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498A - 개인 맞춤형 신발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498A
KR20190016498A KR1020187034868A KR20187034868A KR20190016498A KR 20190016498 A KR20190016498 A KR 20190016498A KR 1020187034868 A KR1020187034868 A KR 1020187034868A KR 20187034868 A KR20187034868 A KR 20187034868A KR 20190016498 A KR20190016498 A KR 20190016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idsole
insertion groove
hardness value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974B1 (ko
Inventor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다짐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짐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다짐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9001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체형이나 체중을 고려하여 교체가 가능한 패드가 미드솔에 마련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신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중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3삽입홈;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1패드;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2패드; 상기 제3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3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패드, 상기 제2패드, 상기 제3패드 중 최소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신발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체형이나 체중을 고려하여 교체가 가능한 패드가 미드솔에 마련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신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누구나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가지고 있으며, 날씨에 따라서 혹은 용도에 따라 적합한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특히, 특수한 목적의 기능성 신발들이 널리 알려지고 있는데, 이것은 생활수준의 향상 및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운동화 등과 같은 일반적인 신발들은 아웃솔, 미드솔, 인솔, 갑피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요소들은 제각각의 기능을 하도록 설계 및 제작된다.
아웃솔은 고무로 주로 이루어져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미드솔은 보행시의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쿠션이 좋은 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다. 그리고 인솔 및 갑피도 다양한 형상 및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하루 중 낮 동안의 대부분 시간을 직립 상태로 생활하기 때문에 발에 많은 하중이 작용되어 저녁이 되면 발이 붓거나 쉽게 피로해지는 경우가 많다. 신체 중 발은 큰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고 직립 보행을 하는 인간에게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신체 부위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에서 발을 제2의 심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발을 잘 씻고 관리해야 함은 물론이고, 올바른 보행습관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신체 특성에 맞는 적합한 신발을 착용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걸음걸이가 이상하거나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 관련 질환을 가진 사람의 상당수는 본인에게 맞지 않는 신발을 오랜시간 착용함에 따른 부작용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신발은 1차적으로 보행시의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안밖으로 균형을 유지하여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973호의 '신발창'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쿠션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충격완충수단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을 포함한 공지의 신발창 혹은 신발류의 경우 신발로 한번 제작되고 나면 신발의 미드솔에 대한 교체나 수선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신발 구조상 미드솔은 갑피와 일체로 결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미드솔은 당연히 갑피와 결합된 후에는 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일반 소비자들 중 일부는 대량 생산되어 판매되는 일반 신발을 구매한 후 자신의 체중이나 신체 기능을 고려하여 인솔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즉, 미드솔의 교체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한 인솔을 자신에 맞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인솔을 사용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미드솔이 개개인의 체형이나 체중에 맞지 않는 것이라면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지기 쉽고 고가의 인솔의 기능은 반감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소비자들이 대량 생산되어 판매되는 신발을 구매하더라도 본인의 체중과 같은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미드솔에 장착되는 복수의 패드 중 최소 하나 이상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은, 아웃솔, 미드솔, 인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3삽입홈;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1패드; 상기 제3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3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 중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삽입홈, 상기 제3삽입홈은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편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서로 상이한 경도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패드는 발가락 부위가 접촉될 수 있는 Y자 형상을 이루되, 엄지발가락을 이루는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3패드는 상기 후족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종골을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삽입홈은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패드도,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으로 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는,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갑피 하단과 재봉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재봉으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체부를 열어서 상기 제1패드 또는 제3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의 하면에는 상기 아웃솔의 결합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인 맞춤형 신발은,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중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2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패드는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2패드,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은 미드솔의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각각의 영역에 경도값이 다른 패드를 삽입되게 하고, 필요에 따라서 패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최적화된 신발을 구성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발 모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4는 미드솔의 상면 사시도.
