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540B1 -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 Google Patents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540B1
KR101121540B1 KR1020090040170A KR20090040170A KR101121540B1 KR 101121540 B1 KR101121540 B1 KR 101121540B1 KR 1020090040170 A KR1020090040170 A KR 1020090040170A KR 20090040170 A KR20090040170 A KR 20090040170A KR 101121540 B1 KR101121540 B1 KR 10112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gnet
vibration
shap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150A (ko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540B1/ko
Priority to PCT/KR2010/002914 priority patent/WO2010128822A2/ko
Priority to JP2012508409A priority patent/JP2012525196A/ja
Priority to EP10772282A priority patent/EP2428198A4/en
Priority to CN2010800184594A priority patent/CN102413805A/zh
Publication of KR2010012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150A/ko
Priority to US13/279,582 priority patent/US2012003097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면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이고 자석의 척력에 의해서 진동과 자력이 발생되어 보행의 흥미를 배가시킴과 동시에 혈을 자극하여 혈류를 개선시킬 수 있는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케이스가 형상이 변화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함은 물론이고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해 자석의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되므로, 그 진동으로 인해 보행자는 흥미를 느껴 보다 즐거운 보행이 될 것이고, 진동시 자기장이 발생되는 등 자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효과를 나타낸다.
케이스, 진동수단, 자석, 가이드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The functional healthy shoes having the vibration system for improvement of bloodstream}
본 발명은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 진동장치가 구비되어서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면서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이고 자석의 척력에 의해서 진동과 자력이 발생되어 보행의 흥미를 배가시킴과 동시에 혈을 자극하여 혈류를 개선시킬 수 있는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건강신발은 통상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갑피부와 상기 갑피부 하면에 구비되어서 발을 바닥으로부터 보호하는 밑창부로 구성된 신발에 기능성을 부과하여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일예로, 근래에는 신발의 밑창부를 호 형상으로 구현하여 구름 운동 즉, 마사이 워킹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리고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기능이 적용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고 있고, 또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잘 흡수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 등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능성 신발은 그 기능에 맞게 제작되고 있으므로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될 것은 틀림 없으나 웰빙 시대에 맞춰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더욱 보탬이 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은 물론이고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을 통해 진동과 자력을 발생시켜 보행의 흥미를 배가시키며,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큰 보탬이 되는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는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고 그 형상의 변화시 복원력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변화되는 형상에 연동되어 자석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케이스의 형상의 변화시 상기 제1자석의 일면과 척력이 발생하고 상기 케이스의 복원 시 척력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제2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진동수단이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에 의해 슬라이딩작동되도록 결합된 제1레버와 제2레버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에 결합되어서 슬라이딩 작동되며,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상기 진동판이 결합되지 않은 레버에 설치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수단에는 상기 제1자석의 타면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3자석이 더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판은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케이스의 형상 변화와 연동되도록 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형상 변화 시 그 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케이스가 형상이 변화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함은 물론이고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해 자석의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되므로, 그 진동으로 인해 보행자는 흥미를 느껴 보다 즐거운 보행이 될 것이고, 진동시 자기장이 발생되는 등 자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100)은 크게 갑피부(110), 밑창부(120) 및 진동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갑피부(110)는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것이고, 밑창부(120)는 착용자의 발을 바닥으로 보호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통상의 신발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밑창부(120)의 뒷꿈치 부분에는 상기 진동장치(200)가 설치된 공간부(122)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122)는 상기 진동장치(200)의 압착시 변화되는 형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후측으로는 최소한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도록 형성되며, 좌우측 및 상하면은 진동장치(200)와 맞게 형성하여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장치(200)는 상기 건강신발(100) 바람직하게는, 