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922B1 -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 Google Patents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922B1
KR100988922B1 KR1020080067982A KR20080067982A KR100988922B1 KR 100988922 B1 KR100988922 B1 KR 100988922B1 KR 1020080067982 A KR1020080067982 A KR 1020080067982A KR 20080067982 A KR20080067982 A KR 20080067982A KR 100988922 B1 KR100988922 B1 KR 10098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shoe
suction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371A (ko
Inventor
석옥균
Original Assignee
석옥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옥균 filed Critical 석옥균
Priority to KR102008006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9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에 관한 것으로, 신발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ㅏ"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배출수단(100)과; 사각상의 튜브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과 연통되어 타측이 결합되도록 결합단부(210)가 돌설되고, 사각상의 튜브체 중앙으로 튜브체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형상유지부(220)가 상하요입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으로부터 신발 내부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배출압력이 가해지도록 에어펌핑부(200);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은 일측으로 신발내부와 연통결합되는 흡입부(1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에어펌핑부(200)와 결합되는 펌핑결합부(124)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펌핑결합부(124) 사이 측방향으로 신발외부로 연통형성된 배출부(126)가 구비된 "ㅏ"형의 흡입배출관(120)과; 상기 흡입부(122)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일방향 흡입되도록 마련된 제1밸브체(140)와; 상기 배출부(126)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밸브체(140)를 통해 에어펌핑부(200)로 흡입된 오염된 공기가 신발 외부로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라 펌핑되어 일방향 배출되도록 마련된 제2밸브체(1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에 관한 것이다.
신발, 일방향, 노즐.

Description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One-way nozzle structure of the air flowing shoes}
본 고안은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냄새, 습기를 함유한 오염된 공기 등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고, 외부로부터 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웰빙이라는 주제 아래 생활속에서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와 같은 건강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에 따라 다양한 건강보조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에 대한 제품으로는 자연에서 찾는 먹거리와 사람의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의 유지를 위한 제품들을 들 수 있으며, 이중 사람의 신체활동에서 가장 많이 혹사되는 사람의 신체부위로 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사람의 신체 중 발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오장육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발 건강이 곧 신체의 건강과 직결된다고 하여 발 건강을 위해 많은 노력이 이 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사람이 보행, 구보시 외부의 이물질에 대해 발을 보호하고, 동절기 급격한 기온의 하강에 따른 동상 등의 외상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신발을 착용한다.
여기서, 상기 신발은 주로 천연가죽 또는 인조 가죽의 재질로 형성되어 발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보행, 구보시 지면과 접촉되는 하부에는 보행시의 안전성 및 편안한 착용감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두께가 외피보다 두꺼운 밑창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은 우천시 빗물, 동절기의 외부온도에 대한 보온성, 외부 이물질로부터의 보호 등의 목적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방수 및 보온과 외부 이물질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상당히 두꺼운 외피와 밑창을 가진다. 즉, 신발을 착용한 후, 사람이 신발을 신고 장시간 신체활동을 하다 보면 신발 내부에 발로부터 상당한 양의 땀을 배출하고, 이와 같은 땀의 배출에 의해 방수기능을 가진 신발 내부에는 높은 습도를 유지하여 상당히 불쾌한 착용감을 느끼고, 더욱 심해지면 신발 내부에 땀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한다.
