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210A - 기능성 건강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건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210A
KR20230095210A KR1020210184444A KR20210184444A KR20230095210A KR 20230095210 A KR20230095210 A KR 20230095210A KR 1020210184444 A KR1020210184444 A KR 1020210184444A KR 20210184444 A KR20210184444 A KR 20210184444A KR 20230095210 A KR20230095210 A KR 20230095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rotrusion
spring
functional health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612B1 (ko
Inventor
남희도
Original Assignee
남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희도 filed Critical 남희도
Priority to KR102021018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612B1/ko
Priority to CN202111650622.5A priority patent/CN116326881A/zh
Publication of KR2023009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지압, 자력을 인가하여 사용자의 혈류 개선과 관절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신발에 관한 것으로, 중앙 부분에서 개방 가능하고 미드솔에 장착되는 본체, 본체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인솔에 내장되는 제1 돌출부,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본체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미드솔에 장착되는 제2 돌출부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제1 돌출부에 내장되는 제1 자석, 상기 제1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 장착되는 제2 자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자석, 상기 제1 자석에 마련된 제1 스프링, 상기 제2 자석에 마련된 제2 스프링을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효과와 지압 효과를 인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건강 신발{Functional health shoes}
본 발명은 자력 및 탄성력을 구비한 기능성 건강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지압, 자력을 인가하여 사용자의 혈류 개선과 관절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사람이 땅을 딛고 서거나 보행할 때에 발에 신는 물건으로서, 대부분의 사람은 많은 시간을 신발을 착용한 채 생활한다. 따라서, 많은 시간 착용하게 되는 신발에 대해 그동안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착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을 개발하고자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기능성을 구비한 신발은 발을 감싸는 어퍼와 어퍼 하부에 발바닥을 받치는 솔로 구성되게 되며, 솔은 쿠션이 있는 미드솔(mid-sole), 미드솔 하부에 부착되는 아웃솔(out-sole)과 미드솔 상측에 구비되는 인솔(insole)로 구성되며, 솔 부분에 기능성을 부과하여 착용자의 건강 증진에 보탬이 되도록 한 신발을 의미한다.
상기 아웃솔은 지면과 직접 맞닿아 접지력을 증대시켜 보행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체중 및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미드솔은 아웃솔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바닥에 쿠션감을 제공하거나 체중의 분산 및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인솔 역시 쿠션감 및 하중 흡수의 역할 및 신발 내부의 표면 마감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어퍼는 가죽이나 섬유 또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인솔은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하는 동시에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함에 따라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신발의 내부 마감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그 표면에 가죽이나 섬유지 등을 부착하여 완성된다.
또, 최근에는 보행 시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신발 밑창 내에 탄성 부재 또는 에어 쿠션과 같은 충격흡수 구조, 보행 시 발바닥 전체를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신발의 밑창을 둥글게 형성시킨 구조, 밑창 내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한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2)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부(13)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부 및 하부 몸체(11, 12)에 의해 압착 고정되거나, 상호 결합을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11, 12)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진동 프레임(20), 진동 프레임(20)에 타단이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13)에 배치되는 진동 메인 플레이트(30A), 상기 진동 메인 플레이트(30A)에서 분기된 진동 서브 플레이트(30B), 자력에 의해 상기 진동 메인 플레이트(30A) 및 진동 서브 플레이트(30B)가 상하로 진동하도록, 진동 서브 플레이트(30B)의 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에 구비되는 유동 마그네트(41), 케이스의 상부 몸체(11)에 구비되어 유동 마그네트(41)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상부 고정 마그네트(42), 케이스의 하부 몸체(12)에 구비되어 유동 마그네트(41)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하부 고정 마그네트(43)를 구비한 진동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일단이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이며, 외부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타단이 흔들리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는 제1 엔극과 상기 제1 엔극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제1 에스극을 가지는 제1 자석 및 상기 진동판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제1 자석과 이격되는 지점에서 케이스 내측 벽에 연접되며, 제2 엔극과 제2 에스극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엔극이 상기 제1 엔극과 엇갈리게 구비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진동 모듈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제1 고정 자석, 상기 케이스의 하측 중 상기 제1 고정 자석과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된 제2 고정 자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진동 가능한 제1 진동판 및 제2 진동판, 상기 제1 진동판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유동 자석, 상기 제2 진동판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유동 자석 및 상기 케이스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는 진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진동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8378호(2020.06.