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860A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860A
KR20190088860A KR1020180086948A KR20180086948A KR20190088860A KR 20190088860 A KR20190088860 A KR 20190088860A KR 1020180086948 A KR1020180086948 A KR 1020180086948A KR 20180086948 A KR20180086948 A KR 20180086948A KR 20190088860 A KR20190088860 A KR 2019008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late
vibration plate
magnet
vibr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훈
리잉주
천용
Original Assignee
조재훈
천용
리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훈, 천용, 리잉주 filed Critical 조재훈
Priority to KR102018008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8860A/ko
Publication of KR2019008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폭 치수에 비해 긴 길이 치수를 갖는 판상의 진동플레이트;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폭 방향 좌우로 돌출되는 지지편; 상기 각 지지편의 각 단부를 구속하면서 결합되어 상기 진동플레이트를 수용하게 되는 상하부 케이싱;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길이방향 각 단부 중 한 곳 이상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마그네트; 상기 코어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상기 상부 케이싱에 고정되어 척력을 발생시키는 어퍼 마그네트; 상기 코어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상기 하부 케이싱에 고정되어 척력을 발생시키는 바텀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ion crea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진동발생장치는 신발에 내장되어 사용될 때 보행시 마다 진동이 발생되어 발바닥을 통한 자극에 의한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2족 보행을 하는 인간에게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신체 부위가 발이라 할 수 있으며, 의학적으로도 발바닥은 각종 장기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런 연유로 발을 제2의 심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신발은 발을 감싸 보호하는 기능을 하지만, 때론 신발을 착용함에 따라 발에 상처가 나기도 하고 혈액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공기 소통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무좀과 같은 다양한 피부 질환이 쉽게 생기기도 한다.
발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등 신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목적으로 신발에 내장되는 진동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022호의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가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진동발생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진동발생수단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진동발생수단은 상부케이스(51a)와 하부케이스(51b) 사이로 진동판(54)이 내장되며, 진동판(54)은 전체적으로 트랙형상을 이루되, 길이 방향으로 엇갈리게 3개의 진동대(54a)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진동대의 일단은 상하부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진동대(54a)의 자유단에는 진동자석체(55)가 장착되며, 진동자석체(55)에 대향하여 상부케이스(51a)에는 상부자석체(52)가 마련되고, 하부케이스(51b)에는 하부자석체(53)가 구비된다.
한편, 진동자석체에 대해 상부자석체 및 하부자석체는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극이 형성되게 하여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을 할 때의 흔들림에 의해 진동대는 빠르게 상하 움직이면서 진동(떨림)을 발생시키게 된다.
종래기술의 진동발생수단의 경우 진동판을 구성하는 각각의 진동대가 일단은 고정단이 되고 타단은 자유단이 되는 구성이므로 진동대의 자유단에서만 진동이 유발되므로 충분한 진동을 발생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진동발생수단의 효과를 부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022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발 등에 내장되는 진동발생장치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가 신발의 신발창에 설치되게 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을 하는 것만으로도 발을 통해 진동이 전달되면서 혈류개선 등의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폭 치수에 비해 긴 길이 치수를 갖는 판상의 진동플레이트;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폭 방향 좌우로 돌출되는 지지편; 상기 각 지지편의 각 단부를 구속하면서 결합되어 상기 진동플레이트가 들뜬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케이싱;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길이방향 각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 마그네트; 상기 코어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상기 상부 케이싱에 고정되어 척력을 발생시키는 어퍼 마그네트; 상기 코어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상기 하부 케이싱에 고정되어 척력을 발생시키는 바텀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동플레이트는, 길이방향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동플레이트는, 제1진동플레이트와 제2진동플레이트가 공유 지지편으로 연결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신발과 같이 사람이 신체에 착용하는 의류나 신발류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사람의 움직임에 의해 진동발생장치에서 자력에 의한 떨림이 발생되면서 사용자의 발바닥을 통해 진동이 전달되면서 자극을 주게 됨으로써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신체에 유익함을 제공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자력에 의해 사람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구조상 보다 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발생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는 진동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진동플레이트의 좌우 양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양쪽에서 떨림이 발생되기 때문에 진동지속 시간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진동발생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진동발생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신발창에 진동발생장치가 장착된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상하부 케이싱의 조립을 위한 조립홀더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사람이 신체에 착용하는 의류나 신발류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그 외 사람에게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신발에 적용되는 경우를 제시하지만 신발은 진동발생장치가 접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신발창에 진동발생장치가 장착된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상하부 케이싱의 조립을 위한 조립홀더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진동플레이트(100), 지지편(200), 상하부 케이싱(300), 코어 마그네트(400), 어퍼 마그네트(500), 바텀 마그네트(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플레이트(100)는 금속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얇은 두께의 판상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진동플레이트(100)는 폭 치수에 비해 긴 길이 치수를 갖는 판상 형상을 이루게 되며, 진동플레이트(100)의 폭 방향 좌우로 지지편(200)이 하나씩 돌출 형성된다.