도 5는 미드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미드솔의 하면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제2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부호의 설명>
100 : 아웃솔
200 : 미드솔
210 : 제1삽입홈 220 : 제2삽입홈
230 : 제3삽입홈 201 : 제1패드
202 : 제2패드 203 : 제3패드
240 : 위치결정홈
300 : 바닥부 301 : 개구부
310 : 교체부
K : 걸림턱
P : 걸림편 L : 센터라인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것일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및 보호영역이 도면 자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반적인 발 모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4는 미드솔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미드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미드솔의 하면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제2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은 아웃솔(100), 미드솔(200), 인솔(미도시), 갑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드솔(200) 하면에 아웃솔(100)이 결합되는데, 특히 미드솔(200)의 상면에는 제1삽입홈(210), 제2삽입홈(220), 제3삽입홈(230)이 형성된다.
미드솔(200)은 크게 3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영역으로 구분된다. 전족부는 발가락 영역이며, 중족부는 발바닥의 아치 영역이고, 후족부는 뒷굽부를 의미한다.
미드솔(200)의 상면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제1삽입홈(210)이 마련되며, 중족부 영역에 제2삽입홈(220)이 형성되고, 후족부 영역에 제3삽입홈(230)이 형성된다.
각 삽입홈(210,220,230)에는 하나씩의 패드가 삽입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삽입홈(210)에는 제1패드(201)가 끼워지고, 제2삽입홈(220)에는 제2패드(202)가 끼워지고, 제3삽입홈(230)에는 제3패드(203)가 끼워진다.
미드솔(200)은 보행시의 충격흡수 기능을 위해 폴리우레탄이나 E.V.A와 같은 쿠션이 좋은 소재로 제작되는데, 특히,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는 미드솔(200) 자체의 경도값과는 다른 경도값을 갖는 것으로 한다.
미드솔(200)의 경도값 보다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의 경도값은 크거나 낮을 수 있고,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각각의 경도값도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패드(201)는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낮아 쿠션력이 더 좋도록 할 수 있고, 제2패드(202)와 제3패드(203)는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경도값이 높아 쿠션력이 부족할 수도 있다.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의 경도값 선정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중이나 특정 질병의 유무 및 보행습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과체중을 가진 사용자인 경우에는 미드솔(200)이 쉽게 찌그러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는 각 패드(201,202,203)의 경도값이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높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는 각 패드(201,202,203)의 경도값이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낮게 하여 보다 좋은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의 경우 소비자들이 자신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중 최소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하다가 피팅감이 좋지 않거나 피로도가 크게 느껴지는 경우 기 설치된 각 패드의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패드를 교체 설치하여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1삽입홈(210), 제2삽입홈(220), 제3삽입홈(230)은 하나 이상의 걸림턱(K)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에는 걸림턱(K)에 대응하는 걸림편(P)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과 같이 각 삽입홈(210,220,230)에는 하나씩의 걸림턱(K)이 형성되고, 각 패드(210,202,203)에는 하나씩의 걸림편(P)이 형성되게 한다.
각 삽입홈(210,220,230)에 걸림턱(K)을 형성하고, 각 패드(201,202,203)의 가장자리에 걸림편(P)을 두는 것은 경도가 다른 미드솔(200)과 각 패드(201,202,203)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삽입홈(210,220,230)과 패드(201,202,203)의 경계부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이질감을 줄여 피팅감이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1패드(201)의 경우 전족부의 발가락 부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5개의 발가락 전체를 받쳐줄 수 있으면서 엄지발가락을 이루는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까지 받쳐줄 수 있는 대략 Y자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엄지발가락의 경우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중이 가장 많이 실리는 부위가 되기 때문에 도면과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도 2의 발 모형도를 참조하면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패드(202)는 발바닥의 안쪽 부위인 중족부의 아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발바닥의 아치부는 활 모양의 굽어져 있어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오래 서 있는 경우 급격한 피로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제2패드(202)를 통해 아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한다.
