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760B1 -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760B1
KR101158760B1 KR1020090124683A KR20090124683A KR101158760B1 KR 101158760 B1 KR101158760 B1 KR 101158760B1 KR 1020090124683 A KR1020090124683 A KR 1020090124683A KR 20090124683 A KR20090124683 A KR 20090124683A KR 101158760 B1 KR101158760 B1 KR 10115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iaphragm
vibration
pres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903A (ko
KR101158760B9 (ko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7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760B1/ko
Publication of KR10115876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76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가되는 충격과 흔들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자석의 상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상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하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하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3자석이 포함되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분이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3자석 사이에서 진동할 수 있는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케이스, 진동장치, 자석, 진동판, 척력

Description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Vibration system}
본 발명은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가되는 충격과 흔들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건강신발은 통상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갑피부와 상기 갑피부 하면에 구비되어서 발을 바닥으로부터 보호하는 밑창부로 구성된 신발에 기능성을 부과하여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되도록 한 것이다.
근래, 신발의 밑창부를 호 형상으로 구현하여 구름 운동 즉, 마사이 워킹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고 있고, 미끄럼방지나 충격완화를 위한 기능성 신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웰빙 시대에 맞춰 보다 다양한 기능성 신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 배터리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장치가 신발의 깔창 내부에 내장됨으로써 착용자가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진동기능의 신발은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환할 필요가 있고, 전기장치의 잦은 고장으로 그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행 등 인체의 동작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동작하고, 고장의 염려가 거의 없으며 간단한 구조의 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이 고정된 상태인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부착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자석의 상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상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하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하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3자석이 포함되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분이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3자석 사이에서 충격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내부에 작동실을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작동실 내에서 상기 케이싱에 일부가 고정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자석의 상측에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상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하측에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하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3자석이 포함되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분이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3자석 사이에서 충격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진동판은 상기 작동실 내에서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실의 공간 중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판은 길이가 서로 다른 진동판이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3자석 사이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장치의 진동판은 인체의 동작 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흔들림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자석의 척력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신발에 구비되는 경우, 착용자는 그 진동으로 인해 걷기나 달리기 동작에 흥미를 느끼게 되므로 보다 즐거운 운동이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안마기 등에 구비되더라도, 인체의 동작에 의한 충격시 진동이 발생하므로 그 동작에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진동이 인체에 전달됨으로써 안마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장치에 구비된 자석의 흔들림으로 인해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고 진동이 인체에 전달됨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는 진동을 위하여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원이 불필요하고 고장의 염려가 거의 없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진동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도시하고 있고, 도10은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구비된 안마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밑창부의 제조 공정을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의 사용 상태에 의한 작동을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100)은 크게 갑피부(110), 밑창부(120) 및 진동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갑피부(110)는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것이고, 밑창부(120)는 착용자의 발을 바닥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는, 통상의 신발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밑창부(120) 바람직하게는 밑창부(120)의 뒷부분에는 진동장치(200)의 작동을 위한 진동공간부(122)가 마련된다. 