진동플레이트(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하부 케이싱(300)이 마련되며, 상하부 케이싱(300)은 개별로 제작된 후 상호 결합을 시키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진동플레이트(100)의 좌우로 돌출된 지지편(200)의 각 단부가 상하부 케이싱(300)의 결합면에서 구속되는 형태로 설치가 된다.
상하부 케이싱(300)은 도 9와 같이 좌우 양단부에 조립홀더(310)를 끼워서 간편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편(200)에 의해 진동플레이트(100)는 상하부 케이싱(300) 내부에 길이 방향 양단부가 자유단을 이루면서 내장되며, 진동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각 단부 중 한 곳 이상에 코어 마그네트(400)가 설치된다. 즉, 코어 마그네트(400)는 진동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각 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거나 양단부에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코어 마그네트(400)와 마주보게 상부 케이싱(300a)에 고정되어 척력을 발생시키는 어퍼 마그네트(500)가 구비되며, 하부 케이싱(300b)에도 코어 마그네트(400)와 마주보는 형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바텀 마그네트(6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상하부 케이싱(300) 내부에 장착되는 진동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비구속 상태인 자유단을 이루되, 각 단부 중 한 곳 혹은 두 곳에 코어 마그네트(400)가 설치되고, 코어 마그네트(400)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부 케이싱(300a)에는 어퍼 마그네트(500)가 설치되고, 하부 케이싱(300b)에는 바텀 마그네트(600)가 설치됨에 따라 자석의 척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진동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자유단을 이루고, 상하부 케이싱(3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진동플레이트(100)의 폭 방향 좌우로 돌출되는 지지편(200)을 이용하여 구속이 이루어지게 하기 때문에 진동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 모두에서 진동이 발생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즉, 상하부 케이싱(300)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플레이트(100)는 들뜬 상태를 이루게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양 단부가 자유단을 형성함으로써 들뜬 상태가 되어 진동유발이 양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진동플레이트(10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동플레이트(100)가 좌우 비대칭을 이루게 되면 미소하지만 중심부를 기준으로 할 때 좌우 중량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진동유발시 보다 큰 진동을 형성시키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진동플레이트(100)가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진동플레이트(100)들은 상하부 케이싱(300)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진동플레이트(100)가 하나인 경우 보다 2개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더 큰 진동유발이 가능하며, 3개의 진동플레이트가 구비되면 2개의 진동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큰 진동유발이 가능하다.
하나의 진동발생장치를 구성하는 진동플레이트(100)의 갯수는 상하부 케이싱(300)의 크기를 고려하거나 요구되는 진동발생 정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갯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진동플레이트(100)가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며, 구분하여 제1진동플레이트(100a), 제2진동플레이트(100b)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제1진동플레이트(100a)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의 내측은 공유 지지편(200a)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공유 지지편(200a)에 의해 제1진동플레이트(100a)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는 서로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제1진동플레이트(100a)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가 공유 지지편(200a)으로 연결되는 형태인 경우에는 상하부 케이싱(300)의 센터라인(C)을 따라 돌출되는 지지블럭(320)을 형성시켜서 지지블럭(320)에 의해 공유 지지편(200a)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공유 지지편(200a)은 평행한 제1진동플레이트(100a) 및 제2진동플레이트(100b)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연결시키게 되되, 공유 지지편(200a)과 교차되면서 제1진동플레이트(100a), 제2진동플레이트(100b)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편(210)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연장편(210)도 지지블럭(320)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지지블럭(320)에 의해 공유지지편(200a)과 이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210)이 지지되므로 제1진동플레이트(100a)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는 서로 연결되어 있되, 진동 유발 동작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제1진동플레이트(100a)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가 평행하게 배치될 때, 각 진동플레이트(100a,100b)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200)은 제1진동플레이트(100a)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의 총 길이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진동플레이트(100a)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편(200)과 제2진동플레이트(100b)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편(200)은 상호 반대방향에 형성되도록 하고, 각각의 내측 지지편(200)들은 상하부 케이싱(300)의 센터라인(C)을 따라 돌출되는 지지블럭(320)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제1진동플레이트(100a)로부터 형성되는 지지편(200)의 위치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로부터 형성되는 지지편(200)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내측 지지편(200)은 길다란 지지블럭(320)에 개별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도 있으며, 조립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내측 지지편(200)들을 연결편(220)으로 상호 연결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제1진동플레이트(100a)와 제2진동플레이트(100b)가 일체가 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두 개의 내측 지지편(200)들이 연결편(220)으로 연결된 상태인 바, 연결편(220)을 지지블럭(320)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신발에 내장되는 형태로 실제 사용될 수 있으며, 진동발생장치(A)가 설치된 신발을 착용하고 사람이 보행을 하게 되면, 보행에 따른 움직임으로 인해 진동발생장치(A)의 진동플레이트(100)가 움직이게 되고 진동플레이트(10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코어 마그네트(400)와 어퍼 마그네트(500) 및 바텀 마그네트(6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진동플레이트(100)는 