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573A -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573A
KR20210108573A KR1020200023324A KR20200023324A KR20210108573A KR 20210108573 A KR20210108573 A KR 20210108573A KR 1020200023324 A KR1020200023324 A KR 1020200023324A KR 20200023324 A KR20200023324 A KR 20200023324A KR 20210108573 A KR20210108573 A KR 20210108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pring
cap
fixed magnet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116B1 (ko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20002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05Magnetic circuits with PM in general
    • H01F7/0221Mounting means for PM, supporting, coating, encapsulating P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42Magnetic drives, magne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력 및 복원력의 중첩 작용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캡부, 제1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1 고정자석, 제1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제1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1 모듈부, 제1 캡부와 탈부착 결합되는 제2 캡부, 제2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2 고정자석, 제2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제2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2 모듈부, 제1 스프링에 의해 일면이 지지되고, 제2 스프링에 의해 타면이 지지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상하로 탄성 이동하는 유동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력 및 복원력의 중첩 작용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제1,2 선행문헌에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자석 간의 충돌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진동이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3 선행문헌에는 자석의 척력과 스프링의 탄성 이동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스프링의 배치 형상에 따라 상하 진동 뿐만아니라 좌우 진동까지 생성되어 진동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어느 한 방향으로의 진동 크기를 크게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제1 선행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158760(발명의 명칭 :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제2 선행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978880(발명의 명칭 :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제3 선행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486537(발명의 명칭 : 발바닥 진동과 경혈자극을 위한 기능성 건강신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유동자석이 반대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 척력과 스프링의 복원력이 중첩 작용되게 함으로써 진동을 크게 발생시키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캡부, 제1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1 고정자석, 제1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제1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1 모듈부, 제1 캡부와 탈부착 결합되는 제2 캡부, 제2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2 고정자석, 제2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제2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2 모듈부, 제1 스프링에 의해 일면이 지지되고, 제2 스프링에 의해 타면이 지지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상하로 탄성 이동하는 유동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부와 제2 모듈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유동자석이 자중으로 상하 탄성 이동시에 제1,2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의 스프링은 복원력이 생성되고 다른 하나의 스프링은 복원력에 따라 압축되어 서로 중첩 작용됨으로써 중첩 작용하지 않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동이 발생된다.
또한, 유동자석이 제1 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 제1 고정자석과 유동자석 간에 서로 제1 척력이 발생되어 유동자석을 제2 방향으로 복원시키며, 유동자석이 제2 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 제2 고정자석과 유동자석 간에 서로 제2 척력이 발생되어 유동자석을 제1 방향으로 복원시킨다.
또한, 제1 고정자석은 제1 캡부의 내측 중심영역에 배치되고, 제2 고정자석은 제2 캡부의 내측 중심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제1,2 고정자석은 가상의 동일선 상에 배치되며, 제1 스프링은 제1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제1 캡부의 내측 주심영역에 배치되고, 제2 스프링은 제2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제2 캡부의 내측 주심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제1,2 스프링은 가상의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캡부의 내측에는 제1 고정자석이 안착되는 제1 고정자석 안착홈, 제1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1 스프링 안착홈을 더 포함하며,
제2 캡부의 내측에는 제2 고정자석이 안착되는 제2 고정자석 안착홈, 제2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2 스프링 안착홈을 더 포함하며,
제1 고정자석 안착홈의 지름보다 제1 스프링 안착홈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더 크며, 제2 고정자석 안착홈의 지름보다 제2 스프링 안착홈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
또한, 제1,2 스프링은 유동자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지름이 작아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캡부와 제2 캡부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1,2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부는 제1 캡부에 마련되며, 제1 캡부의 내측 둘레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단턱이 형성된 복수의 단턱 결합부, 복수의 단턱 결합부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며,
제2 결합부는 제2 캡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단턱 결합부에 각각 마련된 단턱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 돌출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된 홈 결합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자석이 반대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 척력과 스프링의 복원력이 중첩 작용되게 함으로써 진동을 크게 발생시키고 또한 유동자석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진동 모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자석이 제1 캡부를 기준으로 제1,2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진동 모듈부의 구성을 나태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자석이 제2 캡부를 기준으로 제1,2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캡부(100), 유동자석(200), 및 제2 캡부(300)를 포함한다. 다만, 육각형의 형상은 4각형 또는 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형상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진동 발생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형상 및 후술하는 내부구성이 상하좌우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10)는 선행기술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발의 밑창 또는 미드솔에 삽입되어 사람이 걷는 경우 외력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발생 장치(10)가 좌우대칭이기 때문에 상하 방향이 반대되도록 신발에 삽입시켜도 동일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캡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육각형 형상으로서 도 6에 도시된 제2 캡부(300)도 제1 캡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캡부(100) 및 제2 캡부(300)는 서로 대응 및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캡부(100)의 내측은 전체적으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제1 고정자석(111)과 제1 스프링(121)이 안착된다.
