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139A -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139A
KR20210103139A KR1020200017507A KR20200017507A KR20210103139A KR 20210103139 A KR20210103139 A KR 20210103139A KR 1020200017507 A KR1020200017507 A KR 1020200017507A KR 20200017507 A KR20200017507 A KR 20200017507A KR 20210103139 A KR20210103139 A KR 20210103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agnetic
magnets
wearer
vibr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980B1 (ko
Inventor
권상덕
Original Assignee
권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덕 filed Critical 권상덕
Priority to KR1020200017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9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갑피부, 아웃솔 및 미들솔로 구성된 솔과 갑피로 구성된 신발; 및 상기 아웃솔에 수납되고 보행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진동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자기진동생성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신발 끝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자기진동생성부의 진동을 조절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Shoes with magnetic vibrators to guide correct walking}
본 발명의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써, 자기진동장치를 통해 생성된 진동 파장을 착용자의 발에 전달함으로써 착용자의 발의 혈류를 개선시키고 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행은 한 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몸을 움직이는 이동의 한 양식이며, 무의식적으로 학습되고 삶을 영위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 일상생 활동작과 기능적인 활동을 비롯해 삶의 질의 평가요소 중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보행 동작은 우리 몸을 이동시키는 가장 보편적인 수단으로서 하지분절의 근골격계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많은 현대인들이 비교적 단순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으로 보행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근골계와 신경계를 통합하여 작용하는 복잡한 운동이라고 제시하였다. 외부의 충격과 자극으로부터 편안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발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올바른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발은 사람이 평생 걷는 것에 있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신체 보호물로서 그 사람의 보행습관을 반영하거나 발 질환 및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활동성과 기능성에 중점을 두고 선택되고 있다. 관련하여 아웃솔에 진동장치를 삽입하여 발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혈류 개선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이 소개되고 있다. 다만, 단순이 착용자의 발 바닥에 진동을 제공해주어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국한되고 있을뿐 보행이라는 것이 복잡한 운동이라는 관점에서의 편안한 보행 및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신발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0941369호
실시예는 작은 충격이나 변위에도 자기 진동에 따른 파장을 발생시켜 보행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혈을 자극하여 혈류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착용자의 발의 혈류 개선시킴과 동시에 착용자로 하여금 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착용자의 발바닥의 외측 및 내측 영역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바른 보행을 유도하여 걸음에 대한 자가 교정이 가능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갑피부, 아웃솔 및 미들솔로 구성된 솔과 갑피로 구성된 신발; 및 상기 아웃솔에 수납되고 보행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진동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자기진동생성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신발 끝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자기진동생성부의 진동을 조절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자기진동생성부는, 가이드링,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진동생성바,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일측 제2 영역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진동생성바 및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타측 제3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3 진동생성바로 구성된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3 진동생성바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사이에 위치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 각각의 끝단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상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하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홀 각각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홀 각각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을 더 포함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척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척력을 형성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각각은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고, 상기 제3 진동생성바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신발 끝의 반복적인 내회전 또는 외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중 어느 하나의 진동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은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석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아웃솔에 설치된 제어장치; 및 상기 아웃솔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의 