밑창부(120)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밑창부(120)의 뒷꿈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행시 외압을 전달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상관없으므로 진동장치(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한정지을 수는 없음을 인지하여야 되며, 외압을 가장 확실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이 밑창부(120)의 뒷꿈치 부분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일예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진동장치(200)는 다시 케이스(210) 및 진동수단(2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케이스(210)는 외압 즉 압력이 작용하면 압축되면서 그 형상이 변화되고 외압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유연하면서도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상, 하로 분리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스(210)의 외주연에는 견고하면서도 밀폐력이 우수하도록 최종적으로 코팅층(211)을 형성하여서 완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수단(220)의 하측에는 외압에 따른 케이스(210)의 형상 변화시 그 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280)가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는 단면상 타원형, 구형 및 반구형 형상 등의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타원형 형상이 가장 바람직한 형상이며 다른 형상들은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계속해서, 상기 진동수단(220)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어서 케이스(210)의 변화되는 형상에 연동되면서 발생되는 자석의 척력에 의해서 진동과 자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30), 진동판(240), 제1자석(250) 및 제2자석(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3자석(27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3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스(210)의 변화되는 형상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결합된 제1,2레버(232,236)로 이루어진다. 즉, 일측이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돌기(234)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진동판(24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축(235)이 구비된 제1레버(232) 및 상기 제1레버(232)의 돌기(234)에 결합되는 결합홈(238)이 형성된 일측이 상기 제1레버(2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 스(210)의 타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2레버(236)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이루어진 가이드부재(230)의 제1,2레버(232,236)는 후술하겠지만 케이스(210)의 내벽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210)가 형상이 변화 즉, 외압에 의해 압축되면 압축된 만큼 슬라이딩 작동되고, 복원되면 다시 결합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레버(232,236)는 그 슬라이딩 작동시 서로 분리되지 않아야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즉, 케이스(210)가 외압에 의해서 최대한 압축된 상태로 변화되더라도 제1,2레버(232,236)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끔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240)은 상기 제1,2레버(232,236) 중 어느 일측 레버의 상면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어서 같이 슬라이딩 작동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레버(232)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축(235)에 결합되는 것이며, 탄성력 있는 소재로 제작된다.
한편,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진동판(240)은 상기 제1,2레버(232,236) 대신에 케이스(210)의 벽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진동판(240)을 상기 제1레버(232)의 상부에 위치시키되 그 끝단을 제1레버(232)가 아닌 케이스(210)의 벽면에 직접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케이스(210)의 형상 변화와 연동되어 진동판(240)이 움직이게 될 것이고, 후술하는 제1자석(250)과 제2레버(236)에 구비된 제2자석(260)은 척력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250)은 상기 진동판(24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통상의 영구자석이다.
그리고, 상기 제2자석(260)은 상기 제1,2레버(232,236) 중 진동판(240)이 결합되지 않은 즉, 제2레버(236)에 결합되어서 제1레버(232)와 함께 진동판(240)이 슬라이딩될 때 제1자석(250)의 하면과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 또한 통상의 영구자석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자석(270)은 상기 제1자석(250)의 상면과 척력이 작용되어 케이스(210) 내에서 보다 원활한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210)의 면 중 제3자석(270)이 구비되는 면이 다른 면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제1자석(250)과의 척력 작용 발생시 얇은 그 면의 떨리는 현상을 구현하여 진동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2,3자석(250,260,270)의 배치를 살펴보면, 먼저 제1자석(250)은 진동판(240)의 끝단에 구비되고, 제2자석(260)은 진동판(240) 하면에 구비된 제2레버(236)에 구비되며, 제3자석(270)은 진동판(240) 상면에 위치되도록 케이스(2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제1자석(250)은 그 하면 및 상면에 각각 구비된 제2,3자석(260,270)과 척력이 작용되도록 하는데, 만약 상기 제1 자석(250)의 하면이 N극, 상면이 S극을 가지면, 제2자석(260)의 상면이 N극이 되어야 되고, 제3자석(270)의 하면이 S극이 되어야 됨은 너무나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케이스(210) 내부에는 두 개의 진동수단(220)이 구비되어 다단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진동수단(220)을 대칭되게끔 각각 구비하여서 케이스(210)의 형상 변화시 상하면에서 각각 진동 및 자력이 발생되도록 한 것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진동수단(220)이 사용된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능성 건강신발(100)의 작동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건강신발(100)을 착용자가 착용하고 보행을 시작하면 뒷꿈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장치(200)로 부터 진동과 자력이 발생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착용자의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이 케이스(210)의 상면으로 작용되면 케이스(210)는 압착되어 전후측으로 납작해지게 될 것이다. 