물론, 상기 진동공간부(122)는 뒷부분 뿐만 아니라 앞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장치(200)는 상기 밑창부(120)에 형성된 진동공간부(122)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장치(200)는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진동을 유도한 뒤 보행의 흥미를 유발하고, 진동과 자석의 자기장이 발바닥에 전달되어 혈류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200)는 크게 진동판(220), 제1자석(230) 및 척력자석(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판(220)은 상기 진동공간부(122)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진동이 신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동판(220)의 타단은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동공간부(122) 내에서 공간 중에 떠 있는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진동 작용이 용이하도록 탄성력 있는 소재로 얇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230)은 상기 진동판(220)의 타단 끝단부 즉, 고정되어 있지 않은 끝단부에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진동판(220)의 진동을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제1자석(230)의 부착으로 진동판(220)은 그 끝단에 무게가 실리게 되므로 작은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반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자석(230)은 상면이 S극, 하면이 N극을 가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물론, 그와 같은 배치는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척력자석(240)은 상기 진동공간부(122)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자석(230)의 상하면과 각각 척력 작용을 함과 동시에 자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척력자석(240)은 제1자석의 상측인, 상기 진동공간부(122) 상면에 고정되는 제2자석(242)과, 제1자석의 하측인 상기 진동공간부(122)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3자석(244)을 포함한다. 상기 제2자석(242) 및 제3자석(244)은 제1자석(230)과 거의 동일 수직선상 혹은 진동판(220)의 진동시 그 끝단이 움직이는 원주 방향의 동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자석(242)은 상기 제1자석(230)의 상면과 척력을 발생하기 위 해 그 하면이 S극, 상면이 N극이 되도록 위치되며, 제3자석(244)은 이와 반대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1자석(230)의 극 위치에 따라 서로 변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렇게 구성된 진동장치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즉, 밑창부(120)를 제1밑창부(120a) 및 제2밑창부(120b)로 구획하여 제작하되 상기 제1,2밑창부(120a,120b)의 뒷부분에 진동공간부(122)가 될 홈(122a,122b)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진동판(220)의 일단을 제2밑창부(120b)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제1자석(230)이 구비된 타단을 홈(122b) 즉, 진동공간부(122)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밑창부(120b)에는 상기 진동판(220)의 일단이 안치될 안치홈(c)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동판(220)은 일단 끝부분만 상기 안치홈(c)에 안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밑창부(120a)에 형성된 홈(122a) 즉, 진동공간부(122)의 상면에는 척력자석(240)의 제2자석(242)을 부착한다. 또한, 제2밑창부(120b)에 형성된 홈(122b) 즉, 진동공간부(122)의 하면에는 제3자석(244)을 부착한다. 이후, 제1밑창부(120a)의 하면과 제2밑창부(120b)의 상면을 접합하여서 진동장치(200)의 설치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3자석(242,244)을 부착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자석(230)과 척력이 발생되도록 그 위치를 미리 셋팅하여 부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진동판의 일단 즉, 제2밑창부의 안치홈(c)에 안치되는 끝단부를 미도시 하였으나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안치홈(c) 또한 평면상 "T"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2밑창부 사이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할 수 있 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100)을 보행자가 착용한 뒤 보행을 시작하게 되면 밑창부(120)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진동장치(200)는 보행동작시 발생되는 충격과 흔들림을 받게 된다. 그러면, 이 보행동작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진동판(220)에서 제1자석이 고정된 부분, 즉 그 끝단부는 제1자석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미약한 진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판(220)의 끝단부에는 제1자석(230)이 부착되어 있어 그 무게로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도 쉽게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보행동작시 발생되는 발의 운동이 진동판(220)의 진동을 유도하게 되고, 진동판(220)의 끝단에 구비된 제1자석(230)은 진동공간부(122)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제2자석(242) 및 제3자석(244)과 척력이 작용되어 진동판(220)을 크게 진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진동판(220)의 흔들림으로 그 끝단에 구비된 제1자석(230)이 하향되면 하면에 구비된 제3자석(244)과 척력이 발생되어 상측으로 튕겨져 올라간다. 그 후 제1자석(230)이 다시 상측에 구비된 제2자석(242)과 척력이 발생되어 다시 하측으로 튕겨져 내려오게 된다. 그와 같은, 척력 작용에 의해 진동판(220) 중 제1자석(230)이 고정된 부분은 진동공간부(122) 내에서 진동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작용되면 착용자는 진동판(220)의 진동을 느껴 보행시 흥미가 배가되어 즐거운 보행이 된다. 또한, 제1자석(230)과 제2자석(242)의 자기장과 진동 판(220)의 진동이 발바닥에 전달되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건강증진에 큰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진동장치(200)는 밑창부(120) 내부에 형성된 진동공간부(122) 내측에 직접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으나, 그와 다르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그러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중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은 갑피부(110), 상기 갑피부(110) 하면에 부착되는 밑창부(120), 상기 밑창부(120)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장치(200)는 케이싱(25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신발(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상기 진동장치(200)가 밑창부(120)에 형성된 진동공간부(122)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250)에 의해 보호되어 밑창부(120)에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250)은 나사(256) 등을 매개로 분리 결합 가능한 상/하부케이스(252,254)로 구성되며, 두 케이스(252,254)의 결합시 그 내부에 상기 진동 판(220)이 설치되어 작동되는 작동실(255)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250)은 합성수지 혹은 탄성체 등의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50)은 도시한 밑창부(120)는 물론이고 미도시 하였지만 갑피부(11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250)은 보행시 그 흔들림이나 충격을 받을 수 있는 곳이면 신발의 어느 곳에 설치되던 상관없다.
그러한, 케이싱(250)을 구비한 진동장치(2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자석(230)과 상기 제1자석(23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2자석(242) 및 제3자석(244)은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4와 큰 차이가 없으므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진동판(220)의 일단은 상/하부케이스(252,254)의 결합면에 위치되어 같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실(255) 내부의 공간 중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220)의 타단 즉, 작동실(255) 내부의 공간 중에 위치되는 끝단에는 제1자석(2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자석은 케이싱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3자석은 케이싱의 하부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케이스(252)에는 제1자석(230)의 상면과 척력이 발생될 제2자석(242)이 매입되고, 하부케이스(254)에는 제1자석(230)의 하면과 척력이 발생될 제3자석(244)이 각각 매입되어 있다.