즉, 신발의 보온기능에 의해 사람이 장시간 신체활동을 하다보면 혈액순환이 증가되어 발에서 열이 발생되고, 발생되는 열에 의해 신발 내부온도가 상승되며, 이로 인해, 신체에서는 적합한 신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땀이 배출됨에 따라, 방 수기능을 가진 신발 내부에 땀이 그대로 방출되어 내부 습도가 증가하고, 신발 내부의 습도 증가에 따라 곰팡이 등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되어 발 건강에 상당한 유해요소로 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통기성 신발이 개시되고 있으며, 종래의 통기성 신발은 밑창에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유로와 연통된 펌핑부를 형성하며, 유로와 펌핑부와 동일 직선상에 외부공기의 유출입을 단속하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기성 신발은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공기의 유출입을 단속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유로와 펌핌부 및 체크밸브가 동일직선상에 연통되어 형성됨에 따라 외부공기 또는 내부공기의 유출입을 단속할 정도의 압력을 유지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여 그 실효성이 문제되고 있는 실정이며, 종래의 신발과 동일하게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원할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 및 수분을 높은 흡입력으로 흡입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오염된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공기의 교환이 우수하여 높은 통기성을 가지고, 이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오염에 따른 곰팡이 등의 억제 및 쾌적한 착용감을 가질수 있으며, 나아가 발 건강을 유지하도록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ㅏ"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배출수단(100)과; 사각상의 튜브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과 연통되어 타측이 결합되도록 결합단부(210)가 돌설되고, 사각상의 튜브체 중앙으로 튜브체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형상유지부(220)가 상하요입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으로부터 신발 내부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배출압력이 가해지도록 에어펌핑부(200);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은 일측으로 신발내부와 연통결합되는 흡입부(1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에어펌핑부(200)와 결합되는 펌핑결합부(124)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펌핑결합부(124) 사이 측방향으로 신발외부로 연통형성된 배출부(126)가 구비된 "ㅏ"형의 흡입배출관(120)과; 상기 흡입부(122)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일방향 흡입되도록 마련된 제1밸브체(140)와; 상기 배출부(126)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밸브체(140)를 통해 에어펌핑부(200)로 흡입된 오염된 공기가 신발 외부로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라 펌핑되어 일방향 배출되도록 마련된 제2밸브체(1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상기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배출부(126)측 내연에는 상기 제1,2밸브체(140,160)가 끼움결합되어 더 이상 삽입됨이 방지되도록 각각 걸림단턱(122',126')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밸브체(140)와 상기 제2밸브체(16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배출되도록 중앙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통공(144,164)이 관통형성된 밸브바디(142,162)와;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유통공(144,164) 내측으로 안치되고, 상기 유통공(144,164)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제어되도록 형성된 차단부재(146,166)와;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유통공(144,164)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부재(146,166)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고정캡(148,16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밸브체(140)와 상기 제2밸브체(160)는 상기 밸브바 디(142,162)의 유통공(144,164)은 양측으로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단이 형성되되, 일측으로 공기가 빠른유속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144a,164a)와; 타측으로 상기 유입구(144a,164a)를 통해 유입된 빠른 유속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구(144a,164a)보다 직경이 확대형성된 배출구(144b,164b)와; 상기 유입구(144a,164a)의 내측 일측에 상기 배출구(144b,164b)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146,166)가 지지되도록 구비된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146,166)는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측 내경이 밀폐되도록 타원형이 반분되어 서로 마주보며 상향 경사지도록 좌우대칭되어 측면상에서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통공(144,164)의 유입구(144a,164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구(144b,164b)측으로 일방향 배출되도록 형성된 차단판(146a,166a)과; 상기 차단판(146a,166a)의 중앙 직하로 하향돌설되고, 상기 유통공(144,164) 내경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차단판(146a,166a)이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의 중심에 센터링 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 센터조정편(146b,166b);으로 형성되되, 상기 좌우대칭 형성되어 상향 경사진 차단판(146a,166a)의 좌우측이 유입구(144a,164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배출구(144b,164b) 측으로 각각 개별작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캡(148,168)은 상기 유통공(144,164)에 끼움결합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밸브바디(142,162)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원판형상의 내연에 배출통공(148a,168a)이 관통형성되고, 중앙으로 상기 차단부재(146,166)의 유동방지와 센터조정을 수행하도록 하향돌설된 누름팁(148b,16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펌핑부의 일측에 "ㅏ"형상의 일방향 노즐을 구비하여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 및 수분을 높은 흡입력으로 흡입하고, 신속하게 외부로 오염된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공기의 교환이 우수하여 높은 통기성을 가지고, 이로 인해 신발 내부의 오염에 따른 곰팡이 등의 억제 및 쾌적한 착용감을 가질수 있으며, 나아가 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전체 설치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공기유입배출수단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공기유입배출수단의 요부 절개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작동상태 확대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는 신체활동 중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발 건강을 유지하도록 신발내부의 온도상승의 억제와 곰팡이, 미생물 등의 유해세균의 억제 및 내부 오염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크게 공기유입배출수단(100), 에어핑핑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은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ㅏ"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은 "ㅏ"형의 흡입배출관(120), 제1밸브체(140), 제2밸브체(160)로 구성된다.