그러면,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30) 즉, 제1,2레버(232,23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 딩 작동될 것이고, 곧 제1레버(232) 상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판(240)의 제1자석(250)과 제2레버(236)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2자석(260)은 근접해져 척력이 작용되며, 이 척력으로 인해 진동판(240)의 끝단은 상측으로 튕겨져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상측으로 튕겨져 올라간 진동판(240)은 진동판(240)이 가지는 탄성력으로 인해 진동을 발생하게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나 상기 진동판(240)에 설치된 제1자석(250)의 상부에는 케이스(210)의 상면에 설치된 제3자석(270)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어 상측으로 튕겨져 올라오는 제1자석(250)과 다시 척력이 작용될 것이므로 상기 진동판(240)은 상기 제2,3자석(260,270) 사이에서 보다 우수한 진동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210)를 살펴보면, 제3자석(270)이 구비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자석(250)과 척력이 작용되면 그 부분이 떨리게 되므로 진동판(240)의 진동뿐만 아니라 케이스(210) 자체의 진동도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보행자가 다음 보행을 하기 위해서 발을 들게 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210)에 더 이상 외압이 작용되지 않으면 케이스(210) 자체의 복원력과 탄성부재(280)의 복원력으로 인해 최초 상태로 복원될 것이고, 이와 함께 가이드부재(230)의 제1,2레버(232,236)는 슬라이딩 결합되며, 이 슬라이딩으로 인해 제1레버(232) 상에 설치된 진동판(240)의 제1자석(250)과 제2레버(236)에 구비된 제2자석(260)은 서로 어긋나면서 더 이상 척력이 작용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진동 판(240)은 곧 진동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되면 진동판(240)은 지속적으로 케이스(210) 내부에서 진동을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케이스(210)가 형상이 변화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함은 물론이고 가이드부재(230)의 슬라이딩 작동으로 인해 자석의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되므로, 그 진동으로 인해 보행자는 흥미를 느껴 보다 즐거운 보행이 될 것이고, 진동시 자기장이 발생되는 등 자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전술하였던 케이스(210)가 변화될 수 있는 여러 형상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나"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다"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라"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케이스(210)는 외압에 의해 그 형태가 변화되었다가 복원되는 형상이면 만족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의 형상을 그 일예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10')는 그 상하면은 수평이나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210')의 양 측면 상하측에는 외압에 의해 압축될 때 그 압축되는 형상의 변화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212)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수단(220)이 구비되며, 외압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케이스(210')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10')에는 스토퍼(21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압에 의해 완전히 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원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10'')는 전술한 "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나 외벽이 형성된 이중격벽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210'')에 탄성력을 높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다"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10''')는 반구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반구형 형상의 케이스(210''') 하면에 전술한 진동수단(220)이 구비되어서 케이스(210''')의 형상 변화시 진동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라"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210'''')는 상면부재(a)와 상기 상면부재(a) 하측에 서로 교차된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b)로 이루어져 있음 을 알 수 있다. 이 지지부재(b) 하면에 전술한 진동수단(220)이 설치되고 외압을 받게 되면 양측으로 벌어지는 지지부재(b)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210)는 그 형상에 관계 없이 외압에 의해서 그 형상이 변화 즉, 압축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만족함을 인지하여야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나"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다"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라"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능성 건강신발 110 : 갑피부
120 : 밑창부 122 : 공간부
200 : 진동장치 210 : 케이스
212 : 스토퍼 220 : 진동수단
230 : 가이드부재 232 : 제1레버
234 : 돌기 235 : 결합축
236 : 제2레버 238 : 결합홈
240 : 진동판 250 : 제1자석
260 : 제2자석 270 : 제3자석
280 : 탄성부재

Claims (8)

  1.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는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고 그 형상의 변화시 복원력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변화되는 형상에 연동되어 자석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형상의 변화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케이스의 형상의 변화시 상기 제1자석의 일면과 척력이 발생하고 상기 케이스의 복원 시 척력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제2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에 의해 슬라이딩작동되도록 결합된 제1레버와 제2레버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에 결합되어서 슬라이딩 작동되며,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상기 진동판이 결합되지 않은 레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에는 상기 제1자석의 타면과 척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3자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 설치되어서 상기 케이스의 형상 변화와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