이동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걸음걸이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작은 충격이나 변위에도 자기 진동을 발생시켜 보행의 흥미를 배가시키고 혈을 자극하여 혈류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자기 진동에 따른 파장을 착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우리 몸에 긍정적인 호르문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투어멀린(Tourmaline)을 이용함에 따른 향균, 제균, 탈취, 아토피, 건조증 및 혈류개선 기능을 가진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착용자의 발의 혈류 개선시킴과 동시에 착용자로 하여금 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보행에 따라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 진동에 따른 파장이 조절되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보행이나 조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는 착용자의 발바닥의 외측 및 내측 영역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바른 보행을 유도하여 걸음에 대한 자가 교정이 가능하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7가지 광물질을 325mesh로 분쇄한 후 다시 고온에서 장시간 고온처리하여 독소와 불순물을 배출하고, 상온에서 식물성 유기물과 미생물을 투여하여 미네랄 광물 파우더로 제조한 후 건조시키며, 독소와 불순물은 고온 연소로와 연결된 수조를 거쳐 가스로 배출하도록 하는 식물성 유기물과 미생물을 이용한 광물파우더 원료가 혼합된 젤부를 이용하여 발열, 냉감, 접촉 온감, 통기성, 향균, 혈액순환개선, 탈취, 난연성, 우수한 보온성, 강도, 면역조절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형 신발에 대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아웃솔에 대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후 산책이나 조깅할 때 자기진동장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자기진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자기진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자기진동장치와 아웃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신발의 이동 방향에 따른 진동조절가이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자기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그 밖의 다양한 자기진동생성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형 신발에 대한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2a는 아웃솔에 대한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후 산책이나 조깅할 때 자기진동장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는 자기진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자기진동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a는 자기진동장치와 아웃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형 신발(100)은 갑피부(110), 아웃솔(Outsole, 120) 그리고 미들솔(Middlesole, 1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갑피(102)는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것이고, 솔(Sole, 101)은 착용자의 발을 바닥으로 보호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통상의 신발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웃솔(120)은 신발 착용자의 발 뒷꿈치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자기진동장치의 수납을 위한 제1 수납홈(122)이 형성되고, 신발 착용자의 발 뒷꿈치와 발가락 사이의 발바닥 영역이 위치하는 영역에 지압패드의 수납을 위한 제2 수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신발(100)은 아웃솔(120)에 수납되고 보행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아웃솔(120)의 측면에는 제1 수납홈(122)의 내부가 시인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외부시인영역(121)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기진동장치(200)는 신발(100) 바람직하게는, 아웃솔(120) 더 바람직하게는, 아웃솔(120)의 뒷꿈치 부분의 제1 수납홈(12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행시 외압을 전달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상관없으므로 자기진동장치(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한정지을 수는 없음을 인지하여야 되며, 외압을 가장 확실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이 아웃솔(120)의 뒷꿈치 부분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일예로 도시하였다.
자기진동장치(200)는 케이스(210), 케이스에 수납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300), 케이스와 자기진동생성부(300) 각각에 설치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자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진동생성부(300)는 가이드링(390),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1 영역(300a)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진동생성바(310),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2 영역(300b)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타측으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진동생성바(320) 및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타측 제3 영역(300c)에서 연장되어 가이드링(390)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3 진동생성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진동생성바(330)는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진동생성부(300)는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에 의해 생성된 공간 상에 위치하여 상부 케이스(211) 및 하부 케이스(21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신발(100)은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끝단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일측은 가이드링(390)에 연결되고 말단은 고정되지 않으며 말단측에 진동바자석이 설치되므로 진동바자석의 무게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이 발생하여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1)에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상부홀(221, 222, 223)이 형성된다.
하부 케이스(212)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하부홀(231, 232, 233)이 형성된다.
