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499B1 -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499B1
KR101073499B1 KR1020090040167A KR20090040167A KR101073499B1 KR 101073499 B1 KR101073499 B1 KR 101073499B1 KR 1020090040167 A KR1020090040167 A KR 1020090040167A KR 20090040167 A KR20090040167 A KR 20090040167A KR 101073499 B1 KR101073499 B1 KR 10107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gnet
lever
vibra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147A (ko
KR101073499B9 (ko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499B1/ko
Priority to PCT/KR2010/002914 priority patent/WO2010128822A2/ko
Priority to JP2012508409A priority patent/JP2012525196A/ja
Priority to EP10772282A priority patent/EP2428198A4/en
Priority to CN2010800184594A priority patent/CN102413805A/zh
Publication of KR2010012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499B1/ko
Priority to US13/279,582 priority patent/US20120030970A1/en
Publication of KR10107349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49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진동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력을 가지는 케이스 내부에 제1자석이 구비된 진동판이 구비되고, 제1자석과 척력 작용이 발생되는 제2 및 제3자석을 각각 설치해두어 상기 케이스가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면 진동이 발생되므로 진동에 의해 자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진동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케이스, 진동수단, 자석, 가이드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The magnet vibration system which uses a pressure}
본 발명은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력을 가지는 케이스 내부에 자석이 구비된 진동판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가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었을 때 발생하는 진동과 그 진동에 의해 자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진동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석 진동장치라 함은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으로, 기능성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허리띠용 버클이나 신발에서 그 일예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동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이고 다른 분야로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다른 분야로도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새로운 진동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과 그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진동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고 그 형상의 변화시 복원력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변화되는 형상에 연동되어 자석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석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작동되도록 결합된 제1레버와 제2레버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서 같이 슬라이딩 작동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상기 진동판이 결합되지 않은 레버에 결합되어서 상기 진동판의 슬라이딩 작동 시 상기 제1자석의 일면과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의 범위를 제한하는 별도의 스토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형상 변화 시 그 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타원형 단면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고정되고 슬라이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가 슬라이딩작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력을 가지는 케이스 내부에 제1자석이 구비된 진동판이 구비되고, 제1자석과 척력 작용이 발생되는 제2 및 제3자석을 각각 설치해두어 상기 케이스가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면 진동이 발생되므로 진동에 의해 자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진동을 이용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는 크게 케이스(100) 및 진동수단(200)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100)는 외압 즉 압력이 작용하면 압축되면서 그 형상이 변화되고 외압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유연하면서도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상, 하로 분리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스(100)의 외주연에는 견고하면서도 밀폐력이 우수하도록 최종적으로 코팅층(120)을 형성하여서 완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수단(200)의 하측에는 외압에 따른 케이스(100)의 형상 변화시 그 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재(110)가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단면상 타원형, 구형 및 반구형 형상 등의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타원형 형상이 가장 바람직한 형상이며 다른 형상들은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계속해서, 상기 진동수단(2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서 케이스(100)의 변화되는 형상에 연동되면서 발생되는 자석의 척력에 의해서 진동과 자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210), 진동판(220), 제1자석(230) 및 제2자석(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3자석(25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1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스(100)의 변화되는 형상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결합된 제1,2레버(212,216)로 이루어진다. 즉, 일측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돌기(213)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상기 진동판(22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축(214)이 구비된 제1레버(212) 및 상기 제1레버(212)의 돌기(213)에 결합되는 결합홈(218)이 형성된 일측이 상기 제1레버(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케이스(100)의 타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2레버(216)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이루어진 가이드부재(210)의 제1,2레버(212,216)는 후술하겠지만 케이스(100)의 내벽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0)가 형상이 변화 즉, 외압 에 의해 압축되면 압축된 만큼 슬라이딩 작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레버(212,216)는 그 슬라이딩 작동시 서로 분리되지 않아야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즉, 케이스(100)가 외압에 의해서 최대한 압축된 상태로 변화되더라도 제1,2레버(121,216)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끔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220)은 상기 제1,2레버(212,216) 중 어느 일측 레버의 상면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어서 같이 슬라이딩 작동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레버(212)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축(214)에 결합되는 것이며, 탄성력 있는 소재로 제작된다.