상기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은 신발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 되는 관로로, 일측으로 신발내부와 연통결합되는 흡입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으로 후술되는 에어펌핑부(200)와 결합되는 펌핑결합부(124)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펌핑결합부(124) 사이 측방향으로 신발 외부로 연통형성되어 신발내부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부(12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배출부(126)측 내연에는 후술되는 제1,2밸브체(140,160)가 끼움결합되어 더 이상 삽입됨이 방지되도록 각각 걸림단턱(122',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밸브체(140)는 전술한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흡입부(122)의 걸림단턱(122')이 형성된 내측까지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밸브체(140)는 신발 내부와 연통되어 내부 오염 공기를 후술되는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라 흡입력이 작용되어 일방향 흡입되도록 마련된다. 즉, 후술되는 에어펌핑부(200)의 이완에 따라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1밸브체(140)의 외측의 신발 내부의 공기가 후술되는 에어펌핑부(200)에 의해 흡입되고, 제1밸브체(140)의 신발 내부측으로는 배출되지 않는 일방향 공기흐름을 발생토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2밸브체(160)는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배출부(126)의 걸림단턱(126')이 형성된 내측까지 끼움결합되어 신발 외부로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제 2밸브체(160)는 전술한 상기 제1밸브체(140)를 통해 후술되는 에어펌핑부(200)로 흡입된 오염된 공기가 신발 외부로 후술되는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에 따라 펌핑되어 상기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제1밸브체(140)측으로는 배출되지 않고, 측면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연통된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배출부(126)측으로 일방향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밸브체(140)와 상기 제2밸브체(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바디(142,162), 차단부재(146,166), 고정캡(148,16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바디(142,16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배출되도록 중앙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통공(144,164)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유통공(144,164)은 일측과 타측 양측으로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단을 이룬다.
이러한, 상기 밸브바디(142,162)는 유입구(144a,164a), 배출구(144b,164b),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44a,164a)는 전술한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흡입부(122)와 배출부(126)의 일측으로 공기가 빠른 유속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유입구(144a,164a)는 후술되는 배출구(144b,164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144b,164b)는 타측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상기 유입구(144a,164a)를 통해 유입된 빠른 유속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 구(144a,164a)보다 직경이 확대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44a,164a)와 상기 배출구(144b,164b)의 직경을 서로 달리하여 단을 형성한 것은 베르누이정리에 의한 배관 내에서 유체가 보유하고 있는 총에너지는 항상 일정하다는 것에 비추어 응용된 것으로, 상기 유입구(144a,164a)의 직경이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흡입부(122)와 배출부(12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배출부(126)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의 유속은 제1,2밸브체(140,160)의 유입구(144a,164a)를 통과하면서 증가되고, 정압은 낮아짐과 함께 유속의 증가로 인한 동압이 상승하게된다. 그러므로, 신발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빠르게 흡입하고, 외부로 빠르게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는 공기가 유입구(144a,164a)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후술되는 차단부재(146,166)가 공기의 흐름에 의해 개폐 반복되도록 안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는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유통공(144,164)의 중앙에 형성되되, 전술한 상기 유입구(144a,164a)의 내측 일측에 상기 배출구(144b,164b)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형성된다.
