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996Y1 -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996Y1
KR200297996Y1 KR2020020022752U KR20020022752U KR200297996Y1 KR 200297996 Y1 KR200297996 Y1 KR 200297996Y1 KR 2020020022752 U KR2020020022752 U KR 2020020022752U KR 20020022752 U KR20020022752 U KR 20020022752U KR 200297996 Y1 KR200297996 Y1 KR 200297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e
outside
sole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제화
Priority to KR2020020022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996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밑창에 내부 공기를 일방향인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그 상면에 안착되는 깔창 패드에 외부 공기가 일방향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수단을 구비하여 신발의 내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내부가 상시 청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 상면의 전단에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고 그 후단에 절개공이 형성되며, 밑창의 상면에 열 압착되는 밑창덮개와; 상기 밑창덮개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밑창덮개에 형성된 공기 유통공을 통해 신발 내부의 악취를 일방향으로 안내하여 신발의 외부로 강제 방출시키는 악취 방출수단과; 상기 악취 방출수단을 안착시키기 위해, 그 상면에 안착홈이 각설되고, 그 측면에 상기 안착홈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밑창과; 상기 밑창덮개의 상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신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외부공기 유입수단이 구비된 깔창으로 이루어져 도보시 외부공기의 유입과, 내부공기의 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사용자가 그 신발을 착용하고 도보하면 신발 내부에 장착된 깔창을 통해 신선한 외부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신발 내부의 공기는 상기 악취 방출수단을 통해 신발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항상 신선한 공기가 신발 내부로 순환되게 된다. 이를 통해, 각종 족질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발 내부나 발에서 악취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SHOES HAVING A GOOD AIR CIRCULATION}
본 고안은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신발의 밑창에 내부 공기를 일방향인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그 상면에 안착되는 깔창 패드에 외부 공기가 일방향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수단을 구비하여 신발의 내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내부가 상시 청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신발 깔창은 신발 바닥면에 끼워져 착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으로서, 통상 신발 내부의 바닥면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착용자가 보행시 편안함을 느끼고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쿠션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운동화 등과 같은 신발의 경우 쿠션재 자체가 보온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에는 보행시 신발 내부에 열기가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발생된 열기가 쉽게 방출되지 못하므로 신발을 벗게 되는 경우에는 불쾌한 발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발에서 생성된 땀에 의해서 각종 세균성 족부질환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더운 날씨에는 비단 운동화 뿐만 아니라, 각종 신발이 상기한 문제점에 의해서 신발착용시 몹시 부담을 느끼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공기 순환을 위해 신발 깔창에 많은 수의 통공을 형성하거나 그 상면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열기를 식히도록 하는 방식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같은 신발 깔창은 지압효과 등의 부수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신발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지 못하므로 내부 열기를 식히거나 발냄새를 예방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보행시에는 통상 발바닥의 앞굽쪽, 대개 발가락 부분에서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되나 종래에는 신발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발가락 부분에서는 공기의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여 족부질환을 유발하는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되므로 이 또한 종래 방식에 따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외부방향으로 신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신발에 대해 출원한 바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단지 신발 내부의 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만 하는 것인 바, 신발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속도를 빠르게 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가 항상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하지는 못하는 것이므로, 마찬가지의 족부질환이 발생될 소지를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발의 밑창에 내부 공기를 일방향인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그 상면에 안착되는 깔창 패드에 외부 공기가 일방향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수단을 구비하여 신발의 내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내부가 상시 청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깔창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깔창, 200:악취방출수단,
