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95805A1 -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 Google Patents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95805A1
WO2010095805A1 PCT/KR2009/007208 KR2009007208W WO2010095805A1 WO 2010095805 A1 WO2010095805 A1 WO 2010095805A1 KR 2009007208 W KR2009007208 W KR 2009007208W WO 2010095805 A1 WO2010095805 A1 WO 20100958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hole
elevating
fixed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2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창원
Original Assignee
Jang Chang-W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ang Chang-Won filed Critical Jang Chang-Won
Priority to CN200980154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92005B/zh
Publication of WO20100958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958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forced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ed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vented shoe to be a cushioning action to absorb sufficient walking air at the same time to provide sufficient external air inside the shoe.
  • shoes cause bad skin odor and skin diseases such as athlete's foot or eczema when the ventilation is not good while wearing.
  • shoes where the air is circulated only inside the shoes have no effect on long neck shoes such as boots or boots, which require better ventilation.
  • the pre-ventilated ventilation shoes provide smooth ventilation because fresh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oe when walking, but only a portion of the midsol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is pressed for ventilation to bring in a large amount of external air. It became.
  • the middle portion of the midsole is gradually pressurized from the heel to the front heel at the time of walking so that the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oe, some of the air is sucked back and thus does not have good ventilation. Doing.
  • the pre-registered ventilation shoe is to press the center portion of the midsole to supply the air of the air chamber into the shoe structure can not have a high height of the air chamber.
  • the midsole when the height of the air chamber is configured to be high, the midsole is not pressurized or tilted in the air chamber when the midsole is pressurized, thereby creating a large gap in the side of the air chamber.
  • the height of the air chamber is increased because more air flows back through the large gap created each time the midsole is pressurized than the air exiting the small vent that supplies air into the shoe when the midsole is pressurized. It has structural limitations that cannot be achieved.
  • the ventilated shoes that the applicant has pre-registered have a problem of poor functionality as the ventilated shoes because they do not sufficiently absorb the walking impact inevitably generated every time the shoe touches the ground because the cushioning action is very weak.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ntire insole member to move up and down during walking so that the outside air is ventilated, so that there is no backflow phenomenon, so that a large amount of fresh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oe to be ventilated while absorbing walking shock sufficiently.
  • the aim is to provide a ventilated shoe with a cushioning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ole member and elevating insole member and to suck the outside air to be ventilated in the wearing space of the foot member is inserted foot;
  • a pipe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heel of the sole member, a ventilation passage extending from the pipe coupling hole, a discharge hole extending at a distance from the pipe coupling hole and spaced apart from the pipe coupling hol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 a backflow prevention means having a check sheet having one side attachment par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ole member and a flow par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 a non-stretched bottom portion formed to have a thick thickness so that the elevating insole member is not bent, and an edged portion formed in a thin thickness so that the edg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non-stretched bottom portion is bent;
  • An elevating insole member each having an attached fixed end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flexing edge and a plurality of vents and through-holes vertically bored at the
  • the curved edge portion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is formed i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and the air suction pipe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is attached to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and fixed to it, and the lower end of the air su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pipe coupling hole to flow It is another feature that is made as possible.
  • the lower end of the air suction pipe is fixed to the elevating insole me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fixed suction pipe,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air suction pip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by 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fixed air inlet pipe. It is another feature that only the suction pipe is moved up and down to allow the outside air to be sucked into the air passage.
  • the lower end of the fixed intake pipe is to be fixed to be embedded in the sole member through the air passage and to form an outlet hole on one side of the fixed intake pipe in the air passage so that the external air can be intake into the air passage It features.
  •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has a fixing part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only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non-flexible bottom part except the fixing part has a flexing edge portion, and an air suction pipe is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and the pipe fitting hole. It is another feature that it is made to be fixed.
  •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form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sole member, the ventilation passage and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molding member attached to the shank she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 the entire lifting and lowering insole member moves downward while walking, the external air in the air chamber is not flowed back by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so that almost all the outside air of the air chamber is discharged to the wearing space so that a sufficient amount It is effective to ventilate the outside air.
  • the air chamber is formed by having a curved frame at the edge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it is possible to have a relatively high height air chamber so that the air chamber can perform a cushioning function to sufficiently absorb the walking impact. To be effectiv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functional ventilation shoes with significantly improved product reliability by providing a shoe that combines both a reliable ventilation function and a cushioning function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shoe.
  • FIG.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lation sho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ckflow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1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main portion taken along the line Y-Y 'of FIG.
  •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a), (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external air intake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ixed state of the fixed suction pipe shown in FIG.
  • Figure 9 is a whol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taken along the line Z-Z 'of FIG. 9;
  • Figure 11 (a), (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action when walking gout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sole member 10,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and the mounting member 50, these are mainly configured to be attached by an adhesiv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means 20 in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member (10).
