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042B1 -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042B1
KR101148042B1 KR1020090063635A KR20090063635A KR101148042B1 KR 101148042 B1 KR101148042 B1 KR 101148042B1 KR 1020090063635 A KR1020090063635 A KR 1020090063635A KR 20090063635 A KR20090063635 A KR 20090063635A KR 101148042 B1 KR101148042 B1 KR 10114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coupling groove
shoe
foo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138A (ko
Inventor
윤 식 최
Original Assignee
휴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0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발교정구에 있어서 용천부를 자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천부에 대한 자극이 장시간 되더라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발내에 개재되는 깔창부 및 상기 깔창부 위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는 깔창부 표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부착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를 감싸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깔창부에는 착용자의 발폭 사이즈를 맞추어 주는 쿠션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깔창부의 후단부에는 발 종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장시간 보행시에도 착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접촉되어 이물감 유발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발 깔창, 용천부, 용천부 자극부재, 결합홈, 절삭툴, 쿠션부재

Description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Manufacturing method and functional sole of shoe}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용천부를 자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천부에 대한 자극이 장시간 되더라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걷거나 뛸 경우, 지면으로부터 전달받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위험한 물체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신발을 신게 된다.
이러한 신발은 통상 갑피와 밑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갑피는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밑창은 착용자의 발바닥이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밑창의 상면에는 깔창을 추가적으로 개재하여 신발에 대한 착용감과 완충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산업의 급격한 발전에 발맞춰 생활건강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의 일환으로 인체의 축소판이라 일컬어지는 발바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발바닥에는 여러 개의 반사신경이 존재하는데, 각 반사신경들은 신체기관과 연결되어 있어서 발바닥에 존재하는 반사신경을 자극하게 되면 인체 각 인체기관에 대한 혈액순환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깔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깔창(1)의 표면 일측에는 착용자 발의 용천부를 자극시키기 위한 용천부 자극부재(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10)는 착용자의 5개 발가락 중 엄지발가락으로부터 2번째 중족골과 3번째 중족골 사이 후방에 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에 형성된 용천부 자극부재(10)는 그 표면으로부터 급격히 돌출형성됨에 따라 장시간 신발을 신고 보행할 경우 발바닥에 대한 이물감이 느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신발을 신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발가락 끝이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10)에 충격을 전달하여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보행시에도 이물감을 주지 않는 구조의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깔창부와 용천부 자극부재 상호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그에 따른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은 신발내에 개재되는 깔창부 및 상기 깔창부 위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는 깔창부 표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부착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를 감싸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에는 절삭툴의 가공에 의해 가공 흔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깔창부의 적어도 일부 테두리면에는 착용자의 발폭 사이즈를 맞추어 주는 쿠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깔창부의 선단부는 앞쪽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깔창부의 후단부에는 발의 뒷꿈치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와 커버부재 각각은 실리콘 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되, 각 소재에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게르마늄이 추가적으로 도포되거나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바닥면에는 빗살무늬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조하는 방법은 신발내에 개재되는 깔창부 및 상기 깔창부 위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 모양, 크기 및 용천부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족문 스캔수단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족문 스캔수단의 측정값에 맞추어 깔창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사출된 깔창부를 용천가공용 지그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용천가공용 지그에 고정된 깔창부에 대하여 절삭툴을 사용하여 결합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홈을 형성한 깔창부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족문 스캔수단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맞는 용천부를 위치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 천부 자극부재는 완만한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시간 보행시에도 착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접촉되어 이물감 유발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깔창부에는 절삭툴을 사용한 결합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충격으로부터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가 손상되거나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깔창부의 선단부는 신발 내부 바닥면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말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가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바닥면이 깔창부의 중심부를 가압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깔창부의 선단부가 들뜸되거나 이 들뜸된 현상이 착용자의 발바닥면에 대하여 불편한 자극이 전달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깔창부에는 착용자의 발폭 사이즈를 정확히 맞추어 보다 편안한 안착감을 제공하는 쿠션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발폭 사이즈를 맞추기 위한 금형의 갯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피로감을 한층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깔창부의 후단부에는 충격흡수부재를 형성하고 이 충격흡수부재의 일면에는 빗살무늬 홈을 형성함으로써, 보행하는 착용자 발의 종골을 보다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빗살무늬 홈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1000)은 크게, 신발 내에 개재되는 깔창부(100)와, 상기 깔창부(100)의 앞 발바닥 부위에 형성되는 용천부 자극부재(200)와, 상기 깔창부(10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3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깔창부(100)는 신발 내의 바닥면에 개재되어 보행하는 착용자의 발바닥을 편안하게 받쳐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사이즈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깔창부(100)는 후술할 용천부 자극부재(2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를 사용한 사출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도 3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깔창부(100)의 표면에는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200)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절삭툴에 의해 가공되는 결합홈(1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홈(110)이 형성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절삭툴이 깔창부(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그 표면에 대한 원형라인(11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원형라인(111)은 착용자의 족문(발바닥 모양)을 통해 확인된 용천부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한다.