이렇게 진동장치(200)를 케이싱(250) 내부에 설치하게 되면 밑창부(120) 성형시 그 내부에 매설하게 되므로써 진동기능이 구비된 신발을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전술한 일실시예의 경우보다 밑창부의 내구성을 더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00')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00)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100')을 신고 보행을 시작하게 되면 보행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과 흔들림을 매개로 케이싱(250)의 작동실(255) 내에 구비된 진동판(220)이 미약하게 진동을 시작한다. 이후, 곧 제1자석(230)과 그 상하면에 각각 구비된 제2,3자석(242,244)의 척력 발생으로 진동과 자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220)은 무리 없이 작동하면서 진동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보다 큰 진동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진동판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밑창부의 평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밑창부(120)의 진동공간부(122) 내에 복수의 진동판(220,220′,220″)이 구비되어 있다. 즉, 가운데 구비된 진동판(220) 양 측으로 다른 진동판(220′,220″)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진동판(220)의 자유로운 끝단에는 제1자석(230)을 각각 구비하고, 미도시 하였으나 진동공간부(122) 상하측에는 척력자석(240)을 각각 설치하게 된다.
그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신발의 착용자가 보행을 하게 되면 세 개의 진동판(220,220′,220″)이 진동하므로 착용자는 보다 큰 진동을 느낄 수 있다. 결국, 상기 진동판(220)은 하나 이상 필요에 따라 여러 개 설치하여 진동작용을 구현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9에서 도시하는 진동장치(200″)도 복수의 진동판을 구비하고 있으나, 진동판(200a, 200b)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고 있다. 그에 따라, 동일한 충격에 대하여도 각 진동판(200a, 200b)의 진동수가 달라지도록 구성하였다. 도9에서는 좌측의 진동판(220a)을 우측의 진동판(220b)보다 길게 형성하였고, 각 진동판(220a, 220b)의 상하측에 각각 제2자석(242a,242b)과 제3자석(244a,244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진동장치(200″) 내에서 각 진동판마다 진동수(주파수)를 달리함으로써 신발의 착용자가 느끼는 진동감이 모두 동일한 길이의 진동판으로 구성된 경우와는 달라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진동감을 가지는 신발이 설계될 수 있으므로 신발의 착용자가 다양한 진동감을 경험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진동장치(200)가 안마기구(300)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200)가 안마기구(300)의 타격부(310)에 매설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진동장치(200)는 상기 타격부(310)의 제조시 매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마기구(300)의 사용시 사용자는 파지부(320)를 손으로 잡고 타격부(310)가 인체부위에 충격을 가하도록 두드리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경우, 상기 타격부(310)에 매입되어 있는 진동장치(200)가 타격 시의 충격을 받아 진동하게 되고, 상기 진동이 파지부(320)을 파지한 손 및 타격되는 인체부위에 전달됨으로써 안마동작에 흥미를 느낄 수 있으며, 안마효과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안마기구(300)에 매입되는 진동장치(200)도 상술한 신발에 매입되는 진동장치(200,220′,200″)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신발과 안마기구에 설치된 진동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인체의 동작이 수반되는 다양한 물품에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밑창부의 제조 공정을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용 상태에 의한 작동을 보인 개략적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신발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밑창부의 평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진동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진동장치가 안마기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 신발 110 : 갑피부
120 : 밑창부 122 : 진동공간부
200,200′,200″ : 진동장치 220,220a,220b : 진동판
230 : 제1자석 240 : 척력자석
242,242a,242b : 제2자석 244,244a,244b : 제3자석
250 : 케이싱 252 : 상부케이스
254 : 하부케이스 255 : 작동실
256 : 나사 300 : 안마기구
310 : 타격부 320 : 파지부

Claims (6)

  1. 일단이 고정된 상태인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부착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자석의 상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상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하측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하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3자석이 포함되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분이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3자석 사이에서 충격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2. 내부에 작동실을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작동실 내에서 상기 케이싱에 일부가 고정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자석의 상측에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상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하측에서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어 상기 제1자석의 하면과 척력 작용을 하는 제3자석이 포함되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진동판의 상기 제1자석이 부착된 부분이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3자석 사이에서 충격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작동실 내에서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실의 공간 중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길이가 서로 다른 진동판이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이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3자석 사이에서 진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90124683A 2009-12-15 2009-12-15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10115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83A KR101158760B1 (ko) 2009-12-15 2009-12-15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83A KR101158760B1 (ko) 2009-12-15 2009-12-15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03A KR20110067903A (ko) 2011-06-22