빠르게 상하로 떨리게 되며, 이로 인해 사람이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진동을 발생시켜서 사람에게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진동발생장치(A)에 코어 마그네트(400), 어퍼 마그네트(500), 바텀 마그네트(600)가 내장되기 때문에 자력이 신체에 영향을 주게 되어 혈류 개선 효과와 같은 유익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진동발생장치(A)로부터 발생되는 진동(떨림)에 의한 저주파는 신체로 전달되는데, 특히 신발에 진동발생장치(A)가 내장되는 경우 발바닥을 통해 저주파가 전달되면서 발바닥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발의 피로를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신체 전반의 기능을 좋게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특히, 당뇨 환자들의 경우 조금의 상처에도 조심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신발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발의 혈액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일반 사람들에 비해 큰 고통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진동발생장치(A)가 내장되는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당뇨환자와 같이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신체 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에게 건강을 유지 및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A)는 사람이 신체에 착용하는 의류나 신발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도 5와 같이 신발창(10)의 내부에 진동발생장치(A)가 내장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발창을 구성하는 미드솔에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A)는 우수한 진동발생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콤팩트하게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신발창(10)의 후족부는 물론이고 전족부에도 큰 무리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신발창에 장착되어 진동발생장치가 구비되는 신발로 제품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하는 것만으로도 발의 건강은 물론이고 신체 전반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장치는 사람이 착용하는 신발이나 의류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유익함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진동발생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A : 진동발생장치
100 : 진동플레이트
100a: 제1진동플레이트 100b: 제2진동플레이트
200 : 지지편
200a: 공유 지지편 210 : 연장편
220 : 연결편
300 : 상하부 케이싱
310 : 조립홀더 320 : 지지블럭
300a: 상부 케이싱 300b: 하부 케이싱
400 : 코어 마그네트
500 : 어퍼 마그네트
600 : 바텀 마그네트
10 : 신발창

Claims (3)

  1. 폭 치수에 비해 긴 길이 치수를 갖는 판상의 진동플레이트;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폭 방향 좌우로 돌출되는 지지편;
    상기 각 지지편의 각 단부를 구속하면서 결합되어 상기 진동플레이트가 들뜬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하부 케이싱;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길이방향 각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 마그네트;
    상기 코어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상기 상부 케이싱에 고정되어 척력을 발생시키는 어퍼 마그네트;
    상기 코어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상기 하부 케이싱에 고정되어 척력을 발생시키는 바텀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는,
    길이방향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는,
    제1진동플레이트와 제2진동플레이트가 공유 지지편으로 연결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KR1020180086948A 2018-07-26 2018-07-26 진동발생장치 KR20190088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48A KR20190088860A (ko) 2018-07-26 2018-07-26 진동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948A KR20190088860A (ko) 2018-07-26 2018-07-26 진동발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996 Division 2018-01-19 2018-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860A true KR20190088860A (ko) 2019-07-29

Family

ID=6748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948A KR20190088860A (ko) 2018-07-26 2018-07-26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88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776B1 (ko) 2022-04-11 2022-12-22 박덕환 진동겸 에어펌핑용 신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022B1 (ko) 2012-08-13 2013-02-07 하상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022B1 (ko) 2012-08-13 2013-02-07 하상규 진동발생수단이 내장된 구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776B1 (ko) 2022-04-11 2022-12-22 박덕환 진동겸 에어펌핑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9741B2 (ja) 振動が発生する履物およびその振動装置
KR101158760B1 (ko) 신발 등에 구비되는 진동장치
US20050126049A1 (en) Therapeutic vibrating shoe
KR101121540B1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가 구비된 기능성 건강신발
EP2428198A2 (en) Magnetic vibration apparatus using external pressure, and shoe having same installed therein
KR101998706B1 (ko)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KR101903704B1 (ko) 진동발생장치
US11751627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KR20210014550A (ko) 혈류 개선을 위한 진동장치, 이를 구비한 건강신발, 깔창 및 안마기
KR20190088860A (ko) 진동발생장치
KR101642347B1 (ko)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CN110785097B (zh) 功能鞋
KR20130004190A (ko) 탄성지압볼이 내장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이 구성된 기능성 신발
KR20120127383A (ko) 지압볼이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이 구성된 기능성 신발
CN110051074B (zh) 振动产生装置
EP1709880A1 (en) Shoe with outer sole provided with electric vibrator device
KR101300896B1 (ko) 성장판 자극 신발
KR102557301B1 (ko) 용천혈 자극 기능을 겸한 건강 증진형 기능성 건강신발
GB2310785A (en) Massaging footwear
KR200191763Y1 (ko) 다기능을 갖는 발바닥 지압기
KR102458235B1 (ko) 진동 발생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406339Y1 (ko) 깔창
KR102480776B1 (ko) 진동겸 에어펌핑용 신발
JP3210820U (ja) 下駄
KR102027060B1 (ko) 아치부를 자극할 수 있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