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247호(2016.08.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8880호(2019.05.09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는 균일한 진동과 이러한 진동을 증폭시켜 외부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진동이 크지 않으며, 사용자의 발에 지압 또는 자력을 인가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 상기 특허문헌 2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진동판의 중립 위치로부터 연장선상에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진동이 크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 3는 고정 자석들과 유동 자석들 간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진동자로 하여금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특허문헌 2 및 3에도 사용자의 발에 지압 또는 자력을 인가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효과와 지압 효과를 동시에 인가하여 사용자의 혈류 개선과 관절 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지압 및 자력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즐겁고 경쾌한 보행을 실현할 수 있는 기능성 건강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은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어퍼, 어퍼 하부에 발바닥을 받치며 쿠션이 있는 미드솔, 미드솔 하부에 부착되는 아웃솔과 미드솔 상측에 구비되는 인솔로 구성된 기능성 건강 신발로서, 중앙 부분에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미드솔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인솔에 내장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미드솔에 장착되는 제2 돌출부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제1 돌출부에 내장되는 제1 자석, 상기 제1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 장착되는 제2 자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자석, 상기 제1 자석에 마련된 제1 스프링, 상기 제2 자석에 마련된 제2 스프링, 상기 진동 부재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상기 제3 자석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은 지압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크기는 상기 제3 자석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자기력은 상기 제3 자석의 자기력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마련된 단턱의 부분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 내장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자석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자석의 하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 상기 제1 스프링 상에 마련된 제4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 상기 케이스의 본체 내부에 격판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을 2 분할하고, 상기 격판에는 상기 제1 자석과 대향하는 제5 자석, 상기 제2 자석과 대향하는 제6 자석, 상기 제5 자석과 제6 자석 사이의 제3 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격판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진동판이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 자석과 제5 자석(360) 사이 및 상기 제2 자석과 제6 자석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마련된 단턱의 부분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 내장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자석의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자석의 상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 상기 진동판에는 타원 형상 또는 원 형상의 확장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 의하면, 본체,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로 이루어진 케이스,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자석 및 스프링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효과와 지압 효과를 인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 의하면, 제1 자석, 제1 스프링과 제1 스프링 상의 제4 자석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지압 및 자력을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능성 건강 신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진동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4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5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부재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진동 부재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자석"은 N극과 S극을 갖는 영구 자석으로서, 네오디뮴 자석, NIB 자석 또는 페라이트 자석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진동 부재"는 자석의 척력에 의해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판 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발"은 운동화, 등산화, 골프화, 작업화, 장화, 주방화, 욕실화, 사냥화, 슬리퍼, 샌달, 실내화, 특수화 등을 의미한다.
한편, 인체의 뼈 구조는 수직 운동에 적합하게 되어 있어 편향, 수평 진동을 받게 되면 스트레스나 어지러움 등의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신발의 내부에 진동 발생 구조를 내장하여 수직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편안한 보행을 실현할 수 있으며, 걷기 동작에 의해 발생한 수직 진동에 의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발의 붓기 및 통증이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지압의 기능을 마련하여 혈류 개선과 관절 보호의 기능도 부가할 수 있다.
