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374B1 - 충격흡수 건강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건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374B1
KR101693374B1 KR1020160088020A KR20160088020A KR101693374B1 KR 101693374 B1 KR101693374 B1 KR 101693374B1 KR 1020160088020 A KR1020160088020 A KR 1020160088020A KR 20160088020 A KR20160088020 A KR 20160088020A KR 101693374 B1 KR101693374 B1 KR 101693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groove
front spring
cov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근
Original Assignee
(주)프라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라미스 filed Critical (주)프라미스
Priority to KR102016008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건강신발에 있어서, 후방부에 리어홈이 형성되고, 전방부에 프런트홈이 리어홈과 형성된 밑창과; 밑창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홈과 프런트홈을 덮는 커버와; 리어홈에 수용되고 밑창과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리어 진동장치와; 프런트홈에 수용되고 밑창과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1프런트 스프링과; 프런트홈에 제1프런트 스프링과 이격되게 수용되고 밑창과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2프런트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프런트 스프링은 밑창의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아우터 테두리에 더 가깝고, 제2프런트 스프링은 밑창의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이너 테두리에 더 가깝고, 프런트홈의 높이는 리어홈의 높이 보다 낮고, 제1프런트 스프링의 강성은 제2프런트 스프링의 강성 보다 높기 때문에, 아우터라인에 가까운 곳에 구비된 제1프런트 스프링이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내구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 건강신발{Health shoes for shock absorbing}
본 발명은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고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하는 충격흡수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자의 발에 착용되어,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신발은 착용자의 모든 하중이 실리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문에, 착용자가 신발로부터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마사이 워킹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고 있고, 미끄럼방지나 충격완화를 위한 기능성 신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웰빙 시대에 맞춰 보다 다양한 기능성 신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기능성 신발 중 일 예로, 배터리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장치가 신발의 깔창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착용자가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장치가 포함된 기능성 신발은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환할 필요가 있고, 전기장치의 잦은 고장으로 그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진동장치가 포함된 기능성 신발은 착용자가 보행할 때, 발생하는 충격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지만, 착용자의 발이 지면을 딛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상기의 충격으로 인해 착용자의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기능성 신발 중 다른 예로, 착용자가 보행할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은 신발의 밑창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착용자가 보행을 할 때 스프링을 통해 완충 효과를 발휘한다.
하지만, 종래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은 신발 밑창에 구비된 스프링이 착용자의 보행 습관이나, 착용자의 발 모양에 따라 각각의 스프링으로 전달되는 하중 또는 하중으로 인한 외력이 다르기 때문에, 복수개의 스프링 중, 일부의 스프링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착용자가 일부의 스프링이 고장이 발생한 신발을 사용하면, 발이 지면을 딛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스프링이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관절 또는 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일부 스프링만 작동하여 착용자의 무게중심 및 균형을 깨트리기 때문에, 오히려 착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면서, 착용자의 보행 습관 또는 하중에 따른 외력을 견디는 스프링과, 보행 시, 착용자의 발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신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0-0121147A 공고 (2010년 11월 17일 공개) KR 10-0996559B1 공고 (2010년 11월 18일 등록) KR 10-1121540B1 공고 (2012년 02월 22일 등록)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진동장치가 함께 충격을 흡수 할 수 있고, 밑창에 작용하는 착용자의 하중에 대한 최적 대응이 가능한 충격흡수 건강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은 후방부에 리어홈이 형성되고, 전방부에 프런트홈이 상기 리어홈과 이격되게 형성된 밑창과; 상기 밑창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홈과 프런트홈을 덮는 커버와; 상기 리어홈에 수용되고 상기 밑창과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리어 진동장치와; 상기 프런트홈에 수용되고 상기 밑창과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1프런트 스프링과; 상기 프런트홈에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과 이격되게 수용되고 상기 밑창과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제2프런트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은 상기 밑창의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아우터 테두리에 더 가깝고,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은 상기 밑창의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이너 테두리에 더 가깝고, 상기 프런트홈의 높이는 상기 리어홈의 높이 보다 낮고,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강성은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강성 보다 높다.