  • Backflow prevention means 20 has a pipe coupling hole 2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61 of the air suction pipe 6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el portion, the ventilation passage extending with the pipe coupling hole 21 ( 22) is configured to be formed therein.
  • a discharge hole 23 which is extended to the ventilation passage 22 and is drilled at a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pipe coupling hole 21, the shank she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23 ( 24).
  • the shank sheet 24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attachment portion 24a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ole member 10 and the flow portion 24b is closely attached to the discharge hole 23.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cess 11 to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sole member 10 in order to configure the non-return means 20 at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member 10. .
  • the sole member 10 is usually manufactured by molding a rubber material by a rubber mold, the recess 11 is formed when the sole member 10 is molded.
  •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20 is configured by inserting the separate molding member 25 to which the shank sheet paper 24 is attached by inserting it into the recess 11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20 is not necessarily composed of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and may be manufactured by other methods in some cases.
  •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is formed to have a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is formed to have a thick thickness so as not to bend and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 31, the edge portion 31 is configured to have the flexing edge portion 32 formed in a thin thickness so that the edge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non-extracting bottom portion 31 is flexed.
  • the non-flexible bottom 31 is not bent, so when the walking force W acts when walking, the entire non-flexible bottom 31 moves down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such, the downward movement becomes compressed so that the flexing edge portion 32 is crushed by the walking force W, thereby flexing in a state slightly projecting outward as shown in the virtual line in FIG. 4. Will be.
  •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is preferably made of rubber with its own elastic force.
  • the flexing edge portion 32 is configured to be formed as a whole of the edge of the non- flexing edge portion 31,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extends integrally below the flexing edge portion 32 and bent inwardly. It is configured to have an attachment fixed end 33 to be.
  • the fixed fixing end 33 is a fixed end that is attached to the upper edge of the sole member 10 by the adhesive during the shoe manufacturing process.
  • FIG 5 and 6 show the state in which the flexing edge portion 32 is compressed and protrudes outward when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is moved downward, and in the drawing, the flexing edge portion ( 32) is shown to protrude a lot outward when it is compressed, but this is illustrated as protruding a lot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ctually manufactured to protrude so that it does not feel great to the naked eye.
  • the tip of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34 to b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ir suction pipe 60
  • the through hole 35 to be penetrated is configured to be drilled.
  • the air suction pipe 6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s are concealed by standing up between the outer skin member 50a and the inner skin member 50b at the rear of the foot member 50 as shown in FIG. 1. . This concealment i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nly the wearable member (50).
  • the sole member 10 having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20 and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0 and the flexing edge portion 32, and the fixed fixing end portion 33 and the ventilation hole 34 are provided.
  • a lifting member 30 having a through hole 35 and a wearable member 50 having an air suction pipe 60 To make each of the parts to be divided into a lifting member 30 having a through hole 35 and a wearable member 50 having an air suction pipe 60.
  • the lifting edge portion 32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and the extended fixed fixing end 33 is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ole member (10) It is attached to the sole member 10 and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is configured to have an air chamber 40 having a space portion as high as the height of the edge frame 32.
  • the lower end portion 61 of the air suction pipe 60 in the rea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5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to be coupled to the pipe coupling hole 21 to prevent backflow It is configured to supply external air to the vent passage 22 of the means 20.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lexing edge portion 32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is formed i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the wearing member 50 and the elevating insole member ( 30 when adhering and attaching, the air suction pipe 60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35 is attached to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to be fixed, and the lower end 61 of the air suction pipe 60 is a pipe coupling hole ( By only being fitted to the 21) so that the lower portion 61 can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ipe coupling hole (21).
  • the lower end portion 61 of the air suction pipe 60 is operated to make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at the same time in the pipe joint hole 21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insole member 30 moves up and down.
  •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mbodiment is a ventilation passage 22 through the fixed intake pipe 62 when the outside air is sucked into the ventilation passage 22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60) The external air is sucked in.
  • the lower end 61 of the air suction pipe 60 is fixed to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and the air suction pipe 60 is fixed to the inner hole 60a by the fixed suction pipe 62.
  • the upper end of the shell)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closely.
  • the fixed suction pipe 62 penetrates the through hole 35 so as to fit in the pipe coupling hole 21 to be firmly fixed.
  • the fixed suction pipe 62 is moved up and down only the air suction pipe 60 in a state where it does not move, the upper end of the fixed suction pipe 62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hole (60a) of the air suction pipe 60 Since only the air suction pipe 60 is moved up and down in close contact,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of the lifting insole member 30 is not only smoothly lifted up and down, but also the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air suction pipe 60. Is sucked into the fixed intake pipe 62 without being leaked to be able to be supplied to the vent passage (22).
  • the through hole 35 through which the fixed suction pipe 62 penetrates is fixed to the lower end 61 of the air suction pipe 60 in close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35 and the fixed suction pipe 62.
  • the discharge hole 23 is shielded by the shank sheet 24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insole member 30 is compressed downward so that the air chamber 40 is closed. Air is moved to the front to be blown to the wearing space 51 through the vent 34.