KR101158760B1 true KR101158760B1 (ko) 2012-06-22
KR101158760B9 KR101158760B9 (ko) 2024-01-16

Family

ID=4440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683A KR101158760B1 (ko) 2009-12-15 2009-12-15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7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41A (ko) 2014-04-24 2015-11-03 (주) 인슈텍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WO2019235678A1 (ko) * 2018-06-05 2019-12-12 Jo Jae Hun 진동발생 및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미드솔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210103139A (ko) * 2020-02-13 2021-08-23 권상덕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210108573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신경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398587B1 (ko) 2020-12-21 2022-05-16 김상구 진동수단 및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신발용 중창
KR20220141709A (ko)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프리락 글로벌 진동 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32B1 (ko) * 2017-01-10 2018-06-18 이민호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무동력 청음진동자
US11751627B2 (en) 2018-01-19 2023-09-12 Jae Hoon Cho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BR102019000847A2 (pt) * 2018-01-19 2019-08-06 Jaehoon Cho Dispositivo de criação de vibração
WO2019160170A1 (ko) * 2018-02-13 2019-08-22 박문환 이중 구조의 신발창
KR102012124B1 (ko) * 2018-02-27 2019-08-19 조재훈 기능성 신발
KR102037241B1 (ko) * 2018-08-16 2019-11-26 (주)프라미스 지지대에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상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365625B1 (ko) * 2020-07-30 2022-02-22 주식회사 왓위케어 모션 변화 측정 및 관리 장치
KR102336339B1 (ko) * 2021-10-29 2021-12-06 김원강 진동기능을 갖는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72Y1 (ko) 1999-08-28 2000-02-15 정규성 안마용 슬리퍼
KR20010077535A (ko) * 2000-02-03 2001-08-20 차우-양 쳉 자력을 이용한 완충진동흡수장치
KR20070053911A (ko) * 2005-11-22 2007-05-28 양승관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진동신발
KR20080099516A (ko) * 2007-05-09 2008-11-13 김상구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372Y1 (ko) 1999-08-28 2000-02-15 정규성 안마용 슬리퍼
KR20010077535A (ko) * 2000-02-03 2001-08-20 차우-양 쳉 자력을 이용한 완충진동흡수장치
KR20070053911A (ko) * 2005-11-22 2007-05-28 양승관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진동신발
KR20080099516A (ko) * 2007-05-09 2008-11-13 김상구 기능성 신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041A (ko) 2014-04-24 2015-11-03 (주) 인슈텍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WO2019235678A1 (ko) * 2018-06-05 2019-12-12 Jo Jae Hun 진동발생 및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미드솔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210103139A (ko) * 2020-02-13 2021-08-23 권상덕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KR102295980B1 (ko) 2020-02-13 2021-08-30 권상덕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210108573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신경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398587B1 (ko) 2020-12-21 2022-05-16 김상구 진동수단 및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신발용 중창
KR20220141709A (ko)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프리락 글로벌 진동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03A (ko) 2011-06-22
KR101158760B9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760B1 (ko)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100941369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0894880B1 (ko) 기능성 신발
KR101121540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654247B1 (ko)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US20120030970A1 (en) Magnet vibration device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hoe having the same
KR20210014550A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 이를 구비한 건강신발, 깔창 및 안마기
KR102037241B1 (ko) 지지대에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상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983723B1 (ko)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03704B1 (ko) 진동발생장치
US11751627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KR20190088860A (ko) 진동발생장치
KR102044631B1 (ko) 신발용 진동발생장치
KR101300896B1 (ko) 성장판 자극 신발
CN110051074B (zh) 振动产生装置
KR102458235B1 (ko) 진동 발생 기능을 갖는 신발
KR102606612B1 (ko) 기능성 건강 신발
KR102557301B1 (ko)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KR102480776B1 (ko) 진동겸 에어펌핑용 신발
KR200407485Y1 (ko) 손가락 자극기
JP2011087717A (ja) 靴底及び靴
KR20150057831A (ko) 무전원 자석 진동기 내장형 기능성 인솔 및 그 제조방법
KR200226066Y1 (ko) 슬리퍼
KR101541078B1 (ko) 충격 흡수가 가능한 건강 기능성 구두
KR101421158B1 (ko) 다수의 스프링이 구비된 의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8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