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108B1 -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 Google Patents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108B1
KR100918108B1 KR1020090033683A KR20090033683A KR100918108B1 KR 100918108 B1 KR100918108 B1 KR 100918108B1 KR 1020090033683 A KR1020090033683 A KR 1020090033683A KR 20090033683 A KR20090033683 A KR 20090033683A KR 100918108 B1 KR100918108 B1 KR 10091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
elevating
fix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원
Original Assignee
장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원 filed Critical 장창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108B1/ko
Priority to PCT/KR2009/0072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95805A1/ko
Priority to CN2009801544005A priority patent/CN102292005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forced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Abstract

이 발명은 보행할 때 신발 내부에 외부공기가 통풍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안창부재 전체가 승하강운동을 하고 역류현상이 없도록 하여 충분한 외부공기가 신발 내부에 공급되어 통풍되도록 하면서도 동시적으로 보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발착용부재의 후미부에 기립되게 내장되는 공기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바닥창부재 뒷굽부분에 구비하는 역류방지수단을 거처서 바닥창부재와 승하강안창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실로 흡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실의 공기는 굴신테두리부를 가진 승하강안창부재의 상면부 전체가 바닥창부재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되는 압축력에 의해 승하강안창부재의 선단부에 있는 다수의 통풍구를 통해 착용공간부로 많은 량의 신선한 외부공기가 토출되어 통풍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신발, 통풍신발, 완충신발

Description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The ventilation shoes which combines a buffering}
본 발명은 통풍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에 충분한 외부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작용이 될 수 있도록 개선된 통풍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 상태에서 통풍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악취발생 및 무좀이나 습진 등과 같은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여러가지의 통풍이 되는 신발이 연구되고 개시되었으나 대부분은 신발 내부에서만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신발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통풍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통풍 신발이라고 할 수 없다.
특히, 신발 내부에서만 공기가 순환되는 신발은 원활한 통풍이 더욱 필요로 되는 군화나 부츠와 같은 목이 긴 신발에서는 더욱 아무런 작용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출원인에 의해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신발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풍신발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81985호로 개시되었다.
상기 선등록 통풍신발은 보행시 신선한 외부공기가 신발 내부로 공급되므로 원활한 통풍 작용이 되지만, 발바닥과 밀착된 중창 일부분만 눌림되어 통풍 작용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량의 외부공기가 공급되지 못하는 단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보행시에 뒷굽부분부터 앞굽부분쪽으로 점차적으로 중창 가운데 부분이 가압되어 공기가 신발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일부의 공기는 다시 역류됨으로써 양호한 통풍 작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선등록된 통풍 신발은 중창의 가운데 부분이 가압되어 공기실의 공기를 신발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조상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가질 수 없다.
가령,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구성할 경우 중창이 가압될 때 공기실 내에서 가압되지 않거나 또는 기울어지게 가압됨으로써 공기실 옆쪽부분으로 커다란 틈새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중창이 가압될 때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작은 통기공으로 빠져 나가는 공기보다 공기실 내에서 중창이 가압될 때마다 생기게 되는 커다란 틈새를 통해서 더 많은 공기가 역류되기 때문에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없는 구조적인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닥창과 중창 사이에 구비하게 되는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가질 수 없고 원만한 통풍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매우 낮은 높이를 갖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낮은 높이의 공기실이라도 전혀 완충작용을 못하는 것은 아니나 매우 미약한 완충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풍 신발로서는 완충기능을 갖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출원인이 선등록 받은 통풍신발은 완충작용이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마다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보행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함으로써 통풍신발로서는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20-0381985 Y1 2005.04.15