  6.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형상 변화 시 그 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40170A 2009-05-08 2009-05-08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12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70A KR101121540B1 (ko) 2009-05-08 2009-05-08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PCT/KR2010/002914 WO2010128822A2 (ko) 2009-05-08 2010-05-07 외압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및 그것을 설치한 신발
JP2012508409A JP2012525196A (ja) 2009-05-08 2010-05-07 外圧を利用した磁石振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靴
EP10772282A EP2428198A4 (en) 2009-05-08 2010-05-07 MAGNETIC VIBRATION APPARATUS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ABOT HAVING THE APPARATUS INSTALLED INSIDE
CN2010800184594A CN102413805A (zh) 2009-05-08 2010-05-07 利用外压的磁石震动装置及安装该震动装置的鞋
US13/279,582 US20120030970A1 (en) 2009-05-08 2011-10-24 Magnet vibration device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ho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70A KR101121540B1 (ko) 2009-05-08 2009-05-08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150A KR20100121150A (ko) 2010-11-17
KR101121540B1 true KR101121540B1 (ko) 2012-03-06

Family

ID=4340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170A KR101121540B1 (ko) 2009-05-08 2009-05-08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5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4B1 (ko)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충격흡수 건강신발
KR101983723B1 (ko) 2019-03-21 2019-05-29 이청근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98706B1 (ko) 2019-03-26 2019-07-10 이청근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KR20200109214A (ko) 2019-03-12 2020-09-22 김도경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강신발
WO2021085907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슈올즈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102557301B1 (ko) 2022-12-26 2023-07-26 주식회사 슈올즈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022B1 (ko) * 2012-08-13 2013-02-07 하상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KR101673968B1 (ko) 2016-01-18 2016-11-08 도재은 내부구조가 개선된 신발
KR102012124B1 (ko) * 2018-02-27 2019-08-19 조재훈 기능성 신발
KR102543022B1 (ko) * 2021-07-01 2023-06-13 조영찬 혈류 개선 진동장치
KR102606612B1 (ko) * 2021-12-22 2023-11-24 남희도 기능성 건강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304A (ja) 2000-01-07 2001-07-17 Toshio Hirose クッション付の靴
KR200396036Y1 (ko) * 2005-04-29 2005-09-20 민화선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충격 흡수 구조 및 이 구조가 장착된신발
KR200421712Y1 (ko) 2006-04-21 2006-07-14 윤성철 보행 시 발뒤꿈치 자동 자극 신발
KR100894880B1 (ko) * 2007-05-09 2009-04-30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304A (ja) 2000-01-07 2001-07-17 Toshio Hirose クッション付の靴
KR200396036Y1 (ko) * 2005-04-29 2005-09-20 민화선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충격 흡수 구조 및 이 구조가 장착된신발
KR200421712Y1 (ko) 2006-04-21 2006-07-14 윤성철 보행 시 발뒤꿈치 자동 자극 신발
KR100894880B1 (ko) * 2007-05-09 2009-04-30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기능성 신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4B1 (ko)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충격흡수 건강신발
KR20200109214A (ko) 2019-03-12 2020-09-22 김도경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강신발
KR101983723B1 (ko) 2019-03-21 2019-05-29 이청근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98706B1 (ko) 2019-03-26 2019-07-10 이청근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WO2021085907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슈올즈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102557301B1 (ko) 2022-12-26 2023-07-26 주식회사 슈올즈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150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540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0941369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158760B1 (ko)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101073499B1 (ko)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KR100894880B1 (ko) 기능성 신발
WO2016208061A1 (ja) 前足部が分割された靴底を有する靴
KR102149055B1 (ko) 신발에 내장되는 진동발생장치
US20120030970A1 (en) Magnet vibration device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hoe having the same
JP2020044267A (ja) ソール構造
KR101654247B1 (ko)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KR102037241B1 (ko) 지지대에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상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420049B1 (ko) 충격 흡수 및 반발 탄성을 갖는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3704B1 (ko) 진동발생장치
US11751627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JP6048831B2 (ja) 靴の中敷き
JP3213495U (ja)
KR100870190B1 (ko)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3단계 지압효과를 발휘하는신발바닥창
KR102557301B1 (ko)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KR20190088860A (ko) 진동발생장치
KR102606612B1 (ko) 기능성 건강 신발
CN203851892U (zh) 一种耐磨超轻超软ems鞋底
CN110051074B (zh) 振动产生装置
KR102044631B1 (ko) 신발용 진동발생장치
KR200455359Y1 (ko) 족구화
CN203058526U (zh) 一种具有弹力及缓冲响应特征的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