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423Y1 -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423Y1
KR200313423Y1 KR20-2003-0003313U KR20030003313U KR200313423Y1 KR 200313423 Y1 KR200313423 Y1 KR 200313423Y1 KR 20030003313 U KR20030003313 U KR 20030003313U KR 200313423 Y1 KR200313423 Y1 KR 200313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e
valve
discharg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택
Original Assignee
우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택 filed Critical 우정택
Priority to KR20-2003-0003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with pumping mean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신발 의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신발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킨 후 오염된 공기를 신발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신발내 공기의 불순환으로 발생되는 습진, 무좀 등의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여 신발 착용자의 발상태를 항상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신발창과 갑피로 구성되는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창 내측 후반부인 발꿈치 부위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의 후방으로 연통되는 에어유입밸브와 이와 연장 절곡되고 상부의 신발 갑피 내측을 지나며 상부 끝단이 돌출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어유입관을 포함하는 에어유입수단과; 상기 에어펌프의 전방으로 연통되는 제1밸브와 제2밸브로 구성된 에어배출밸브와 이와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배출공을 가지는 에어배출관을 포함하고 신발창의 내측에 위치하는 에어배출수단과; 상기 에어배출공과 신발창 상면에 형성된 에어유입로를 연결하여 에어의 배출을 돕는 연결공이 신발창 내부에 형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A footwear having a function of air circulation}
본 고안은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신발 의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신발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킨 후 오염된 공기를 신발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신발내 공기의 불순환으로 발생되는 습진, 무좀 등의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여 신발 착용자의 발상태를 항상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신발들은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운동을 할 경우 공기가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땀을 배출하지 못해 세균 발생의 원인이 되는 바, 특히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에는 그 정도가 심하여 발건강에 악영향을 주어 발냄새는 물론 습진, 무좀 등의 질병으로부터 착용자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신발창 내부에 인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뒤꿈치부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신발 착용자의 무릎관절에 무리가 따르며 특히 과격한 운동을 할 경우에는 충격이 더욱 가중된다.
따라서 공기 순환기능과 충격흡수의 이중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순환 기능을 구비한 신발이 당업계에서는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신발창 내측에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별도의 수단을 마련하여 착용자가 보행 상태에서 공기의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발내의 공기 순환으로 착용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의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발냄새 제거는 물론 습진, 무좀과 같은 질병으로부터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여 항상 청결하고 건강한 발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순환 기능뿐만 아니라 내부에 장착된 에어펌프에 의해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무릎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신발 20:신발창
21:에어유입로 22:연결공
30:갑피 40:에어유입수단
41:에어유입관 42:에어유입밸브
42a:역류방지판 42b:연결편
50:에어펌프 60:에어배출수단
61:에어배출관 62:에어배출공
63:에어배출밸브 64:제1밸브
64a:역류방지판 64b:연결편
65:제2밸브 65a:배출공
70:캡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은,신발창과 갑피로 구성되는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창 내측 후반부인 발꿈치 부위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의 후방으로 연통되는 에어유입밸브와 이와 연장 절곡되고 상부의 신발 갑피 내측을 지나며 상부 끝단이 돌출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어유입관을 포함하는 에어유입수단과; 상기 에어펌프의 전방으로 연통되는 제1밸브와 제2밸브로 구성된 에어배출밸브와 이와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배출공을 가지는 에어배출관을 포함하고 신발창의 내측에 위치하는 에어배출수단과; 상기 에어배출공과 신발창 상면에 형성된 에어유입로를 연결하여 에어의 배출을 돕는 연결공이 신발창 내부에 형성됨을 기술적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에어유입밸브는 중앙의 연통부에 상측이 연결편에 의해 지지 구성되는 역류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에어배출밸브는 중앙의 연통부에 상하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제1밸브와 이와 대응 결합되며 배출공이 형성된 제2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에어유입수단과 에어배출수단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신발창(20) 내측 뒤꿈치가 위치하는 하단부에 에어의 유입 및 배출 공간부를 가지는 에어펌프(50)가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신발(10)의 뒤꿈치 측으로 일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는 에어유입수단(40)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에어배출수단(60)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펌프(50)는 복원력이 강한 고탄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유입수단(40)은 도 1과 같이 분할형 에어유입관(41)과 이의 전방에 삽입 설치되는 에어유입밸브(42)로 구성된다.
상기 에이유입관(41)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신발창(20)에 매립되는 하부 에어유입관(41)과 신발(10) 뒤꿈치 부위의 갑피(30)에 매립되어 상부 끝단이 갑피(30) 상면과 동일 또는 일부 돌출되는 상부 에어유입관(41)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이 좋고, 형태는 일반적인 관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유입관(41)의 상부 끝단에는 장식용 캡(70)을 씌워 마감처리 한다.