본 발명은 보행시 신발 내부에 외부공기가 통풍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안창부재 전체가 승하강운동을 하고 역류현상이 없도록 하여 신발 내부에 많은 량의 신선한 외부공기가 공급되어 통풍되도록 하면서도 보행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창부재와 승하강안창부재를 구비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발이 삽입되는 발착용부재의 착용공간부에 통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창부재의 뒷굽 상면부분에 구비하는 관결합공과, 상기 관결합공과 연장되는 통기통로와, 상기 통기통로와 연장되고 관결합공과 이격된 거리에 구비하는 토출공과, 상기 토출공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부착부가 바닥창부재 표면에 부착되고 유동부가 토출공 위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첵크시트지를 갖는 역류방지수단과; 상기 승하강안창부재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터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비굴신바닥부와, 상기 비굴신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굴신되도록 하기 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굴신테두리부와, 상기 굴신테두리부와 일체로 연장된 부착고정단부와, 상기 비굴신바닥부 선,후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풍구 및 관통공을 각각 구비하는 승하강안창부재와; 상기 굴신테두리부와 연장된 부착고정단부가 바닥창부재 상면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바닥창부재와 승하강안창부재 사이에 굴신테두리부 높이만큼의 공간부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실를 포 함하고; 상기 발착용부재 후미부의 외피부재와 내피부재 사이에 기립되게 부착되어 은폐되게 설치되는 공기흡입관의 하단부가 승하강안창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관결합공에 결합되어 역류방지수단의 통기통로에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안창부재의 굴신테두리부가 비굴신바닥부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게 하고, 관통공을 관통하는 공기흡입관이 비굴신바닥부와 부착되어 고정되게 하며 공기흡입관의 하단부는 관결합공에 끼워져서 유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관의 하단부가 승하강안창부재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흡입관의 내부공으로 상단부가 밀접되게 삽입되는 고정흡기관 하단부를 관통공으로 관통시켜 바닥창부재 상부에 있는 관결합공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흡입관만 승하강운동되어 외부공기가 공기통로로 흡기되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흡기관의 하단부가 공기통로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통로에 있는 고정흡기관 일측에 출구공을 형성시켜 외부공기가 공기통로로 흡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안창부재의 비굴신바닥부 후미에 관통공을 갖는 고정부를 갖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비굴신바닥부의 나머지 둘레 전체에만 굴신테두리부를 갖도록 하고, 관통공과 관결합공에는 공기흡입관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바닥창부재 후미에 형성된 요홈부에 관결합공과 통기통로 및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을 개폐하는 첵크시트지가 부착된 별도의 성형부재를 삽입시켜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시에 승하강안창부재 전체가 하강운동을 하는 동시에 역류방지수단에 의해서 공기실에 있는 외부공기가 역류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실의 외부공기 거의 모두가 착용공간부로 토출됨으로써 많은 량의 충분한 외부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하강안창부재 테두리에 굴신테두리부를 갖도록 하여 공기실을 형성하게 한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높이의 공기실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공기실이 보행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발의 외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통풍 기능과 완충 기능을 모두 겸비하는 신발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기능성 통풍신발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신발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요부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역류방지수 단을 나타낸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및 발착용부재(50)를 구비하고, 이들은 주로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창부재(10)의 뒷굽부분에 역류방지수단(20)을 구비한다.
역류방지수단(20)은 뒷굽부분 상면부분에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삽입되게 결합되는 관결합공(21)을 구비하고, 상기 관결합공(21)과 연장되는 통기통로(22)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통로(22)와 연장되면서 관결합공(21)과 이격된 거리에 뚫리게 되는 토출공(23)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토출공(23)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첵크시트지(24)를 구비한다.
상기 첵크시트지(24)는 일측부착부(24a)가 바닥창부재(10) 표면에 부착되고 유동부(24b)는 토출공(23) 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게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한 역류방지수단(20)을 바닥창부재(10)의 뒷굽부분에 구성하기 위하여 바닥창부재(10) 후미에 요홈부(11)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창부재(10)는 통상적으로 고무소재를 고무금형에 의해서 성형시켜서 제조되는 것이므로 바닥창부재(10)를 성형시킬 때 요홈부(11)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다른 고무금형에 의해서 관결합공(21)과 통기통로(22) 및 토출공(23)이 형성된 성형부재(25)를 제조하게 되고, 다음에 토출공(23)을 개폐하는 첵크시트지(24)의 일측부착부(24a)를 부착시키게 된다.
다음, 첵크시트지(24)가 부착된 별도의 성형부재(25)를 접착제가 도포 된 요홈부(11)에 삽입시켜서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수단(20)이 구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역류방지수단(20)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안창부재(30)는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터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비굴신바닥부(31)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굴신바닥부(31)의 테두리부에는 비굴신바닥부(31)와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굴신되도록 하기 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굴신바닥부(31)는 휘어지지 않으므로 보행시에 보행가압력(W)이 작용하게 되면 비굴신바닥부(31)는 그 전체가 하측방향으로 하강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굴신테두리부(32)가 보행가압력(W)에 의해서 찌그러지는 것과 같이 압축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도 4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약간 돌출되는 상태로 굴신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굴신바닥부(31)에 작용되는 보행가압력(W)이 상실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굴신테두리부(32)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려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도 4의 실선도시와 같이 펴지게 됨으로써 비굴신바닥부(31) 전체가 상승되게 되는 승강운 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하강안창부재(30)는 자체 탄성력이 있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굴신테두리부(3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굴신테두리부(31)의 테두리 전체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굴신테두리부(32) 하측에는 일체로 연장되어 안쪽으로 절곡되는 부착고정단부(33)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착고정단부(33)는 신발 제조과정에 바닥창부재(10)의 상면부 테두리에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는 고정단부이다.
