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024A - 교정용 신발 - Google Patents

교정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024A
KR20200049024A KR1020180131798A KR20180131798A KR20200049024A KR 20200049024 A KR20200049024 A KR 20200049024A KR 1020180131798 A KR1020180131798 A KR 1020180131798A KR 20180131798 A KR20180131798 A KR 20180131798A KR 20200049024 A KR20200049024 A KR 20200049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outer part
inner part
shoe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수
Original Assignee
황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수 filed Critical 황병수
Priority to KR102018013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9024A/ko
Publication of KR2020004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이되, 특히 잘못된 보행습관을 고칠 수 있도록 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갑피, 인솔, 바닥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은, 아웃솔과 미드솔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드솔은 가상의 보행라인을 기준으로 내측파트와 외측파트로 구분되고, 상기 외측파트는 상기 내측파트 보다 두껍도록 하되, 상기 외측파트의 상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정용 신발{footwear for correc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이되, 특히 잘못된 보행습관을 고칠 수 있도록 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정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있어 신발은 생활의 필수품 중 하나이며, 누구나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발은 하나의 패션용품으로 여겨지기도 하므로 디자인도 중요하고 기능도 중요시된다. 따라서 신발은 기능성이 추가되면 상당히 고가로 판매되기도 한다.
신발의 기본 기능은 보행시 발을 보호하는 것이지만 근래에는 제품 차별화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신발도 여러 종류로 분류가 되기도 한다.
일 예로 신발중에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한 신발과 같이 치료 내지 환자용 신발도 있는 것과 같다.
한편, 발을 제2의 심장이라도 부르기도 하는데 그만큼 발 건강이 중요하며,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걸음걸이가 비정상인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런 사람들은 보행습관이 잘못된 경우도 있고 사고로 인해 다리에 불편함이 있는 사람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올바른 보행 자세라고 알려져 있는 것은 보행시 발의 후족부가 먼저 지면에 닿은 후 중족부를 거쳐서 전족부를 이루는 엄지발가락쪽으로 하중이 이동되는 삼박자 보행이 가장 좋은 자세라고 한다.
하지만, 사람마다 신체 특성이 제각각임에 비해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신발들은 평균적인 사람들의 발을 고려하여 동일하게 제작되므로 모든 사람들에게 적합하지는 않다. 특히나 보행에 다소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흔히, "오형다리" 라고 불리우는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신발 밑창의 외측이 먼저 마모됨에 따라 발이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고, 장시간 이런 상태로 보행하게 되면 양 무릎이 외측으로 벌어져 마치 오형과 같은 자세로 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383호의 "교정신발용 밑창"이 있으며, 도 1은 교정신발용 밑창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교정신발용 밑창은, 내부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밑창본체;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 충전되며 상기 밑창본체에 비해 경질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외측 무게중심에 대해 지지력이 발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충전되며 상기 밑창본체 및 지지부재에 비해 연질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내측 무게중심에 대해 쿠션력이 발휘되는 쿠션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교정신발용 밑창의 경우 밑창본체의 후방측에 수용공간을 두고 수용공간의 외측에 충전되는 지지부재와 내측에 충전되는 쿠션부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재와 쿠션부재의 경도를 달리 적용하도록 하여 보행시 걸음걸이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밑창본체의 일부분, 즉 후방측에만 경도가 다른 지지부재와 쿠션부재가 설치되는 관계로 보행시 하중 경로인 후족부, 중족부, 전족부, 전체에 걸쳐서 올바른 보행을 유도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5383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제 사람의 보행습관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잘못된 보행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고자 후족부, 중족부, 전족부 전체에 걸쳐서 바닥창의 외측파트 상부가 내측파트 보다 높게 형성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창을 이루는 미드솔 부위를 메인미드솔과 보조미드솔로 구성되게 하고, 보조미드솔 상면에 발가락 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위치결정돌기들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발가락이 비정상적으로 휘게되는 무지외반증을 완화 내지 예방할 수 있고, 발가락 사이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바닥창의 외측파트를 내측파트 보다 높게 형성시켜서 발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게 하여 "오형다리"를 예방 및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교정용 신발은, 갑피, 인솔, 바닥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은, 아웃솔과 미드솔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드솔은 가상의 보행라인을 기준으로 내측파트와 외측파트로 구분되고, 상기 외측파트는 상기 내측파트 보다 두껍도록 하되, 상기 외측파트의 상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아웃솔 상면에 결합되는 메인미드솔; 상기 메인미드솔 위에 결합되는 보조미드솔;로 구성되되, 상기 메인미드솔은 상기 보조미드솔보다 두께가 두껍고 충격흡수력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미드솔이 상기 내측파트와 외측파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미드솔의 상기 내측파트와 상기 외측파트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메인미드솔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미드솔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의 하면에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파트와 상기 외측파트의 전단부 측에는 발가락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분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 위에 놓여지는 인솔은 발바닥을 받쳐주되, 전단부는 지족골까지만 형성되어 상기 지족골로부터 연장되는 발가락 부위는 상기 미드솔 위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은 보행시의 하중 경로를 고려하여 신발 전체에 걸쳐 외측파트가 내측파트 보다 높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외측으로 하중이 쏠리지 않도록 하여 올바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오형다리"가 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교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잘못된 