이동을 일방향으로만 제어하여 냄새의 제거와 동시에 신발내의 열을 배출시는 효과를 이룬다.
특히, 미드솔의 움직임에 따라서 탄성패드체의 움직임도 안정적으로 이루게 하여 착화상태의 안정감 및 보행시에 발바닥을 자극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신발의 갑피가 테두리에 고정되는 미드솔의 앞굼치와 뒷꿈치 저면에 각각의 제1 ,제2수용실을 형성하여 각각의 수용실내에 코일스프링이 설치된 각각의 탄성패드체를 삽입하고, 상기 미드솔 바닥에 아웃솔을 접착하여 각각의 탄성패드를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앞굼치측 표면과 뒷굼치측 표면을 돌출시켜 흡기공이 뚫린 위치선정리브 및 가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미드솔의 저면에 유통로를 파내어 제1, 제2 수용실을 연결하되 상기 제1수용실에는 흡기공을 뚫고, 제2수용실에는 배기로 를 뚫어서 상기 유통로와 배기로에 일방향 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수용실에 설치되는 탄성패드체에는 미드솔의 변형을 수용하는 절개공간을 갖춘상태에서 신축공간이 구비된 보조판을 탄성패드체의 상,하판에 각각 부착하여 미드솔과 아웃솔에 고정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선정리브는 미드솔의 제1수용실의 표면으로 돌출시키고, 위치선정리브의 중앙에 흡기공의 뚫어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체에 형성하는 절개공간은 탄성패드체의 상판을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체에 형성하는 절개공간은 탄성패드체의 상판을 횡방향으로 절단하되 가느다란 폭으로 연결편으로 절단부가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체의 상,하판에 형성하는 코일스프링 고정용 고정리브에는 코일스프링의 외경에 걸리는 걸림턱과, 경사진 유도면을 내경에 만곡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은 상판과 하판사이에 신축공간을 구비하고 상하판의 올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올의 신축범위로 상하판이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20-2004-0017108U 2004-06-17 2004-06-17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200361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08U KR200361990Y1 (ko) 2004-06-17 2004-06-17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108U KR200361990Y1 (ko) 2004-06-17 2004-06-17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821A Division KR100463570B1 (ko) 2004-06-14 2004-06-14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990Y1 true KR200361990Y1 (ko) 2004-09-13

Family

ID=4943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108U KR200361990Y1 (ko) 2004-06-17 2004-06-17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9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59B1 (ko) 2006-06-20 2007-03-2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KR100741628B1 (ko) 2007-02-07 2007-07-23 양희운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1693374B1 (ko) *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충격흡수 건강신발
JP2019509876A (ja) * 2016-03-16 2019-04-11 アルキスター エスアールエルArkistar Srl シューソー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59B1 (ko) 2006-06-20 2007-03-2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KR100741628B1 (ko) 2007-02-07 2007-07-23 양희운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JP2019509876A (ja) * 2016-03-16 2019-04-11 アルキスター エスアールエルArkistar Srl シューソール
JP6995826B2 (ja) 2016-03-16 2022-01-17 アルキスター エスアールエル シューソール
KR101693374B1 (ko) *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충격흡수 건강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614Y1 (ko) 폐공기 배출용 신발 통풍구
KR100894880B1 (ko) 기능성 신발
WO2007148910A1 (en)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US7055264B2 (en) Ventilating footwear and method of ventilating footwear
KR100463570B1 (ko)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US20030110661A1 (en) Shock-absorbing shoe
KR10124134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200361990Y1 (ko)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101351441B1 (ko)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KR200225738Y1 (ko) 완충기능을갖는신발중창
KR0180294B1 (ko) 공기순환식 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100773898B1 (ko) 충격흡수용 통풍신발
KR200410269Y1 (ko) 충격완화와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101875777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KR100799383B1 (ko) 신발
KR20060012482A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중창이 설치된 신발
KR101754904B1 (ko) 다기능 신발
KR101910549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220423268U (zh) 一种排湿减震鞋底
KR200404224Y1 (ko) 신발
CN211407790U (zh) 具有缓震功能的鞋底及其运动鞋
KR200404106Y1 (ko)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110012180A (ko) 신발용 에어 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