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247B1 -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247B1
KR101654247B1 KR1020140049385A KR20140049385A KR101654247B1 KR 101654247 B1 KR101654247 B1 KR 101654247B1 KR 1020140049385 A KR1020140049385 A KR 1020140049385A KR 20140049385 A KR20140049385 A KR 20140049385A KR 101654247 B1 KR101654247 B1 KR 10165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magnet
pole
vibr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041A (ko
Inventor
김윤상
Original Assignee
(주) 인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슈텍 filed Critical (주) 인슈텍
Priority to KR102014004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24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진동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은 일단이 고정된 상태이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1 엔극과 제1 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Vibration Module and Shoes comprising Vibration Module}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배터리 등 외부 전력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 충격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안창부와 안창부 하면에 구비되어 발을 바닥으로부터 보호하는 밑창부로 구성된 신발에 기능성을 부과하여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되도록 한다.
최근, 신발의 밑창부를 호 형상으로 구현하여 구름 운동, 즉 마사이 워킹이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 신발이 제안되고 있고, 미끄럼 방지나 충격완화를 위한 기능성 신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배터리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듈이 신발의 안창부 내부에 내장되어 착용자가 진동을 느낄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도 1은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진동모듈을 포함하는 종래 기능성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능성 신발(10)에 구비되는 진동모듈(30)은 진동판(31), 제1 자석(32), 제2 자석(33) 및 제3 자석(34)을 포함한다. 제1 자석(32)은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진동판(31)이 흔들리게 되고, 진동판(31)의 끝에 부착된 제1 자석(32)은 제2 자석(33)과 제3 자석(34) 사이에서 진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진동모듈(30)은 제1 자석(32)이 제2 자석(33)과 제3 자석(34) 사이에서 진동하게 되어 제1 자석(32)이 제2 자석(33)과 제3 자석(34) 각각에 척력을 받게 되므로, 진동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진동모듈(30)은 제1 자석(32)이 제2 자석(33)과 제3 자석(34)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서 진동하게 되므로, 진동이 신발에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진동모듈(30)은 제1 자석(32)이 진동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제2 자석(32)과 제3 자석(34)의 두께만큼 진동모듈이 두꺼워지게 되므로, 진동모듈을 소형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진동판(32)의 진동은 진동판(32)이 고정된 위치의 하나에서만 전파되기 때문에 진동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8760호
본 출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동판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하여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의 발에 효과적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이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1 엔극과 제1 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제1자석과 이격되는 지점에 구비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진동판의 중립위치로부터 연장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엔극과 상기 제2 에스극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진동판과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의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진동판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자석과 척력이 작용하고, 상기 진동판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수렴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석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의 일단은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에 의해 진동을 외부로 전파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석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외부로 전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신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안창부, 상기 안창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1 엔극과 제1 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안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창부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안창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1 엔극과 제1 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의 타단은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에 의해 진동을 케이스로 전파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석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케이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은 제1 자석이 제2 자석의 극과 엇갈리게 구비됨에 따라, 외부 충격 에너지를 진동 에너지로 변환함에 있어서, 제1 자석과 제2 자석 사이의 인력과 척력의 변화에 따른 진동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진동 모듈의 자석을 하나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진동 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자석이 진동판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제1 자석과 제2 자석 사이의 인력과 척력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은 진동판의 타단과 제2 자석, 두 지점에서 진동을 발생되어 전파됨에 따라, 진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진동 모듈에서 제1 자석이 제2 자석과 제3 자석 각각에 척력을 받게 되어 진동이 저감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은 제1 자석의 극과 제2 자석의 극이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진동이 서로 상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종래 기능성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안창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진동 모듈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에 적용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진동 모듈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안창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안창은 안창부(110) 및 진동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창부(110)는 신발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신발의 착용자의 발과 접촉한다. 상기 안창부(110)는 통상의 신발을 구성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케이스(201), 진동판(230), 제1 자석(210) 및 제2 자석(2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상기 안창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01)는 상기 안창부(1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진동 모듈(200)와 상기 안창부(110)과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진동 모듈(200)이 상기 안창부(110)에 삽입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케이스(20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케이스(201)는 신발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201)는 진동판(230)의 타단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진동판(230)은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흔들리고, 상기 진동판(230)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20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230)은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진동판(230)은 판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판(230)의 타단은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상기 진동판(23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자석(210)은 상기 진동판(230)의 타단에 구비되며, 제1 엔극(211)과 제1 에스극(212)을 가진다. 