상기 차단부재(146,166)는 전술한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유통공(144,164) 내측 중앙으로 형성된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에 안치된다. 그리고,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44a,164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제어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146,166)는 차단판(146a,166a), 센터조정편(146b,166b)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판(146a,166a)은 전술한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측 내경이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146a,166a)는 타원형이 반분된다. 그리고, 반분된 타원형상의 상기 차단판(146a,166a0는 서로 마주보며 상향 경사지도록 좌우대칭되되, 측면상에서 "V"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차단판(146a,166a)은 상기 유입구(144a,164a)를 통해 유입되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구(144b,164b)측으로 일방향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터조정편(146b,166b)은 상기 차단부재(146,166)를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의 정확한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차단판(146a,166a)이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의 내경의 개폐시 기밀을 요하도록 하고, 후술되는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른 압력을 저하시키는 공기의 누출을 방지토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센터조정편(146b,166b)은 전술한 상기 차단판(146a,166a)의 중앙 직하로 하향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유통공(144,164) 내경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 내측에 끼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조정편(146b,166b)에 의해 상기 차단판(146a,166a)이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에 안치시, 유통공의 내경 원주의 어떠한 방향에서 상기 센터조정편(146b,166b)을 끼움결합하여도 유통공의 내경과 같은 폭을 가진 센터조정편(146b,166b)에 의해 중심에 정확히 센터링 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148,168)은 상기 차단부재(146,166)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유통공(144,164)의 배출구(144b,164b) 일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캡(148,168)은 상기 배출구(144b,164b)의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밸브바디(142,162)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원판형상의 내연에 배출통공(148a,168a)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캡(148,168)의 중앙으로 상기 차단부재(146,166)의 유동방지와 센터조정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향돌설되어 상기 차단판(146a,166a) 중앙을 가압하여 누르도록 누름팁(148b,168b)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펌핑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상의 튜브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과 연통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으로부터 신발 내부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배출압력이 가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펌핑부(200)는 결합단부(210), 형상유지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단부(210)는 사각상의 튜브체로 형성된 에어펌핑부(200)의 일측에 전술한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의 타측이 결합되도록 돌설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부(210)을 통해 상기 튜브체의 에어펌핑부(20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배출압력이 전달되어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의 일방향 흡입과 일방향 배출이 가능토록 구비된다.
상기 형상유지부(220)는 사각상의 튜브체 중앙으로 튜브체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하요입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부(220)는 외력에 의해 수축된 에어펌핑부(200)가 원상태로 빠르게 이완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전술한 공기유입배출수단(100)측으로 흡입압력과 배출압력이 전달되도록 빠른 펌핑력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펌핑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상의 튜브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신발에 내설되는 공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유로(부호생략)가 형성된 통기성 신발의 뒷굽측에 본 발명의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을 에어펌핑부(200)의 결합단 부(210)에 기밀결합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의 흡입부(122)와 배출부(126)측의 각각의 걸림단턱(122'126')측으로 제1,2밸브체(140,160)를 각각 결합한다. 이러한 제1,2밸브체(140,160)의 결합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밸브바디(142,162)에 관통형성한 유통공(144,164)의 유입구(144a,164a)와 배출구(144b,164b) 사이에 형성한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에 차단부재(146,166)를 안치하여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를 개폐가능하도록 밀폐한다.
이때, 차단부재(146,166)는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의 내경 즉, 유입구(144a,164a)의 내경의 중심에 정확히 안치하도록 유입구의 내경과 동일한 폭을 가진 센터조정편(146b,166b)에 의해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의 중심에 정확히 위치함에 따라 차단판(146a,166a)이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정확히 밀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기성 신발에 결합된 본 발명의 일방향 노즐구조는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을 실시하면 최초 에어펌핑부(200)가 사용자의 체중이 발의 뒷굽에 실리어 수축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한 에어펌핑부(200)는 형상유지부(220)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반발작용이 발생되어 사용자가 신발의 발뒷굽을 들어 올리는 순간 수축한 에어펌핑부(200)가 이완되어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에어펌핑부(200)의 이완에 따른 복귀에 의해 실험기구의 스포이드와 같이 수축된 튜브가 복귀되면서 대상유체를 빨아당기는 것과 같이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후, 에어펌핑부(200)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의 제1밸브체(140)의 차단판(146a)이 에어펌핑부(200)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흡입부(122)를 통해 흡입하여 에어펌핑부(200) 내로 유입한다.
여기서, 흡입력은 에어펌핑부(200)가 형상유지부(220)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최고점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흡입력의 정지에 따라 에어펌핑부(200)으로부터 흡입한 오염된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판(146a)은 흡입력의 정지점에서 다시 차단부재 지지부(144c)로 복귀되어 밀폐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을 위해 뒷굽을 지면에 접촉하면 에어펌핑부(200)는 다시 수축한다. 이때,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에 따라 에어펑핑부(200) 내에 흡입한 오염공기는 압축되어 결합단부(210)측으로 높은 배출압력에 의해 배출한다. 이때, 오염공기는 제1밸브체(140)측으로는 차단판(146a)이 배출압력에 의해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흡입부(122)를 차단한다.