제1 고정자석(111)은 제1 캡부(100)의 내측 영역의 중심영역에 마련된 제1 고정자석 안착홈(112)에 고정 안착된다. 따라서 제1 고정자석(111)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제1 스프링(121)은 제1 캡부(100)의 내측 영역의 중심영역에 마련된 제1 스프링 안착홈(122)에 안착된다. 제1 스프링(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제1 고정자석(111)이 포함되도록 제1 고정자석(111)을 감싸면서 제1 스프링 안착홈(122)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자석 안착홈(112)의 지름은 제1 스프링 안착홈(122)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제1 고정자석(111)과 제1 스프링(121)은 제1 캡부(100)의 내측 중심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상술한 제1 캡부(100), 제1 고정자석(111), 제1 스프링(121)은 제1 진동 모듈부로 통칭할 수 있으며, 제2 캡부(300), 제2 고정자석(311), 제2 스프링(321)은 제2 진동 모듈부로 통칭할 수 있다. 다만, 제1,2 진동 모듈부에 언급하지 않은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부와 제2 진동 모듈부가 서로 대칭구조이기 때문에 제1 캡부(100)에 구비되는 제1 고정자석(111)은 제2 캡부(300)에 구비되는 제2 고정자석(311)과 가상의 동일선 상에 배치되며, 제1 캡부(100)에 구비되는 제1 스프링(121)과 제2 캡부(300)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321)은 가상의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유동자석(200)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121)과 제2 스프링(321)에 각각 지지된다. 제1 스프링(121)은 유동자석(200)의 제1 면을 지지하고, 제2 스프링(321)은 제1 면과 반대면의 제2 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유동자석(200)은 제1,2 스프링(121,321)에 의해 지지되어 외력이 없는 경우 제1 캡부(100)와 제2 캡부(300)의 대략 중앙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외력이 가해지면 유동자석(200)의 자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한다.
한편, 제1 스프링(1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자석(20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점차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 배치되며, 제2 스프링(3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자석(200)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점차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 배치된다. 따라서 지름이 넓은 밑면 스프링(121,321)은 각각 안착홈(122,322)에 각각 안착되고, 지름이 가장 좁은 윗면 스프링(121,321)은 유동자석(200)의 일면을 각각 지지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캡부(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육각형 형상으로서 제1 캡부(100)와 동일한 형상이다. 제2 캡부(300)의 내측은 전체적으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제2 고정자석(311)과 제2 스프링(321)이 안착된다.
제2 고정자석(311)은 제2 캡부(300)의 내측 영역의 중심영역에 마련된 제2 고정자석 안착홈(312)에 고정 안착된다. 따라서 제2 고정자석(311)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제2 스프링(321)은 제2 캡부(300)의 내측 영역의 중심영역에 마련된 제2 스프링 안착홈(322)에 안착된다. 제2 스프링(3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제2 고정자석(311)이 포함되도록 제2 고정자석(311)을 감싸면서 제2 스프링 안착홈(322)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자석 안착홈(312)의 지름은 제2 스프링 안착홈(322)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제2 고정자석(311)과 제2 스프링(321)은 제2 캡부(300)의 내측 중심영역에 배치된다.
제1 캡부(100)와 제2 캡부(300)는 서로 탈부착 결합될 수 있다. 제1 캡부(100)의 제1 결합부와 제2 캡부(300)의 제2 결합부는 서로 대응 결합되도록 형성 배치된다. 제1 결합부는 단턱 결합부(130)와 돌출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제2 결합부는 걸림 결합부(330)와 홈 결합부(340)를 포함한다.