케이스(210)와 자기진동생성부(300)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상부홀(221, 222, 223) 각각과 제1 내지 제3 하부홀(231, 232, 233) 각각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또한, 신발(100)은 제1 내지 제3 상부홀(221, 222, 223)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한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홀(231, 232, 233)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한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을 더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 각각과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 각각과 척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320) 각각은 이들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고, 제3 진동생성바(330)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착용자가 신발(100)을 찰용한 후 보행이나 조깅을 시작하면 뒷꿈치 부분에 위치한 자기진동장치(200)로부터 진동과 자력이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보행시 케이스(210)의 상부방향으로부터 그리고 하부방향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외압이 케이스(210)에 작용할 수 있다. 케이스(210)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상하 진동을 유발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사이의 척력과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과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 사이의 척력, 즉, 상하 방향으로부터 상호 척력 작용에 따라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상하부 방향으로의 진동이 조밀하게 연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착용자는 흥미를 느껴 보다 즐거운 보행이나 조깅이 될 것이고, 진동시 자기장이 발생되는 등 자력이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발바닥의 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등 혈류를 개선시켜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아웃솔(120)은 제1 아웃솔(120a)과 제2 아웃솔(120b)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아웃솔(120b)은 착용자의 발명의 뒷꿈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아웃솔(102a)은 제2 아웃솔(120b)을 제외한 영역을 차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아웃솔(120a, 120b)은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아웃솔(1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아웃솔(120a, 120b)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아웃솔(120b)은 제1 아웃솔(120a)보다 보다 탄성이 약한, 즉 쿠션이 더 강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 및 도 5c는 신발의 이동 방향에 따른 진동조절가이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자기진동생성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300)는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는 제1 회전부(341)에 설치되고,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는 제2 회전부(35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회전부(34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1 진동생성바(310)가 연장되는 지점 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회전부(35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2 진동생성바(320)가 연장되는 지점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회전부(34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1 진동생성바(310) 상의 제1 진동바자석(319)이 위치한 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회전부(351)는 가이드링(390)의 내측면 중에서 제2 진동생성바(320) 상의 제2 진동바자석(329)이 위치한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는 제1 회전부(341)에 설치되어 제1 회전부(34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는 제2 회전부(351)에 설치되어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행시 신발(100) 끝의 외회전 또는 내회전에 따라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는 제1 회전부(34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는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각각은 두 개의 날개부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날개부 사이의 폭은 진동생성바의 두깨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각각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 두 개의 날개부 중 하나는 진동생성바의 상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진동생성바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진동생성바가 진동할 때 진동 폭은 진동조절가이드의 두 개의 날개 사이로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진동생성바의 진동 폭은 줄어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걸음 걸이가 팔자걸음인 경우 보행시 신발(100)의 끝은 외회전을 반복적으로 그리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b와 같이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는 외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부(341) 및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 중에서 제1 진동조절가이드(340)만이 제1 진동생성바(31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1 진동생성바(310)의 진동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착용자의 걸음 걸이가 안짱걸음인 경우 보행시 신발(100)의 끝은 내회전을 반복적으로 그리게 된다. 그에 따라 도 5c와 같이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는 내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부(341) 및 제2 회전부(351)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 중에서 제2 진동조절가이드(350)만이 제2 진동생성바(32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2 진동생성바(320)의 진동의 폭을 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착용자가 팔자걸음으로 보행 시, 제2 진동생성바(320)에 의한 진동이 제1 진동생성바(310)의 진동보다 크게 발생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바닥의 외측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유도한다. 또한, 착용자가 안짱걸음으로 보행 시 제1 진동생성바(310)에 의한 진동이 제2 진동생성바(320)의 진동보다 크게 발생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유도한다.
착용자는 팔자걸음으로 보행 시 발바닥의 영역 중 외측 부위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되고 자연스럽게 일자 보행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착용자는 안짱걸음으로 보행 시 발바닥의 영역 중 내측 부위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게 되고 자연스럽게 일자 보행이 되도록 한다.
착용자가 일자 보행인 바른 보행을 하는 경우, 제1 및 제2 진동조절가이드(340, 350)는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위치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310, 230)의 진동의 폭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자는 바른 보행 시 발바닥의 외측 및 내측에서 균일한 진동을 느끼게 됨으로써 자신이 바른 보행을 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게끔 유도한다. 따라서, 착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바른 보행을 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걸음걸이이가 자가 교정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자기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아웃솔(120)에는 센서(124) 및 제어장치(12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은 전자석이 될 수 있고 제어장치(125)의 제어 하에 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와 한 쌍의 신발(100) 상호간의 통신이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무선전력충전을 위한 무선충전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124)는 신발(1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124)는 자이로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1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든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착용자의 보행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신발(100)의 이동 방향에 따른 착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보행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착용자가 현재 일반적인 보행 상태, 조깅 상태,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의 달리기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신발 끝의 이동 방향에 따른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분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장치(125)는 착용자의 걸음이 바른걸음, 팔자걸음, 안짱걸음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보행 속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25)는 보행 속도를 분석하여 보행 속도가 제1 속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1 세기로 하고, 보행 속도가 제1 속도 이상 제2 속도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2 세기로 하고, 보행속도가 제2 속도 이상인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3 세기로 할 수 있다.