상기 프런트홈에 구비되어 상기 프런트홈 내부를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이 수용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이 수용되는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분리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영역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두께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두께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턴수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턴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높이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의 높이는 상기 제2영역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밑창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밑창은 상부 밑창과; 상기 상부 밑창 아래에 접합되고 저면에 상기 리어홈과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형성된 하부 밑창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밑창은 상기 상부 밑창 보다 경도가 높고, 상기 하부 밑창은 상면 일부에 아치 형상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이너 테두리와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2영역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리어홈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홈의 면적은 상기 리어홈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격흡수 건강신발은 밑창의 후방부에 리어 진동장치를 구비하고, 밑창의 후방부의 두께보다 얇은 밑창의 전방부에 복수개의 프런트 스프링을 구비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프런트 스프링과 리어 진동장치가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복합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프런트 스프링 중, 착용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아우터라인에 가까운 곳에 강성이 강한 프런트 스프링이 구비되기 때문에, 아우터라인에 가까운 곳에 구비된 프런트 스프링이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저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밑창이 도시된 저면도 이다.
도 4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1)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충격흡수 건강신발(1)은 갑피부(2), 밑창(3), 커버(4)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부(2)는 착용자의 발을 감쌀 수 있다. 갑피부(2)는 밑창(3) 및 커버(4)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밑창(3)은 갑피부(2)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밑창(3)은 갑피부(2)와 접착되어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을 때, 발바닥과 지면 사이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할 수 있다.
밑창(3)은 우레탄, 실리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밑창(3)은 탄성이 높은 재질이나 복원력이 뛰어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밑창(3)은 상부밑창(31)과 하부밑창(32)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3)은 상무밑창(3)과 하부밑창(32)을 포함한 단일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밑창(3)이 상부밑창(31)과 하부밑창(3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부밑창(31)은 하부밑창(3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밑창(31)과 하부밑창(32)은 접합될 수 있다.
하부밑창(32)은 상부밑창(31) 아래에 접합될 수 있다. 하부밑창(32)은 상부밑창(31) 보다 경도가 높을 수 있다. 하부밑창(32)은 상부밑창(31)보다 지면과 착용자의 발바닥 중 지면과 가깝기 때문에,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부밑창(31)보다 경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밑창(31)은 하부밑창(32)보다 지면과 착용자의 발바닥 중 착용자의 발바닥과 가까워서 착용자의 발에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하부밑창(32)보다 경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는 밑창(3)에 부착될 수 있다. 커버(4)는 밑창(3)에 접합되어 밑창(3)과 커버(4)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커버(4)는 하부밑창(32)에 접합될 수 있다. 커버(4)가 밑창(3)의 저면인 하부밑창(32)에 접합될 수 있다. 커버(4)는 하부밑창(32)의 저면에 접합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저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밑창이 도시된 저면도 이며, 도 4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 선 단면도이며, 도 6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도 2는 충격흡수 건강신발(1)의 왼쪽과 오른쪽 중, 오른쪽을 예로 한다. 충격흡수 건강신발(1)의 밑창(3)은 커버(4)가 부착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충격흡수 건강신발(1)은 커버(4)의 중심을 기준으로 직교하는 두 개의 가상선으로 나눌 수 있다. 커버(4)의 중심을 지나 직교하는 두 개의 가상선은 전후 방향 중심선(S1)과 좌우 방향 중심선(S2)일 수 있다.
전후 방향 중심선(S1)은 커버(4)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부(F)와 후방부(R)를 나눌 수 있는 선이다. 여기서, 전방부(F)는 전후 방향 중심선(S1)을 기준으로 충격흡수 건강신발(1)의 전방 부분에 해당되며, 전방부(F)에는 착용자의 발 앞꿈치 및 발가락을 지지할 수 있다. 후방부(R)는 전후 방향 중심선(S1)을 기준으로 충격흡수 건강신발(1)의 후방 부분에 해당되며, 후방부(R)에는 착용자의 발뒤꿈치를 지지할 수 있다.