도 5 및 도 6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은 비굴신바닥부(31)가 하강되게 이동하였을 때 굴신테두리부(32)가 압축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굴신테두리부(32)가 압축되었을 때 외측으로 많이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많이 돌출되는 것처럼 도시한 것이며 실제적으로는 육안으로 크게 느끼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하강안창부재(20)의 비굴신바닥부(31) 선단부에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풍구(34)를 구비하고, 후단부에는 공기흡입관(60)이 관통되는 관통공(35)이 뚫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관(60)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착용부재(50) 후미부의 외피부재(50a)와 내피부재(50b) 사이에서 기립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단부 부분들이 은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은폐되게 하는 것은 발착용부재(50)만을 제조하는 과정에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면 역류방지수단(20)을 가진 바닥창부재(10) 및 비굴신바닥부(30)와 굴신테두리부(32), 그리고 부착고정단부(33)와 통풍구(34), 관통공(35)을 갖는 승하강창부재(30) 및 공기흡입관(60)을 갖는 발착용부재(50)로 각각 구분되도록 부품으로 제조되게 한다.
다음, 최종적으로 이들을 결합되게 함으로써 통풍 신발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승하강안창부재(30)의 굴신테두리부(32)와 연장된 부착고정단부(33)가 바닥창부재(10) 상면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사이에 굴신테두리부(32) 높이만큼의 공간부를 갖는 공기실(40)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발착용부재(50) 후미부에 있는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의 관통공(35)을 관통하여 관결합공(2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수단(20)의 통기통로(22)에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하강안창부재(30)의 굴신테두리부(32)가 비굴신바닥부(31)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는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착용부재(50)와 승하강안창부재(30)를 접착시켜 부착시킬 때 관통공(35)을 관통하는 공기흡입관(60)이 비굴신바닥부(31)에 부착시켜 고정되게 하고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는 관결합공(21)에 끼워지도록만 함으로써 하단부(61)가 관결합공(21)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는 승하강안창부재(30)가 승,하강운동을 하면 관결합공(21)에서 동시에 승,하강운동을 하게 작용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다른 실시예는 공기 흡입관(60)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통기통로(22)로 흡입될 때에 고정흡기관(62)을 통해서 통기통로(22)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것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흡입관(60) 내부공(60a)으로 고정흡기관(62)의 상단부가 밀접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상기 고정흡기관(62)은 관통공(35)을 관통하여 관결합공(21)에 끼워지게 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보행시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안창부재(30)가 하강되게 이동하면 공기흡입관(60)만 하강되게 이동한 후 다시 승강되게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정흡기관(62)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상태에서 공기흡입관(60)만 승하강운동 되고, 상기 고정흡기관(62)의 상단부가 공기흡입관(60)의 내부공(60a)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공기흡입관(60)만 승하강운동 되기 때문에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가 원만하게 승하강 운동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공기흡입관(60)으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누출됨이 없이 고정흡기관(62)으로 흡기되어 통기통로(22)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흡기관(62)이 관통되는 관통공(35) 부분은 그 윗쪽으로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밀착되게 고정되므로 관통공(35)과 고정흡기관(62)이 접촉되는 부분을 통해서 공기실(40)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승하강안창부재(30)가 하강되게 압축되었을 때 첵크시트지(24)에 의해서 토출공(23)이 차폐 되면서 공기실(40)의 공기는 앞쪽으로 이동되어 통풍구(34)를 통해 착용공간부(51)로 송풍되게 된다.
도 8은 상기 고정흡기관(62)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흡기관(62)의 하단부가 공기통로(22)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10)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통로(22)에 있는 고정흡기관(62) 일측에 출구공(63)을 형성시켜 외부공기가 공기통로(22)로 흡기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 경우 고정흡기관(62)의 하단부가 공기통로(22)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10)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공기흡기관(60)이 승하강운동하여도 고정흡기관(62)이 흔들리지 않게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게 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역류방지수단(20)을 갖는 바닥창부재(10) 및 공기흡입관(60)이 있는 발착용부재(50)는 이미 설명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가 있는 승하강안창부재(30)와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 후미에 관통공(35)을 갖는 고정부(36)를 더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36)를 제외한 비굴신바닥부(31)의 나머지 테두리 전체에만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관통공(35)과 관결합공(21)에는 공기흡입관(60)이 부착되어 고정되도 록 한다.
