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339Y1 - 깔창 - Google Patents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339Y1
KR200406339Y1 KR2020050025317U KR20050025317U KR200406339Y1 KR 200406339 Y1 KR200406339 Y1 KR 200406339Y1 KR 2020050025317 U KR2020050025317 U KR 2020050025317U KR 20050025317 U KR20050025317 U KR 20050025317U KR 200406339 Y1 KR200406339 Y1 KR 200406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insole
heel
sho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홍인
이용탁
Original Assignee
안홍인
이용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홍인, 이용탁 filed Critical 안홍인
Priority to KR2020050025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3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바닥의 뒤꿈치부터 발바닥의 오목부까지가 접촉될 수 는 형있상으로 발바닥의 오목무에 밀착되어 평발을 교정해주고,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깔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깔창은 전단에 형성되어 신발의 바닥에 밀착되는 최전단부; 상기 최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발바닥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뒤꿈치부; 및 상기 최전단부와 뒤꿈치부 사이에 형성되고, 신발의 내측벽에 접하게 되는 측면부;가 포함되고, 상기 최전단부로부터 뒤꿈치부에 이르기까지 만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깔창의 구조에 의해서, 발바닥의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오목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깔창으로 인하여 발바닥의 오목부가 효과적으로 지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바박의 오목부가 효율적으로 압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중의 압박부가 구비되어 발바닥의 오목부가 이중으로 압박되는 장점이 있다.
깔창, 압박부, 오목부

Description

깔창{Sole}
도 1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이 착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깔창 110 : 압박부 120 : 최전단부
130 : 뒤꿈치벽 140 : 뒤꿈치부 150 : 자석
160 : 통공 170,171:측면벽 180,181:측면부
190 : 완충홈 191 : 보강살 200:뒤꿈치바닥부
본 고안은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바닥의 뒤꿈치부터 발바닥의 오목부까지가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발바닥의 오목무에 밀착되어 평발을 교정해주고,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깔창에 관한 것이다.
발은 26개의 뼈와 33~38개의 관절, 20개의 근육 그리고 100개 이상의 인대로 이루어져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발뒤꿈치와 발바닥 앞쪽의 볼록한 부분만으로 지면을 밟을 때 척추에 오는 충격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한의학적으로는 12개의 경락이 시작되는 곳이며, 체내의 장기와 5장 6부와 반응하는 36개의 혈이 존재하고, 특히 발바닥에는 위, 신장, 간, 눈, 귀등 신체의 각 기관과 연결되는 혈관 신경이 집중되어 있어서 인체의 축소판이기도 하다. 그리고, 걸을 때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은 무수한 모세혈관이 펌핑하면서 혈액을 위로 올려 보낸다고 해서 제 2의 심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매우 중요한 부위이다.
또한, 예로부터 발 관리를 중요시해 왔으며, 현재에 이르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발에 대한 연구와 발관리에 대한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데, 발 마시지를 받거나 스스로 발 마사지를 하는 방법 이외에 간편하게 발바닥에 지압 및 마사지를 할 수 있는 발 보조 기구가 등장한다.
그리고, 발 보조 기구의 하나로 지압용 신발 깔창이 있는데, 이는 지압을 목적으로 일부나 전체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지압용 신발 깔창은 발바닥의 아치형 오목부와 유사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착용시 실질적으로 발바닥의 오목부가 압박되는 정도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평발을 교정할 목적으로 발바닥의 오목부와 유사한 형상이 포함된 깔창이 제안되고 있으나, 발바닥 전체 형상중에서 일부만이 돌출되어 발바 닥의 오목부에 접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발바닥의 오목부에 밀착되는 정도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발바닥의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오목부까지를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깔창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바박의 오목부가 효율적으로 압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중의 압박부가 구비된 깔창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바닥의 발뒤꿈치로부터 발바닥 오목부까지가 접촉되면서, 신발 내에서 요동되지 않도록 깔창의 주변부가 신발 내벽에 밀찰되도록 형성된 깔창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바닥의 지압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자석이 포함된 깔창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깔창은 발바닥의 오목부에 접할 수 있도록 아치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깔창에 있어서, 깔창의 전단에 형성되는 최전단부; 상기 깔창의 후방에 형성되고, 발바닥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뒤꿈치부; 상기 최전단부와 뒤꿈치부 사이에 형성되고, 신발의 내측벽에 접하게 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내측으로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압박부;가 포함되고, 발바닥의 발뒤꿈치부터 발바닥의 오목부까지 접하게되는 크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깔창의 구조에 의해서, 발바닥의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오목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깔창으로 인하여 발바닥의 오목부가 효과적으로 지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바박의 오목부가 효율적으로 