좌우 방향 중심선(S2)은 커버(4)의 중앙을 기준으로 커버(4)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나눌 수 있는 선이다. 여기서, 좌우 방향 중심선(S2)의 안쪽이란 착용자가 충격흡수 건강신발(1)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 발의 안쪽과 대응되는 부분이고, 좌우 방향 중심선(S2)의 바깥쪽이란 착용자가 충격흡수 건강신발(1)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 발의 바깥쪽과 대응되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충격흡수 건강신발(1)의 안쪽에 해당되는 테두리를 이너 테두리(I)로 설명한다. 그리고, 충격흡수 건강신발(1)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테두리를 아우터 테두리(O)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밑창(3)은 복수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홈의 개수와 모양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는 홈의 개수를 2개로, 모양은 타원 또는 원형 모양인 것으로 설명한다.
밑창(3)의 저면에는 리어홈(33) 및 프런트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밑창(3)은 후방부(R)에 리어홈(33)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부(F)에 프런트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홈(34)은 리어홈(33)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밑창(32)의 저면에는 리어홈(33)과 프런트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밑창(32)은 후방부(R)에 리어홈(33)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부(F)에 프런트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홈(34)은 복수개의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다.
프런트홈(34)은 제1영역(35)과 제2영역(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35)과 제2영역(36)은 분리대(37)에 의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35)과 제2영역(36)는 분리대(37)을 사이에 두고, 좌우 이격될 수 있다.
분리대(37)는 프런트홈(34)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분리대(37)는 프런트홈(34)에 구비되어 프런트홈(34) 내부를 제1프런트 스프링(6)이 수용되는 제1영역(35)과, 제2프런트 스프링(7)이 수용되는 제2영역(36)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리대(37)는 좌우 방향 중심선(S2)과 동일하거나, 아우터 테두리(O)와 이너테두리(I)중, 이너 테두리(I)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영역(35)은 분리대(37)를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2영역(36)은 분리대(37)를 기준으로 제1영역(35)과 반대되는 위치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밑창(32)의 후방부(R)에 리어홈(33)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영역(35)은 전방부(F)에서 리어홈(33)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밑창(32)의 후방부(R)에 리어홈(33)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영역(36)은 전방부(F)에서 리어홈(33)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홈(33)은 전후 방향 중심선(S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 중심선(S1)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프런트홈(34)에 포함된 제1영역(35) 및 제2영역(36)은 전후 방향 중심선(S1)을 기준으로 리어홈(33)과 반대되는 위치에 전후 방향 중심선(S1)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어홈(33)은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리어홈(33)의 크기는 프런트홈(34)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리어홈(33)의 면적은 프런트홈(34)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리어홈(33)의 면적은 프런트홈(34)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리어홈(33)에는 리어진동장치(5)가 수용되고, 프런트홈(34)에는 복수개의 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다. 프런트홈(34)에 복수개의 스프링이 수용될수록,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더 좋아지므로, 프런트홈(34)의 면적이 리어홈(33)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리어홈(33)의 면적은 프런트홈(34)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리어홈(33)은 제1영역(35)및 제2영역(36)보다 크기가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영역(35)과 제2영역(36)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영역(35)과 제2영역(36) 각각은 좌우 방향 중심선(S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35)은 좌우 방향 중심선(S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2영역(36)은 좌우 방향 중심선(S2)을 기준으로 제1영역(35)과 반대되는 위치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35)은 밑창(3)의 아우터 테두리(O)와 이너 테두리(I) 중 아우터 테두리(O)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35)에는 복수개의 제1프런트스프링(6)이 구비될 수 있고, 제2영역(36)에는 복수개의 제2프런트 스프링(7)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은 제1영역(35)에 수용될 수 있다. 제2프런트 스프링(7)은 제2영역(36)에 수용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 및 제2프런트 스프링(7)은 전방부(F)에 형성된 제1영역(35) 및 제2영역(36)에 수용되어 착용자가 보행 시 발을 지면으로 디딜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4를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4)는 하부밑창(32)의 저면에 접합될 수 있다. 커버(4)는 하부밑창(32)의 저면에 접합되어 하부밑창(32)에 포함되는 리어홈(33), 프런트홈(34)에 포함되는 제1영역(35) 및 제2영역(36)을 밀폐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커버(4)와 하부밑창(32)에 의해 밀폐공간이 형성된 리어홈(33)은 리어홈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커버(4)와 하부밑창(32)에 의해 밀폐공간이 형성된 제1영역(35)은 제1영역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커버(4)와 하부밑창(32)에 의해 밀폐공간이 형성된 제2영역(36)은 제2영역 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제1영역의 높이(H2)는 제2영역의 높이(H3) 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커버(4)와 하부밑창(32)에 의해 밀폐공간이 형성된 리어홈(33)은 리어홈 면적(L1)을 가질 수 있다. 커버(4)와 하부밑창(32)에 의해 밀폐공간이 형성된 제1영역(35)은 제1영역 면적(L2)을 가질 수 있다. 커버(4)와 하부밑창(32)에 의해 밀폐공간이 형성된 제2영역(36)은 제2영역 면적(L3)을 가질 수 있다.