걸음걸이를 교정할 수 있고, 걸음걸이가 비정상화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발가락의 위치를 잡아주게 되므로 무지외반증을 완화시킬 수 있고, 발가락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주어 무좀과 같은 질환을 예방하게 해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정신발용 밑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정상적인 보행시의 하중 이동경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의 미드솔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미드솔이 메인미드솔과 보조미드솔로 구분되는 경우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미드솔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구분돌기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며, 도 3은 정상적인 보행시의 하중 이동경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의 미드솔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미드솔이 메인미드솔과 보조미드솔로 구분되는 경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7은 미드솔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구분돌기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은, 갑피(100), 인솔(200), 바닥창(300)을 포함하는 것이되, 바닥창(300)은 아웃솔(310)과 미드솔(320)로 이루어진다. 물론, 신발에 따라서는 미드솔(320) 위에 텍숀이라는 요소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은 바닥창에 주요한 특징을 두고 있는 것인 바, 이하 바닥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웃솔(310)은 지면과 직접 접촉되는 요소로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되며, 주로 고무재 소재가 널리 사용된다.
아웃솔(310) 상면에 미드솔(320)이 결합되며, 미드솔(320)은 보행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주로 하게 된다. 미드솔(320)의 소재로는 우레탄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외 공지의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정상적인 보행이라 함은 도 3과 같이 후족부(A)가 가장 먼저 지면에 접촉된 후 중족부(B)를 거쳐서 전족부(C)로 하중이 옮겨지는 형태를 의미하는데, 보행시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부위를 따라 이은 경로를 가상의 보행라인(L)이라 부르도록 한다.
그리고 미드솔(320)은 보행라인(L)을 기준으로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로 구분되도록 하며, 특히 외측파트(320b)는 내측파트(320a) 보다 두께가 두껍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외측파트(320b)가 내측파트(320a) 보다 높게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즉, 외측파트(320b)의 상면이 내측파트(320a) 상면 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파트(320b)의 상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보행시 외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발이 내측을 향하도록 유도되기 때문에 "오형다리"가 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정용 신발을 구성함에 있어서, 미드솔(320)은 메인미드솔(320M)과 보조미드솔(320S)로 구분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메인미드솔(320M)이 아웃솔(310) 상면에 결합되게 하고, 메인미드솔(320M) 위에 보조미드솔(320S)이 결합되어 하나의 미드솔(320)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메인미드솔(320M)은 보조미드솔(320S)보다 두께가 두껍게 하고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소재를 활용하도록 한다. 즉, 메인미드솔(320M)과 보조미드솔(320S)은 소재 자체가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같은 소재이면서도 경도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조미드솔(320S)이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로 구분되게 하며, 따라서 보조미드솔(320S)의 두께는 보행라인(L)을 기준으로 내측파트(320a) 보다 외측파트(320b)가 두껍게 되고, 외측파트(320b)의 상면은 바깥쪽을 향할수록 높게 형성된다.
한편, 보조미드솔(320S)은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로 구분되되,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메인미드솔(320M) 상면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메인미드솔(320M) 상면에 결합되는 보조미드솔(320S)의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면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게 하기 위해 메인미드솔(320M)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321)를 마련하도록 하며, 위치결정돌기(321)에 대응하여 내측파트(320a) 및 외측파트(320b)의 하면에는 위치결정홈(322)이 형성되게 한다.
미드솔(320)이 메인미드솔(320M)과 보조미드솔(320S)로 구분되고 동시에 보조미드솔(320S)은 분할된 상태의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로 이루어질 때 메인미드솔(320M) 상면에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를 접합시킴에 있어서, 위치결정돌기(321)와 위치결정홈(322)을 이용하여 위치를 맞추어 빠르고도 정확하게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보조미드솔(320S)을 이루는 내측파트(320a)와 외측파트(320b)의 전단부 측에는 발가락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분돌기(323)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구분돌기(323)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5개의 발가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4개의 구분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무지외반증 환자의 경우 엄지발가락이 주로 검지발가락을 향해 심하게 굽어진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구분돌기(323)는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시켜서 무지외반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발가락 변형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은 인솔(200)을 포함하게 되는데, 통상의 인솔과 달리 인솔의 전단부는 발가락들이 뻗어나가는 기점인 지족골까지만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발가락 부위는 미드솔(320) 위에 올려지는 상태가 되고, 특히 보조미드솔(320S)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구분돌기(323)에 의해 발가락이 고르게 분산 배치되므로 무지외반증 치료 및 무좀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정용 신발은 다양한 신발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잘못된 보행습관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오형다리"와 같은 잘못된 보행습관을 교정 및 예방하는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용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가락 기형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고, 발가락 사이의 틈을 형성시켜서 무좀과 같은 발가락 질환을 완화 내지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종 신발에 적용되어 잘못된 걸음걸이를 교정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로 판매될 수 있다.
100 : 갑피
200 : 인솔
300 : 바닥창
310 : 아웃솔 320 : 미드솔
320M : 메인미드솔 320S : 보조미드솔
320a : 내측파트 320b : 외측파트
321 : 위치결정돌기 322 : 위치결정홈
323 : 구분돌기
A : 후족부
B : 중족부
C : 전족부
L : 보행라인