단턱 결합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부(300)의 내측 둘레면에 제1,2,3 단턱 결합부(131,132,133)를 형성하며, 각각 대략 120도 떨어져 형성된다. 제1 단턱 결합부(131)는 길이방향으로 단 턱이 형성되어 있다. 단 턱은 1단 또는 2단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제1 걸림 결합부(331)가 제1 단턱 결합부(131)와 서로 탈부착 결합된다. 제2,3 단턱 결합부(132,133)는 상술한 제1 단턱 결합부(131)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돌출 결합부(140)는 제1 단턱 결합부(131)와 제3 단턱 결합부(133)의 사이 공간의 제1 캡부(100)의 둘레면에 형성 배치된다. 돌출 결합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1,2 돌출 결합부(141,142)를 포함한다. 각 돌출부는 도 6에 도시된 제1,2 홈 결합부(341,342)의 대응되는 홈에 각각 탈부착 결합한다.
걸림 결합부(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걸림 결합부(331,332,333)를 포함한다. 제1 걸림 결합부(331)는 제2 캡부(300)의 내측면에서 상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첨단부가 외부를 향하여 꺾여진 꺽임부를 포함한다. 꺽임부가 상술한 단턱 결합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양 캡부를 결합시킨다. 제2,3 걸림 결합부(332,333)는 상술한 제1 걸림 결합부(331)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진동 발생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유동자석(200)이 움직이지 않고 제1,2 캡부(100,300)의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이때, 외력이 발생하면 유동자석(200)은 일예로서 하측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유동자석(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스프링(121,321)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스프링(121)의 제1 복원력에 의해 유동자석(200)을 하측방향으로 밀고, 이와 동시에 제2 스프링(321)은 압축되어 서로 중첩 작용된다. 유동자석(200)이 제1 스프링(121)의 제1 복원력 및 자중에 의해 최대한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때에는 유동자석(200)의 일면과 제2 고정자석(311) 간에 제2 척력이 발생되어 다시 유동자석(200)을 상측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때, 제2 스프링(321)의 제2 복원력이 발생되며, 제2 스프링(321)의 제2 복원력과 제2 척력에 의해 유동자석(200)이 상측방향으로 탄성 이동한다.
한편, 유동자석(200)이 제2 스프링(321)의 제2 복원력 및 제2 척력에 의해 최대한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때에는 유동자석(200)의 일면과 제1 고정자석(111) 간에 제1 척력이 발생되어 다시 유동자석(200)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제1 스프링(321)의 제1 복원력이 발생되며, 제1 스프링(321)의 제1 복원력과 제1 척력 및 자중에 의해 유동자석(200)이 하측방향으로 탄성 이동한다.
따라서, 유동자석(200)이 하측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는 제1 척력, 제1 스프링(121)의 제1 복원력 및 유동자석의 자중에 의해 탄성 이동되고, 유동자석(200)이 상측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는 제2 척력, 제2 스프링(321)의 제2 복원력에 의해 탄성 이동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명하였을 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진동 발생 장치
100 : 제1 캡부
111 : 제1 고정자석
112 : 제1 고정자석 안착홈
121 : 제1 스프링
122 : 제1 스프링 안착홈
130 : 단턱 결합부
131 : 제1 단턱 결합부
132 : 제2 단턱 결합부
133 : 제3 단턱 결합부
140 : 돌출 결합부
141 : 제1 돌출 결합부
142 : 제2 돌출 결합부
200 : 유동자석
300 : 제2 캡부
311 : 제2 고정자석
312 : 제2 고정자석 안착홈
321 : 제2 스프링
322 : 제2 스프링 안착홈
330 : 걸림 결합부
331 : 제1 걸림 결합부
332 : 제2 걸림 결합부
333 : 제3 걸림 결합부
340 : 홈 결합부
341 : 제1 홈 결합부
342 : 제2 홈 결합부

Claims (8)

  1. 제1 캡부, 상기 제1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1 고정자석, 상기 제1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1 모듈부,
    상기 제1 캡부와 탈부착 결합되는 제2 캡부, 상기 제2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2 고정자석, 상기 제2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캡부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2 모듈부,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일면이 지지되고,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해 타면이 지지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상하로 탄성 이동하는 유동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부와 제2 모듈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유동자석이 자중으로 상하 탄성 이동시에 상기 제1,2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의 스프링은 복원력이 생성되고 다른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복원력에 따라 압축되어 서로 중첩 작용됨으로써 중첩 작용하지 않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자석이 제1 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 상기 제1 고정자석과 상기 유동자석 간에 서로 제1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유동자석을 제2 방향으로 복원시키며,
    상기 유동자석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 이동시에 상기 제2 고정자석과 상기 유동자석 간에 서로 제2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유동자석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자석은 상기 제1 캡부의 내측 중심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자석은 상기 제2 캡부의 내측 중심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2 고정자석은 가상의 동일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1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캡부의 내측 주심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상기 제2 고정자석을 감싸도록 상기 제2 캡부의 내측 주심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2 스프링은 가상의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고정자석이 안착되는 제1 고정자석 안착홈,