리어홈의 면적(L1)은 제1영역 면적(L2)과 제2영역 면적(L3)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리어홈 높이(H1)는 제1영역 높이(H2) 및 제2영역 높이(H3)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는 리어홈(33)에 수용될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는 리어홈(33)에 수용되어 착용자가 보행할 때, 발바닥의 후방부(R)에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의 면적은 리어홈의 면적(L1)와 같거나 좁을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의 높이는 리어홈의 높이(H1)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는 보행시 발생하는 압력으로 형상이 변화하여 진동을 발생하고, 압력이 사라질 경우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리어 진동장치(5)의 면적는 리어홈의 면적(L1)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리어 진동장치(5)의 높이는 리어홈의 높이(H1)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진동장치(5)는 밑창(3)과 커버(4)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는 밑창(3)과 커버(4)가 접합되어 형성한 밀폐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는 리어홈(33)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리어 진동장치(5)는 제1케이스(51), 제2케이스(52), 진동판(53), 제1자석(54), 제2자석(55) 및 제3 자석(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51)와 제2케이스(52)는 결합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간인 진동 공간부(57)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케이스(51)는 리어 진동장치(5)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2케이스(52)는 리어 진동장치(5)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케이스(51)의 면적은 리어홈의 면적(L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1케이스(51)의 높이는 리어홈의 높이(H1)보다 낮거나 같을 수 있다. 제2케이스(52)의 면적은 리어홈의 면적(L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제2케이스(52)의 높이는 리어홈의 높이(H1)보다 낮거나 같을 수 있다. 제1케이스(51)와 제2케이스(52)는 탄성 및 복원력이 높은 재질일 수 있다.
진동판(53)의 일단은 제1케이스(51), 제2케이스(52)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진동판(53)의 일단은 제1케이스(51), 제2케이스(52)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할 수 있다. 진동판(53)은 진동을 유도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진동판(53)의 일단은 제1케이스(51), 제2케이스(52)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고, 타단 중, 끝단에 제1자석(54)이 설치될 수 있다.
진동판(53)의 끝단에 제1자석(54)이 설치되면, 진동판(53)은 끝단에 무게가 실리게 되므로 작은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반응을 하게 된다.
제1자석(54)은 진동판(53)의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자석(54)은 상면 이 S극, 하면이 N극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자석(54)은 상면이 N극, 하면이 S극을 가질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자석(55)은 제1케이스(5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자석(55)은 제1자석(54)과 척력 작용을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자석(54)의 상면이 S극이면 제2자석(55)의 극성이 S극이다. 제2자석(55)은 진동공간부(57) 내에 위치되어 제1자석(54)의 상면과 척력 작용을 함과 동시에 자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자석(56)은 제2케이스(5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자석(56)은 제1자석(54)과 척력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자석(54)의 하면이 N극이면, 제3 자석(56)의 극성이 N극이다. 제2자석(55)과 제3 자석(56)은 제1자석(54)과 거의 동일 수직선상 혹은 진동판(53)의 진동시 그 끝단이 움직이는 원주 방향의 동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리어 진동장치(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착용자가 충격흡수 건강신발(1)을 착용하고, 보행을 시작하면 리어홈(33)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리어 진동장치(5)는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과 흔들림을 받게 된다. 이후, 상기의 충격과 흔들림을 통해 진동판(53)에서 제1자석(54)이 설치된 부분이 제1자석(54)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시작한다. 이때, 진동판(53)의 끝단에는 제1자석(54)이 부착되어 있어 그 무게로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도 쉽게 상하 방향으로 흔들린다.