201:공기방출펌프, 300:밑창,
400:깔창, 401:깔창패드,
402:유도관, 404:쿠션팩,
406:유도관, 408:취기관,
410:배출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상면의 전단에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고 그 후단에 절개공이 형성되며, 밑창의 상면에 열 압착되는 밑창덮개와; 상기 밑창덮개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밑창덮개에 형성된 공기 유통공을 통해 신발 내부의 악취를 일방향으로 안내하여 신발의 외부로 강제 방출시키는 악취 방출수단과; 상기 악취 방출수단을 안착시키기 위해, 그 상면에 안착홈이 각설되고, 그 측면에 상기 안착홈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밑창과; 상기 밑창덮개의 상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신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외부공기 유입수단이 구비된 깔창으로 이루어져 도보시 외부공기의 유입과, 내부공기의 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악취 방출수단은 발바닥에 의해 압축 및 압축해제됨으로써 공기를 펌핑하고, 그 전단 및 일측단에 각각 호스가 부착된 공기 방출펌프와;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공기 방출펌프에 부착된 호스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 1, 2 하우징과; 제 1, 2 하우징의 내부에 요입되며 그 일단이 일부 절개되어 공기를 일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제 1, 2 체크밸브와; 상기 제 1 체크밸브의 일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제 1 체크밸브 측으로 안내하는 방출공기 안내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깔창은 외부 공기 유입수단이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 다수의 원적외선 방출부재가 부착된 깔창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밑창의 뒷굽 소정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1 개폐수단이 그 후단 측면에 장착되고, 제 1 개폐수단은 유도관에 의해 상기 깔창 후단 내부에 내장된 쿠션팩과 결합되며, 상기 쿠션팩의 전단에는 깔창 내부에서 깔창의 전단인 발가락 방향으로 장착된 유도관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 유도관의 중앙 소정부에는 제 2 개폐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유도관의 전단에는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면적이 확장된 취기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그 취기관의 종단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 개폐수단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만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절개부가 내부 방향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a,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은 그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신발의 외부로 방출시키고,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신발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공기 배출로가 형성되는 체크밸브(210)가 신발의 내부에 구비되는 바, 그 체크밸브(210)의 재질은 고온의 용융점을 갖는 합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일선단에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12)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요입공(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210)의 절개부(212)와 요입공(214)은 각각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로(216)에 의해 연통된다.
그 체크밸브(210)의 요입공(214)으로부터 상기 안내로(216)를 따라 절개부(212)측으로 공기가 안내되면(A) 상기 절개부(21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212)가 공기압에 의해 상하부 방향으로 각각 벌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210)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즉, 체크밸브(210)는 그 절개부(212)가 신발의 외향으로, 그 요입공(214)은 신발의 내향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반면에, 체크밸브(210)의 절개부(212)로부터 절개부(212)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려고 하면(B), 상기 절개부(212)는 자체 재질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공기압에 의해 상하부 방향으로 벌려지지 않게 되므로, 체크밸브(210)의 장착위치에 따라 공기를 일방향으로 방출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깔창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은 일반 신발과 마찬가지로 밑창(300)과 밑창덮개(100), 깔창(400)으로 구성되는 바, 그 밑창(300)과 밑창덮개(100)의 사이에는 악취를 방출시키는 악취 방출수단(200)이 구성된다.
그 악취 방출수단(200)은 신발 내부의 전단(발가락 안착부)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투명 세관(細管)으로 이루어진 방출 공기 안내관(206)이 구성되고, 그 방출 공기 안내관(206)의 타단에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결정하는 제 1 개폐수단(202)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개폐수단(202)의 타단에는 호스에 의해 공기 방출 펌프(201)의 전단과 결합되는 바, 그 공기 방출 펌프(201)는 내부에 스폰지 등의 완충재로 이루어지고, 발바닥 후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공기를 일방향으로 방출시킨다.
한편, 상기 공기 방출 펌프(201)의 측면에는 호스를 매개하여 제 2 개폐수단(204)의 일단과 결합되며, 제 2 개폐수단(204)의 타단은 신발의 외부로 통해진다.
밑창(300)은 그 상면(302)에 공기 배출홈(304)이 형성되는 바, 그 공기 배출홈(304)은 신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삼지창 및 잔가지 형상으로 각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홈(304)의 후단에는 제 1 개폐수단(202)을 요입하기 위한 안착홈(306)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306)의 후단에는 공기 방출 펌프(201)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308)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308)의 측부에는 신발 외부로 관통되는 관통공(312)와 연장되고 제 2 개폐수단(204)을 안착시키는 안착홈(310)이각설된다.