상기 에어유입밸브(42)는 에어유입관(41) 선단 내측의 단턱부에 설치되며 역류방지판(42a)과 연결편(4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역류방지판(42a)은 중앙이 관통된 관형태이며 내측에는 일측 상부가 연결편(42b)에 의해 지지되는 역류방지판(42a)이 구성되며, 상기 역류방지판(42a)은 공기의 압축 압력에 따라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얇은 막으로 형성된다.
한편 에어유입밸브(42)의 외경과 에어유입관(41)의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충격에 의해 에어유입밸브(42)가 에어유입관(41) 내측으로 부터 쉽사리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에어배출수단(60)은 도 2와 같이 후방이 에어펌프(50)의 전방과 연통, 연장되게 설치되어 신발창(20) 내부에 매립 형성된다.
상기 에어배출수단(60)은 에어배출관(61)과 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배출밸브(63)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배출관(61)의 전방에는 연결공(22)에 의해 신발창(20) 상부면에 형성된 에어유입로(21)와 연통되는 수개의 에어배출공(62)이 형성되고, 후방 끝단의 내측 단턱부에는 에어배출밸브(63)가 부착된다.
상기 에어배출밸브(63)는 에어배출관(61) 후방의 단턱부에 먼저 삽입되는 제1밸브(64)와 그 뒤에 삽입되는 제2밸브(65)로 분할 구성된다.
상기 제1밸브(64)는 도 3과 같이 내부가 관통되는 관형태이며, 내부의 상하면과 연결된 연결편(64b)에 의해 지지되는 역류방지판(64a)으로 구성된다.
상기 역류방지판(64a)은 후방에 결합되는 제2밸브(65)의 배출공(65a)을 막을 수 있도록 제2밸브(65)의 배출공(65a) 보다는 크고 공기가 배출되는 내경 보다는 작은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밸브(65)는 제1밸브(64)의 후방에 밀착 설치되며 에어펌프(50)의 압축작용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출공(6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배출밸브(63)는 에어유입밸브(42)와 마찬가지로 외경을 에어배출관(61)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충격에 의해 에어배출밸브(63)가 에어배출관(61)의 내측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신발창(20) 상면에는 도 4와 같이 에어유입로(21)를 형성하되, 이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공(22)에 의해 하부에 매립 설치되는 에어배출관(61)의 에어배출공(62)과 연통되게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에어유입수단(40)과 에어배출수단(6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순환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도 5와 같이 신발창(20) 내부에 공기 순환장치를 마련하여 신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경로를 따라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 후 신발 갑피(30)와 착용자의 발목 틈새로 자연스럽게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10)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의 유입 및 순환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10)을 착용한 후 착용자가 보행을 하게 되면 착용자의 체중이 실리는 발뒤꿈치에 위치하는 에어펌프(50)가 눌러지면서 압축하게 된다.
상기 에어펌프(50)에는 에어유입관(41)을 통하여 공기가 삽입된 상태로 착용자의 보행시 발뒤꿈치에 체중이 실리고 신발(10)이 지면과 닿음과 동시에 도 2,3과 같이 에어펌프(50)를 누르면 에어펌프(50)가 수축된다.
상기 에어펌프(50)의 내부의 공기중 일부는 에어배출밸브(63)를 통과한 후 이와 연결된 에어배출관(61)으로 진입되고, 일부는 공기가 후측의 에어유입관(41)전방을 향하게 된다.
그러나 에어유입관(41) 방향으로 향한 압축공기는 에어유입관(41) 전방에 설치되는 에어유입밸브(42)에 의해 차단된다.
즉, 도 3과 같이 후방으로 밀리는 공기의 압력으로 에어유입밸브(42)의 내측 상부와 연결편(42b)에 연결되어 있는 역류방지판(42a)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후방의 에어유입관(41)의 출구를 봉쇄하여 공기의 역류를 막는다.
상기 에어배출관(61)에 진입한 공기는 전방에 형성된 배출공(65a)을 통과하여 신발창(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22)을 거쳐서 신발창(20) 상면의 에어유입로(21)를 통하여 신발(10) 내부를 순환하다가 착용자의 발목과 신발 갑피(30)의 틈새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의 설명은 에어펌프(50)가 압축될 때의 공기의 순환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에어펌프(50)가 팽창될 때의 공기순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에어펌프(50)가 압축되었다가 신발(10)이 지면에서부터 떨어지면 에어펌프(50)는 순간적으로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때 에어배출관(61)과 에어유입관(41) 측으로 밀렸던 공기가 에어펌프(50)측으로 다시 흡입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럴경우 에어배출관(61)에 진입된 공기는 다시 에어펌프(50)측으로 역류되나, 이중으로 구성되는 에어배출밸브(63)중 제1밸브(64)에 마련된 역류방지판(64a)이 도 3과 같이 역류되는 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서 후방의 제2밸브(65)에 형된 배출공(65a)을 봉쇄하여 공기의 역류를 막는다.