제1자석(54)이 진동판(53)과 함께 진동공간부(57) 안에서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면, 제1자석(54)은 제2자석(55) 또는 제3 자석(56)중 하나와 가까워진다. 제1자석(54)이 제2자석(55)과 가까워지면, 제1자석(54)과 제2자석(55)사이에 척력이 강해져서, 제1자석(54)은 하강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제1자석(54)의 하강운동에 의해 제1자석(54)과 제3 자석(56)이 가까워지면, 제1자석(54)과 제3 자석(56)사이에 척력이 강해져서 제1자석(54)이 상승운동을 하게 된다.
즉, 보행동작시 발생되는 발의 운동이 진동판(53)의 진동을 유도하고, 진동판(53)의 끝단에 설치된 제1자석(54)은 진동공간부(57)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된 제2자석(55)및 제3 자석(56)과 척력이 작용되어 진동판(53)을 크게 진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진동판(53)이 크게 진동하면, 착용자는 진동을 느낄 수 있고, 제1자석(54)과 제2자석(55)의 자기장과 진동판(53)의 진동이 발바닥에 전달되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밑창(3)은 후방부(R)와 전방부(F)를 포함할 수 있고, 후방부(R)의 높이가 전방부(F)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후방부(R)는 착용자가 보행시, 지면과 제일 빨리 닿는 부분이고, 착용자의 하중이 모두 실리는 곳이기 때문에, 후방부(R)의 높이는 전방부(F)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밑창(3)은 충격흡수 건강신발(1)을 전후 방향으로 삼등분 했을 때, 선단부(X), 중간부(Y) 및 후단부(Z)를 포함할 수 있다.
선단부(X)에는 제1영역(35)과 제2영역(36)이 좌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Y)는 선단부(X)와 후단부(Z)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단부(Z)는 리어홈(33)이 형성될 수 있고, 리어홈(33)은 중간부(Y)를 사이에 두고 제1영역(35) 및 제2영역(35)과 이격될 수 있다.
하부밑창(32)은 상면 일부에 아치 형상으로 볼록한 볼록부(D)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D)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밑창(31)은 하부밑창(32)에 비해 경도가 낮기 때문에, 상면에 일부 아치 형상인 볼록부(D)를 포함하면, 착용자가 보행할 때,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볼록부(D)의 형상 복원이 쉽지 않고, 내구도가 떨어질 수 있다.
때문에, 볼록부(D)는 상부밑창(31)과 하부밑창(32)중 하부밑창(3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밑창(31)은 하부밑창(32)이 포함한 볼록부(D)와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D)는 선단부(X)와 중간부(Y) 및 후단부(Z)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D)가 선단부(X)에 형성되면, 착용자의 발가락이 안착되는 공간이 볼록부(D)에 의해 좁아져서 착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고, 볼록부(D)가 제1프런트 스프링(6)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제1프런트 스프링(6)과 볼록부(D)는 착용자가 발을 지면으로 디딜 때 발생하는 충격을 동시에 받을 수 있다. 즉, 제1프런트 스프링(6)이 충격을 온전하게 흡수하지 못하여 완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볼록부(D)가 후단부(Z)에 형성되면, 착용자의 발 뒤꿈치를 지지하는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리어 진동장치의 진동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볼록부(D)가 사용자의 하중을 온전히 받기 때문에 볼록부(D)가 빨리 손상될 수 있다.
볼록부(D)는 선단부(X)와 중간부(Y) 및 후단부(Z)중 중간부(Y)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D)는 제2영역(36)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D)는 리어홈(33)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D)는 하부밑창(32)의 중간부(Y)에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D)는 중간부(Y)에 아우터 테두리(O)와 이너 테두리(I)중 하나와 가까운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대부분의 착용자의 발밑은 아우터 테두리(O)와 이너 테두리(I)중 이너 테두리(I)에 가까운 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굽은 아치형이다. 따라서, 볼록부(D)가 아우터 테두리(O)와 이너 테두리(I)중 아우터 테두리(O)에 가깝게 형성될 경우, 착용자 발밑의 상측 방향으로 굽은 아치형과 접촉할 수 없고, 착용자의 하중이 볼록부(D)로 집중되기 때문에, 볼록부(D)가 빠르게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D)는 아우터 테두리(O)와 이너 테두리(I) 중 이너 테두리(I)와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D)가 아우터 테두리(O)와 이너 테두리(I)중 이너 테두리(I)와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경우, 볼록부(D)는 착용자 발밑의 상측 방향으로 굽은 아치형 부위와 접촉할 수 있다. 볼록부(D)는 착용자 발밑의 상측 방향으로 굽은 아치형 부위와 접촉하여, 착용자의 발바닥과 밑창(3)의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다.