제3 세기는 제2 세기보다 큰 세기이고, 제2 세기는 제1 세기보다 큰 세기이다.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가 커질수록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의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319, 329, 339)에 상부로부터 그리고 하부로부터 가해지는 척력이 강해져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 각각의 상하 진동의 폭은 줄어들게 되고 착용자가 느끼는 진동은 줄어들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의 상하 간격이 줄어든 상태에서의 진동은 동일한 시간 동안의 상하 진동의 횟수를 증가시키지만 진동의 폭은 감소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줄어든 진동을 느끼게 하다. 결과적으로, 착용자는 달리기할 때보다 일반적인 보행 상태일 때 줄어든 진동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조깅이나 달리기를 할 때 신발에 가해지는 연속된 충격 횟수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착용자가 느끼는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편안한 산책, 조깅, 달리기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125)는 센서(124)의 검출 결과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걸음걸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진동 불균형 상태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착용자의 신발(100) 끝의 이동 방향에 따라 걸음걸이를 정상걸음, 팔자걸음 및 안짱걸음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장치(125)는 정상걸음으로 판단하면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장치(125)는 팔자걸음으로 판단하면 제1 및 제3 상부자석(241, 243)과 제1 및 제3 하부자석(251,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2 상부자석(242) 및 제2 하부자석(252)의 자력의 세기보다 높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제2 상부자석(242) 및 제2 하부자석(252)이 위치한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용자로 하여금 발 바닥의 내측보다 상대적으로 발 바닥의 외측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어장치(125)는 안짱걸음으로 판단하면 제2 및 제3 상부자석(242, 243)과 제2 및 제3 하부자석(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제1 상부자석(241) 및 제1 하부자석(251)의 자력의 세기보다 높게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제1 상부자석(241) 및 제1 하부자석(251)이 위치한 영역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용자로 하여금 발 바닥의 외측보다 상대적으로 발 바닥의 내측에서 더 큰 진동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는 착용자의 걸음걸이가 정상걸음이 아닌 경우, 발바닥의 내측에 더 큰 진동을 느끼게 하여 자연스럽게 양 발의 한 쌍의 신발(100) 끝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모아지도록 유도하고, 발바닥의 외측에 더 큰 진동을 느끼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양 발의 한 쌍의 신발(100) 끝이 향하는 방향이 서로 벌어지도록 유도한다. 제어장치(125)는 그 후 신발(100)의 끝이 향하는 방향이 걸어가는 방향의 가상의 축에 평행하게 왕복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241, 242, 243) 및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251, 252, 253)의 자력의 세기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진동이 균일하게 느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정상걸음을 걷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센서(124), 제어장치(125) 그리고 자기진동장치(200)는 한 쌍의 신발(100) 각각에 설치되고 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착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하나의 발의 걸음걸이만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도 정상적인 걸음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은 다공지압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지압판(500)에는 투어멀린이 구비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에 투어멀린 2.0~4.0중량%, 포졸란(Pozzolan) 1.0~4.0중량% 등으로 함유시켜 다공지압판(500)을 성형할 수 있다.