한편,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진동판(220)은 상기 제1,2레버(212,216) 대신에 케이스(100)의 벽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진동판(220)을 상기 제1레버(212)의 상부에 위치시키되 그 끝단을 제1레버(212)가 아닌 케이스(100)의 벽면에 직접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케이스(100)의 형상 변화와 연동되어 진동판(220)이 움직이게 될 것이고, 후술하는 제1자석(230)과 제2레버(216)에 구비된 제2자석(240)은 척력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230)은 상기 진동판(22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통상의 영구자석이다.
그리고, 상기 제2자석(240)은 상기 제1,2레버(212,216) 중 진동판(220)이 결합되지 않은 즉, 제2레버(216)에 결합되어서 제1레버(212)와 함께 진동판(220)이 슬라이딩될 때 제1자석(230)의 하면과 척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 또한 통상의 영구자석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자석(250)은 상기 제1자석(230)의 상면과 척력이 작용되어 진동판(220)이 케이스(100) 내에서 보다 원활한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면 중 제3자석(250)이 구비되는 면이 다른 면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제1자석(230)과의 척력 작용시 얇은 그 면의 떨리는 현상을 구현하여 진동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2,3자석(230,240,250)의 배치를 살펴보면, 제1자석(230)은 진동판(220)의 끝단 구비되고, 제2자석(240)은 진동판(220) 하면에 구비된 제2레버(216)에 구비되며, 제3자석(250)은 진동판(220) 상면에 위치되도록 케이스(1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된 제1자석(230)은 그 하면 및 상면에 각각 구비된 제2,3자석(240,250)과 척력이 작용되도록 하는데, 만약 제1자석(230)의 하면이 N극, 상면이 S극을 가지면, 제2자석(240)의 상면이 N극이 되어야 되고, 제3자석(250)의 하면이 S극이 되어야 됨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제,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진동장치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외압이 케이스(100)의 상면 혹은 하면으로 작용되면 케이스(100)는 압착되어 양측면으로 납작해지게 될 것이다. 그러면,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10) 즉, 제1,2레버(212,21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될 것이고, 곧 제1레버(212) 상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판(220)의 제1자석(230)과 제2레버(216)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2자석(240)은 근접해져 척력이 작용되며, 이 척력으로 인해 진동판(220)의 끝단은 상측으로 튕겨져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상측으로 튕겨져 올라간 진동판(220)은 자신의 탄성력으로 인해 진동을 발생하게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나 상기 진동판(220)에 설치된 제1자석(230)의 상부에는 케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된 제3자석(250)이 추가로 마련되어 있어 상측으로 튕겨져 올라오는 제1자석(230)과 다시 척력이 작용될 것이므로 상기 진동판(220)은 상기 제2,3자석(240,250) 사이에서 보다 우수한 진동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제3자석(250)이 구비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자석(230)과 척력이 작용되면 그 부분이 떨리게 되므로 진동판(220)의 진동뿐만 아니라 케이스(100) 자체의 진동도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상기 케이스(100)에 더 이상 외압이 작용되지 않으면 케이스(100)와 탄성부재(110)의 복원력으로 인해 케이스(100)는 최초 상태로 복원될 것이고, 이와 함께 가이드부재(210)의 제1,2레버(212,216)는 슬라이딩 결합되며, 이 슬라이딩으로 인해 제1레버(212) 상에 설치된 진동판(220)의 제1자석(230)과 제2레버(216)에 구비된 제2자석(240)은 서로 어긋나면서 더 이상 척력이 작용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진동판(220)은 곧 진동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되면 진동판(220)은 지속적으로 케이스(100) 내부에서 진동을 발생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의 진동장치를 손으로 파지한 후 악력기(악력계)처럼 사용하게 되면 손바닥에는 진동과 자력이 동시에 전달되므로 건강증진에 큰 보탬이 될 것이다.