볼록부(D)가 착용자의 발바닥과 밑창(3)의 접촉 면적을 높이므로서, 착용자가 발을 지면으로 디딜 때 발생하는 충격을 분산할 수 있고, 신발의 전방부(F)에 구비된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이 분산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리어 진동장치(5)가 발생하는 진동이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로 골고루 퍼지게 하여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의 혈류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밑창(3)의 프런트홈(34)은 아우터 테두리(O)에 가까운 위치에 제1영역(35)을 포함할 수 있고, 이너 테두리(I)와 가까운 위치에 제2영역(36)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대(37)는 제1영역(35)과 제2영역(36)을 분리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은 제1영역(35)에 수용될 수 있다. 제2프런트 스프링(7)은 제2영역(36)에 수용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은 밑창(3)과 커버(4)가 접합되어 형성한 밀폐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런트 스프링(7)은 밑창(3)과 커버(4)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런트 스프링(7)은 밑창(3)과 커버(4)가 접합되어 형성한 밀폐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은 착용자가 보행할 때, 보행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의 발바닥은 이너 테두리(I)와 가까운 부위에 상측 방향으로 굽은 아치형을 가질 수 있고, 아치형에 따라서 밑창(3)으로 하중에 따른 외력이 각각 다르게 가해질 수 있다. 즉, 아우터 테두리(O)와 가까운 제1영역(35)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이너 테두리(I)와 가까운 제2영역(36)으로 가해지는 외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제1영역(35)에 수용되는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영역(36)에 수용되는 제2프런트 스프링(7)의 수명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중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은 착용자의 하중을 균형 있게 지탱할 수 없고,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일부의 스프링만 흡수하여 충격 완화가 불균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되도록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의 강성을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은 밑창(3)과 커버(4)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은 밑창(3)과 커버(4)가 접합되어 형성한 밀폐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의 강성은 제2프런트 스프링(7)의 강성 보다 높을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의 강성은 두께, 턴수(코일의 회전 수), 외경, 스프링의 높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의 외경(W1)은 제2프런트 스프링의 외경(W2) 보다 클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의 두께(T1)는 제2프런트 스프링의 두께(T2)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의 턴수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7)의 턴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의 높이(M1)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높이(M2) 보다 높을 수 있다.
제1영역(35)과 제2영역(36)의 크기도 각각 다를 수 있다. 제1영역(35)과 제2영역(36) 각각은 높이와 면적를 가질 수 있다.
제1영역(35)의 면적은 제2영역(36)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1영역의 높이(H2)는 제2영역의 높이(H3)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제1영역(35)과 제2영역(36)각각은 높이와 면적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착용자의 하중은 이너 테두리(I)와 아우터 테두리(O)중 아우터 테두리(O)에 가까운 부분에 더 많이 실린다. 때문에,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중 아우터 테두리(O)와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제1프런트 스프링(6)의 강성을 높임으로서, 제1프런트 스프링(6)과 제2프런트 스프링(7)의 수명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제1프런트 스프링(6) 또는 제2프런트 스프링(7)중 하나만 고장이 발생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프런트 스프링(6)이 제2프런트 스프링(7)보다 강성이 높기 때문에, 착용자가 보행할 때 발생하는 충격 및 착용자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충격흡수 건강신발(1)은 본 발명 일실시 예의 커버(4)는 프런트 커버(41)와 리어커버(42)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구성이 될 수 있고, 본 발명 일실시예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4)는, 리어커버(42)와, 프런트 커버(4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커버(42)는 밑창(3)의 후방부(R)에 접합될 수 있다. 리어커버(42)는 하부밑창(32)의 후방부(R)에 접합될 수 있다. 리어커버(42)는 하부밑창(32)의 후방부(R)에 접합되어 하부밑창(32)에 포함된 리어홈(33)을 밀폐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프런트 커버(41)는 밑창(3)의 전방부(F)에 접합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41)는 하부밑창(32)의 전방부(F)에 접합될 수 있다. 프런트 커버(41)는 하부밑창(32)의 전방부(F)에 접합되어 하부밑창(32)에 포함된 프런트홈(34)을 밀폐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프런트 커버(41)는 제1영역(35) 및 제2영역(36)을 밀폐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밑창(3)의 후방부(R)에는 리어홈(33)을 포함하기 때문에, 리어커버(42)에 리어홈(33)에 대응되는 홈이 포함될 수 있다. 전방부(F)에는 제1영역(35) 및 제2영역(36)을 포함하기 때문에, 프런트 커버(41)는 제1영역(35) 및 제2영역(36)에 대응되는 홈이 포함될 수 있다.