착용자에 의한 일정 이상의 답압(밟는 힘)이나 충격이 다공지압판(500)에 전가될 경우 자연스런 발의 지압효과 및 컴파운드화 한 투어멀린을 이용하여 향균, 제균, 탈취, 아토피, 건조증 및 혈류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다공지압판(500)의 투어멀린에 의한 인체의 긍정적인 효과를 비롯하여 자기진동장치(200)에 의한 진동이 혈을 자극하여 혈류개선 및 여타의 발의 질병 예방 및 질병 치유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납홈(123)에는 투어멀린 2.0~4.0중량%, 포졸란 2.0~4.0중량%, 소성패각 분말 2.0중량%, 공지의 가교제 0.2~1.0중량%, 가교조제 0.2%~3.0중량%, 가공조제 0.5~1.0중량%, 발포제 2.0~3.0중량%, 발포조제 2.0~3.0중량%가 혼합된 후 나머지 잔량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len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아크릴(Acryli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중 선택된 고분자 수지가 사용되어 100중량%을 이루는 컴파운드(510)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투어멀린을 비롯한 한가지 이상의 원료 조성물로 컴파운드를 압연하여 세라믹 가공하거나 분말상태로 가공하거나 하는 방식으로 컴파운드(510)의 두께를 조절하여 쉬트를 만들거나, 쉬트를 프레스에 넣고 발포 성형하여 발포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성형된 성형물이 제2 수납홈(123)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파운드로 두께를 조절하거나 쉬트를 만들는 방식으로 성형된 성형물에 가해지는 미세한 충격이나 사람의 체온에 근사한 30~40도 온도상태에서 투어멀린의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고려하여 발 및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마찰, 압력, 열 등의 에너지 충격을 받게 되면 원적외선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조성을 이룰 때, 원료수지와 완전한 혼합조성을 이루기 위해 모두 100+-20um입자로 분쇄되어 아래의 표 1과 같은 원료 조성을 이루어 결합력 및 인장력을 확인하였다.
구분 실시예 실시예
투어멀린 2.0 2.0
포졸란 2.0 2.0
패각분말 2.0 1.0
ZnO 0.5 0.5
TAC 0.5 0.5
Stearic acid 1.0 0.5
DCP 2.5 1.0
발포제 1.5 2.5
EVA100 87.0 85.5
원료계 100 100
인장강도(kg/cm2) 30 27
신장률(%) 260 248
인장강도는 고무 시편을 Rol 축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잡아 늘려 시편이 끊어질 때, 소요되는 힘으로 단위는 kg/cm2로 표시된 것이고, 신장율은 고무 시편을 Roll 축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잡아 늘려 시편이 끊어질 때까지의 길이 중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난 길이를 원래의 길이로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단위는 %이다.표 1과 같은 원료조성을 이루어 원적외선 방사테스트를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항목 단위 결과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온도 oC 40
측정파장 um 5~20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 w/m2 3.64*102
표 1과 같은 원료 조성을 이루어 암모니아 NH3 탈취 테스트를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항목 메틸머컵탄(CH3 SH) 탈취 실험
경과시간(min) Blank 농도(ppm)
60 55 52.70
120 51 66.00
표 1과 같은 원료 조성을 이루어 투어멀린의 크기와 온도에 따른 전류의 세기 변화를 테스트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가열온도 투어멀린 컴파운드(크기/분량g) 투어멀린 분말(mesh/분량g)
20~30 oC 0.00000mA(2mm/2g) 0.00399mA(3,000/2g)
30~40 oC 0.00038mA(2mm/2g) 0.02543mA(3,000/2g)
90~100 oC 0.01529mA(2mm/2g) 0.03730mA(3,000/2g)