Claims (5)

  1. 갑피, 인솔, 바닥창을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은, 아웃솔과 미드솔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드솔은 가상의 보행라인을 기준으로 내측파트와 외측파트로 구분되고, 상기 외측파트는 상기 내측파트 보다 두껍도록 하되, 상기 외측파트의 상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상기 아웃솔 상면에 결합되는 메인미드솔;
    상기 메인미드솔 위에 결합되는 보조미드솔;로 구성되되, 상기 메인미드솔은 상기 보조미드솔보다 두께가 두껍고 충격흡수력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미드솔이 상기 내측파트와 외측파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드솔의 상기 내측파트와 상기 외측파트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메인미드솔 상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미드솔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파트 및 외측파트의 하면에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파트와 상기 외측파트의 전단부 측에는 발가락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분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 위에 놓여지는 인솔은 발바닥을 받쳐주되, 전단부는 지족골까지만 형성되어 상기 지족골로부터 연장되는 발가락 부위는 상기 미드솔 위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신발.
KR1020180131798A 2018-10-30 2018-10-30 교정용 신발 KR20200049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98A KR20200049024A (ko) 2018-10-30 2018-10-30 교정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98A KR20200049024A (ko) 2018-10-30 2018-10-30 교정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24A true KR20200049024A (ko) 2020-05-08

Family

ID=7067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798A KR20200049024A (ko) 2018-10-30 2018-10-30 교정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83602A (ja) * 2020-11-25 2022-06-06 アサヒシューズ株式会社 靴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83B1 (ko) 2012-09-28 2012-11-27 이영산업주식회사 교정신발용 밑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83B1 (ko) 2012-09-28 2012-11-27 이영산업주식회사 교정신발용 밑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83602A (ja) * 2020-11-25 2022-06-06 アサヒシューズ株式会社 靴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0225C (en) Sole for pronation control
US6082023A (en) Shoe sole
KR100992423B1 (ko) 신발 밑창
US20150201702A1 (en) Insole for Relief of Over-Pronation and Knee Joint Stress
KR20070049648A (ko) 깔창 및 이것을 구비하는 풋웨어 시스템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20160001214U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JP2005013682A (ja) 履物及び履物用中敷き
KR200414204Y1 (ko) 신발
JP2001299404A (ja) 靴 底
KR102090974B1 (ko) 개인 맞춤형 신발
KR20200049024A (ko) 교정용 신발
US20160295952A1 (en) Shoe of bilaterally same shape
KR200495970Y1 (ko) 체형 교정용 슬리퍼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20130064940A (ko) 맞춤형 인솔
JP3104246U (ja) 中敷き及び靴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KR200454328Y1 (ko) 과내전 및 외전 방지용 신발 깔창
KR100890529B1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CA3063668A1 (en) Footwear to correct pronation issues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