또한, 제3패드(203)는 후족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종골을 받쳐주도록 한다. 정상적인 보행인 경우 지면에 접촉시 후족부부터 충격이 발생되기 때문에 제3패드(203)를 통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미드솔(200)이 무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에서는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중 최소 하나 이상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데, 완성된 신발 상태에서 패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와 대응하는 갑피(300)의 바닥부에 교체부(3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의미하는 교체부(310)란, 미드솔(200)과 결합되는 갑피(30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부위를 말한다.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 미드솔(200) 상면과 결합되는 갑피(300)의 바닥부는 완전히 막혀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는 패드의 교체를 위해 교체가 필요한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중 최소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교체부(310)가 형성된다.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모두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후족부에 형성되는 제3패드(203)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해당 부위에 교체부(310)를 두는 것으로 한다.
덮개 같은 형태로 교체부(310)가 형성되며, U자형태로 절개되어 교체부(310)를 열어서 제3패드(203)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경우 미드솔(200)의 하면에 아웃솔(100)과의 결합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결정홈(240)이 형성되도록 한다.
미드솔(200) 하면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240)은 아웃솔(10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원형 위치결정홈과 직선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위치결정홈(240)은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아웃솔(100)의 경우 위치결정홈(240)에 결합되는 소정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드솔 및 각 패드는 TPU 필름으로 코팅되게 하여 수분에 의한 가수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7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신발은 미드솔(200)의 전족부에 제1삽입홈(210)이 형성되고, 미드솔(200)의 후족부 상면에 제3삽입홈(230)이 형성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중족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1삽입홈(210)은 발가락을 받쳐줄 수 있도록 Y 자 형상으로 함몰되며, 제1삽입홈(210)에 제1패드(201)가 끼워질 수 있고,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제3삽입홈(230)은 후족부 영역에 형성되되, 센터라인(L)을 기준으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비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3삽입홈(230)에 삽입되는 제3패드(203) 역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제3삽입홈(230)에 삽입 및 교체 가능한 제3패드(203)를 내측과 외측이 비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은 보행시 보다 자연스럽게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하중이 이동될 때 내측방향으로 힘의 이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람들의 정상적인 보행 방식은 후족부가 가장 먼저 지면에 닿게 되고 중족부를 거쳐서 전족부로 이동하되, 후족부 외측에서 전족부의 내측 즉, 엄지발가락쪽으로 하중이 이동되는데, 이러한 보행 방식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3패드(203)를 비대칭으로 구성하여 정상적인 보행을 유도하도록 한다.
특히,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보행 방식이 잘못되어 이상한 걸음걸이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본 발명의 신발을 통해 잘못된 보행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언급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제2실시예에서도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는 미드솔(200) 자체와는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도 서로 다른 경도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패드(201)와 제3패드9203)는 신발을 착용하여보고 자신의 신체 특성에 보다 맞는 적당한 경도를 갖는 것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갑피의 바닥부(300)에는 개구되거나 개폐되는 교체부(31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부(300)의 가장자리는 갑피 하단과 재봉되어 연결되며, 바닥부(300)의 내부에 제1패드(201) 및 제3패드(203)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301)가 형성된다. 단순히 개구부(301)만을 형성시켜서 제1패드(201) 및 제3패드(203)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지만, 피팅감을 고려하여 개구부(301)에 개폐되는 교체부(310)를 마련하도록 할 수 있다.