계속해서, 그 중심으로부터 깔창부(100)의 선단부(발가락이 위치하는 방향) 를 향하는 홈(112)을 형성한다. 이러한 홈(112)은 부채꼴 모양이 될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여러번 반복적으로 가공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절삭툴 가공작업에 의해 형성된 결합홈(110)의 내면은 울퉁불퉁한 단층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200)의 결합면에 대한 밀착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홈(110)의 모양은 상기 절삭툴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깔창부(100)는 상기 결합홈(110)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용천가공용 지그(G)에 고정된다(도 9참조).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깔창부(100)는 착용자마다 각각 다른 발바닥의 모양, 크기 및 용천부를 정확히 측정하는 족문 스캔수단(F)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족문 스캔수단(F)은 착용작의 발바닥을 스캔한 후 스캔된 모양으로부터 용천부(S)의 위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것으로, 발바닥 모양의 좌척골(A1) 끝단부와 우척골(A2) 끝단부를 잇는 제 1라인(A)과, 중족골 2지(B1)와 중족골 3지(B2)의 중앙부(B3)로부터 발 종골의 중심부(C1)를 잇는 제 2라인(B)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라인(A)과 제 2라인(B)의 교차점(AB)으로부터 1cm의 후방에 위치한 지점을 용천부(S)로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착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대한 용천부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족문 스캔수단(F)를 이용한 용천부 자동측정방법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18126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깔창부(100)의 표면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통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통기구멍(120)이 형성된다.
아울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깔창부(100)의 선단부측은 신발 내부 바닥면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가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바닥면이 깔창부(100)의 중심부를 가압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깔창부(100)의 선단부가 들뜸되고 이 들뜸된 현상이 착용자의 발바닥면에 대하여 불편한 자극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깔창부(100)에는 착용자의 발폭 사이즈를 정확히 맞추어 보다 편안한 안착감을 제공하는 쿠션부재(130)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재(130)는 깔창부(100)의 아치형 테두리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깔창부(100)의 중앙 양측 테두리면의 길이방향 일부분에 대해서만 소정 길이로 연장하고 이 연장된 양측면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구조로도 형성하거나,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깔창부(100) 중심의 양측 테두리면 위치하고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곡률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률진 형태의 쿠션부재(130)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쿠션부재(130)는 착용자 발의 길이방향 사이즈에 비해 발폭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좁을 경우에는 상기 쿠션부재(130)를 두께를 크게 하고, 반대로 넓을 경우에는 폭을 작게 형성하면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발바닥면을 보다 편안하게 받쳐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발의 폭 사이즈를 훨씬 수월하게 맞출수 있고 발폭 사이즈를 맞추기 위한 금형의 갯수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재(130)는 착용자의 발형태에 따라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200)와의 접촉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로 제작됨과 동시에, 표면이 딱딱한 상기 깔창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접촉 충격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보행시에 따른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재(130)는 사출성형이 완료된 깔창부(100)에 대하여 다시 한번 추가적인 사출성형 또는 발포성형을 통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200)는 상기 깔창부(100)의 결합홈(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되 완만한 곡률의 형태로 가지는 가압돌기(210)와, 상기 가압돌기(210)를 감싸며 테두리의 뒷쪽 일부가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커버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돌기(210)는 착용자가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바닥의 용천부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용천부와 연계된 각 장기들을 자극시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장시간 보행하는 착용자의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률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물감 유발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 가압돌기(210)는 실리콘 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면 된다.