[ 제1 실시 예 ]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의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능성 건강 신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인 어퍼(100), 상기 어퍼(100)의 하면에 구비되어 발을 바닥으로부터 보호하는 밑창 부분인 솔(200) 및 진동 발생 구조로 구성되므로, 신발의 고유 기능에 기능성을 부과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보행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솔(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100) 하부에 발바닥을 받치며 쿠션이 있는 미드솔(220, mid-sole), 미드솔(220) 하부에 부착되는 아웃솔(230, out-sole)과 미드솔(220) 상측에 구비되는 인솔(210, insol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300)는 인솔(210)과 미드솔(2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중앙 부분에서 개방 가능한 본체(301), 상기 본체(301)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된 제1 돌출부(302), 상기 제1 돌출부(30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301)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된 제2 돌출부(3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돌출부(302)는 인솔(210)의 하부에 마련된 제1 홈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301)와 제2 돌출부(303)는 미드솔(220)의 상부에 마련된 제2 홈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인솔(210)은 접착제 등에 의해 미드솔(220)과 접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0)의 본체(301), 제1 돌출부(302) 및 제2 돌출부(303)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스(300)의 재질은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면 충분하고, 금속보다는 탄성을 구비한 플라스틱이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300)의 제1 돌출부(302) 및 제2 돌출부(303)는 사용자의 발 바닥 부분에서 지압 기능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케이스(300)의 내부에 마련된 진동 발생 구조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진동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00)의 제1 돌출부(302)에 마련되고 상기 인솔(210) 부분에 내장되는 제1 자석(310), 상기 케이스(300)의 제2 돌출부(303)에서 상기 제1 자석(310)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미드솔(220)에 장착되는 제2 자석(320), 상기 케이스(300)의 본체(301) 내에 설치된 진동 부재(400), 상기 진동 부재(40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자석(330), 상기 제1 자석(310)에 마련된 제1 스프링(311), 상기 제2 자석(320)에 마련된 제2 스프링(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은 대략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동일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자석(310)과 제3 자석(330)과의 척력 및 제2 자석(320)과 제3 자석(330)과의 척력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의 크기는 상기 제3 자석(330)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의 자기력은 상기 제3 자석(330)의 자기력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은 자기력이 강한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 또는 NIB 자석(Neodymium-Iron-Boron Magnet)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3 자석(330)은 페라이트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40*25*10t의 네오디뮴 자석은 4,020 Gauss을 갖고, 40*25*10t의 페라이트 자석은 1,169 Gauss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의 크기가 제3 자석(330) 보다 크게 마련된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의 크기가 제3 자석(330)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의 자기력이 제3 자석(330)의 자기력보다 작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제1 돌출부(302) 및 제2 돌출부(303)에 각각 마련된 단턱(304)의 부분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걷기 동작 과정에서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이 제1 돌출부(302) 및 제2 돌출부(30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311)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310)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스프링(321)도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제2 자석(320)의 하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스프링(311)과 제2 스프링(321)은 사용자의 걷기 동작에 따라 탄성적으로 수축 및 팽창하면서 발바닥을 가압하여 지압 및 마사지하여 발바닥의 혈류를 개선하여 발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311)과 제2 스프링(321)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해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의 위치가 변동되어 제3 자석(330)과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에 따라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과 제3 자석(330)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척력이 변경되어 잔동판(400)의 진동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진동 부재(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의 본체(301)의 중앙 부분, 즉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과 상기 제3 자석(330) 사이에 형성되는 척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진동 부재(400)는 탄성의 재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진동 프레임(410)과 일정 곡률로 휘어지게 마련되고, 상기 진동 프레임(410)의 중앙 부분에서 본체(30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마련된 진동판(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판(420)의 단부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자석(330)이 부착되며, 높은 탄성을 위해 얇고 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도 5에서는 진동판(420)의 상부에 제3 자석(330)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판(42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진동판(420)은 외력이 없는 경우 제3 자석(330)이 움직이지 않고 본체(301)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며, 도 5에서는 제2 자석(320)의 척력에 의해 제1 자석(310) 쪽을 향해 진행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케이스(300)가 발꿈치(heel) 영역에만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볼(ball) 영역 또는 아치(arch) 영역만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발꿈치 영역, 발볼 영역 및 아치 영역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도 3에서는 발꿈치 영역에 하나의 케이스(300)가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꿈치 영역에 다수의 케이스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진동판(420)에 하나의 제3 자석(330)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다수의 제3 자석이 부착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 제2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의 구조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2 실시 예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지압 및 자력을 동시에 인가하기 위해 제1 돌출부(302)의 부분에 제4 자석(340)을 마련한 것이다.