압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중의 압박부가 구비되어 발바닥의 오목부가 이중으로 압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깔창의 주변부가 소정 길이 연장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깔창이 신발 내에서 요동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바닥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닿도록 하여 발바닥의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의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이 착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깔창(100)은 발바닥의 발뒷꿈치부터 발바닥의 오목부(또는 아치부)까지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깔창(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발바닥의 오목부와 대략 유사하게 이루어져 발바닥의 오목부가 압박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깔창(10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압박부(110)에 의하여 발바닥의 오목부가 이중으로 압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바닥이 평발인 경우에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진 깔창(100) 및 상기 압박부(110)에 의하여 발바닥의 오목부가 압박됨으로써, 발바닥의 피로가 누적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깔창(100)은 발바닥의 발뒤꿈치로부터 발바닥의 오목부까지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깔창(100)의 대략 중앙부에는 발바닥의 오목부와 유사한 형상으로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깔창(100)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왼발에 사용되는 깔창(10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깔창(100)은 발바닥의 뒷꿈치가 안착되는 뒤꿈치부(140)와, 상기 뒤꿈치부(140)의 후면에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뒤꿈치벽(130)과, 상기 뒤꿈치부(140)로부터 만곡형성되는 부위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부(180,181)와, 상기 측면부(180,181)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측면벽(170,171)과, 선단부에 형성되어 신발의 바닥과 접촉되는 최전단부(120)와, 상기 측면부(180,181)와 최전단부(120) 사이에 돌출형성된 압박부(1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소정 크기로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160)과, 발바닥 오목부의 중요한 지압과 대응되는 위치에 접하는 자석(150)과, 상기 최전단부(120)의 일측에 소정 두께로 돌출된 다수개의 요철(121)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뒤꿈치부(140)로부터 최전단부(120)에 이르는 길이는 대략 발바닥의 뒤꿈치부터 오목부에 이르도록 형성되며, 남성의 평균 발 사이즈와 여성의 평균 발 사이즈의 차이를 고려하여 2가지로 종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80,181)는 발바닥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180,181)가 형성되는 내측의 중앙부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되어 발바닥의 오목부가 압박된다.
다시 말하면, 아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깔창(100)의 대략 중앙부의 측면에 상기 측면부(180,181)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미도시)가 발바닥의 오목부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80,181)로부터 소정 길이 연정 형성된 측면벽(170,171)은 본 고안에 따른 깔창(100)이 신발의 내측벽에서 밀착되어, 신발 내에서 상기 깔창(100)이 요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뒤꿈치부(140)는 발바닥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도록 소정 두께 함몰 형성되며, 상기 뒤꿈치부(140)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뒤꿈치벽(130)은 신발 내의 후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최전단부(120)는 발바닥의 오목부가 대략 끝나는 부분에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80,181)보다 좌우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신발 바닥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최전단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요철(121)은 발바닥의 오목부 단부 일측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깔창(100)의 착용시 상기 깔창 (100)이 신발 내에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최전단부(120)의 후방에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된 상기 압박부(110)는 발바닥의 오목부가 이중으로 압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깔창(100)을 착용하는 경우에 발바닥의 오목부가 아치형으로 형성된 상기 측면부(180,181) 및 압박부(110)에 의하여 압박됨으로써, 사용자의 걸음걸이 및 평발이 교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박부(110)의 후방에는 소정의 자기가 발생되는 자석(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150)은 상기 깔창(10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소정의 자석홈(미도시)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자석(150) 주변에 다수개의 통공(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15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가 발바닥의 오목부에 가해지게 되면, 발바닥의 혈관을 흐르는 혈액중의 철분의 활동이 활발하게 되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발바닥 세포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어 피로회복에 도움이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깔창을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깔창(100)은 뒤꿈치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형성된 뒤꿈치벽(130)과, 상기 뒤꿈치벽(130)의 저면에 형성되어 신발 바닥과 접하게 되는 뒤꿈치바닥부(200)와, 상기 뒤꿈치바닥부(200)로부터 만곡형성되어 아치형상을 이루는 측면부(180,181)와, 상기 측면부(18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벽(171)과, 