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106Y1 -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 Google Patents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106Y1
KR200404106Y1 KR20-2005-0028149U KR20050028149U KR200404106Y1 KR 200404106 Y1 KR200404106 Y1 KR 200404106Y1 KR 20050028149 U KR20050028149 U KR 20050028149U KR 200404106 Y1 KR200404106 Y1 KR 200404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ump
shoe
check valve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점한
Original Assignee
윤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점한 filed Critical 윤점한
Priority to KR20-2005-0028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1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forced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보행에 따라 펌핑작용이 되는 에어 펌프와, 상기 에어 펌프의 전방측에 연통 되며, 그 에어 펌프의 팽창에 따라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체크밸브와, 상기 흡입체크밸브의 전방측에 연통 되며,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관과, 상기 에어 펌프의 양측방 또는 후방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통되며, 상기 흡입체크밸브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에어 펌프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그 에어 펌프의 압축에 의해 유입되는 제 2 유입관 및 상기 제 2 유입관에 연통 되며, 그 제 2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발냄새가 예방되고 세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고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며, 또한 신발 밑창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보행시나 운동시에 발에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그 발에 전달되는 신체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FOOTWEAR AIR A PUMP FOR A BAD SMELL AND A CUSHION COMBINE}
본 고안은 신발용 에어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발냄새가 예방되고 세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고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며, 또한 신발 밑창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보행시나 운동시에 발에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그 발에 전달되는 신체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안창, 중창, 밑창으로 구분되어 제조된다.
이러한 신발은 외부로부터 보행중인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자 제작된 것이므로, 일정부분을 제외하고는 밀폐되어 있어 신발 내부의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신발은 통상 통풍이 잘되지 않는 가죽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신발 내부의 공기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신발착용자가 장시간 신발을 착용하면 발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고온 다습한 상태이므로 세균 및 냄새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지면과의 충격을 그대로 사용자의 발바닥에 전달시키므로 사용자의 발바닥과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발냄새가 예방되고 세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고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며, 또한 신발 밑창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보행시나 운동시에 발에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그 발에 전달되는 신체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보행에 따라 펌핑작용이 되는 에어 펌프와, 상기 에어 펌프의 전방측에 연통 되며, 그 에어 펌프의 팽창에 따라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체크밸브와, 상기 흡입체크밸브의 전방측에 연통 되며,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관과, 상기 에어 펌프의 양측방 또는 후방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통되며, 상기 흡입체크밸브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에어 펌프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그 에어 펌프의 압축에 의해 유입되는 제 2 유입관 및 상기 제 2 유입관에 연통 되며, 그 제 2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의 흡입체크밸브는,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제 1 공기유동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공기유동홀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1 걸림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동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편부 및 상기 제 1 걸림부와 지지편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동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그 제 1 걸림부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제 1 역류방지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의 배출체크밸브는, 상기 제 2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제 2 공기유동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지지판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제 2 공기유동홀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 2 걸림부와, 상기 제 2 공기유동홀의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 2 걸림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전단부에 지지 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 및 상기 제 2 걸림부와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그 제 2 걸림부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에 지지되는 원판형상의 제 2 역류방지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의 사시도를,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에 있어서 흡입체크밸브의 작동 상태도를,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에 있어서 배출체크밸브의 작동 상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가 적용된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100)는 에어펌프(10)와, 흡입체크밸브(30)와, 제 1 유입관(40)과, 제 2 유입관(20)과, 배출체크밸브(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에어펌프(10)는 신발 밑창(200)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에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보행에 따라 반복적인 펌핑 작용을 한다.
상기 흡입체크밸브(30)는 상기 에어펌프(10)의 전방측에 연통되어 상기 신발 밑창(200)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에 내장 설치되어 안착홈(210)에서 발가락 접지부(230)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흡입로드(220)에 내장 설치되는 제 1 유입관(40)을 통해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흡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로드(220)의 발가락 접지부(230)까지 내장 설치되는 상기 제 1 유입관(40)을 통해 유입되는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제 1 공기유동홀(33)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몸체부(31)가 구비되며, 그 제 1 몸체부(31)의 제 1 공기유동홀(33)의 내측에는 환형의 제 1 걸림부(35)가 형성되며, 그 제 1 걸림부(35)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동홀(33)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편부(37)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걸림부(35)와 지지편부(37) 사이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동홀(33)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그 제 1 걸림부(35)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제 1 역류방지판(39)이 구비되어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제 1 역류방지판(39)은 에어펌프(10)가 팽창되면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후방으로 끌려가게 되어 복수개의 지지편부(37)에 중심부분이 후방으로 밀려들어가게 지지됨으로써 그 제 1 역류방지판(39)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몸체부(31)의 제 1 공기유동홀(33)의 내주면 사이에 틈이 발생 되어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에어펌프(10)가 압축되면서 배출되려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역류방지판(39)이 전방으로 전진 되어 상기 제 1 걸림부(35)에 밀착되게 접촉됨으로써 그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오염된 공기가 다시 신발(500) 내부로 역류 되지 않게 된다.