상기 제4 자석(340)과 제1 자석(310) 사이에도 척력이 발생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걷기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스프링(311)과 제2 스프링(321)이 탄성적으로 수축 및 팽창하면서 발바닥을 가압함과 동시에 제4 자석(340)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을 통한 자기 치료 기능을 부가하여 기의 흐름을 조화롭게 할 수도 있다. 즉, 제4 자석(340)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 내의 혈액 분자를 정렬시킴으로 몸 안에서 그 분자들이 쉽게 움직이도록 만들 수도 있다.
[ 제3 실시 예 ]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의 구조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3 실시 예에서도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자석(310)의 상부에 제1 스프링(311)이 마련되고, 제2 자석(320)의 하부에 제2 스프링(321)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제3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310)이 제1 스프링(311)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2 자석(320)의 상부에 제2 스프링(321)이 마련된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즉, 제3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걷기 동작을 하는 경우, 제1 스프링(311) 및 제2 스프링(321)에 의해 제1 자석(310)과 제3 자석(330)의 거리 및 제2 자석(320)과 제3 자석(330)의 거리가 가변으로 되므로, 제1 자석(310) 및 제2 자석(320)과 제3 자석(330) 사이의 척력이 가변으로 되어 진동 부재(400)에서의 진동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 제2 실시 예와 같이, 제1 자석(310)이 사용자의 발바닥을 통한 자기 치료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 제4 실시 예 ]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의 구조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4 실시 예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4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상술한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에서는 제1 스프링(311) 및 제2 스프링(321)이 제1 자석(310)과 제2 자석(3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사용자의 걷기 동작에 따라 제4 실시 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321)이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걷기 운동은 통상적으로 발목이 움직이면서 발꿈치 영역이 지면과 먼저 닿고 발볼 영역이 닿는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발꿈치 영역에서 걷기 동작에 대응하도록 제2 스프링(321)이 발꿈치 측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프링(321)을 경사지게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걷기 운동을 보다 즐겁고 경쾌하게 안내할 수 있다.
[ 제5 실시 예 ]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의 구조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5 실시 예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에 내장되는 진동 발생 구조의 제5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0)의 본체(301) 내부에 격판(500)을 마련하여 본체(301)의 공간을 2 분할한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즉, 제1 돌출부(302)와 제2 돌출부(303)의 구조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마련하고, 격판(500)에 제1 자석(310)과 대향하는 제5 자석(360), 제2 자석(320)과 대향하는 제6 자석(370), 상기 제5 자석(360)과 제6 자석(370) 사이에 제3 스프링(380)을 마련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격판(5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진동 부재(400)가 마련되고, 각각의 진동 부재(400)의 진동판(420)은 제1 자석(310)과 제5 자석(360) 사이 및 제2 자석(320)과 제6 자석(370) 사이에 마련된다.
따라서, 제5 실시 예에서는 2 분할한 공간에 2개의 진동판(420)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진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진동 부재(400)의 다른 구조에 대해 도 11 및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부재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고,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진동 부재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6에 도시된 진동 부재(400)에서는 진동판(420)이 좌우로 길게 마련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동판(420)의 부분에 확장부를 마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로서 진동판(420)의 중앙 부분을 타원 형상(421)으로 마련하여 진동을 증가시키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420)의 끝 부분을 원 형상(422)으로 마련하여 진동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원 형상(421) 또는 원 형상(422)에 다수의 제3 자석(330)을 장착하여 진동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신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에 진동 효과와 지압 효과를 인가할 수 있다.