그러므로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가 승,하강운동을 하여도 공기흡입관(60)은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비굴신바닥부(31)가 승,하강운동을 할 때에는 고정부(36)가 있는 후미부분은 승,하강운동을 하지 않게 되고 나머지 부분들만 승,하강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도 9에서 고정부(36) 양측부터 시작하여 전체 테두리 부분에 구비하게 되는 굴신테두리부(32)만 굴신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길다란 길이를 갖게 되는 비굴신바닥부(31) 중에서 고정부(36)가 차지하는 면적은 매우 작은 것이므로 고정부(36)가 있는 부분의 비굴신바닥부(31)가 승,하강운동을 하지 않고 나머지 부분들만 승,하강운동을 하여도 공기실(40)로의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작용이나 착용공간부(51)로 공기실(40)의 공기가 토출되는 작용은 원만히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공기실(40)의 완충작용도 원만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보행시에 본 발명의 통풍신발의 기능과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의 (a)는 보행시에 지면(G)에 착지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지면(G)으로부터 신발이 들렸을 때의 상태를 개략도로 보인 작용도를 나타낸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보행시에 지면(G)에 착지하게 되면 체중과 착지력에 의해서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에는 보행가압력(W)이 작용되어 바닥창부재(10) 방향으로 가압되게 됨으로써 굴신테두리부(32)가 압축되면서 비굴 신바닥부(31) 전체가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실(40)의 공기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그 공기 압축력이 첵크시트지(24)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첵크시트지(24)의 유동부(24b)가 토출공(23)으로 밀착되어 토출공(23)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기 때문에 공기실(40)의 공기는 토출공(23)과 통기통로(22)를 통해서 공기흡입관(60)으로 역류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실(40)의 공기는 승강안창부재(30)의 통풍구(34)를 통해서 착용공간부(51) 쪽으로 토출될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비굴신바닥부(31) 전체가 바닥창부재(10) 상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게 하강되는 것이므로 공기실(40)의 공기는 거의 모두가 통풍구(34)를 통해서 착용공간부(51)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승하강안창부재(30) 테두리에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하여 공기실(40)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높이의 공기실(40)을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공기실(40)이 완충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행시 신체가 받게 되는 보행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장시간 보행하여도 신체에 무리가 따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보행시 지면(G)으로부터 신발이 들렸을 때에는 비굴신바닥부(31)에 작용하던 보행가압력(W)이 상실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압축되어 있던 굴신테두리부(32)가 자체 탄성력으로 펴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비굴신바닥부(31)가 상승되는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실(40)이 확장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입력이 발생됨으로써 첵크시트지(24)의 유동부(24b)가 들려지게 됨에 따라 토출공(23)이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기실(40)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공기흡입관(60)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공기통로(2)와 토출공(23)을 통해서 공기실(40)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비굴신바닥부(31)에 뚫린 통풍구(34)는 매우 작은 직경의 소공일 뿐만 아니라 발바닥에 의해서 어느 정도는 막혀져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공간부(51)의 공기가 통풍구(34)를 통해서 공기실(40)로 역류되는 것은 거의 무시할 정도로 미량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공기실(40)에 채워지는 공기는 공기흡입관(60)을 통해서 흡입된 신선한 외부공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속적인 보행으로 인해 다시 도 11의 (a)와 같이 보행가압력(W)이 비굴신바닥부(31)에 작용되면 공기실(40)의 공기는 공기흡입관(60)으로 역류가 차단되면서 착용공간부(51)로만 토출됨으로써 신선한 외부공기가 착용공간부(51)쪽으로 통풍되는 것과 동시적으로 공기실(40)이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고, 다시 신발을 들게 되면 도 11의 (b)와 같이 신선한 외부공기가 공기실(40)에 채워지게 되는 작용이 보행을 계속하는 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공간부(51)에는 항상 신선한 외부공기가 통풍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신발은 보행시 많은량의 신선한 외부공기가 신발 내부로 통풍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완충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보행충격으로부터 신체 보호가 되고 장시간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풍신발은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및 발착용부재(50)가 기존의 것들과 외관이 크게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각각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신발의 