  • the fixed suction pipe 62 can be more firmly fixed.
  •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ed suction pipe 62 penetrates the air passage 22 and is embedded in the sole member 10. It is to be fixed so as to form an outlet hole (63) on one side of the fixed intake pipe (62) in the air passage 22 is to be configured to allow the outside air to be intake into the air passage (22).
  • the fixed suction pipe 62 sinc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xed suction pipe 62 is fixed to penetrate the air passage 22 to be lodged in the sole member 10, the fixed suction pipe 62 is moved even when the air suction pipe 60 moves up and down. The more firmly fixed, the more stable the product can be improved.
  •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having the through hole 35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and the non-flexible bottom portion excluding the fixing portion 36 is provided. Only the remaining edges of 31 are configured to have the flexing edge portion 32.
  • air suction pipe 60 is attached to the through-hole 35 and the pipe coupling hole 21 to be fixed.
  • the non-indented bottom part 31 of the part having the fixing part 36 does not move up or down. Even if only the remaining parts are lifted and lowered, the action of sucking the external air into the air chamber 40 or discharging the air from the air chamber 40 to the wearing space 51 is smoothly performed as well. Shock absorbing of the seal 40 is also to be made smoothly.
  • Figure 11 show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function and action of the ventilation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lking
  • Figure 10 (a) shows a state when landing on the ground (G) during walking
  • (b) Denotes a func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the shoes are lifted from the ground (G).
  • the walking force W acts on the non-flexible bottom 31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by weight and landing force. As it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ole member 10, the flexing edge portion 32 is compressed while the entire non-flexible bottom portion 31 moves downward.
  • the air in the air chamber 40 is subjected to a compressive force.
  • the air compressive force presses the shank sheet paper 24 so that the flow portion 24b of the shank sheet paper 2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23 and discharged. Since the back flow is blocked to the ball 23, the air in the air chamber 40 is not flowed back to the air suction pipe 6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 and the ventilation passage 22.
  • the air in the air chamber 40 must not only be discharged toward the wearing space 51 through the vent hole 34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but also the entire non-flexible bottom 31 is the sole member 10. Since the air is lowe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art, almost all of the air in the air chamber 40 is discharged to the wearing space 51 through the vent hole 34.
  • the air chamber 40 is formed by having the curved edge portion 32 at the edge of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the air chamber 40 may have a relatively high height. By being able to perform a sufficient buffer role it is possible to fully absorb the walking impact that the body receives when walking, and thus will not follow the body even after walking for a long time.
  • the vent hole 34 drilled in the non-flexible bottom part 31 is not only a very small diameter pores, but also can be said to be blocked to some extent by the sole, so that the air in the wearing space 51 is vented (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back to the air chamber 40 through the 34) is almost negligible,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air chamber 40 is fresh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air suction pipe (60).
  • the ventilation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not only allows a large amount of fresh external air to be ventilated into the shoe during walking, but also protects the body from walking shock and enables long-term walking by buffering.
  •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sole member 10, the elevating insole member 30 and the wearable member 50 is to have each function in a stat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deform the existing ones and shoes, It will provide a shoe that combines both reliable ventilation and cushioning without significantly altering the appearance of the sho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보행할 때 신발 내부에 외부공기가 통풍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안창부재 전체가 승하강운동을 하고 역류현상이 없도록 하여 충분한 외부공기가 신발 내부에 공급되어 통풍되도록 하면서도 동시적으로 보행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발착용부재의 후미부에 기립되게 내장되는 공기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바닥창부재 뒷굽부분에 구비하는 역류방지수단을 거처서 바닥창부재와 승하강안창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실로 흡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실의 공기는 굴신테두리부를 가진 승하강안창부재의 상면부 전체가 바닥창부재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되는 압축력에 의해 승하강안창부재의 선단부에 있는 다수의 통풍구를 통해 착용공간부로 많은 량의 신선한 외부공기가 토출되어 통풍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본 발명은 통풍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에 충분한 외부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작용이 될 수 있도록 개선된 통풍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 상태에서 통풍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악취발생 및 무좀이나 습진 등과 같은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여러가지의 통풍이 되는 신발이 연구되고 개시되었으나 대부분은 신발 내부에서만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신발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통풍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통풍 신발이라고 할 수 없다.
특히, 신발 내부에서만 공기가 순환되는 신발은 원활한 통풍이 더욱 필요로 되는 군화나 부츠와 같은 목이 긴 신발에서는 더욱 아무런 작용을 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출원인에 의해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신발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통풍신발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81985호로 개시되었다.
