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940A - 맞춤형 인솔 - Google Patents

맞춤형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940A
KR20130064940A KR1020110131571A KR20110131571A KR20130064940A KR 20130064940 A KR20130064940 A KR 20130064940A KR 1020110131571 A KR1020110131571 A KR 1020110131571A KR 20110131571 A KR20110131571 A KR 20110131571A KR 20130064940 A KR20130064940 A KR 2013006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insole
toe pad
p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038B1 (ko
Inventor
조재영
Original Assignee
조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영 filed Critical 조재영
Priority to KR102011013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0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heel or toe c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인솔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발가락을 편안하게 받쳐주면서 개개의 사용자마다 다른 발가락 모양에 맞게 자리를 잡게 되는 발가락 패드를 포함하는 맞춤형 인솔에 대한 기술로서, 상기 인솔의 기본적인 형태를 이루며, 복원성이 있는 몸체; 발가락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 상면에 마련되며, 복원성을 갖되 상기 몸체보다 복원성이 떨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발가락 패드; 상기 몸체와 발가락 패드를 덮게되는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맞춤형 인솔{FITTING INSOLE}
본 발명은 신발의 인솔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발가락을 편안하게 받쳐주면서 개개의 사용자마다 다른 발가락 모양에 맞게 자리를 잡게 되는 발가락 패드를 포함하는 맞춤형 인솔에 대한 기술이다.
발은 신체의 전체 중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인간이 직립보행을 할 수 있도록 매우 복잡한 구조로 진화되었다. 따라서 발의 뼈는 신체 전체의 뼈 중 약 1/4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뼈들로 이루어진다.
흔히들 발을 제2의 심장이라고 부르며, 그만큼 발은 인간에게 있어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을 보호하는 신발 역시 중요하며 사용자의 발에 맞는 신발을 착용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발들은 기성품으로 대량 생산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대략적으로 신발을 신어보고 자신의 발에 맞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즉, 지나치게 조이지 않고 지나치게 헐겁지 않을 정도의 신발을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발의 길이, 폭, 아치부의 형상, 발가락의 길이 등 사람마다 발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편안한 신발을 선택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발가락이 기형이거나 무지외반증과 같이 잘못된 신발을 오랜시간 착용함에 따라 발가락이 변형되는 문제도 있다.
특히, 굽이 높은 신발류, 하이힐, 구두, 키높이 신발과 같은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발가락쪽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발이 전방으로 밀리게 되어 발가락에 보다 큰 무리가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발가락 부위에 삽입되는 보형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흔히, 알려진 맞춤형 인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661097호(2006.12.18 등록)의 "맞춤형 인솔"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합섬직물 원단으로 이루어진 상부층(20a)과 발포층으로 이루어진 중간층(20b)과 혼합수지층으로 이루어진 하부층(20c)으로 구성되며, 인솔 하부층(20c)의 측면 바닥에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열 감응 필름시트(30)가 부착되고, 하부층(20c)은 변형온도에서 압력을 가하면 변형이 되고 냉각 후에 변형된 형태로 굳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기술의 경우 인솔의 하부층(20c) 전체가 열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변형됨으로써 맞춤형 인솔이 된다.
이 외에도 발바닥을 통해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인솔의 전체 형상이 발바닥에 맞게 변형되게 하는 기술은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열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발가락 부위와 같이 특정 부위에 대해 사용자의 발가락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자리를 잡고 발가락이 앞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발가락의 변형 및 변형된 발가락을 교정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661097호(2006.12.1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발가락 부위를 받치는 발가락 패드를 두되, 인솔의 골격을 이루는 몸체 위에 발가락 패드를 고정시키고, 몸체와 발가락 패드는 서로 다른 압축 영구 줄음률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발가락의 형상에 맞게 발가락 패드가 집중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인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가락 패드가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압축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발가락 형상에 맞게 변형되게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발가락의 변형을 방지하며 변형된 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인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인솔은, 상기 인솔의 기본적인 형태를 이루며, 복원성이 있는 몸체; 발가락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 상면에 마련되며, 복원성을 갖되 상기 몸체보다 복원성이 떨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발가락 패드; 상기 몸체와 발가락 패드를 덮게 되는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발가락 패드는, 상기 발가락의 오목부를 받쳐주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 발가락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5개의 오목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맞춤형 인솔은, 사용자가 상기 인솔을 착용하게 되면 상기 발가락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구조에 맞게 변형되면서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맞춤형 인솔은, 상기 몸체의 압축 영구 줄음률(Compression set)이 40~50%이고, 상기 발가락 패드의 압축 영구 줄음률(Compression set)은 70~9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인솔은 압축 영구 줄음률이 다른 몸체와 발가락 패드를 결합하여 특히 발가락 부위가 사용자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발가락 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주며, 발가락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발가락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발가락을 올바르게 교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사용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인솔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인솔은 몸체(100), 발가락 패드(200) 및 원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일반적인 인솔의 기본적인 형태를 이루며, 몸체(100)는 복원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몸체(100)의 소재로는 EVA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의미하는 복원성이란 하중이 작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하중이 제거되면 어느 정도 원상태에 가깝게 복원되는 특성을 말한다.