외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통풍 기능과 완충 기능을 모두 겸비하는 신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기능성 통풍신발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풍신발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수단을 설명하는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하강안창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1의 X-X'선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의 Y-Y'선 요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하강안창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5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외부공기 흡기 작용을 보인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보인 고정흡기관의 또다른 고정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Z-Z'선 단면 구성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신발의 보행시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창부재 11 ; 요홈부
20 : 역류방지수단 21 : 관결합공
22 : 통기통로 23 : 토출공
24 : 첵크시트지 25 : 성형부재
30 : 승하강안창부재 31 : 비굴신바닥부
32 : 굴신테두리부 34 : 통풍구
35 : 관통공 36 : 고정부
40 : 공기실 50 : 발착용부재
60 : 공기흡입관 62 : 고정흡기관

Claims (6)

  1.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사이에 공기실(40)을 구비하여 공기흡입관(60)으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공기실(40)을 거쳐서 승하강안창부재(30) 앞쪽에 뚫린 통풍구(34)를 통해 발이 삽입되는 발착용부재(50)의 착용공간부(51)로 통풍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창부재(10)의 뒷굽 상면부분에 구비하는 관결합공(21)과, 상기 관결합공(21)과 연장되는 통기통로(22)와, 상기 통기통로(22)와 연장되고 관결합공(21)과 이격된 거리에 구비하는 토출공(23)과, 상기 토출공(23)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부착부(24a)가 바닥창부재(10) 표면에 부착되고 유동부(24b)가 토출공(23) 위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첵크시트지(24)를 갖는 역류방지수단(20)과;
    상기 승하강안창부재(30)가 휘어지지 않게 형성되는 비굴신바닥부(31)와, 상기 비굴신바닥부(31)의 테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굴신되게 형성되는 굴신테두리부(32)와, 상기 굴신테두리부(32)와 일체로 연장된 부착고정단부(33)와, 상기 비굴신바닥부(31) 선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풍구(34) 및 후단부에 관통공(35)을 각각 구비하는 승하강안창부재(30)와;
    상기 굴신테두리부(32)와 연장된 부착고정단부(33)가 바닥창부재(10) 상면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사이에 굴신테두리부(32) 높이만큼의 공간부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실(40)을 포함하고;
    상기 발착용부재(50) 후미부의 외피부재(50a)와 내피부재(50b) 사이에 기립되게 부착되어 은폐되게 설치되는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의 관통공(35)을 관통하여 관결합공(21)에 결합되어 역류방지수단(20)의 통기통로(22)에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안창부재(30)의 관통공(35)을 관통하는 공기흡입관(60)이 비굴신바닥부(31)와 부착되어 고정되게 하고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는 관결합공(21)에서 승하강운동 되게 하여 외부공기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흡입관(60)의 내부공(60a)으로 상단부가 밀접되게 삽입되는 고정흡기관(62) 하단부를 관통공(35)으로 관통시켜 바닥창부재(10) 상부에 있는 관결합공(21)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흡입관(60)만 승하강운동되어 외부공기가 공기통로(22)로 흡기되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흡기관(62)의 하단부가 공기통로(22)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10)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통로(22)에 있는 고정흡기관(62) 일측에 출구공(63)을 형성시켜 외부공기가 공기통로(22)로 흡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 후미에 관통공(35)을 갖는 고정부(36)를 갖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36)를 제외한 비굴신바닥부(31)의 나머지 둘레 전체에만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하고, 상기 관통공(35)과 관결합공(21)에는 공기흡입관(60)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20)은 바닥창부재(10) 후미에 형성된 요홈부(11)으로 관결합공(21)과 통기통로(22) 및 토출공(23)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공(23)을 개폐하는 첵크시트지(24)를 구비하는 별개의 성형부재(25)를 삽입시켜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KR1020090033683A 2009-02-19 2009-04-17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KR10091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7208 WO2010095805A1 (ko) 2009-02-19 2009-12-03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CN2009801544005A CN102292005B (zh) 2009-02-19 2009-12-03 兼有缓冲功能的通风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3669 2009-02-19