상기 선등록 통풍신발은 보행시 신선한 외부공기가 신발 내부로 공급되므로 원활한 통풍 작용이 되지만, 발바닥과 밀착된 중창 일부분만 눌림되어 통풍 작용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량의 외부공기가 공급되지 못하는 단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보행시에 뒷굽부분부터 앞굽부분쪽으로 점차적으로 중창 가운데 부분이 가압되어 공기가 신발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일부의 공기는 다시 역류됨으로써 양호한 통풍 작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선등록된 통풍 신발은 중창의 가운데 부분이 가압되어 공기실의 공기를 신발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구조상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가질 수 없다.
가령,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구성할 경우 중창이 가압될 때 공기실 내에서 가압되지 않거나 또는 기울어지게 가압됨으로써 공기실 옆쪽부분으로 커다란 틈새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중창이 가압될 때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작은 통기공으로 빠져 나가는 공기보다 공기실 내에서 중창이 가압될 때마다 생기게 되는 커다란 틈새를 통해서 더 많은 공기가 역류되기 때문에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없는 구조적인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바닥창과 중창 사이에 구비하게 되는 공기실의 높이를 높게 가질 수 없고 원만한 통풍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매우 낮은 높이를 갖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낮은 높이의 공기실이라도 전혀 완충작용을 못하는 것은 아니나 매우 미약한 완충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풍 신발로서는 완충기능을 갖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출원인이 선등록 받은 통풍신발은 완충작용이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마다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보행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함으로써 통풍신발로서는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20-0381985 Y1 2005.04.15
본 발명은 보행시 신발 내부에 외부공기가 통풍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안창부재 전체가 승하강운동을 하고 역류현상이 없도록 하여 신발 내부에 많은 량의 신선한 외부공기가 공급되어 통풍되도록 하면서도 보행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창부재와 승하강안창부재를 구비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발이 삽입되는 발착용부재의 착용공간부에 통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창부재의 뒷굽 상면부분에 구비하는 관결합공과, 상기 관결합공과 연장되는 통기통로와, 상기 통기통로와 연장되고 관결합공과 이격된 거리에 구비하는 토출공과, 상기 토출공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부착부가 바닥창부재 표면에 부착되고 유동부가 토출공 위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첵크시트지를 갖는 역류방지수단과; 상기 승하강안창부재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터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비굴신바닥부와, 상기 비굴신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굴신되도록 하기 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굴신테두리부와, 상기 굴신테두리부와 일체로 연장된 부착고정단부와, 상기 비굴신바닥부 선,후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풍구 및 관통공을 각각 구비하는 승하강안창부재와; 상기 굴신테두리부와 연장된 부착고정단부가 바닥창부재 상면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바닥창부재와 승하강안창부재 사이에 굴신테두리부 높이만큼의 공간부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실를 포함하고; 상기 발착용부재 후미부의 외피부재와 내피부재 사이에 기립되게 부착되어 은폐되게 설치되는 공기흡입관의 하단부가 승하강안창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관결합공에 결합되어 역류방지수단의 통기통로에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안창부재의 굴신테두리부가 비굴신바닥부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게 하고, 관통공을 관통하는 공기흡입관이 비굴신바닥부와 부착되어 고정되게 하며 공기흡입관의 하단부는 관결합공에 끼워져서 유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관의 하단부가 승하강안창부재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흡입관의 내부공으로 상단부가 밀접되게 삽입되는 고정흡기관 하단부를 관통공으로 관통시켜 바닥창부재 상부에 있는 관결합공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흡입관만 승하강운동되어 외부공기가 공기통로로 흡기되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흡기관의 하단부가 공기통로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통로에 있는 고정흡기관 일측에 출구공을 형성시켜 외부공기가 공기통로로 흡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안창부재의 비굴신바닥부 후미에 관통공을 갖는 고정부를 갖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비굴신바닥부의 나머지 둘레 전체에만 굴신테두리부를 갖도록 하고, 관통공과 관결합공에는 공기흡입관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바닥창부재 후미에 형성된 요홈부에 관결합공과 통기통로 및 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을 개폐하는 첵크시트지가 부착된 별도의 성형부재를 삽입시켜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시에 승하강안창부재 전체가 하강운동을 하는 동시에 역류방지수단에 의해서 공기실에 있는 외부공기가 역류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실의 외부공기 거의 모두가 착용공간부로 토출됨으로써 많은 량의 충분한 외부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하강안창부재 테두리에 굴신테두리부를 갖도록 하여 공기실을 형성하게 한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높이의 공기실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공기실이 보행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발의 외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통풍 기능과 완충 기능을 모두 겸비하는 신발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기능성 통풍신발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통풍신발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수단을 설명하는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하강안창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1의 X-X'선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의 Y-Y'선 요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하강안창부재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5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외부공기 흡기 작용을 보인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보인 고정흡기관의 또다른 고정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Z-Z'선 단면 구성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신발의 보행시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닥창부재 11 ; 요홈부
20 : 역류방지수단 21 : 관결합공
22 : 통기통로 23 : 토출공
24 : 첵크시트지 25 : 성형부재
30 : 승하강안창부재 31 : 비굴신바닥부
32 : 굴신테두리부 34 : 통풍구
35 : 관통공 36 : 고정부
40 : 공기실 50 : 발착용부재
60 : 공기흡입관 62 : 고정흡기관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신발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요부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역류방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및 발착용부재(50)를 구비하고, 이들은 주로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창부재(10)의 뒷굽부분에 역류방지수단(20)을 구비한다.