리어커버(42)와 프런트 커버(41)각각을 밑창(3)에 접합할 경우, 커버(4)의 공정 시, 리어커버(42)에 리어홈(33)에 대응되는 홈을 공정하고, 프런트 커버(41)에 제1영역(35)및 제2영역(36)에 대응되는 홈을 공정하여, 커버(4)를 하나의 구성으로 공정했을 때에 비해 공정하는 단계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건강신발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충격흡수 건강신발(1)은 본 발명 일실시 예의 커버(4)는 제1커버(43)및 제2커버(44)를 포함하여 복수개의 구성이 될 수 있고, 본 발명 일실시예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버(4)는, 제1커버(43) 및 제2커버(44)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43)는 밑창(3)고 결합하여 후방부(R)에 위한 리어홈(33)을 밀폐할 수 있다. 제2커버(44)는 밑창(3)과 결합하여 전방부(F)에 위치하며 프런트홈(34)을 밀폐할 수 있다. 제2커버(44)는 프런트홈(34)중, 아우터 테두리(O)에 가까운 제1영역(35)을 밀폐할 수 있다. 제2 커버(44)는 이너 테두리(I)에 가까운 제2영역(36)을 밀폐할 수 있다.
리어홈(33)에 리어 진동장치(5)가 수용되고, 제1영역(35)에 제1프런트 스프링(6)이 수용될 수 있고, 제2영역(36)에 제2프런트 스프링(7)이 수용될 수 있다. 제1프런트 스프링(6)은 제2프런트 스프링(7)과 강성이 다를 수 있고, 강성이 다름에 따라서 높이, 두께, 외경, 턴수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커버(4)는 리어홈(33)내지 제2영역(36)에 수용되는 구성에 대응되도록 각각 밑창(3)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영역(35)에 수용되는 제1프런트 스프링(6)은 제2영역(36)에 수용되는 제2프런트 스프링(7)에 비해 강성이 높기 때문에, 제1프런트 스프링(6)의 탄성력이 제2프런트 스프링(7)의 탄성력보다 더 높으므로, 제1프런트 스프링(6)은 제2프런트 스프링(7)보다 높은 탄성력이 커버(4)에 작용될 수 있고, 제1영역(35)의 밀폐 공간이 제2영역(36)의 밀폐 공간에 비해 수명이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커버(44)는 각각 다른 강도로 밑창(3)과 접합되어 제1영역(35)과 제2영역(36)을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커버(43)는 리어홈(33)에 수용되는 리어 진동장치(5)에 대응되는 강도로 밑창(3)에 접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충격흡수 건강신발, 2: 갑피부
3: 밑창, 4: 커버
5: 리어 진동장치, 6: 제1프런트 스프링
7: 제2프런트 스프링, 33: 리어홈
34: 프런트홈, 35: 제1영역
36: 제2영역, 37: 분리대
X: 선단부, Y: 중간부
Z: 후단부, F: 전방부
R: 후방부, I: 이너 테두리
O: 아우터 테두리, D: 볼록부

Claims (12)

  1. 충격흡수 건강신발에 있어서,
    후방부에 리어홈이 형성되고, 전방부에 프런트홈이 상기 리어홈과 이격되게 형성된 밑창과;
    상기 밑창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홈과 프런트홈을 덮는 커버와;
    상기 리어홈에 수용되고 상기 밑창과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리어 진동장치와;
    상기 프런트홈에 수용되고 상기 밑창 및 커버에 결합된 제1프런트 스프링과;
    상기 프런트홈에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과 이격되게 수용되고 상기 밑창 및 커버에 결합된 제2프런트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은 상기 밑창의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아우터 테두리에 더 가깝고,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은 상기 밑창의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이너 테두리에 더 가깝고,
    상기 프런트홈의 높이는 상기 리어홈의 높이 보다 낮고,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강성은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강성 보다 높고,
    상기 프런트홈의 면적은 상기 리어홈의 면적 보다 크고,
    상기 프런트홈에 구비되어 상기 프런트홈 내부를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이 수용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이 수용되는 제2영역으로 구분하는 분리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밑창에는 아치 형상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아우터 테두리와 이너 테두리 중 이너 테두리와 더 가깝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2영역 및 리어홈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충격흡수 건강신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영역의 면적 보다 큰 충격흡수 건강신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외경 보다 큰 충격흡수 건강신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두께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두께 보다 두꺼운 충격흡수 건강신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턴수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턴수 보다 많은 충격흡수 건강신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런트 스프링의 높이는 상기 제2프런트 스프링의 높이 보다 높은 충격흡수 건강신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높이는 상기 제2영역의 높이 보다 높은 충격흡수 건강신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상부 밑창과;