결국, 외압에 의해 케이스(100)가 그 형상이 변화될 때 자석의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되므로, 그 진동으로 인해 자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될 경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진동을 이용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케이스(100) 내부에는 두 개의 진동수단(200)이 구비되어 다단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진동수단(200)을 대칭되게끔 각각 구비하여서 케이스(100)의 형상 변화시 상하면에서 각각 진동 및 자력이 발생되도록 한 것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진동수단(220,220')이 사용된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진동장치의 활용 분야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신발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건강보조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즉, 신발(300)의 밑창 뒤꿈치 부분에는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내장된다. 물론, 이 밑창의 뒤꿈치 부분에는 상기 진동장치가 내장될 공간부(310)를 형성하여 내장시키되 케이스(100)의 형상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은 확보하게 됨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렇게 신발의 밑창 뒤꿈치 부분에 진동장치를 내장하고 보행을 시작하게 되면 케이스(100)는 "나"와 같이 보행시 발생되는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될 것이고, 케이스(100)의 형상 변화에 따라 가이드부재(210)의 슬라이딩 작동과 함께 진동판(220)에 구비된 제1자석(230)은 제2 및 제3자석(240,250)과 척력이 작용되어 진동판(220)을 진동시키게 될 것이다.
그러면, 신발(300) 착용자는 진동판(220)의 진동을 느낄 수 있어 흥미가 배가 되므로 보다 즐겁고 경쾌한 보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진동판(220)에 구비된 제1자석(230)은 진동시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착용자의 발바닥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하여 건강증진에 보탬이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5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신발에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미도시 하였으나 복부압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벨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관절부분의 관절 운동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전달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밴드 같은데 사용되어 건강 보조용으로도 확대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심을 체크하는 산업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미도시 하였으나 수압에 의해 형상이 변화될 때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수심을 측정하는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진동장치는 그 자체만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나 각종 건강보조용은 물론이고 산업분야에서도 널리 이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전술하였던 케이스(100)가 변화될 수 있는 여러 형상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나"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다"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라"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외압에 의해 그 형태가 변화되었다가 복원되는 형상이면 모두 만족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의 형상을 그 일예로 도시 하였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는 그 상하면은 수평이나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양 측면 상하측에는 외압에 의해 압축될 때 그 압축되는 형상의 변화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130)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수단(200)이 구비되며, 외압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케이스(100')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에는 스토퍼(13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압에 의해 완전히 압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원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는 전술한 "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나 외벽이 형성된 이중격벽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에 탄성력을 높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다"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는 반구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반구형 형상의 케이스(100''') 하면에 전술한 진동수단(200)이 구비되어서 케이스(100)의 형상 변화시 진동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라"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는 상면부재(a)와 상기 상면부재(a) 하측에 서로 교차된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b)로 이루어져 있음 을 알 수 있다. 이 지지부재(b) 하면에 전술한 진동수단(200)이 설치되고 외압을 받게 되면 양측으로 벌어지는 가이드부재(210)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그 형상에 관계 없이 외압에 의해서 그 형상이 변화 즉, 압축될 수 있는 구조이면 만족함을 인지하여야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 단면도.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나"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다"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라"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탄성부재
120 : 코팅층 130 : 스토퍼
200 : 진동수단 210 : 가이드부재
212 : 제1레버 213 : 돌기
214 : 결합축 216 : 제2레버
218 : 결합홈 220 : 진동판
230 : 제1자석 240 : 제2자석
250 : 제3자석 300 : 신발
310 : 공간부

Claims (8)