역류방지수단(20)은 뒷굽부분 상면부분에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삽입되게 결합되는 관결합공(21)을 구비하고, 상기 관결합공(21)과 연장되는 통기통로(22)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통로(22)와 연장되면서 관결합공(21)과 이격된 거리에 뚫리게 되는 토출공(23)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토출공(23)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한 첵크시트지(24)를 구비한다.
상기 첵크시트지(24)는 일측부착부(24a)가 바닥창부재(10) 표면에 부착되고 유동부(24b)는 토출공(23) 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게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한 역류방지수단(20)을 바닥창부재(10)의 뒷굽부분에 구성하기 위하여 바닥창부재(10) 후미에 요홈부(11)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창부재(10)는 통상적으로 고무소재를 고무금형에 의해서 성형시켜서 제조되는 것이므로 바닥창부재(10)를 성형시킬 때 요홈부(11)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다른 고무금형에 의해서 관결합공(21)과 통기통로(22) 및 토출공(23)이 형성된 성형부재(25)를 제조하게 되고, 다음에 토출공(23)을 개폐하는 첵크시트지(24)의 일측부착부(24a)를 부착시키게 된다.
다음, 첵크시트지(24)가 부착된 별도의 성형부재(25)를 접착제가 도포 된 요홈부(11)에 삽입시켜서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수단(20)이 구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역류방지수단(20)이 반드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안창부재(30)는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터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비굴신바닥부(31)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굴신바닥부(31)의 테두리부에는 비굴신바닥부(31)와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굴신되도록 하기 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굴신바닥부(31)는 휘어지지 않으므로 보행시에 보행가압력(W)이 작용하게 되면 비굴신바닥부(31)는 그 전체가 하측방향으로 하강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하강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굴신테두리부(32)가 보행가압력(W)에 의해서 찌그러지는 것과 같이 압축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도 4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약간 돌출되는 상태로 굴신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굴신바닥부(31)에 작용되는 보행가압력(W)이 상실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굴신테두리부(32)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려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도 4의 실선도시와 같이 펴지게 됨으로써 비굴신바닥부(31) 전체가 상승되게 되는 승강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하강안창부재(30)는 자체 탄성력이 있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굴신테두리부(3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굴신테두리부(31)의 테두리 전체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굴신테두리부(32) 하측에는 일체로 연장되어 안쪽으로 절곡되는 부착고정단부(33)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착고정단부(33)는 신발 제조과정에 바닥창부재(10)의 상면부 테두리에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는 고정단부이다.
도 5 및 도 6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은 비굴신바닥부(31)가 하강되게 이동하였을 때 굴신테두리부(32)가 압축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굴신테두리부(32)가 압축되었을 때 외측으로 많이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많이 돌출되는 것처럼 도시한 것이며 실제적으로는 육안으로 크게 느끼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도록 제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하강안창부재(20)의 비굴신바닥부(31) 선단부에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풍구(34)를 구비하고, 후단부에는 공기흡입관(60)이 관통되는 관통공(35)이 뚫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관(60)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착용부재(50) 후미부의 외피부재(50a)와 내피부재(50b) 사이에서 기립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단부 부분들이 은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은폐되게 하는 것은 발착용부재(50)만을 제조하는 과정에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면 역류방지수단(20)을 가진 바닥창부재(10) 및 비굴신바닥부(30)와 굴신테두리부(32), 그리고 부착고정단부(33)와 통풍구(34), 관통공(35)을 갖는 승하강창부재(30) 및 공기흡입관(60)을 갖는 발착용부재(50)로 각각 구분되도록 부품으로 제조되게 한다.