상기에서 언급한 에어유입밸브(42)와 에어배출밸브(63)는 공기가 진행하는통로의 기본적인 역할 이외에 부수적으로 역류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지 않아 오염된 공기가 잔류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역류방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신발 내부에 항상 일정하게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 순환 기능을 갖는 수단을 구비하여 신발 내부에 자연스럽게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발냄새를 예방하고, 신발내의 공기순환이 되지않을 경우에 야기되는 세균 발생을 억제하여 무좀, 습진예방을 할 수 있어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고 쾌적하게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신발 내부에 장착된 에어펌프가 보행자가 걸을 때 지면에 대한 반발력을 흡수해 안락한 보행을 보장하고, 특히 점프시 반발력에 의해 무릎관절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이 운동화와 같은 스포츠슈즈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운동화와 구두 등 신발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신발창과 갑피로 구성되는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창 내측 후반부인 발꿈치 부위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의 후방으로 연통되는 에어유입밸브와 이와 연장 절곡되고 상부의 신발 갑피 내측을 지나며 상부 끝단이 돌출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에어유입관을 포함하는 에어유입수단과;
    상기 에어펌프의 전방으로 연통되는 제1밸브와 제2밸브로 구성된 에어배출밸브와 이와 연장되며 다수의 에어배출공을 가지는 에어배출관을 포함하고 신발창 내측에 위치하는 에어배출수단과;
    상기 에어배출공과 신발창 상면에 형성된 에어유입로를 연결하여 에어의 배출을 돕는 연결공이 신발창 내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관 상부 끝단부에 장식용 캡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밸브는 내측으로 상측이 연결편에 의해 지지 구성되는 역류방지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능을 갖는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밸브는 내측의 상하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제1밸브와 이의 후방에 밀착 결합되며 배출공이 형성된 제2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수단과 에어배출수단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2003-0003313U 2003-02-05 2003-02-05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313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13U KR200313423Y1 (ko) 2003-02-05 2003-02-05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13U KR200313423Y1 (ko) 2003-02-05 2003-02-05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423Y1 true KR200313423Y1 (ko) 2003-05-16

Family

ID=4940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313U KR200313423Y1 (ko) 2003-02-05 2003-02-05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4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08B1 (ko) 2009-02-19 2009-09-22 장창원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WO2014051368A1 (ko) * 2012-09-29 2014-04-03 Jang Chang-Won 바닥창을 이용하여 펌핑작용이 되는 통풍신발
KR20220081816A (ko) 2020-12-09 2022-06-16 전대만 공기순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기능성 신발
KR20230146203A (ko) 2022-04-12 2023-10-19 박다한 공기순환식 기능성 신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108B1 (ko) 2009-02-19 2009-09-22 장창원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WO2010095805A1 (ko) * 2009-02-19 2010-08-26 Jang Chang-Won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CN102292005B (zh) * 2009-02-19 2013-10-16 张昌源 兼有缓冲功能的通风鞋
WO2014051368A1 (ko) * 2012-09-29 2014-04-03 Jang Chang-Won 바닥창을 이용하여 펌핑작용이 되는 통풍신발
US11357283B2 (en) 2012-09-29 2022-06-14 Chang-Won Jang Ventilating shoe capable of being pumped by using outsole
KR20220081816A (ko) 2020-12-09 2022-06-16 전대만 공기순환 및 논슬립 기능을 갖는 다기능성 신발
KR20230146203A (ko) 2022-04-12 2023-10-19 박다한 공기순환식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229B2 (en) Air-circulating shock absorbing shoes
WO2007148910A1 (en)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KR200313423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50117954A (ko) 통풍 겸용 건강신발
KR200397055Y1 (ko) 내부 공기가 배출 순환되는 통풍 구두
US20120285048A1 (en) Breathing shoe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100664396B1 (ko)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KR200259679Y1 (ko) 신발의 구조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0196422Y1 (ko) 신발
EP2189075A1 (en) Shoe sole with air ventilation device
KR200450304Y1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404106Y1 (ko)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0372085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용 깔창
KR20040070465A (ko) 통기성 운동화
KR20090005895U (ko) 환기구조와 경사면을 형성한 신발의 바닥 창
KR200426061Y1 (ko) 다기능 건강신발
KR200164889Y1 (ko) 공기유통및에어쿠션기능을가진신발창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101796171B1 (ko) 통풍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밑창
KR200433462Y1 (ko) 일방통풍 장치를 내장한 신사화
KR200376850Y1 (ko) 지압효과가 있는 건강 증진 구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