더나아가, 상기 실리콘 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에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게르마늄을 추가적으로 도포하거나 내장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20)는 상기 가압돌기(210)를 견고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표면이 매끄러운 가죽소재를 사용하여 착용자의 발이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부재(300)는 보행시 착용자의 발 종골(뒷꿈치 뼈)에 대한 충격력을 최소화시키는 역할로써, 상기 깔창부(100)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흡수부재(300)는 상기 깔창부(100)의 후단부에 대하여 사출성형 또는 발포성형을 실시하여 형성하되, 상기 깔창부(100) 보다 탄력적인 소재를 채택한다.
아울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부재(300)는 상기 깔창부(100)의 후단부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착탈결합되는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깔창부(100)의 후단부에는 소정의 직경 및 모양을 가지는 관통공(14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는 공기를 충진시키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관통공(140)의 내부를 상기 충격흡수부재(300)가 메우는 구조로 형성하여 보행하는 착용자 발의 종골을 보다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300)의 바닥면에는 빗살무늬 홈(301)을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 다(도 6참조).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재(300)의 표면에는 제작회사의 로고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10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착용자에 대한 정확한 발 모양, 크기 및 용천부의 위치 정보를 확인 하기 위해 족문 스캔수단(F)을 사용하여 발 사이즈를 측정한다(S100).
다음, 상기 족문 스캔수단(F)의 측정값에 따라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대응하는 깔창부(100)를 사출성형한다(S200).
이후, 상기 깔창부(100)의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깔창부(100)에 용천부 자극부재(200)가 결합는 결합홈(11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깔창부(100)를 용천가공용 지그(G)에 고정시킨다(S300).
이어서, 상기 용천가공용 지그(G)에 고정된 깔창부(100)는 그 상부에 배치된 절삭툴이 가공작업을 실시하여 결합홈(110)을 형성한다(S400).
아울러, 상기 용천가공용 지그(G)는 상기 절삭툴이 깔창부(100)의 표면 곡률 형태에 따라 결합홈(110)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일단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110)은 용천부 자극부재(200)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전체면적으로 절삭되는 것이 아니고 뒷쪽의 일부만 절삭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삭툴은 그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도중 승강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 다음, 상기 깔창부(100)에 결합홈(110)이 형성된 이후에는 상기 결합홈(110)에 가압돌기(210)를 배치시키고 상기 가압돌기(210)를 덮는 상태로 감싸는 커버부재(220)를 부착시키면 된다(S500).
즉, 상기 커버부재(220)의 뒷부분 테두리가 결합홈(110)에 삽입되어 커버부재(220)와 깔창부(100)는 상호간에 단차가 없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결합홈(110)의 바닥면은 절삭자리에 의해 가압돌기(210)와의 접착 고정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상기 깔창부(100)에 대하여 용천부 자극부재(200)가 형성된 이후에는 추가적인 사출 또는 발포성형을 실시하여 착용자의 발폭 사이즈를 교정하는 쿠션부재(130)를 형성한다(S600).
또한, 상기 깔창부(100)에는 착용자의 발 종골에 대하여 충격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부재(300)를 별도로 사출 또는 발포성형한 후 상기 깔창부(100)의 후단부와 상호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제조방법을 완료한다(S700).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능성 깔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을 형성하는데 있어, 착용자마다 각각 다른 발바닥의 모양, 크기 및 용천부를 정확히 측정하는 족문 스캔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깔창부의 선단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다양한 형태의 쿠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충격흡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을 고정시키는 용천가공용 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깔창부 110 : 결합홈
130 : 쿠션부재 140 : 관통공
200 : 용천부 자극부재 210 : 가압돌기
220 : 커버부재 300 : 충격흡수부재
301 : 빗살무늬 홈 F : 족문 스캔수단
G : 용천가공용 지그

Claims (9)

  1. 신발내에 개재되는 깔창부 및 상기 깔창부 위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는 깔창부 표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부착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를 감싸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에는 절삭툴의 가공에 의해 가공 흔적이 형성되며,
    상기 깔창부에는 착용자의 발폭 사이즈를 맞추어 주는 쿠션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깔창부의 선단부측은 신발 내부 바닥면에 대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2. 삭제
  3. 삭제
  4. 신발내에 개재되는 깔창부 및 상기 깔창부 위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는 깔창부 표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부착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를 감싸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에는 절삭툴의 가공에 의해 가공 흔적이 형성되며,
    상기 깔창부의 후단부에는 발 종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5. 신발내에 개재되는 깔창부 및 상기 깔창부 위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있어서,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는 깔창부 표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부착되어 돌출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를 감싸며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의 바닥면에는 절삭툴의 가공에 의해 가공 흔적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와 커버부재 각각은 실리콘 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되, 각 소재에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게르마늄이 추가적으로 도포되거나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바닥면에는 빗살무늬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
  7. 신발내에 개재되는 깔창부 및 상기 깔창부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형성한 기능성 신발 깔창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 모양, 크기 및 용천부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족문 스캔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족문 스캔수단의 측정값에 맞추어 깔창부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사출된 깔창부를 용천가공용 지그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용천가공용 지그에 고정된 깔창부에 대하여 절삭툴을 사용하여 결합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홈을 형성한 깔창부에 용천부 자극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툴은 깔창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그 표면에 대한 원형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라인의 중심으로부터 깔창부의 선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홈을 내어 부채꼴 모양의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천부 자극부재는 가압돌기가 결합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돌기를 감싸는 커버부재의 뒷쪽 테두리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깔창의 제조방법.