KR1020090013669 2009-0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108B1 true KR100918108B1 (ko) 2009-09-22

Family

ID=4135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683A KR100918108B1 (ko) 2009-02-19 2009-04-17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18108B1 (ko)
CN (1) CN102292005B (ko)
WO (1) WO201009580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6534A1 (fr) * 2011-05-19 2012-11-22 Grimmeisen Theodore Chaussure ventilée avec arrivée d'air en partie haute
WO2013081244A1 (ko) * 2011-12-01 2013-06-06 Jang Chang-Won 반호형의 판스프링을 이용한 통풍신발
WO2014051368A1 (ko) * 2012-09-29 2014-04-03 Jang Chang-Won 바닥창을 이용하여 펌핑작용이 되는 통풍신발
KR101830054B1 (ko) * 2017-08-01 2018-02-19 장창원 통풍 군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3574B (zh) * 2014-08-29 2016-03-30 广东志达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反弹结构充气鞋底
CN104436710A (zh) * 2014-12-01 2015-03-25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人偶降温装置
CN206462502U (zh) * 2017-01-25 2017-09-05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鞋底结构
CN113208229B (zh) * 2021-04-29 2023-11-14 王学堂 一种具有内外循环除汗功能的鞋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7904U (ko) 1987-05-27 1988-12-01
KR200164889Y1 (ko) 1999-07-20 2000-02-15 박정환 공기유통및에어쿠션기능을가진신발창
KR200313423Y1 (ko) 2003-02-05 2003-05-16 우정택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JP2007330670A (ja) 2006-06-19 2007-12-27 良七 ▲高▼橋 蒸れ防止機能付き健康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2667Y (zh) * 1996-05-07 1998-01-21 张焕锦 气垫泵式透气呼吸鞋
CN2269084Y (zh) * 1996-09-27 1997-12-03 刘正松 换气保健皮鞋
CN2313423Y (zh) * 1997-11-14 1999-04-14 王克强 气囊式循环风鞋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7904U (ko) 1987-05-27 1988-12-01
KR200164889Y1 (ko) 1999-07-20 2000-02-15 박정환 공기유통및에어쿠션기능을가진신발창
KR200313423Y1 (ko) 2003-02-05 2003-05-16 우정택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JP2007330670A (ja) 2006-06-19 2007-12-27 良七 ▲高▼橋 蒸れ防止機能付き健康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6534A1 (fr) * 2011-05-19 2012-11-22 Grimmeisen Theodore Chaussure ventilée avec arrivée d'air en partie haute
FR2975262A1 (fr) * 2011-05-19 2012-11-23 Theodore Grimmeisen Chaussure ventilee avec arrivee d'air en partie haute.
WO2013081244A1 (ko) * 2011-12-01 2013-06-06 Jang Chang-Won 반호형의 판스프링을 이용한 통풍신발
WO2014051368A1 (ko) * 2012-09-29 2014-04-03 Jang Chang-Won 바닥창을 이용하여 펌핑작용이 되는 통풍신발
US11357283B2 (en) 2012-09-29 2022-06-14 Chang-Won Jang Ventilating shoe capable of being pumped by using outsole
KR101830054B1 (ko) * 2017-08-01 2018-02-19 장창원 통풍 군화
WO2019027169A3 (ko) * 2017-08-01 2019-04-18 장창원 통풍 군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92005A (zh) 2011-12-21
CN102292005B (zh) 2013-10-16
WO2010095805A1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108B1 (ko)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US7627961B2 (en) Enhanced sole assembly with offset hole
WO2004098334A3 (en) Footwear construction
US11357283B2 (en) Ventilating shoe capable of being pumped by using outsole
US20070119076A1 (en) Enhanced unitary sole assembly
JP5646742B2 (ja) 空気循環機能を有する靴
KR101147675B1 (ko) 풍부한 외부공기가 송풍 되는 통풍신발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100691646B1 (ko)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통풍신발
KR100695616B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GB2429396A (en) Ventilated shoe insole
KR20120047472A (ko) 신발 내부에 외부공기를 송풍시키는 장치
KR200365883Y1 (ko) 통풍구조를 구비한 신발
KR100906521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KR200144133Y1 (ko) 신발밑창의 공기 순환구조
KR20130013052A (ko) 공기순환식 신발깔창
KR200433362Y1 (ko) 신발의 에어장치
KR200367023Y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JP3117483U (ja) 靴およびエアポンプ付き中敷
KR200401233Y1 (ko) 충격흡수겸용 통풍신발창
KR20090111748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101097008B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KR200365768Y1 (ko) 공기순환식 신발용 깔창
CN115251534A (zh) 一种可换气鞋垫和鞋子
KR200337431Y1 (ko) 공기주입장치를 장착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