상기 측면부(181)의 바닥면에 격자형으로 형성된 보강살 (191)과, 상기 보강살(191) 사이에 소정 크기의 홈으로 형성된 완충홈(190)과, 상기 완충홈(190) 내부에 형성된 통공(16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보강살(191)은 상기 깔창(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아치형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발바닥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살(191) 사이에 형성된 완충홈(190)은 다수개 제공되고, 상기 완충홈(190) 내부에 형성된 통공(160) 또한 다수개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깔창(100)을 착용하는 경우에 상기 완충홈(190) 및 보강살(191)에 의하여 상하측으로 쿠션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깔창(100)의 아치형상 및 압박부(110)에 의하여 발바닥의 오목부가 더욱 압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홈(19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공(160)의 상기 깔창(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깔창(100)이 신발 내에 장착되는 경우에 통기가 흐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깔창(100)이 신발 내에 착용되는 경우에 상기 보강살(191) 및 완충홈(190)에 의하여 상하측으로 완충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살(191) 및 완충홈(190)의 반대편에 형성된 대략 중앙부의 아치 형상 및 압박부(110)에 의하여 발바닥의 오목부가 지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깔창의 구조에 의해서, 발바닥의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오목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깔창으로 인하여 발바닥의 오목부가 효과적으로 지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바박의 오목부가 효율적으로 압박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중의 압박부가 구비되어 발바닥의 오목부가 이중으로 압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깔창의 주변부가 소정 길이 연장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깔창이 신발 내에서 요동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바닥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닿도록 하여 발바닥의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전단에 형성되어 신발의 바닥에 밀착되는 최전단부;
    상기 최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압박부;
    상기 압박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발바닥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뒤꿈치부; 및
    상기 최전단부와 뒤꿈치부 사이에 형성되고, 신발의 내측벽에 접하게 되는 측면부;가 포함되고,
    상기 최전단부로부터 뒤꿈치부에 이르기까지 만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 주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단부로부터 뒤꿈치부까지 이르는 길이는 발바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완충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완충홈의 내부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자석홈에 삽입고정되는 자석이 더 포함되는 깔창.
  6. 발바닥의 뒤꿈치가 안착되는 뒤꿈치부;
    상기 뒤꿈치부로부터 만곡형성되고,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된 압박부;
    상기 압박부로부터 만곡되는 전단에 형성되는 최전단부;
    상기 압박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고, 자석홈에 삽입고정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 주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이 포함되는 깔창.
KR2020050025317U 2005-09-01 2005-09-01 깔창 KR200406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17U KR200406339Y1 (ko) 2005-09-01 2005-09-01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317U KR200406339Y1 (ko) 2005-09-01 2005-09-01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339Y1 true KR200406339Y1 (ko) 2006-01-20

Family

ID=4175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317U KR200406339Y1 (ko) 2005-09-01 2005-09-01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3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08B1 (ko) 2006-02-21 2007-07-06 김진호 골프화
KR101148042B1 (ko) 2009-07-13 2012-05-24 휴먼전자 주식회사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208B1 (ko) 2006-02-21 2007-07-06 김진호 골프화
KR101148042B1 (ko) 2009-07-13 2012-05-24 휴먼전자 주식회사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WO2020021622A1 (ja) 靴用インソール
KR20130004190A (ko) 탄성지압볼이 내장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이 구성된 기능성 신발
KR200406339Y1 (ko) 깔창
KR101307598B1 (ko) 지압볼이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신발창
US11751627B2 (en) Vibration generator and shoe having same
JP4881121B2 (ja) 足底板の装着方法
KR200404513Y1 (ko) 신발용 발 교정구
JP3260668B2 (ja) 靴のソール
KR101730295B1 (ko) 지압기능을 갖춘 구두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JP3106354U (ja) 健康履物及び健康履物器具
KR200337740Y1 (ko) 지압편이 부착된 신발깔창
CN211882513U (zh) 一种鞋垫
KR20100004395U (ko) 지압용 신발창
KR101220444B1 (ko) 신발창
TWI753406B (zh) 具有激活功能的鞋件
JP3222557U (ja) サンダル
KR101180438B1 (ko) 충격 흡수 및 지압 기능을 갖는 신발 및 깔창
KR200392960Y1 (ko) 신체균형을 위한 교정용 깔창
JP3208765U (ja) 下駄
KR20100137915A (ko) 발가락 부위를 지압하여 혈류 흐름을 개선한 기능성 토캡
JP3085706U (ja) 中敷交換履物
KR100732496B1 (ko) 지압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