몸체(100) 및 후술될 발가락 패드(200)의 복원정도는 압축 영구 줄음률(Compression set)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몸체(100)의 상면 전방측에 발가락 패드(200)가 결합되며, 발가락 패드(200)는 대략 신발을 착용했을 때 발가락의 오목부에 위치될 수 있는 곳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가락 패드(200) 역시 복원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몸체(100)보다는 복원성이 떨어지는 소재를 사용한다. 몸체(100)와 발가락 패드(200)는 동일 소재이거나 이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일 소재인 경우에는 구체적인 물질들의 배합비율이나 첨가물의 유무를 통해서 복원특성은 다르도록 한다.
몸체(100) 및 발가락 패드(200)의 구체적인 소재는 공지의 다양한 인솔 또는 미드솔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발가락 패드(200)의 압축 영구 줄음률은 몸체(100)의 압축 영구 줄음률보다 그 값이 큰 것을 사용하며, 압축 영구 줄음률이 작을수록 복원력은 강한 것을 의미하고, 압축 영구 줄음률이 클수록 복원력은 약한 것을 의미한다.
인솔의 상면에는 원단(300)이 부착되며, 원단(300)은 몸체(100)와 발가락 패드(200)를 덮으면서 결합된다. 원단(300) 역시 공지의 기능성 원단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원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발가락 패드(200)는 발가락의 오목부(10)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평균 신장이나 발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최초 착용시 발가락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패드(200)에는 5개의 오목한 만곡부(210)와 만곡부(210)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돌출부(220)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인솔 위에 발을 올리게 되면 발가락들은 돌출부(220)를 경계로 적당하게 벌어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맞춤형 인솔의 발가락 패드(200)가 변형되어 자리를 잡게 되면 만곡부(210)와 돌출부(220)도 적절히 사용자의 발가락에 맞게 변형되며, 특히 돌출부(220)는 발가락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하중이 덜 작용하여 돌출부(220)는 타 부위보다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돌출부(220)에 의해 발가락 사이는 가장 편안한 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인솔은 몸체(100)와 발가락 패드(200)가 발바닥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압축되면서 소정의 변형를 거치게 되며, 특히 발가락 패드(200)는 각 사용자의 발가락 구조에 맞게 보다 많이 변형되면서 자리를 잡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즉, 처음 본 발명의 맞춤형 인솔을 구입하거나 본 맞춤형 인솔이 내장된 신발을 구입했을 때 사용자는 평지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신발을 착용하여 발가락이 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면 발가락 패드(200)는 발가락의 형상에 맞게 눌리어지거나 돌출되면서 자리를 잡게 된다.
발가락 패드(200)가 완전히 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수회에 걸쳐 일정 시간 이상 착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단 발가락 패드(200)가 영구적으로 변형되어 자리를 잡게 된 다음에는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면 발가락은 자연스럽게 적당히 벌어지면서 제 위치에 놓이게 되고, 발가락이 발가락 패드(200)에 의해 받쳐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하중이 전방으로 쏠리더라도 발가락은 밀리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오므려지거나 굽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인솔은 몸체(100)와 발가락 패드(200)의 복원성이 다르며, 몸체(100)보다는 발가락 패드(200)가 더 많이 변형되는 것으로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100)와 발가락 패드(200)의 복원 정도는 압축 영구 줄음률로 표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몸체(100)의 압축 영구 줄음률은 40~50%가 적당하고, 발가락 패드(200)의 압축 영구 줄음률은 70~90% 정도가 적당하다. 즉, 압축 영구 줄음률과 복원력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발가락 패드(200)는 몸체(100)보다 복원력이 약하고 변형은 더욱 많이 발생된다.
압축 영구 줄음률(Compression set)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압축 영구 줄음률(ASTM D395 Method B) = (시편의 원두께-시편의 최종두께)/(시편의 원두께-스페이스 바아 두께)*1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인솔은 몸체(100) 상면에 발가락 패드(200)가 마련되되, 몸체(100)와 발가락 패드(200)의 압축 영구 줄음률을 달리하여 발가락 부위가 사용자의 발가락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자리를 잡게 하고, 이를 통해서 발가락이 밀리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인솔을 사용하게 되면 변형된 발가락을 교정하는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발가락 패드(200)에 의해 발가락이 지지되는 상태가 되어 보다 나은 착용감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발가락 패드(200)는 발가락의 오목부(10)를 포함하여 발가락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다소 폭을 넓게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사람마다 발가락의 길이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발가락 패드(200)의 폭을 다소 넓게 하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발가락 패드(200)는 변형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발가락에 맞게 자리를 잡게 된다.
본 발명의 맞춤형 인솔은 운동화류, 등산화 등의 신발을 비롯하여 구두나 하이힐과 같은 신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굽이 높은 구두나 하이힐의 경우 발가락쪽으로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장시간 이런 신발을 착용하면 발가락은 조금씩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은 맞춤형 인솔이 적용된 하이힐과 같은 굽 높은 신발은 발가락 패드(200)가 발가락의 위치를 정상적인 상태로 잡아주면서 발가락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발가락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편안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 인솔은 종래기술과 달리 열을 가하여 형태를 잡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없다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인솔은 하이힐, 구두, 운동화 등 다양한 신발의 인솔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몸체
200 : 발가락 패드
210 : 만곡부
220 : 돌출부
300 : 원단
10 : 오목부