100 : 어퍼
200 : 솔
300 : 케이스
400 : 진동 부재
500 : 격판

Claims (8)

  1.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어퍼, 어퍼 하부에 발바닥을 받치며 쿠션이 있는 미드솔(mid-sole), 미드솔 하부에 부착되는 아웃솔(out-sole)과 미드솔 상측에 구비되는 인솔(insole)로 구성된 기능성 건강 신발로서,
    중앙 부분에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미드솔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인솔에 내장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미드솔에 장착되는 제2 돌출부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제1 돌출부에 내장되는 제1 자석,
    상기 제1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 장착되는 제2 자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자석,
    상기 제1 자석에 마련된 제1 스프링,
    상기 제2 자석에 마련된 제2 스프링,
    상기 진동 부재는 진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상기 제3 자석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은 지압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크기는 상기 제3 자석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의 자기력은 상기 제3 자석의 자기력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마련된 단턱의 부분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 내장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자석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자석의 하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스프링 상에 마련된 제4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6.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의 본체 내부에 격판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공간을 2 분할하고,
    상기 격판에는 상기 제1 자석과 대향하는 제5 자석, 상기 제2 자석과 대향하는 제6 자석, 상기 제5 자석과 제6 자석 사이의 제3 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격판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진동판이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 자석과 제5 자석(360) 사이 및 상기 제2 자석과 제6 자석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7. 제1항에서,
    상기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각각 마련된 단턱의 부분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 내장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자석의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자석의 상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8. 제1항에서,
    상기 진동판에는 타원 형상 또는 원 형상의 확장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신발.
KR1020210184444A 2021-12-22 2021-12-22 기능성 건강 신발 KR10260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444A KR102606612B1 (ko) 2021-12-22 2021-12-22 기능성 건강 신발
CN202111650622.5A CN116326881A (zh) 2021-12-22 2021-12-30 功能性保健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444A KR102606612B1 (ko) 2021-12-22 2021-12-22 기능성 건강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210A true KR20230095210A (ko) 2023-06-29
KR102606612B1 KR102606612B1 (ko) 2023-11-24

Family

ID=8689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444A KR102606612B1 (ko) 2021-12-22 2021-12-22 기능성 건강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6612B1 (ko)
CN (1) CN116326881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150A (ko) * 2009-05-08 2010-11-17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231022B1 (ko) * 2012-08-13 2013-02-07 하상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KR101654247B1 (ko) 2014-04-24 2016-09-29 (주) 인슈텍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KR200486537Y1 (ko) * 2017-09-19 2018-05-31 김선심 발바닥 진동과 경혈자극을 위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78880B1 (ko)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128378B1 (ko) 2019-10-30 2020-06-30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20210014550A (ko) * 2019-07-30 2021-02-09 김도경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 이를 구비한 건강신발, 깔창 및 안마기
KR20210108573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신경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150A (ko) * 2009-05-08 2010-11-17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231022B1 (ko) * 2012-08-13 2013-02-07 하상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KR101654247B1 (ko) 2014-04-24 2016-09-29 (주) 인슈텍 진동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신발
KR200486537Y1 (ko) * 2017-09-19 2018-05-31 김선심 발바닥 진동과 경혈자극을 위한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78880B1 (ko)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210014550A (ko) * 2019-07-30 2021-02-09 김도경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 이를 구비한 건강신발, 깔창 및 안마기
KR102128378B1 (ko) 2019-10-30 2020-06-30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20210108573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신경 신발에 구비되는 진동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6881A (zh) 2023-06-27
KR102606612B1 (ko)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022B1 (ko)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KR100941369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US6405456B1 (en) Shock reducing innersole
KR102149055B1 (ko) 신발에 내장되는 진동발생장치
US9370221B1 (en) Shock absorbing and pressure releasing damper apparatus for footwear
KR20080099516A (ko) 기능성 신발
JP7190089B2 (ja) 機能性シューズインソール
KR102128378B1 (ko) 자력을 이용한 진동 증폭 구조형 진동장치
KR101983723B1 (ko) 혈류개선과 관절보호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건강신발
KR102037241B1 (ko) 지지대에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 상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606612B1 (ko) 기능성 건강 신발
KR100969715B1 (ko) 신발용 인솔
KR101198699B1 (ko)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이 내장된 구두
KR102345807B1 (ko)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캐쥬얼화용 아웃솔
KR102346677B1 (ko)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101693374B1 (ko) 충격흡수 건강신발
KR20070061600A (ko) 터널부가 형성된 롤링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557301B1 (ko)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KR100974504B1 (ko) 신발용 밑창
KR100974859B1 (ko) 신발의 쿠션장치
KR200361981Y1 (ko) 신발의 충격흡수용 패드 구조
KR200412025Y1 (ko) 다기능 신발 안창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KR102567784B1 (ko) 족저근막과 아치 보호를 위한 자석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