교체부(310)는 개구부(301)의 일단이 재봉으로 연결되나, 재봉되지 않은 부분은 구속이 없는 상태이므로 손가락으로 집어 상부로 쉽게 올려 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체부(310)를 닫아 두는 상태이면 개구부(301)는 막히게 됨으로써 개구부(301)는 편평한 평면을 이루게 되어 신발 착용시의 피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언급하였듯이 제1삽입홈(210) 및 제3삽입홈(230)에는 걸림턱(K)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패드(201) 및 제3패드(203)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편(P)을 형성시켜서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를 제1삽입홈(210) 및 제3삽입홈(230)에 각각 끼워 장착할 때 걸림편(P)이 걸림턱(K)에 의해 지지되게 함으로써 신발 착용시의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은 소비자가 신발을 구입한 후 교체 가능한 패드를 필요에 맞게 교체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소비자는 다양한 경도를 갖는 제1패드, 제2패드, 제3패드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혹은 별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은 개개인의 체형에 맞는 패드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관절보호 및 발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보행시 미세 근육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근력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보행시 편안함과 부드러움을 제공하여 관절염 환자나 당뇨환자들에게 적합한 기능성 신발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아웃솔, 미드솔, 인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3삽입홈;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1패드;
    상기 제3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3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 중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 상기 제3삽입홈은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편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서로 상이한 경도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발가락 부위가 접촉될 수 있는 Y자 형상을 이루되, 엄지발가락을 이루는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3패드는 상기 후족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종골을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삽입홈은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패드도,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으로 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 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갑피 하단과 재봉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재봉으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체부를 열어서 상기 제1패드 또는 제3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하면에는 상기 아웃솔의 결합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신발은,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중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2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패드는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2패드,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KR1020187034868A 2017-04-10 2017-06-02 개인 맞춤형 신발 KR102090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83 2017-04-10
KR20170046283 2017-04-10
PCT/KR2017/005803 WO2018190463A1 (ko) 2017-04-10 2017-06-02 개인 맞춤형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498A true KR20190016498A (ko) 2019-02-18
KR102090974B1 KR102090974B1 (ko) 2020-03-19

Family

ID=6379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868A KR102090974B1 (ko) 2017-04-10 2017-06-02 개인 맞춤형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0974B1 (ko)
WO (1) WO20181904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870A1 (ko) 2019-02-13 2020-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괴타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3880A1 (en) * 2020-08-20 2022-02-24 Romeo & Juliette, Inc. Impact reduction footwear through heel and metatarsal cavities
KR102375673B1 (ko) * 2021-09-30 2022-03-18 주식회사 에프씨지코리아 골프 스윙에 의해 발생되는 지면반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골프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757A (ko) * 2005-05-13 2006-11-17 (주)스텝스 신발패드
KR20100041190A (ko) * 2008-10-13 2010-04-22 최현규 등산 효과, 신체 교정 효과, 발의 하중 분산 효과 및 지압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신발
KR20160141053A (ko) * 2015-05-27 2016-12-08 주식회사 제뉴인그립 하이힐용 안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0416B2 (en) * 2004-01-26 2009-02-17 Townsend Herbert E Shoe with cushioning and speed enhancement mid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KR20090012624A (ko) * 2007-07-30 2009-02-04 류현욱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KR100951173B1 (ko) * 2007-12-07 2010-04-06 김준엽 신발의 중창 및 그 제조방법
US9521876B2 (en) * 2014-04-09 2016-12-20 Nike, Inc. Articles of footwear having a similar appearance and different sole assembl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757A (ko) * 2005-05-13 2006-11-17 (주)스텝스 신발패드
KR20100041190A (ko) * 2008-10-13 2010-04-22 최현규 등산 효과, 신체 교정 효과, 발의 하중 분산 효과 및 지압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신발
KR20160141053A (ko) * 2015-05-27 2016-12-08 주식회사 제뉴인그립 하이힐용 안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870A1 (ko) 2019-02-13 2020-08-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괴타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63A1 (ko) 2018-10-18
KR102090974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0626B1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JP5502158B2 (ja) 分離可能なアッパーおよびソール構造を有する履物
US8839531B2 (en) Footwear
US20140259754A1 (en) Removable Shoe Insert for Corrective Sizing
US9943132B1 (en) Support insole for shoes
CN108135325A (zh) 用于高跟鞋的装置和构造高跟鞋的方法
US20180242687A1 (en)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KR102090974B1 (ko) 개인 맞춤형 신발
KR101748186B1 (ko) 사용자 발바닥 형상에 대응하여 교체 가능한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가 구비된 수제화 구두
KR20080090758A (ko) 아치 지지체가 형성된 신발
KR101478955B1 (ko) 미드솔 및 인솔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US20160174653A1 (en) Padded Foot Support with a Ball of Foot Depression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20200049024A (ko) 교정용 신발
JP5003921B2 (ja) 靴底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JP4850462B2 (ja) 足底板対応履物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20060055724A (ko) 기능성 신발 깔창
US20200054091A1 (en) Differential shock absorbing high heel foot insole system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