KR1020090063635A 2009-07-13 2009-07-13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4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635A KR101148042B1 (ko) 2009-07-13 2009-07-13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635A KR101148042B1 (ko) 2009-07-13 2009-07-13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38A KR20110006138A (ko) 2011-01-20
KR101148042B1 true KR101148042B1 (ko) 2012-05-24

Family

ID=4361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635A KR101148042B1 (ko) 2009-07-13 2009-07-13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275B1 (ko) 2012-03-14 2013-05-16 주식회사 트렉스타 탄성력을 가진 신발창
WO2016144018A1 (ko) * 2015-03-10 2016-09-15 주식회사 녹십초 알로에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83Y1 (ko) 2004-09-30 2004-12-16 주식회사 학산 운동용 고기능성 신발안창
KR200376929Y1 (ko) 2004-11-30 2005-03-10 김순철 신발의 깔창구조
KR200406339Y1 (ko) 2005-09-01 2006-01-20 안홍인 깔창
KR20090000929U (ko) * 2007-07-25 2009-02-02 김현화 신발용 깔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83Y1 (ko) 2004-09-30 2004-12-16 주식회사 학산 운동용 고기능성 신발안창
KR200376929Y1 (ko) 2004-11-30 2005-03-10 김순철 신발의 깔창구조
KR200406339Y1 (ko) 2005-09-01 2006-01-20 안홍인 깔창
KR20090000929U (ko) * 2007-07-25 2009-02-02 김현화 신발용 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275B1 (ko) 2012-03-14 2013-05-16 주식회사 트렉스타 탄성력을 가진 신발창
WO2016144018A1 (ko) * 2015-03-10 2016-09-15 주식회사 녹십초 알로에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138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471806T3 (en) Orthopedic insert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8256142B2 (en) Anatomically correct flexible contoured footbed insole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TWI531326B (zh) 可替換中底系統
US6510626B1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US20120198723A1 (en) Therapeutic shoe
FI108608B (fi) Ortopedinen irtopohjallinen
US20120272546A1 (en) Healthy insole
US20170224050A1 (en) Customizable inserts for footwear
WO2017182930A2 (en) A footwear with customized arch-support midsole and insole, and a method of shoe making
JP2020527368A (ja) 組み込まれた矯正用支持具を有するミッドソール
TWM536866U (zh) 緩衝墊及緩衝鞋墊
KR101690708B1 (ko) 바른 보행, 관절 보호 및 피로 방지 구두용 중창
KR101148042B1 (ko)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36233B1 (ko) 발 교정용 신발 깔창
KR100937471B1 (ko)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인솔
KR20190016498A (ko) 개인 맞춤형 신발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KR101263614B1 (ko) 신발
KR20160050595A (ko) 신발깔창
KR20150069998A (ko) 안창, 이를 구비한 신발 및 안창의 제조방법
KR101509233B1 (ko) 안전화
KR101791188B1 (ko) 기능성 깔창
CN217885244U (zh) 足部保护垫
KR102647826B1 (ko)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