상기 제1 자석(210)은 상기 진동판(230)의 타단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제2 자석(220)은 상기 진동판(23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진동판(230)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제1 자석과 이격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석(220)은 제2 엔극(221)과 제2 에스극(222)을 가진다.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진동판(230)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케이스(201)의 내측벽에 연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진동판(230)의 중립위치로부터 연장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230)의 중립위치는 상기 진동판(230)이 흔들리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엔극(221)은 상기 진동판(23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엔극(211)과 엇갈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제1 자석(210)이 최대로 인접한 경우, 즉 상기 제1 자석(210)과 상기 제2 자석(220)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제1 자석(210)을 당길 수 있다. 즉, 상기 제2 자석(220)과 상기 제1 자석(210) 사이에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석(210)이 움직이게 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석(220)과 상기 제1 자석(210) 사이에 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상기 제1 자석(210)과 상기 제2 자석(220)의 극이 엇갈리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 자석(210)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1 자석(210)과 상기 제2 자석(220)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인력과 척력에 발생에 따라, 상기 진동판(230)의 흔들림이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안창은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진동 모듈(200)의 진동 시간이 길어지게 됨에 따라,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의 발에 마사지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안창에 홈을 형성시키고, 이러한 홈에 진동 모듈(200)을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안창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100)은 안창부(110), 밑창부(120) 및 진동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부(120)는 상기 안창부(110)의 하면에 접하며, 착용자의 발을 바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을 밑창부(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진동 모듈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2의 진동 모듈이 작동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의 충격 에너지가 진동 모듈(200)에 전달되면, 상기 진동판(230)은 흔들리게 된다. 즉, 상기 진동판(230)은 고정된 상기 진동판(230)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진동판(230)의 타단의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석(210)은 상기 진동판(230)의 타단과 함께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자석(210)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자석(210)은 상기 제2 자석(220)의 제2 엔극(221)과 제2 에스극(222)의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진동판(230)이 설치된 상기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진동판(230)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진동판(230)이 상기 중림위치보다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석의 제2 엔극(221)은 상기 제1 자석의 제1 엔극(211)과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석(210)이 상기 중립위치로 수렴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석의 제2 엔극(221)은 상기 제1 자석의 제1 에스극(212)을 당기게 되고, 상기 제2 자석의 제2 에스극(222)은 상기 제1 자석의 제1 엔극(211)을 당기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제1 자석(210)과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엔극(221)과 상기 제2 에스극(222)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진동판(230)과 수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진동판(230)이 상기 중립위치보다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석의 제2 에스극(222)은 상기 제1 자석의 제1 에스극(212)과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상기 제1 자석(210)과 상기 제2 자석(220)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진동판(230)의 진동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제1 자석(210)의 진동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자석(220)은 상기 제1 자석(210)의 진동에 의한 자기력의 변화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상기 진동판(230)의 일단과 상기 제2 자석(220)이 설치된 두 지점에서 전파됨에 따라, 기존의 진동 모듈에 비하여 진동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에 적용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케이스(202)는 전술한 케이스와 달리, 모서리부분이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202)가 기존의 신발의 밑창부에 설치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110: 안창부 120: 밑창부
200: 진동 모듈 201: 케이스
210: 제1 자석 211: 제1 엔극
212: 제1 에스극 220: 제2 자석
221: 제2 엔극 222: 제2 에스극
230: 진동판

Claims (8)

  1.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이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판의 진동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는 제1엔극과 상기 제1엔극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제1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제1 자석과 이격되는 지점에서 케이스 내측벽에 연접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2 자석;
    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진동판의 중립위치로부터 연장선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극과 상기 제2 에스극이 향하는 방향은 상기 진동판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중립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진동판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자석과 척력이 작용하고,
    상기 진동판이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수렴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석과 인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일단은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에 의해 진동을 외부로 전파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석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외부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
  6. 신발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안창부;
    상기 안창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판의 진동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는 제1엔극과 상기 제1엔극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제1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측지점의 케이스 내측벽에 연접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2자석;
    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안창.