    상기 제1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1 스프링 안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캡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고정자석이 안착되는 제2 고정자석 안착홈,
    상기 제2 스프링이 안착되는 제2 스프링 안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자석 안착홈의 지름보다 상기 제1 스프링 안착홈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더 크며,
    상기 제2 고정자석 안착홈의 지름보다 상기 제2 스프링 안착홈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스프링은 상기 유동자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지름이 작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부와 상기 제2 캡부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제1,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캡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캡부의 내측 둘레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단턱이 형성된 복수의 단턱 결합부,
    상기 복수의 단턱 결합부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캡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단턱 결합부에 각각 마련된 단턱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 결합부,
    상기 돌출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홈이 형성된 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0200023324A 2020-02-26 2020-02-26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32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24A KR102323116B1 (ko) 2020-02-26 2020-02-26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24A KR102323116B1 (ko) 2020-02-26 2020-02-26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73A true KR20210108573A (ko) 2021-09-03
KR102323116B1 KR102323116B1 (ko) 2021-11-09

Family

ID=7778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24A KR102323116B1 (ko) 2020-02-26 2020-02-26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210A (ko) * 2021-12-22 2023-06-29 남희도 기능성 건강 신발
KR102624731B1 (ko) * 2022-09-14 2024-01-11 김정곤 충격완화 기능 및 혈류개선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60B1 (ko) 2009-12-15 2012-06-22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200486537Y1 (ko) 2017-09-19 2018-05-31 김선심 발바닥 진동과 경혈자극을 위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78880B1 (ko)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012124B1 (ko) * 2018-02-27 2019-08-19 조재훈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60B1 (ko) 2009-12-15 2012-06-22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200486537Y1 (ko) 2017-09-19 2018-05-31 김선심 발바닥 진동과 경혈자극을 위한 기능성 건강신발
KR102012124B1 (ko) * 2018-02-27 2019-08-19 조재훈 기능성 신발
KR101978880B1 (ko)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210A (ko) * 2021-12-22 2023-06-29 남희도 기능성 건강 신발
KR102624731B1 (ko) * 2022-09-14 2024-01-11 김정곤 충격완화 기능 및 혈류개선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116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116B1 (ko)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1783423B1 (ko) 편진동 방지 기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US8283834B2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ball bearings
KR20150053105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20160226358A1 (en) Linear vibration motor
JP7016357B2 (ja) 洗濯機のダンパー及び洗濯機
KR101601803B1 (ko) 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내진용 배전반
JP6064224B2 (ja) 免震部材
TWI419446B (zh) 磁性振動器
KR20150053106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6948184B2 (ja) 振動モータ
KR101654247B1 (ko)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JP6359382B2 (ja) 床振動制御装置
CN108200488B (zh) 用于音响器材的防振装置及具有防振装置的音响器材架
KR101440523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동적 흡진기
KR20220141709A (ko) 진동 발생 장치
RU2674431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ктивной части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тока
KR102024366B1 (ko) 자기력을 이용한 진동 저감 장치
KR101568307B1 (ko) 가구용 독립형 완충장치
CN103378704B (zh) 振动产生设备
KR20170012987A (ko) 제진용 마운트
JP2006348996A (ja) 衝撃ダンパー
JP2009243538A (ja) 制振装置
JP6190253B2 (ja) 振動発生装置
JP7274609B2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