한편, 상기 밑창덮개(100)는 악취 방출수단(200)이 밑창(30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밑창(300)의 상면에 접착재 및 열압착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발바닥에 접촉되는 신발 내부 밑면의 느낌을 편안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악취 방출수단(200)의 유동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밑창덮개(100)의 후단에는 악취 방출수단(200)의 상면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홈(102)이 절개되고, 그 전단에는 발가락으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상기 밑창(300)에 각설된 공기 배출홈(304)을 통해 포집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유통공(104)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깔창(400)은 외부 공기 유입수단이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깔창 패드(40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밑창덮개(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게 되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외면에 다수개의 옥(玉) 등의 원적외선 방출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악취 방출수단(200) 및 깔창(400)의 외부 공기 유입수단을 통해 외부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신발 내부 공기는 다시 신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깔창(400)은 밑창(300)의 뒷굽 소정부에 형성된 관통공(320)과 연통되는 제 1 개폐수단(202)이 그 후단 측면에 장착되고, 제 1 개폐수단(202)은 유도관(402)에 의해 상기 깔창(400) 후단 내부에 내장된 쿠션팩(404)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개폐수단(202)의 내부에는 체크밸브(도시 생략)가 내장되는 바, 그 체크밸브는 상기 악취 방출수단(200)에 구비된 체크밸브(210)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만 유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쿠션팩(404)의 전단에는 깔창(400) 내부에서 깔창(400)의 전단인 발가락 방향으로 장착된 유도관(406)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 유도관(406)의 중앙 소정부에는 제 2 개폐수단(204)이 결합된다. 제 2 개폐수단(204) 내에 구비된 체크밸브(도시 생략)의 방향은 공기가 쿠션팩(404)으로부터 상시 깔창(400)의 전단으로만 유입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팩(404)에서는 공기가 깔창(400)의 전단으로 배출되기만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관(406)의 전단에는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면적이 확장된 취기관(408)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그 취기관(408)의 종단에는 다수의 배출공(410)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깔창(201)은 그 하면에 다수의 유통공(412)이 형성되어 상기 쿠션팩(404) 및 유도관(406)을 통해 유입된 신선한 공기가 깔창(201)의 밑부분인 밑창덮개(100)나 밑창(300)측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밑창(300)에 형성된 안착홈에 상기 악취 방출수단(200)의 각 구성부재를 안착시키고, 그 상면에 밑창덮개(100)를 열 압착시키고, 그 밑창덮개(100)의 상면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깔창(40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그 신발을 사용자가 착용하고 걷기 시작하면 상기 공기 방출펌프(201)와 깔창(400)의 내부에 형성된 쿠션팩(404)에 발바닥의 하중이 작용하면서 그 공기 방출펌프(201)와 쿠션팩(404)이 교번적으로 압축되거나 압축 해제된다.
상기 쿠션팩(404)이 압축해제된 경우에는, 그 쿠션팩(404)이 원상으로 복원되면서 깔창(40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개폐수단(20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쿠션팩(404)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쿠션팩(404)이 가압되면 그 쿠션팩(404)이 압축되면서 상기 제 1 개페수단(202)은 폐쇄되고, 쿠션팩(404) 내부공기가 상기 제 2 개폐수단(204)을 통해 유도관(406)을 따라 발가락이 위치된 깔창(400)의 전단으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신발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신발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신발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상기 깔창(400)에 형성된 다수의 유통공(412)을 통해 상기 밑창덮개(100)나 밑창(300)측으로 유통되는 바,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걷기 시작하여 상기 악취 방출수단(200)의 공기 방출펌프(201)가 압축 해제되기 시작할 때에는 제 2 개폐수단(204)을 통해 신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며, 제 1 개폐수단(202)에 의해 신발 내부의 악취가 상기 방출 공기 안내관(206)을 통해 안내되어 상기 공기 방출펌프(201)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발바닥으로 상기 공기 방출펌프(201)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면, 그 공기 방출펌프(201)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는 상기 제 2 개폐수단(204)을 개방시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 1 개폐수단(202)은 공기를 신발 내측으로 방출하지 않도록 폐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 신발을 착용하고 도보하면 신발 내부에 장착된 깔창(400)을 통해 신선한 외부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신발 내부의 공기는 상기 악취 방출수단(200)을 통해 신발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신선한 공기의 유입동작과 내부 공기의 배출동작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신발을 가압할 때 동시에 발생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은 사용자가 그 신발을 착용하고 도보하면 신발 내부에 장착된 깔창을 통해 신선한 외부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신발 내부의 공기는 상기 악취 방출수단을 통해 신발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항상 신선한 공기가 신발 내부로 순환되게 된다. 이를 통해, 각종 족질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발 내부나 발에서 악취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그 상면의 전단에 다수의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고 그 후단에 절개공이 형성되며, 밑창의 상면에 열 압착되는 밑창덮개와;