따라서, 오염공기는 흡입부(122)로는 배출하지 못하고, "ㅏ"형의 흡입배출관(120) 내에서 와류가 발생되면서 높은 배출압력에 의한 오염공기가 제2밸브 체(160)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이동하는 오염공기는 제2밸브체(160)의 밸브바디(162)에 형성한 유통공(164)을 통해 차단부재(166)의 차단판(166a)을 배출압력에 의해 밀어올려 배출구(164b)를 거쳐 외부로 배출한다. 즉, 제1밸브체(140)는 신발내부의 오염공기의 일방향 흡입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2밸브체(160)는 흡입된 오염공기를 일방향 배출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신발내부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에 흡입과 배출의 기능을 달리하는 제1,2밸브체(140,160)가 구비됨으로써, 높은 흡입압력과 배출압력을 달성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쾌적한 신발의 착용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제1,2밸브체(140,160)의 차단판(146a,166a)은 타원형상으로 반분되어 고정캡(148,168)의 하방에 돌설된 누름팁(148b,168b)이 타원형상의 중심 직경에 상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차단판(146a,166a)을 눌러줌에 따라 흡입부(122)와 배출부(126)의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각각 좌우가 개별작동이 가능하여 사실상 밸브체 하나로 2개의 밸브체를 구비한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가능한 변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전체 설치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공기유입배출수단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공기유입배출수단의 요부 절개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의 작동상태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유입배출수단 120 : "ㅏ"형의 흡입배출관
122 : 흡입부 122' : 걸림단턱
124 : 펌핑결합부 126 : 배출부
126' : 걸림단턱 140,160 : 제1밸브체, 제2밸브체
142,162 : 밸브바디 144,164 : 유통공
144a,164a : 유입구 144b,164b : 배출구
144c,164c : 차단부재 지지부 146,166 : 차단부재
146a,166a : 차단판 146b,166b : 센터조정편
148,168 : 고정캡 148a,168a : 배출통공
148b,168b : 누름팁 200 : 에어펌핑부
210 : 결합단부 220 : 형상유지부

Claims (8)

  1. 삭제
  2.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에 있어서, 신발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ㅏ"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유입배출수단(100)과; 사각상의 튜브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과 연통되어 타측이 결합되도록 결합단부(210)가 돌설되고, 사각상의 튜브체 중앙으로 튜브체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형상유지부(220)가 상하요입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으로부터 신발 내부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배출압력이 가해지도록 에어펌핑부(200);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배출수단(100)은 일측으로 신발내부와 연통결합되는 흡입부(1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에어펌핑부(200)와 결합되는 펌핑결합부(124)가 동일선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펌핑결합부(124) 사이 측방향으로 신발외부로 연통형성된 배출부(126)가 구비된 "ㅏ"형의 흡입배출관(120)과;
    상기 흡입부(122)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일방향 흡입되도록 마련된 제1밸브체(140)와;
    상기 배출부(126) 내측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밸브체(140)를 통해 에어펌핑부(200)로 흡입된 오염된 공기가 신발 외부로 에어펌핑부(200)의 수축이완에 따라 펌핑되어 일방향 배출되도록 마련된 제2밸브체(1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ㅏ"형의 흡입배출관(120)의 상기 흡입부(122)와 상기 배출부(126)측 내연에는 상기 제1,2밸브체(140,160)가 끼움결합되어 더 이상 삽입됨이 방지되도록 각각 걸림단턱(122',1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체(140)와 상기 제2밸브체(16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배출되도록 중앙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통공(144,164)이 관통형성된 밸브바디(142,162)와;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유통공(144,164) 내측으로 안치되고, 상기 유통공(144,164)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제어되도록 형성된 차단부재(146,166)와;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유통공(144,164) 일단에 결 합되고, 상기 차단부재(146,166)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고정캡(148,16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142,162)의 유통공(144,164)은 양측으로 서로 다른 직경으로 단이 형성되되,
    일측으로 공기가 빠른유속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144a,164a)와;
    타측으로 상기 유입구(144a,164a)를 통해 유입된 빠른 유속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유입구(144a,164a)보다 직경이 확대형성된 배출구(144b,164b)와;
    상기 유입구(144a,164a)의 내측 일측에 상기 배출구(144b,164b)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146,166)가 지지되도록 구비된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46,166)는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측 내경이 밀폐되도록 타원형이 반분되어 서로 마주보며 상향 경사지도록 좌우대칭되어 측면상에서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통공(144,164)의 유입구(144a,164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구(144b,164b)측으로 일방향 배출되도록 형성된 차단판(146a,166a)과;