    상기 상부 밑창 아래에 접합되고 저면에 상기 리어홈과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형성된 하부 밑창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밑창은 상기 상부 밑창 보다 경도가 높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하부 밑창의 상면 일부에 형성된 충격흡수 건강신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88020A 2016-07-12 2016-07-12 충격흡수 건강신발 KR101693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20A KR101693374B1 (ko) 2016-07-12 2016-07-12 충격흡수 건강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20A KR101693374B1 (ko) 2016-07-12 2016-07-12 충격흡수 건강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374B1 true KR101693374B1 (ko) 2017-01-06

Family

ID=5783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020A KR101693374B1 (ko) 2016-07-12 2016-07-12 충격흡수 건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549B1 (ko) 2018-01-11 2018-10-22 주식회사 에프엘에스솔루션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983723B1 (ko) * 2019-03-21 2019-05-29 이청근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90Y1 (ko) * 2004-06-17 2004-09-13 (주) 스트라스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20080099516A (ko) * 2007-05-09 2008-11-13 김상구 기능성 신발
KR20100075793A (ko) * 2010-06-01 2010-07-05 이상훈 신발의 충격완화 조절이 가능한 탄성패드
KR20100121147A (ko) 2009-05-08 2010-11-17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KR100996559B1 (ko) 2008-04-03 2010-11-24 주식회사 엠에스존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1121540B1 (ko) 2009-05-08 2012-03-06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90Y1 (ko) * 2004-06-17 2004-09-13 (주) 스트라스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20080099516A (ko) * 2007-05-09 2008-11-13 김상구 기능성 신발
KR100996559B1 (ko) 2008-04-03 2010-11-24 주식회사 엠에스존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20100121147A (ko) 2009-05-08 2010-11-17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KR101121540B1 (ko) 2009-05-08 2012-03-06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20100075793A (ko) * 2010-06-01 2010-07-05 이상훈 신발의 충격완화 조절이 가능한 탄성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549B1 (ko) 2018-01-11 2018-10-22 주식회사 에프엘에스솔루션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983723B1 (ko) * 2019-03-21 2019-05-29 이청근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769B1 (ko) 신발깔창
JP5686187B2 (ja) 履物の靴底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2061146B1 (ko) 아치패드를 포함하는 신발
KR101693374B1 (ko) 충격흡수 건강신발
JP2012034754A (ja) 靴中敷き
KR20140104210A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6572B1 (ko) 신발창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KR101149489B1 (ko)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KR101105829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KR101600973B1 (ko) 신발창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1469554B1 (ko) 쿠션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밑창
KR101875777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113498910A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101910549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567784B1 (ko)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20130056814A (ko) 기능성 신발물품
KR20140093097A (ko) 운동화용 아웃솔
KR101452162B1 (ko) 족부피로저감과 체압분산형 지지패드가 설치된 신발안창
CN215270890U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