다음, 최종적으로 이들을 결합되게 함으로써 통풍 신발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승하강안창부재(30)의 굴신테두리부(32)와 연장된 부착고정단부(33)가 바닥창부재(10) 상면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사이에 굴신테두리부(32) 높이만큼의 공간부를 갖는 공기실(40)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발착용부재(50) 후미부에 있는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의 관통공(35)을 관통하여 관결합공(2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수단(20)의 통기통로(22)에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하강안창부재(30)의 굴신테두리부(32)가 비굴신바닥부(31)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는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착용부재(50)와 승하강안창부재(30)를 접착시켜 부착시킬 때 관통공(35)을 관통하는 공기흡입관(60)이 비굴신바닥부(31)에 부착시켜 고정되게 하고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는 관결합공(21)에 끼워지도록만 함으로써 하단부(61)가 관결합공(21)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는 승하강안창부재(30)가 승,하강운동을 하면 관결합공(21)에서 동시에 승,하강운동을 하게 작용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다른 실시예는 공기흡입관(60)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통기통로(22)로 흡입될 때에 고정흡기관(62)을 통해서 통기통로(22)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것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흡입관(60) 내부공(60a)으로 고정흡기관(62)의 상단부가 밀접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상기 고정흡기관(62)은 관통공(35)을 관통하여 관결합공(21)에 끼워지게 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보행시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안창부재(30)가 하강되게 이동하면 공기흡입관(60)만 하강되게 이동한 후 다시 승강되게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정흡기관(62)은 움직이지 않게 되는 상태에서 공기흡입관(60)만 승하강운동 되고, 상기 고정흡기관(62)의 상단부가 공기흡입관(60)의 내부공(60a)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공기흡입관(60)만 승하강운동 되기 때문에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가 원만하게 승하강 운동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공기흡입관(60)으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누출됨이 없이 고정흡기관(62)으로 흡기되어 통기통로(22)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흡기관(62)이 관통되는 관통공(35) 부분은 그 윗쪽으로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밀착되게 고정되므로 관통공(35)과 고정흡기관(62)이 접촉되는 부분을 통해서 공기실(40)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승하강안창부재(30)가 하강되게 압축되었을 때 첵크시트지(24)에 의해서 토출공(23)이 차폐되면서 공기실(40)의 공기는 앞쪽으로 이동되어 통풍구(34)를 통해 착용공간부(51)로 송풍되게 된다.
도 8은 상기 고정흡기관(62)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흡기관(62)의 하단부가 공기통로(22)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10)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통로(22)에 있는 고정흡기관(62) 일측에 출구공(63)을 형성시켜 외부공기가 공기통로(22)로 흡기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 경우 고정흡기관(62)의 하단부가 공기통로(22)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10)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공기흡기관(60)이 승하강운동하여도 고정흡기관(62)이 흔들리지 않게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게 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역류방지수단(20)을 갖는 바닥창부재(10) 및 공기흡입관(60)이 있는 발착용부재(50)는 이미 설명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가 있는 승하강안창부재(30)와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 후미에 관통공(35)을 갖는 고정부(36)를 더 갖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36)를 제외한 비굴신바닥부(31)의 나머지 테두리 전체에만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관통공(35)과 관결합공(21)에는 공기흡입관(60)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가 승,하강운동을 하여도 공기흡입관(60)은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비굴신바닥부(31)가 승,하강운동을 할 때에는 고정부(36)가 있는 후미부분은 승,하강운동을 하지 않게 되고 나머지 부분들만 승,하강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도 9에서 고정부(36) 양측부터 시작하여 전체 테두리 부분에 구비하게 되는 굴신테두리부(32)만 굴신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길다란 길이를 갖게 되는 비굴신바닥부(31) 중에서 고정부(36)가 차지하는 면적은 매우 작은 것이므로 고정부(36)가 있는 부분의 비굴신바닥부(31)가 승,하강운동을 하지 않고 나머지 부분들만 승,하강운동을 하여도 공기실(40)로의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작용이나 착용공간부(51)로 공기실(40)의 공기가 토출되는 작용은 원만히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공기실(40)의 완충작용도 원만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보행시에 본 발명의 통풍신발의 기능과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의 (a)는 보행시에 지면(G)에 착지하였을 때의 상태를 보인 것이고, (b)는 지면(G)으로부터 신발이 들렸을 때의 상태를 개략도로 보인 작용도를 나타낸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보행시에 지면(G)에 착지하게 되면 체중과 착지력에 의해서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에는 보행가압력(W)이 작용되어 바닥창부재(10) 방향으로 가압되게 됨으로써 굴신테두리부(32)가 압축되면서 비굴신바닥부(31) 전체가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실(40)의 공기는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그 공기 압축력이 첵크시트지(24)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첵크시트지(24)의 유동부(24b)가 토출공(23)으로 밀착되어 토출공(23)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기 때문에 공기실(40)의 공기는 토출공(23)과 통기통로(22)를 통해서 공기흡입관(60)으로 역류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실(40)의 공기는 승강안창부재(30)의 통풍구(34)를 통해서 착용공간부(51) 쪽으로 토출될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비굴신바닥부(31) 전체가 바닥창부재(10) 상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게 하강되는 것이므로 공기실(40)의 공기는 거의 모두가 통풍구(34)를 통해서 착용공간부(51)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승하강안창부재(30) 테두리에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하여 공기실(40)을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높이의 공기실(40)을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공기실(40)이 완충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행시 신체가 받게 되는 보행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장시간 보행하여도 신체에 무리가 따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보행시 