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448B1 -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 Google Patents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448B1
KR101011448B1 KR1020090039525A KR20090039525A KR101011448B1 KR 101011448 B1 KR101011448 B1 KR 101011448B1 KR 1020090039525 A KR1020090039525 A KR 1020090039525A KR 20090039525 A KR20090039525 A KR 20090039525A KR 101011448 B1 KR101011448 B1 KR 10101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enerating unit
magnetic force
magnetic
for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734A (ko
Inventor
양태헌
권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3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4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DC energisation superimposed on AC energis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시 자력을 발생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력발생유닛;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제공유닛;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전기에너지 미공급시 자체자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부착 또는 근접되도록 하강함에 따라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는 상태가 되되,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기준치 초과의 듀티(duty) 또는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자력발생유닛으로부터 완전이격된 완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부딪히는 완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충격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기준치 미만의 듀티(duty) 및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자력발생유닛으로부터 부분이격된 부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근접하는 부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관성진동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성, 충격, 진동, 터치핀, 듀티, 전압

Description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A module for generating vibration capable of inertial vibration and impact vibration}
본 발명은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치 초과의 듀티(duty) 또는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자력발생유닛에 공급하면 충격진동을 발생할 수 있고, 기준치 미만의 듀티(duty) 및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자력발생유닛에 공급하면 관성진동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으로 결제를 하고, TV를 시청하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등의 모습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한편, 장소의 제한 없이 인터넷을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더 이상 제한된 데스크톱 컴퓨터에만 의존하지 않고, PDA, 핸드폰 등의 모바일장치를 통해 언제, 어디에서나 원하는 정보를 얻으려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시공간적 한계를 뛰어 넘어 모든 곳에 정보가 편재되어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장치(또는 U-단말기)를 개발하는 것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Ubiquitous Network), 즉,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킹 환경을 이용한 사회시스템의 보급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으며, 국민의 대다수가 사회시스템의 시장이 더욱 용이하게 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전달된 다양한 정보를 모바일장치에서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선 사람의 오감을 통해 전달하여야 하지만, 우리가 이제까지 접할 수 있는 모바일장치는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 중 주로 시각과 청각에 의존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시각, 청각과 함께 또 하나의 매우 중요한 감각인 촉감을 전달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촉감을 이용하는 장치를 햅틱 장치라고 한다.
햅틱 장치(Haptic Device)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Simulation), 착용용 컴퓨터(Wearable Computers), 로보틱스(Robotics), 의료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햅틱인터페이스(Haptic Interface)라고도 한다.
이러한 햅틱 장치는 근육, 관절에 물리적인 힘을 전달해 주는 힘반력장치(Force Feedback Device)와, 피부에 내재되어 있는 기계수용체(Mechano Receptor)를 통하여 질감, 온도, 압력, 진동, 통증 등과 같은 피부 자극을 전달하 는 촉감장치(또는 촉감제시장치(Tactile Display))로 구분된다.
여기서, 촉감장치는 피부 자극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물체의 질감과 같은 사실적인 힘(Realistic Force)을 구현하는 촉감기술(Tactile Technology)을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들어, 전자장치, 예컨대, 핸드폰과 같은 전자장치는 SKT사의 "3G+"나 KTF사의 "SHOW"와 같이 청각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정보까지 전달하게 되었으며, 이처럼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좀더 커다란 디스플레이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햅틱폰, 터치웹폰" 등과 같이 조작 버튼이 없이 전면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핸드폰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종래의 핸드폰과 같은 전자장치에 구비된 조작 버튼이 없어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터치스크린만을 이용하여 핸드폰을 조작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단점으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조작 시 자신이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조작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인식하기 힘들게 되었고, 이로 인한 터치스크린의 오조작 발생률이 높아지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이 터치되어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진동모터가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하거나 터치스크린 화면 자체가 떨림 동작하는 등의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의 조작 시 진동모터가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진동 느낌이 깔끔하지 못하고, 진동의 종류를 한가지로만 구현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핸드폰 전체가 흔들리게 되어 오조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조작 시 터치스크린 화면 자체가 떨리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핸드폰을 조작하는 데 있어 혼란을 일으킬 수 있고, 화면이 떨림으로 인한 눈의 피로감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치 초과의 듀티(duty) 또는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자력발생유닛에 공급하면 충격진동을 발생할 수 있고, 기준치 미만의 듀티(duty) 및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자력발생유닛에 공급하면 관성진동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는, 외부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시 자력을 발생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력발생유닛;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제공유닛;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전기에너지 미공급시 자체자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부착 또는 근접되도록 하강함에 따라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는 상태가 되되,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기준치 초과의 듀티(duty) 또는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자력발생유닛으로부터 완전이격된 완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부딪히는 완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충격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기준치 미만의 듀티(duty) 및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자력발생유닛으로부터 부분이격된 부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근접하는 부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관성진동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력발생유닛은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의 하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의 내측으로 돌출된 자성체코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은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변형을 위한 나선형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력발생유닛은 솔레노이드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는 방음용 리미터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구자석은 연결핀을 개재해서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는 극성이 상호 교번되는 전기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준치 초과의 듀티(duty) 또는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자력발생유닛에 공급하면 충격진동을 발생할 수 있고, 기준치 미만의 듀티(duty) 및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자력발생유닛에 공급하면 관성진동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응속도가 빠르고, 진동감쇠가 빠르다는 이점이 있고, 관성진동을 활용하여 산뜻하고 부드러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자력발생유닛(100), 탄성력제공유닛(200), 영구자석(300), 연결핀(400), 베이스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은 외부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시 자력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로서,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은 일반적인 솔레노이드코일(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이 개구된 형태의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100)로 구성된다.