Claims (4)

  1. 인솔에 있어서,
    상기 인솔의 기본적인 형태를 이루며, 복원성이 있는 몸체;
    발가락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 상면에 마련되며, 복원성을 갖되 상기 몸체보다 복원성이 떨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발가락 패드;
    상기 몸체와 발가락 패드를 덮게 되는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인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 패드는,
    상기 발가락의 오목부를 받쳐주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 발가락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5개의 오목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인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인솔은,
    사용자가 상기 인솔을 착용하게 되면 상기 발가락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구조에 맞게 변형되면서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인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인솔은,
    상기 몸체의 압축 영구 줄음률(Compression set)이 40~50%이고, 상기 발가락 패드의 압축 영구 줄음률(Compression set)은 70~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인솔.
KR1020110131571A 2011-12-09 2011-12-09 맞춤형 인솔 KR10132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71A KR101325038B1 (ko) 2011-12-09 2011-12-09 맞춤형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71A KR101325038B1 (ko) 2011-12-09 2011-12-09 맞춤형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40A true KR20130064940A (ko) 2013-06-19
KR101325038B1 KR101325038B1 (ko) 2013-11-04

Family

ID=4886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571A KR101325038B1 (ko) 2011-12-09 2011-12-09 맞춤형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0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14U (ko) * 2014-10-02 2016-04-12 (주) 거림케미칼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CN110051078A (zh) * 2019-05-09 2019-07-26 瑞昌芯迈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鞋垫设计方法及其制造方法
US11521669B2 (en) 2019-03-19 2022-12-06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am that stores address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206A (ja) * 1996-06-04 1997-12-09 Yoshihide Mogi 履き物、中敷きおよび爪先パッド
KR200192508Y1 (ko) 2000-02-21 2000-08-16 김창래 환기성을 갖춘 신발패드
KR200354208Y1 (ko) 2004-04-07 2004-06-23 박종수 원적외선 방사체를 응용한 발가락 교정용 신발 깔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14U (ko) * 2014-10-02 2016-04-12 (주) 거림케미칼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US11521669B2 (en) 2019-03-19 2022-12-06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am that stores address signals
CN110051078A (zh) * 2019-05-09 2019-07-26 瑞昌芯迈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鞋垫设计方法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038B1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174B1 (en) Footwear article with doffing ledge
US20120317844A1 (en) Outsole with pods and grooves
JP2023101652A (ja) 足首の非対称襟を有する履物品
US10271612B2 (en) High heel shoe
KR100992423B1 (ko) 신발 밑창
US20030005599A1 (en) Modular cushioned insole support system
KR20150105413A (ko) 입체 성형용 바닥 전복형 골
TW201340901A (zh) 使用於減輕內翻足弓症狀與膝關節受力之鞋內底及其製造方法
US10609981B1 (en) Insole sandal and shoe system
US7360326B1 (en) Flexible footwear sole
US20150359652A1 (en) Toe correction device
US11844399B2 (en) Sole board
TWI556756B (zh) flip flop
KR101325038B1 (ko) 맞춤형 인솔
KR102090974B1 (ko) 개인 맞춤형 신발
KR200495970Y1 (ko) 체형 교정용 슬리퍼
JP3104246U (ja) 中敷き及び靴
KR20130001950U (ko) 탈부착식 아치 받침대를 갖는 인솔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KR20200049024A (ko) 교정용 신발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KR101509233B1 (ko) 안전화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US8826480B1 (en) Resilient shoe insert and method
WO2016013042A1 (ja) ヒール及びパンプス用組立式インソ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