지면(G)으로부터 신발이 들렸을 때에는 비굴신바닥부(31)에 작용하던 보행가압력(W)이 상실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압축되어 있던 굴신테두리부(32)가 자체 탄성력으로 펴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비굴신바닥부(31)가 상승되는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실(40)이 확장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입력이 발생됨으로써 첵크시트지(24)의 유동부(24b)가 들려지게 됨에 따라 토출공(23)이 개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기실(40)의 흡입력으로 인하여 공기흡입관(60)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공기통로(2)와 토출공(23)을 통해서 공기실(40)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비굴신바닥부(31)에 뚫린 통풍구(34)는 매우 작은 직경의 소공일 뿐만 아니라 발바닥에 의해서 어느 정도는 막혀져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공간부(51)의 공기가 통풍구(34)를 통해서 공기실(40)로 역류되는 것은 거의 무시할 정도로 미량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공기실(40)에 채워지는 공기는 공기흡입관(60)을 통해서 흡입된 신선한 외부공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속적인 보행으로 인해 다시 도 11의 (a)와 같이 보행가압력(W)이 비굴신바닥부(31)에 작용되면 공기실(40)의 공기는 공기흡입관(60)으로 역류가 차단되면서 착용공간부(51)로만 토출됨으로써 신선한 외부공기가 착용공간부(51)쪽으로 통풍되는 것과 동시적으로 공기실(40)이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고, 다시 신발을 들게 되면 도 11의 (b)와 같이 신선한 외부공기가 공기실(40)에 채워지게 되는 작용이 보행을 계속하는 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공간부(51)에는 항상 신선한 외부공기가 통풍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신발은 보행시 많은량의 신선한 외부공기가 신발 내부로 통풍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완충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보행충격으로부터 신체 보호가 되고 장시간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풍신발은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및 발착용부재(50)가 기존의 것들과 외관이 크게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각각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신발의 외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통풍 기능과 완충 기능을 모두 겸비하는 신발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기능성 통풍신발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6)

  1.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사이에 공기실(40)을 구비하여 공기흡입관(60)으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공기실(40)을 거쳐서 승하강안창부재(30) 앞쪽에 뚫린 통풍구(34)를 통해 발이 삽입되는 발착용부재(50)의 착용공간부(51)로 통풍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창부재(10)의 뒷굽 상면부분에 구비하는 관결합공(21)과, 상기 관결합공(21)과 연장되는 통기통로(22)와, 상기 통기통로(22)와 연장되고 관결합공(21)과 이격된 거리에 구비하는 토출공(23)과, 상기 토출공(23)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부착부(24a)가 바닥창부재(10) 표면에 부착되고 유동부(24b)가 토출공(23) 위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첵크시트지(24)를 갖는 역류방지수단(20)과;
    상기 승하강안창부재(30)가 휘어지지 않게 형성되는 비굴신바닥부(31)와, 상기 비굴신바닥부(31)의 테두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굴신되게 형성되는 굴신테두리부(32)와, 상기 굴신테두리부(32)와 일체로 연장된 부착고정단부(33)와, 상기 비굴신바닥부(31) 선단부에 수직방향으로 뚫리게 되는 다수의 통풍구(34) 및 후단부에 관통공(35)을 각각 구비하는 승하강안창부재(30)와;
    상기 굴신테두리부(32)와 연장된 부착고정단부(33)가 바닥창부재(10) 상면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바닥창부재(10)와 승하강안창부재(30) 사이에 굴신테두리부(32) 높이만큼의 공간부를 갖도록 구비되는 공기실(40)을 포함하고;
    상기 발착용부재(50) 후미부의 외피부재(50a)와 내피부재(50b) 사이에 기립되게 부착되어 은폐되게 설치되는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의 관통공(35)을 관통하여 관결합공(21)에 결합되어 역류방지수단(20)의 통기통로(22)에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안창부재(30)의 관통공(35)을 관통하는 공기흡입관(60)이 비굴신바닥부(31)와 부착되어 고정되게 하고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는 관결합공(21)에서 승하강운동 되게 하여 외부공기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60)의 하단부(61)가 승하강안창부재(30)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흡입관(60)의 내부공(60a)으로 상단부가 밀접되게 삽입되는 고정흡기관(62) 하단부를 관통공(35)으로 관통시켜 바닥창부재(10) 상부에 있는 관결합공(21)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흡입관(60)만 승하강운동되어 외부공기가 공기통로(22)로 흡기되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흡기관(62)의 하단부가 공기통로(22)를 관통하여 바닥창부재(10)에 박혀지도록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공기통로(22)에 있는 고정흡기관(62) 일측에 출구공(63)을 형성시켜 외부공기가 공기통로(22)로 흡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안창부재(30)의 비굴신바닥부(31) 후미에 관통공(35)을 갖는 고정부(36)를 갖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36)를 제외한 비굴신바닥부(31)의 나머지 둘레 전체에만 굴신테두리부(32)를 갖도록 하고, 상기 관통공(35)과 관결합공(21)에는 공기흡입관(60)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20)은 바닥창부재(10) 후미에 형성된 요홈부(11)으로 관결합공(21)과 통기통로(22) 및 토출공(23)이 구비되고 상기 토출공(23)을 개폐하는 첵크시트지(24)를 구비하는 별개의 성형부재(25)를 삽입시켜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PCT/KR2009/007208 2009-02-19 2009-12-03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WO201009580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544005A CN102292005B (zh) 2009-02-19 2009-12-03 兼有缓冲功能的通风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3669 2009-02-19
KR10-2009-0013669 2009-02-19
KR10-2009-0033683 2009-04-17
KR1020090033683A KR100918108B1 (ko) 2009-02-19 2009-04-17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5805A1 true WO2010095805A1 (ko) 2010-08-26

Family

ID=4135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208 WO2010095805A1 (ko) 2009-02-19 2009-12-03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18108B1 (ko)
CN (1) CN102292005B (ko)
WO (1) WO20100958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3574A (zh) * 2014-08-29 2014-12-24 广东志达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反弹结构充气鞋底
JP2015534465A (ja) * 2012-09-29 2015-12-03 ジャン,チャン−ウォン 外底を用いてポンピング作用する通風履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5262B1 (fr) * 2011-05-19 2014-04-25 Theodore Grimmeisen Chaussure ventilee avec arrivee d'air en partie haute.