  1. 외압에 의해 그 형상이 변화되고 그 형상의 변화시 복원력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변화되는 형상에 연동되어 자석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석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작동되도록 결합된 제1레버와 제2레버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어느 하나의 레버에 일측 끝단이 고정되어서 같이 슬라이딩 작동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1자석; 및,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중 상기 진동판이 결합되지 않은 레버에 결합되어서 상기 진동판의 슬라이딩 작동 시 상기 제1자석의 일면과 척력이 발생되는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형상변화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형상 변화 시 그 복원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진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벽에 고정되고 슬라이딩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케이스의 타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돌기가 결합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가 슬라이딩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진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40167A 2009-05-08 2009-05-08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KR10107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67A KR101073499B1 (ko) 2009-05-08 2009-05-08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PCT/KR2010/002914 WO2010128822A2 (ko) 2009-05-08 2010-05-07 외압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및 그것을 설치한 신발
JP2012508409A JP2012525196A (ja) 2009-05-08 2010-05-07 外圧を利用した磁石振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靴
EP10772282A EP2428198A4 (en) 2009-05-08 2010-05-07 MAGNETIC VIBRATION APPARATUS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ABOT HAVING THE APPARATUS INSTALLED INSIDE
CN2010800184594A CN102413805A (zh) 2009-05-08 2010-05-07 利用外压的磁石震动装置及安装该震动装置的鞋
US13/279,582 US20120030970A1 (en) 2009-05-08 2011-10-24 Magnet vibration device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ho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67A KR101073499B1 (ko) 2009-05-08 2009-05-08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147A KR20100121147A (ko) 2010-11-17
KR101073499B1 true KR101073499B1 (ko) 2011-10-17
KR101073499B9 KR101073499B9 (ko) 2024-01-16

Family

ID=4340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167A KR101073499B1 (ko) 2009-05-08 2009-05-08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4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215B1 (ko) 2018-05-02 2019-11-07 (주)동인그립 혈류개선, 항균, 탈취 및 미끄럼방지 기능이 우수한 건강신발
KR20190126671A (ko) 2018-05-02 2019-11-12 (주)동인그립 진동공명을 이용한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20190126732A (ko) 2019-05-02 2019-11-12 (주)동인그립 혈류개선, 항균, 탈취 및 미끄럼방지 기능이 우수한 건강신발
KR102128378B1 (ko) 2019-10-30 2020-06-30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20220168397A (ko) 2021-06-16 2022-12-23 강형석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
KR102537125B1 (ko) 2022-12-20 2023-05-26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섹션형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진동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74B1 (ko) 2016-07-12 2017-01-06 (주)프라미스 충격흡수 건강신발
KR102044631B1 (ko) * 2018-06-13 2019-11-13 이태성 신발용 진동발생장치
KR101978880B1 (ko)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037241B1 (ko) 2018-08-16 2019-11-26 (주)프라미스 지지대에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상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54Y1 (ko) 2004-03-19 2004-06-05 김세웅 진동신발
WO2007143974A1 (de) 2006-06-13 2007-12-21 Gilbert Doko Stoss- und schwingungsdämpf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54Y1 (ko) 2004-03-19 2004-06-05 김세웅 진동신발
WO2007143974A1 (de) 2006-06-13 2007-12-21 Gilbert Doko Stoss- und schwingungsdämpf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215B1 (ko) 2018-05-02 2019-11-07 (주)동인그립 혈류개선, 항균, 탈취 및 미끄럼방지 기능이 우수한 건강신발
KR20190126671A (ko) 2018-05-02 2019-11-12 (주)동인그립 진동공명을 이용한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20190126732A (ko) 2019-05-02 2019-11-12 (주)동인그립 혈류개선, 항균, 탈취 및 미끄럼방지 기능이 우수한 건강신발
KR102128378B1 (ko) 2019-10-30 2020-06-30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20220168397A (ko) 2021-06-16 2022-12-23 강형석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
KR102537125B1 (ko) 2022-12-20 2023-05-26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섹션형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진동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147A (ko) 2010-11-17
KR101073499B9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499B1 (ko)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KR101121540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0941369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JP2012525196A (ja) 外圧を利用した磁石振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靴
KR101158760B1 (ko)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102128378B1 (ko)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WO2012101625A3 (en) Massage shoes
KR102037241B1 (ko) 지지대에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상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JP2017503613A5 (ko)
DK2228048T3 (da) Plade, som man kan gå på, til fremmelse af levende væseners motorik, især den menneskelige motorik
JP2020202962A (ja) 足指マッサージ装置
CN204105002U (zh) 吸盘式健康鞋
KR102557563B1 (ko)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
US11058170B2 (en) Footwear
KR20100054410A (ko) 정강이 부위에 착용하는 수영오리발
JP2005278796A (ja) 健康履物の底および中敷
KR102537125B1 (ko) 자력을 이용한 섹션형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진동 모듈
CN110051074B (zh) 振动产生装置
JP2008086380A (ja) 浴槽装置
KR20150144015A (ko) 공압 인공 근육
CN109172268A (zh) 脚腕关节按摩器
CN204426886U (zh) 减震鞋垫
ATE364429T1 (de) Spielfigur, insbesondere funktionspuppe
KR102044631B1 (ko) 신발용 진동발생장치
KR20150057831A (ko) 무전원 자석 진동기 내장형 기능성 인솔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