    상기 밑창덮개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밑창덮개에 형성된 공기 유통공을 통해 신발 내부의 악취를 일방향으로 안내하여 신발의 외부로 강제 방출시키는 악취 방출수단과;
    상기 악취 방출수단을 안착시키기 위해, 그 상면에 안착홈이 각설되고, 그 측면에 상기 안착홈과 연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밑창과;
    상기 밑창덮개의 상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신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외부공기 유입수단이 구비된 깔창으로 이루어져 도보시 외부공기의 유입과, 내부공기의 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방출수단은 발바닥에 의해 압축 및 압축해제됨으로써 공기를 펌핑하고, 그 전단 및 일측단에 각각 호스가 부착된 공기 방출펌프와;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공기 방출펌프에 부착된 호스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 1, 2 하우징과; 제 1, 2 하우징의 내부에 요입되며 그 일단이 일부 절개되어 공기를 일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제 1, 2 체크밸브와; 상기 제 1 체크밸브의 일단에 결합되어 공기를 제 1 체크밸브 측으로 안내하는 방출공기 안내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은 외부 공기 유입수단이 그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 다수의 원적외선 방출부재가 부착된 깔창 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밑창의 뒷굽 소정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는 제 1 개폐수단이 그 후단 측면에 장착되고, 제 1 개폐수단은 유도관에 의해 상기 깔창 후단 내부에 내장된 쿠션팩과 결합되며, 상기 쿠션팩의 전단에는 깔창 내부에서 깔창의 전단인 발가락 방향으로 장착된 유도관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 유도관의 중앙 소정부에는 제 2 개폐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유도관의 전단에는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면적이 확장된 취기관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그 취기관의 종단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개폐수단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신발의 내부로만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절개부가 내부 방향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20020022752U 2002-07-30 2002-07-30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297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52U KR200297996Y1 (ko) 2002-07-30 2002-07-30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752U KR200297996Y1 (ko) 2002-07-30 2002-07-30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085A Division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2-07-02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996Y1 true KR200297996Y1 (ko) 2002-12-12

Family

ID=7307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752U KR200297996Y1 (ko) 2002-07-30 2002-07-30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9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22B1 (ko) 2008-07-14 2010-10-20 석옥균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922B1 (ko) 2008-07-14 2010-10-20 석옥균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10939A1 (en) Shoes having ventilation devices
US7328525B2 (en) Shoe with ventilating opening
US20050198858A1 (en) Ventilated shoe with independent fresh air inflow path and foul air outflow path
US20080189986A1 (en) Ventilated and resilient shoe apparatus and system
JP2009540916A (ja) 空気循環式衝撃緩和靴及び靴の中敷
US8074374B2 (en) Shoe sole with ventilation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100916592B1 (ko) 지압 및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신발 깔창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200397055Y1 (ko) 내부 공기가 배출 순환되는 통풍 구두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305811Y1 (ko) 공기 순환용 자동 구슬밸브가 내장된 신발
KR20090127843A (ko) 충격흡수형 신발창
JP2000217604A (ja) 靴の中敷き及び靴
KR200385525Y1 (ko) 내부 공기가 배출 통풍되는 구두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0450304Y1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200330643Y1 (ko) 공기제어밸브가 내장된 악취방지용 신발
KR200166185Y1 (ko) 공기 순환용 밑창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40037042A (ko) 공기제어밸브가 내장된 악취방지용 신발
KR200370233Y1 (ko) 악취방지 신발에 구비된 공기방출펌프
KR200391007Y1 (ko) 신발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