    상기 차단판(146a,166a)의 중앙 직하로 하향돌설되고, 상기 유통공(144,164) 내경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차단판(146a,166a)이 상기 차단부재 지지부(144c,164c)의 중심에 센터링 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된 센터조정편(146b,166b);으로 형성되되,
    상기 좌우대칭 형성되어 상향 경사진 차단판(146a,166a)의 좌우측이 유입구(144a,164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배출구(144b,164b) 측으로 각각 개별작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148,168)은 상기 유통공(144,164)에 끼움결합되도록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밸브바디(142,162)를 통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원판형상의 내연에 배출통공(148a,168a)이 관통형성되고, 중앙으로 상기 차단부재(146,166)의 유동방지와 센터조정을 수행하도록 하향돌설된 누름팁(148b,16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8. 삭제
KR1020080067982A 2008-07-14 2008-07-14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KR10098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82A KR100988922B1 (ko) 2008-07-14 2008-07-14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982A KR100988922B1 (ko) 2008-07-14 2008-07-14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71A KR20100007371A (ko) 2010-01-22
KR100988922B1 true KR100988922B1 (ko) 2010-10-20

Family

ID=4181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982A KR100988922B1 (ko) 2008-07-14 2008-07-14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02B1 (ko) * 2011-05-19 2012-03-13 석옥균 통기성 신발의 제조방법
IT201900021366A1 (it) * 2019-11-18 2021-05-18 Pietro Toniolo Calzatura con dispositivo per la circolazione d’ari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96Y1 (ko) 2002-07-30 2002-12-12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370233Y1 (ko) * 2004-09-20 2004-12-13 이덕희 악취방지 신발에 구비된 공기방출펌프
JP3125082U (ja) * 2006-06-27 2006-09-07 日本ヘルスシューズ株式会社 履物
KR100691646B1 (ko) 2005-04-25 2007-03-12 욱일산업(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통풍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96Y1 (ko) 2002-07-30 2002-12-12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370233Y1 (ko) * 2004-09-20 2004-12-13 이덕희 악취방지 신발에 구비된 공기방출펌프
KR100691646B1 (ko) 2005-04-25 2007-03-12 욱일산업(주)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통풍신발
JP3125082U (ja) * 2006-06-27 2006-09-07 日本ヘルスシューズ株式会社 履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202B1 (ko) * 2011-05-19 2012-03-13 석옥균 통기성 신발의 제조방법
IT201900021366A1 (it) * 2019-11-18 2021-05-18 Pietro Toniolo Calzatura con dispositivo per la circolazione d’ar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371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2030T3 (es) Suela para calzado que permite la transpiración del pie
JP3183852U (ja) 通気性インソール
EP1201143B1 (en) Breathable and waterproof sole for shoes
HRP20041227A2 (en) A sole for shoes including transpiration side valves formed by moulding
US20120266494A1 (en)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WO2011045210A2 (en) Waterproof and vapor-permeable sole for shoes and shoe provided with said sole
KR100988922B1 (ko) 통기성 신발의 일방향 노즐구조
KR200448371Y1 (ko) 기능성 신발창
CN101543326A (zh) 一种带单向阀和疏水透气膜的鞋底
TWI692321B (zh) 鞋之防水透氣鞋底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ES1060168U (es) Disposicion para la circulacion de aire en un calzado, en particular para niños.
KR100766049B1 (ko) 통풍 밑창
KR200248603Y1 (ko) 신발창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KR200408735Y1 (ko) 통풍 밑창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CN203873107U (zh) 一种透气鞋底
KR200259486Y1 (ko) 기능성 신발
CN214179369U (zh) 一种鞋子
KR101589822B1 (ko)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EP2514330B1 (en) A waterproof sole with high air and vapor permeability
CN202722700U (zh) 一种会呼吸的鞋垫
KR200193913Y1 (ko) 환기 및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CN201064220Y (zh) 一种外底防水透气功能鞋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