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은 정방향으로 전압을 공급시 상부가 S극이 되고 하 부가 N극이 되며, 역방향으로 전압을 공급시 상부가 N극이 되고 하부고 S극이 된다. 상기 극성은 반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은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은 본 실시예의 진동발생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싱(미도시) 등에 고정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은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00c)를 중심으로 하여 주위에 탄성변형을 위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200s)에 의해 고정부(200c)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영구자석(300)은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에 전기에너지 미공급시 자체자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부착 또는 근접되도록 하강함에 따라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300)은 상부가 N극이고, 하부가 S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에 전압이 0인 "a1"의 신호를 보낼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300)과 상기 자력발생유닛(100) 사의의 인력이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의 탄성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영구자석(300)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영구자석(300)과 상기 자력발생유닛(100) 사의의 인력 및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의 탄성력 간의 힘이 서로 균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영구자석(300)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근접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영구자석(300)의 충격진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300)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부착(또는 근접)되도록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에 기준치 초과의 듀티(duty) 또는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영구자석(300)은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으로부터 완전이격된 완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부딪히는 완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충격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듀티를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a2) 또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a2')를 정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부가 S극이 되고 하부가 N극이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은 자력발생유닛(100)과의 척력 및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으로부터 완전이격되어 상승한 완전상승상태가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듀티를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a3) 또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a3')를 역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부가 N극이 되고 하부가 S극이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은 자력발생유닛(100)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부딪히는 완전하강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300)이 완전하강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에 탄성력이 저장되어, 다음의 영구자석(300) 상승 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300)이 완전상승상태가 된 후 완전하강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의 하면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을 타격하여 충격을 발생시킴에 따라 충격진동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는 방음용 리미터(110)가 적층되어, 상기 영구자석(300)이 완전하강상태가 되어 상기 영구자석(300)의 하면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을 타격 시 소음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정방향 빛 역방향으로 순차 교번되는 신호로서, 극성이 상호 교번되는 전기에너지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극성이 상호 교번되는 전기에너지로 구성할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300)의 진동이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영구자석(300)의 관성진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300)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부착(또는 근접)되도록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에 기준치 미만의 듀티(duty) 및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자 력발생유닛(100)으로부터 부분이격된 부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근접하는 부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관성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치를 미만으로 하는 듀티 및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a4)를 정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부가 S극이 되고 하부가 N극이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은 자력발생유닛(100)과의 척력 및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으로부터 부분이격되어 상승한 부분상승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탄성력제공유닛(200)과 영구자석(300)의 상면과의 거리가 “d1”이고, 영구자석(300)의 하면과 방음용 리미터(110)와의 거리가 “d2”가 된다.
이때,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은 기준치를 미만으로 하는 듀티 및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므로, 상기 영구자석(300)과 발생하는 척력이 완전상승상태에 비해 작은 크기가 된다.
이처럼, 부분상승상태가 된 상태에 뒤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치를 미만으로 하는 듀티 및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a5)를 역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부가 N극이 되고 하부가 S극이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은 자력발생유닛(100)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에 근접하는 부분하강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탄성력제공유닛(200)과 영구자석(300)의 상면과의 거리가 “d1'”로서 “d1”보다 큰 상태이고, 영구자석(300)의 하면과 리미터(110)와의 거리가 “d2'”로서 “d2”보다 작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은 기준치를 미만으로 하는 듀티 및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으므로, 상기 영구자석(300)과 발생하는 인력이 완전상승상태에 비해 작은 크기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300)이 부분하강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력제공유닛(200)에 탄성력이 저장되어, 다음의 영구자석(300) 상승 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300)이 부분상승상태가 된 후 부분하강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300)의 하면이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의 상면을 타격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의 자중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는 기준치를 미만으로 하는 전압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를 정방향 빛 역방향으로 순차 교번되는 신호로서, 극성이 상호 교번되는 전기에너지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극성이 상호 교번되는 전기에너지로 구성할 경우에 상기 영구자석(300)의 진동이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0)는, 자성체로 구성되되, 상기 자력발생유닛(100)이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100)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100)의 하면에는 적층될 수 있으며, 이처럼 자력발생유닛(100)의 하면에 적층됨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과의 인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0)의 상면에는 상기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 일(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자성체코어(500c)가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이처럼 베이스플레이트(500)의 상면에 자성체코어(500c)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300)과의 거리를 더욱 단축시켜 인력을 더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의 충격진동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의 관성진동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자력발생유닛
110:방음용 리미터
200:탄성력제공유닛
200s:슬롯
300:영구자석
400:연결핀
500:베이스플레이트
500c:자성체코어