KR20120016034A (ko) * 2011-12-01 2012-02-22 장창원 반호형의 판스프링을 이용한 통풍신발
CN104436710A (zh) * 2014-12-01 2015-03-25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人偶降温装置
CN206462502U (zh) * 2017-01-25 2017-09-05 清远广硕技研服务有限公司 鞋底结构
KR101830054B1 (ko) * 2017-08-01 2018-02-19 장창원 통풍 군화
CN113208229B (zh) * 2021-04-29 2023-11-14 王学堂 一种具有内外循环除汗功能的鞋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7904U (ko) * 1987-05-27 1988-12-01
KR200164889Y1 (ko) * 1999-07-20 2000-02-15 박정환 공기유통및에어쿠션기능을가진신발창
KR200313423Y1 (ko) * 2003-02-05 2003-05-16 우정택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JP2007330670A (ja) * 2006-06-19 2007-12-27 良七 ▲高▼橋 蒸れ防止機能付き健康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2667Y (zh) * 1996-05-07 1998-01-21 张焕锦 气垫泵式透气呼吸鞋
CN2269084Y (zh) * 1996-09-27 1997-12-03 刘正松 换气保健皮鞋
CN2313423Y (zh) * 1997-11-14 1999-04-14 王克强 气囊式循环风鞋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7904U (ko) * 1987-05-27 1988-12-01
KR200164889Y1 (ko) * 1999-07-20 2000-02-15 박정환 공기유통및에어쿠션기능을가진신발창
KR200313423Y1 (ko) * 2003-02-05 2003-05-16 우정택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JP2007330670A (ja) * 2006-06-19 2007-12-27 良七 ▲高▼橋 蒸れ防止機能付き健康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4465A (ja) * 2012-09-29 2015-12-03 ジャン,チャン−ウォン 外底を用いてポンピング作用する通風履物
CN104223574A (zh) * 2014-08-29 2014-12-24 广东志达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反弹结构充气鞋底
CN104223574B (zh) * 2014-08-29 2016-03-30 广东志达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减震反弹结构充气鞋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108B1 (ko) 2009-09-22
CN102292005B (zh) 2013-10-16
CN102292005A (zh)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5805A1 (ko) 완충을 겸한 통풍 신발
WO2014051368A1 (ko) 바닥창을 이용하여 펌핑작용이 되는 통풍신발
US20070169375A1 (en) Shoe with ventilated arch support region
WO2013024941A1 (ko) 풍부한 외부공기가 송풍 되는 통풍신발
WO2015142052A1 (ko) 신발용 체크 밸브판
KR200436033Y1 (ko) 화장실용 발등커버 높이조절가능 슬리퍼
CN101708080B (zh) 可拆、缓震压力可调的能量回弹换气鞋垫
CN201131354Y (zh) 一种充气鞋
CN201085131Y (zh) 减震循环排气鞋垫
KR100695616B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CN209769170U (zh) 一种透气鞋底
WO2015046706A1 (ko) 이중 구조를 갖는 신발용 미드솔 및 그의 제조방법
CN217826962U (zh) 一种单向阀、换气机构和鞋垫
WO2020189885A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WO2009151272A2 (ko)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WO2020246680A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완충장치가 구비된 충격흡수용 굽
KR100906521B1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CN219845235U (zh) 一种抢险救援靴
KR200313475Y1 (ko) 통풍 장치를 형성한 신발 깔창
KR20200028804A (ko) 공기 순환기능 및 쿠션기능을 가지는 신발창
CN217487778U (zh) 一种防潮减震运动鞋
WO2018062782A1 (ko)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KR200367023Y1 (ko)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된 신발
WO2011007988A2 (ko) 좌우 양측이 호형 형태로 경사진 감지체돌기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CN2563969Y (zh) 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54400.5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404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404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