표 4의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투어멀린에 가해지는 열(온도)이 높아질수록 전류의 흐름이 많으며 고체형태보다 분말형태가 보다 전류의 세기가 크다는 점을 알 수 있고, 특히 투어멀린을 재가공 하면 할수록 전류가 더 많이 흐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표 1에 따른 원료조성물을 준비하고 신발 제조장치로 원료혼합기, 사출기, 금형, 압출기 등에 투입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온을 한 후 공기취입성형, 압출성형, 열성형, 사출성형, 압축성형 중 선택된 공정을 통하여 아웃솔 공간 사이에 삽입되는 투어멀린을 통해서 발의 질병 및 예방 치료 그리고 탈취기능을 강화시킨 컴파운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컴파운드화 한 투어멀린이 원적외선 방사로 인해 향균, 제균, 탈취, 아토피, 건조증 및 혈류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장치(200)의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의 각각은 도 3a에 도시된 진동생성바보다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진동에 따른 파장의 세기가 더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장치(200)의 진동생성바는 'ㄹ'자 형상을 가지고 그 끝단에 무게감이 실리게 되므로 작은 충격이나 요동에도 반응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11)에만 자석이 구비(241, 243, 243)이 구비되고, 하부케이스(212)에는 자석이 생략됨에 따른 진동량 감소 효과를, 진동생성바의 'ㄹ'자 형상에 따른 진동량 증가 효과가 감쇄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진동 정도의 적정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제조의 복잡도와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진동생성바의 'ㄹ'자 형상에 따에 따라 더 강하고 더 긴 여윤을 가진 진동이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의 소재로는 수지계 재로로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제조비용 측면에서 유리하고 내구성이 좋고 밀도가 적어 가볍다. 그리고 탄성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카(Mika), 탈크(Talc) 등의 광물질이나 탄소섬유, 글라스 섬유 등의 저밀도 강화섬유를 첨가하여 결정화도를 높인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전술한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310, 320, 330)의 소재로는 LCP(Liquid Creystal Polymer)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 금속성 재료인 티타늄, 튜랄루린(Duralumin) 등의 알미늄 합금, 마그네슘합금, 베릴리움(Berylium) 등의 재료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2 수납홈(123)에는 광물 파우더가 삽입되거나, 광물 파우더가 함유된 젤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수납홈(123)에는 광물파우더 원료가 혼합된 젤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젤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광물파우더가 혼합될 수 있다. 젤부는 쿠션감을 제공함과 광물파우더는 걸을 때 열의 발생을 유도하여 겨울철에 발의 보온 효과를 높이고, 발의 전체적으로 열을 제공하여 치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광물파우더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단계: 제올라이트 20%, 각섬석 10%, 맥반석 10%, 일라이트 10%, 흑운모 10%, 토르마린 20%, 백토 10%로 이우러진 7가지 광물질을 325mesh로 분쇄
제2 단계: 발열체 내부에서 3일 동안 섭씨 1100도의 온도에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미세한 파우더로 제조하고 유해가스 및 불순물을 배출
제3 단계: 제1 및 제2 단계를 통해 독소와 불순물이 배출된 7종의 원석에 수증기를 투여하여 흡착 표면 도포 효과를 증대시키면서 뽕나무 껍질 30%, 솔잎 25%, 편백 20%, 생강나무 15%, 싸리나무 15%로 이루어진 액상 또는 분쇄가루식물성 유기물과 미생물을 투여하여 미네랄 광물 파우더를 제조. 이 때 수증기를 투여하여 흡착 표면 도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제4 단계: 미생물 활성화를 위해 2일 동안 섭씨 30도에서 건조
전술한 미생물은 유산균 50%, 방성균 15%, 효모균 20%, 광합성균 1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생물을 상온에서 3일 동안 배지를 통해 포집하게 함으로써 식물성 유기물과 미생물이 함유된 광물 파우더가 제조될 수 있다.
발열체는 황토 30%, 견운모 30% 감람석 40%로 구성된 몰리브덴 섭씨 1300~1800도의 고온 발열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의 내부에는 고온을 생성하는 내부로가 구비되고, 발열체의 외측에는 연소로가 감겨서 구성되고, 내부로에는 고온의 수증기가 발생된다.