Claims (8)

  1. 외부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시 자력을 발생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력발생유닛;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제공유닛;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전기에너지 미공급시 자체자력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부착 또는 근접되도록 하강함에 따라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는 상태가 되되,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기준치 초과의 듀티(duty) 또는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자력발생유닛으로부터 완전이격된 완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부딪히는 완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충격진동을 발생하고, 상기 자력발생유닛에 기준치 미만의 듀티(duty) 및 전압(voltage)을 갖는 주기적인 전기에너지 공급시 상기 자력발생유닛으로부터 부분이격된 부분상승상태와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 근접하는 부분하강상태를 반복함에 따라 관성진동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유닛은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로 구성되고, 상기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의 하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보빈리스 솔레노이드코일의 내측으로 돌출된 자성체코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은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변형을 위한 나선형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유닛은 솔레노이드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유닛의 상면에는 방음용 리미터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연결핀을 개재해서 상기 탄성력제공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전기에너지는 극성이 상호 교번되는 전기에너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모터.
KR1020090039525A 2009-05-07 2009-05-07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KR10101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25A KR101011448B1 (ko) 2009-05-07 2009-05-07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25A KR101011448B1 (ko) 2009-05-07 2009-05-07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34A KR20100120734A (ko) 2010-11-17
KR101011448B1 true KR101011448B1 (ko) 2011-01-28

Family

ID=4340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25A KR101011448B1 (ko) 2009-05-07 2009-05-07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32B1 (ko) 2012-03-12 2013-07-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분자 유전체 기반 고성능 구동기, 그 구동기를 이용한 촉감제공 액추에이터, 진동모터, 작동방법, 촉각 감성 피드백 제공장치 및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고분자 유전체 기반 촉각 감성피드백 제공장치
CN103475183A (zh) * 2013-09-30 2013-12-25 安徽大学 基于mems工艺的复合式微型能量采集器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528A (ko) * 2004-02-23 2005-08-26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528A (ko) * 2004-02-23 2005-08-26 삼성전기주식회사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132B1 (ko) 2012-03-12 2013-07-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분자 유전체 기반 고성능 구동기, 그 구동기를 이용한 촉감제공 액추에이터, 진동모터, 작동방법, 촉각 감성 피드백 제공장치 및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고분자 유전체 기반 촉각 감성피드백 제공장치
WO2013137548A1 (en) * 2012-03-12 2013-09-19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Dielectric polymer high-performance driver, actuator and vibrating motor using the driver, method for operating the actuator,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to sight and hearing disabled person
CN103475183A (zh) * 2013-09-30 2013-12-25 安徽大学 基于mems工艺的复合式微型能量采集器及其制作方法
CN103475183B (zh) * 2013-09-30 2015-10-28 安徽大学 基于mems工艺的复合式微型能量采集器的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34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715B1 (ko)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JP6167068B2 (ja) 擬似力覚発生装置
JP2013508913A (ja) 屈曲アセンブリおよび触覚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固定具
KR20150039605A (ko)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보호케이스
EP3467622A2 (en) Haptic actuator having a smart material actuation component and an electromagnet actuation component
US20170315616A1 (en) Vibrating mouse providing real time haptic feedback
Yang et al. A new subminiature impact actuator for mobile devices
KR101011448B1 (ko) 관성진동 및 충격진동이 가능한 진동발생모듈
KR100958910B1 (ko) 충격진동을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1085462B1 (ko) 탄성반력을 이용한 진동발생모듈
KR101075174B1 (ko) 다양한 형태의 충격발생이 가능한 충격발생장치
KR101061886B1 (ko) 공진 주파수의 충격량에 의해 복수의 충격을 발생시키는 전동모터
KR101071316B1 (ko) 충격발생모듈
KR20220063072A (ko) 자기유변탄성체 햅틱 장치 및 햅틱 모듈
KR100930555B1 (ko) 충격진동을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1097852B1 (ko) 초기 반응시간을 보완하고 다양한 지속성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햅틱 피드백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KR101063507B1 (ko) 저주파의 관성력 발생 모듈
KR102597888B1 (ko) 햅틱 장치 및 햅틱 모듈
KR20100124989A (ko) 임펄스 패턴 발생 장치
KR100887714B1 (ko) 자력을 이용한 반력생성 모듈 및 이를 채용하는 전자장치
CN115136102A (zh) 触觉装置和触觉模块
KR20100136012A (ko) 관성력을 이용한 햅틱피드백 제공모듈
WO2017158582A1 (en) Slim profile haptic transducer array
JP6321268B2 (ja) 擬似力覚発生装置
JP2024508580A (ja) ユーザデバイスにおいて触覚効果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構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