  7. 안창부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안창부에 구비되는 케이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판의 진동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는 제1엔극과 상기 제1엔극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제1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단측의 케이스 내측벽에 연접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2자석;
    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타단은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에 의해 진동을 케이스로 전파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1 자석의 진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케이스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KR1020140049385A 2014-04-24 2014-04-24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KR10165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385A KR101654247B1 (ko) 2014-04-24 2014-04-24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385A KR101654247B1 (ko) 2014-04-24 2014-04-24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041A KR20150123041A (ko) 2015-11-03
KR101654247B1 true KR101654247B1 (ko) 2016-09-29

Family

ID=5459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385A KR101654247B1 (ko) 2014-04-24 2014-04-24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2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2959A1 (ko) * 2018-01-19 2019-07-25 조재훈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WO2021085907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슈올즈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20230095210A (ko) 2021-12-22 2023-06-29 남희도 기능성 건강 신발
KR20230101152A (ko) 2021-12-29 2023-07-06 김정욱 약물 분사용 초음파 미용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9000847A2 (pt) * 2018-01-19 2019-08-06 Jaehoon Cho Dispositivo de criação de vibração
KR102012124B1 (ko) * 2018-02-27 2019-08-19 조재훈 기능성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369B1 (ko) 2009-09-21 2010-02-11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JP2012525196A (ja) 2009-05-08 2012-10-22 ウェルネスヒ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圧を利用した磁石振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靴
KR101231022B1 (ko) 2012-08-13 2013-02-07 하상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80B1 (ko) * 2007-05-09 2009-04-30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기능성 신발
KR101158760B1 (ko) 2009-12-15 2012-06-22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5196A (ja) 2009-05-08 2012-10-22 ウェルネスヒ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圧を利用した磁石振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靴
KR100941369B1 (ko) 2009-09-21 2010-02-11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231022B1 (ko) 2012-08-13 2013-02-07 하상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2959A1 (ko) * 2018-01-19 2019-07-25 조재훈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신발
US11751627B2 (en) 2018-01-19 2023-09-12 Jae Hoon Cho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WO2021085907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슈올즈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20230095210A (ko) 2021-12-22 2023-06-29 남희도 기능성 건강 신발
KR20230101152A (ko) 2021-12-29 2023-07-06 김정욱 약물 분사용 초음파 미용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041A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247B1 (ko)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JP5459741B2 (ja) 振動が発生する履物およびその振動装置
KR101158760B1 (ko)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101978880B1 (ko)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121540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0894880B1 (ko) 기능성 신발
KR101073499B1 (ko) 압력을 이용한 자석 진동장치
US20170149321A1 (en) Vibration 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KR102037241B1 (ko) 지지대에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상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104049736A (zh) 动态块体重构
CN104283455B (zh) 振动器
JP2012525196A (ja) 外圧を利用した磁石振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靴
JP3222483U (ja) 制振滑り止め靴
KR102557563B1 (ko) 진동 구조 개선형 진동장치
KR101693374B1 (ko) 충격흡수 건강신발
KR101272583B1 (ko) 압전소자가 장착된 바이브레이터
KR101011448B1 (ko)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CN110051074B (zh) 振动产生装置
JP2008080070A (ja) 磁気治療用具
JP2018130136A (ja) 足裏荷重検出装置
KR101678150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2044631B1 (ko) 신발용 진동발생장치
CN214156380U (zh) 磁激励振动鞋
JP2010063845A (ja) 中敷及び履物
KR20230095210A (ko) 기능성 건강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