상기 배출체크밸브(50)는 신발 밑창(200)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에 내장 설치되는 상기 에어펌프(10)의 양측방 또는 후방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통 되는 제 2 유입관(20)에 연통되어 그 안착홈(210)의 양측방 또는 후방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외부와 통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배출로드(240)에 내장 설치되어 그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는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흡입체크밸브(50)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며 제 2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그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제 1 공기유동홀(53)이 내부에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공기배출홀(56)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지지판(55)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 몸체부(5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몸체부(51)의 제 2 공기유동홀(53) 내측에는 환형의 제 2 걸림부(57)가 형성되며, 그 제 2 몸체부(51)의 제 2 공기유동홀(53)의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 2 걸림부(57)의 후방에 위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지지판(55)의 전단부에 지지 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58)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걸림부(57)와 스프링(58)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홀(53)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그 제 2 걸림부(57)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스프링(58)의 전단부에 지지 되는 원판 형상의 제 2 역류방지판(59)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펌프(10) 내부 공간부에 채워진 오염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58)은 에어펌프(10)가 압축되면서 배출되려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 2 역류방지판(59)과 함께 후방으로 소정간격 후퇴됨으로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58)은 소정의 탄성력을 지니고 있음으로써 에어펌프(10)의 압축에 의해 배출되려는 공기의 압력이 해제되면 그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역류방지판(59)이 전진 되어 제 2 걸림부(57)에 밀착되게 접촉된다.
상기 에어펌프(10)의 팽창에 의한 흡입력이 생기면 그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2 역류방지판(59)은 제 2 걸림부(57)에 더욱더 안정되고 밀착되게 접촉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그 에어펌프(10)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100)가 내장 설치되는 신발(500)은 밑창(200)과 중창(300) 및 깔창(400)으로 구성되며, 그 신발용 에어펌프(100)에 있어서 에어펌프(10)는 그 밑창(200) 상부면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에 내장 설치되며, 그 중창(300)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홀(310)에 의해 그 에어펌프(100)의 외주면이 감싸지며, 그 깔창(400)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하부면이 그 에어펌프(100)의 상부면을 덮는다.
신발(500) 내부의 발가락 접지부(230)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신발 밑창(200) 상부면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의 전방측으로 발가락 접지부(230)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흡입로드(220)에 내장 설치되는 제 1 유입관(40)이 구비되어, 그 제 1 유입관(40)의 후단부에 그 제 1 유입관(40)을 통해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흡입하는 흡입체크밸브(30)의 전단부가 결합되며, 그 흡입체크밸브(30)는 상기 에어펌프(10)의 전방측에 연통 된다.
상기 밑창(200)의 발가락 접지부(230) 상부면에는 그 밑창(2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로드(220)에서 다수개가 뻗어나가는 공기흡입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중창(300)과 깔창(400)은 발가락이 접하는 부분에 발가락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가 상기 밑창(20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흡입홈(221)을 통해 포집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흡입홀(311,4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체크밸브(30)는 상기 에어펌프(10)의 전방측에 연통되어 그 흡입체크밸브(3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1 유입관(40)을 통해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로 그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를 채운다.
상기 에어펌프(10)의 양측방 또는 후방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통되는 제 2 유입관(20)은 배출체크밸브(50)와 연통되어 상기 안착홈(210)의 양측방 또는 후방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배출로드(240)에 그 배출체크밸브(50)가 외부와 통하게 내장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100)가 내장 설치된 신발(500)을 착용하고 사용자가 보행을 할 때 발을 지면에 디디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하중에 따른 족압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10)가 압축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진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의 배출되려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배출체크밸브(50)의 제 2 유입관(20)을 통해 배출되면서 제 2 역류방지판(59)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58)도 그 제 2 역류방지판(59)과 같이 밀리면서 그 오염된 공기가 그 스프링(58)의 후단부를 지지해주는 원형의 지지판(55)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공기배출홀(56)을 통해 일방향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되려는 공기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역류방지판(59)은 전진 되어 제 2 걸림부(57)에 항상 밀착되게 접촉되며, 아울러 상기 에어펌프(10)의 팽창에 의한 흡입력이 생기면 더욱더 안정되고 밀착되게 제 2 역류방지판(59)은 제 2 걸림부(57)에 접촉된다.