한편, 1단계와 같은 구성비를 통해 광물질의 비중이 가벼워지면서 광석의 차가운 성질을 따뜻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발열체의 구성비를 통해 발열체로부터 원적외선과 파동에너지를 다량 방출하여 발열체 내의 7가지 광물질의 고온 가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6은 그 밖의 다양한 자기진동생성부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6은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기진동생성부(300)는 전술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가이드링(390)의 가장자리의 영역은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이나 일부분만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나머지는 직선 형상을 가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갑피부, 아웃솔 및 미들솔로 구성된 솔과 갑피로 구성된 신발; 및
    상기 아웃솔에 수납되고 보행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진동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생성하는 자기진동생성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자기진동생성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3축 수직 방향으로 진동을 유도하는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신발 끝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자기진동생성부의 진동을 조절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진동생성부는,
    가이드링,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일측 제1 영역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1 진동생성바,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일측 제2 영역에서 연장되어 타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2 진동생성바 및 상기 가이드링의 내측 가장자리의 상기 타측 제3 영역에서 연장되어 상기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3 진동생성바로 구성된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3 진동생성바는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사이에 위치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생성바 각각의 끝단 상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상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마주하는 영역에 제1 내지 제3 하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홀 각각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홀 각각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을 더 포함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척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은 상기 제1 내지 제3 진동바자석과 척력을 형성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각각은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고,
    상기 제3 진동생성바는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신발 끝의 반복적인 내회전 또는 외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진동생성바 중 어느 하나의 진동의 폭을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은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석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아웃솔에 설치된 제어장치; 및
    상기 아웃솔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의 이동 방향을 센싱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자의 걸음걸이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상부자석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하부자석의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상기 착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느끼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착용자로 하여금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KR1020200017507A 2020-02-13 2020-02-13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KR10229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507A KR102295980B1 (ko) 2020-02-13 2020-02-13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507A KR102295980B1 (ko) 2020-02-13 2020-02-13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139A true KR20210103139A (ko) 2021-08-23
KR102295980B1 KR102295980B1 (ko) 2021-08-30

Family

ID=7749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507A KR102295980B1 (ko) 2020-02-13 2020-02-13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25B1 (ko) * 2022-12-20 2023-05-26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섹션형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진동 모듈
KR102557301B1 (ko) * 2022-12-26 2023-07-26 주식회사 슈올즈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369B1 (ko) 2009-09-21 2010-02-11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20110067903A (ko) * 2009-12-15 2011-06-22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20170004380A (ko) * 2015-07-02 2017-01-11 강성철 응급상황인식 및 걸음교정용 진동인솔
KR101978880B1 (ko) *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369B1 (ko) 2009-09-21 2010-02-11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KR20110067903A (ko) * 2009-12-15 2011-06-22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101158760B1 (ko) * 2009-12-15 2012-06-22 웰니스힐스 주식회사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KR20170004380A (ko) * 2015-07-02 2017-01-11 강성철 응급상황인식 및 걸음교정용 진동인솔
KR101978880B1 (ko) * 2018-08-16 2019-05-15 (주)프라미스 자력을 이용한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125B1 (ko) * 2022-12-20 2023-05-26 이청근 자력을 이용한 섹션형 진동플레이트를 갖는 진동 모듈
EP4388913A1 (en) * 2022-12-20 2024-06-26 Lee, Cheonggeun Vibration module equipped with section-type vibration plates using magnetic force
KR102557301B1 (ko) * 2022-12-26 2023-07-26 주식회사 슈올즈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980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980B1 (ko) 바른 보행을 유도하는 자기진동장치를 구비한 신발
CN107157014A (zh) 一种足部理疗鞋垫
CN101005779A (zh) 产生振动和负离子的枕头
KR100759499B1 (ko) 건강보조기구
KR101269979B1 (ko) 신발의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신발 깔창
CN206026659U (zh) 一种足部按摩仪
KR200467023Y1 (ko) 그라파이트가 함유된 건강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649983B1 (ko) 안마 겸용 복합 침대
CN105362059B (zh) 新型水疗床
CN108245782A (zh) 一种超薄型保健用新型护颈
CN209404213U (zh) 一种多功能婴儿垫
KR100592519B1 (ko) 원적외선 발산체가 함유된 원열치료기
KR101511341B1 (ko) 기능성 칩이 내장되는 건강방석
CN206499019U (zh) 智能微循环理疗鞋垫
CN108567268A (zh) 一种多功能婴儿垫
KR101577965B1 (ko) 쾌변기
CN101333721A (zh) 多功能布料
KR102494115B1 (ko) 펄스 전자기장을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36339B1 (ko) 진동기능을 갖는 신발
CN207544453U (zh) 光触媒抑菌减震鞋垫
KR101503148B1 (ko) 음이온 부직포 신발 깔창 및 그 제조방법
CN109123908A (zh) 一种石墨烯抑菌鞋垫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7913170A (zh) 一种按摩理疗仪的控制方法
KR200332839Y1 (ko) 의료용 전기온열 매트
KR20210103141A (ko) 당뇨 예방 및 치유를 위한 기능성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