또한, 사용자가 발을 지면으로부터 띄우게 되어 신체하중에 따른 족압이 해제되면 상기 에어펌프(10)가 팽창되면서 그 에어펌프(10)가 내부 공간부로 공기를 흡입하려는 흡입력이 발생되어 그 흡입력에 의해 공기흡입홀(311,411)을 통한 공기흡입홈(221)이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포집하게 되고 그 포집된 오염된 공기는 제 1 유입관(40)을 통과하여 상기 흡입체크밸브(30)의 제 1 공기유동홀(32)을 통해 흡입되게 된다.
상기 흡입체크밸브(30)의 제 1 공기유동홀(32)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제 1 공기유동홀(3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걸림부(35)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제 1 역류방지판(39)이 그 제 1 공기유동홀(3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편부(37)에 지지되면서 원판형상의 모양이 그 에어펌프(10)의 팽창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게 그 복수개의 지지편부(37)에 지지됨으로써 그 역류방지판(39)의 외주면과 제 1 공기유동홀(32)의 내주면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어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로 흡입된다.
상기 에어펌프(10)가 압축되면 그 에어펌프(1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진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의 배출되려는 압력에 의해 제 1 역류방지판(39)이 전방으로 전진되어 제 1 걸림부(35)에 밀착되게 접촉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신발(500) 내부로 역류 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보행을 하면서 이러한 에어펌프(10)의 펌핑작용이 반복됨으로써 신발(500)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되어 신발(500) 내부가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중에 신체하중에 따른 족압이 팽창된 에어펌프(10)를 압축함으로써 발에 전달되는 그 신체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발냄새가 예방되고 세균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고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며, 또한 신발 밑창의 발바닥 뒤꿈치 부분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보행시나 운동시에 발에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그 발에 전달되는 신체하중을 완충 및 분산시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에어펌프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에 있어서 흡입체크밸브의 작동 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에 있어서 배출체크밸브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가 적용된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펌프 30 : 흡입체크밸브
50 : 배출체크밸브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보행에 따라 펌핑작용이 되는 에어 펌프;
    상기 에어 펌프의 전방측에 연통 되며, 그 에어 펌프의 팽창에 따라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체크밸브;
    상기 흡입체크밸브의 전방측에 연통 되며,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유입관;
    상기 에어 펌프의 양측방 또는 후방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통되며, 상기 흡입체크밸브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에어 펌프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지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그 에어 펌프의 압축에 의해 유입되는 제 2 유입관; 및
    상기 제 2 유입관에 연통 되며, 그 제 2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크밸브는,
    상기 제 1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제 1 공기유동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의 제 1 공기유동홀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 1 걸림부;
    상기 제 1 걸림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동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편부; 및
    상기 제 1 걸림부와 지지편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공기유동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그 제 1 걸림부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제 1 역류방지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체크밸브는,
    상기 제 2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제 2 공기유동홀이 내부에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공기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지지판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 몸체부;
    상기 제 2 몸체부의 제 2 공기유동홀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 2 걸림부;
    상기 제 2 공기유동홀의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 2 걸림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전단부에 지지 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 및
    상기 제 2 걸림부와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홀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되, 그 제 2 걸림부의 내경 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전단부에 지지되는 원판형상의 제 2 역류방지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2005-0028149U 2005-10-01 2005-10-01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0404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149U KR200404106Y1 (ko) 2005-10-01 2005-10-01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149U KR200404106Y1 (ko) 2005-10-01 2005-10-01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106Y1 true KR200404106Y1 (ko) 2005-12-19

Family

ID=4370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149U KR200404106Y1 (ko) 2005-10-01 2005-10-01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1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095A (ko) * 2021-11-10 2023-05-17 이윤진 아웃솔 분리형 다목적 기능성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095A (ko) * 2021-11-10 2023-05-17 이윤진 아웃솔 분리형 다목적 기능성 신발
KR102568812B1 (ko) * 2021-11-10 2023-08-21 이윤진 아웃솔 분리형 다목적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7626A (en) Multifunctional shoe
US6581303B1 (en) Ventilating arrangement for a shoe
US7254903B2 (en) Footwear with ventilating and shock-absorbing device
EP0437869B1 (en) Self-ventilating shoe
US20040010939A1 (en) Shoes having ventilation devices
KR20110070721A (ko) 개선된 탄성 신발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0404106Y1 (ko)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100688389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US20120285048A1 (en) Breathing shoe
KR101139441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410269Y1 (ko) 충격완화와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101754904B1 (ko) 다기능 신발
KR100664396B1 (ko)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KR200259486Y1 (ko) 기능성 신발
KR200433462Y1 (ko) 일방통풍 장치를 내장한 신사화
KR200313423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180002700U (ko) 공기 순환용 체크 밸브가 장착된 신발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0351134Y1 (ko) 공기펌핑수단을 갖는 신발 깔창
KR200240542Y1 (ko) 스프링을장착한통풍깔창
KR100997150B1 (ko) 신발 깔창
KR200210639Y1 (ko) 신발의 공기 흡입장치
KR200372085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용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