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0463A1 - 개인 맞춤형 신발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0463A1
WO2018190463A1 PCT/KR2017/005803 KR2017005803W WO2018190463A1 WO 2018190463 A1 WO2018190463 A1 WO 2018190463A1 KR 2017005803 W KR2017005803 W KR 2017005803W WO 2018190463 A1 WO2018190463 A1 WO 20181904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d
midsole
insertion groove
shoes
hardnes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58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호경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다짐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짐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다짐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703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974B1/ko
Publication of WO20181904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04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hoes, and in particular, to replace the pa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body shape or weight to provide a midsole is provided to provide the best shoes to the user.
  • General shoes such as sneakers are composed of major components such as outsole, midsole, insole, and upper, each of which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perform its own function.
  • the outsole is mainly made of rubber to prevent slippage, and the midsole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which has a good cushion to absorb shock when walking.
  • Insoles and uppers can also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 Shoes should primarily be able to provide cushions to mitigate the impact of walking and should not be balanced either inward or outward.
  • Figure 1 corresponds to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sisting of many components as shown,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ans that can provide a cushion is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that can be used to replac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ads mounted on the midso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such as his own weight even if the general consumer purchases a mass-produced shoes.
  •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recessed in the forefoot reg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 a third insertion groove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rearfoot reg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are formed while forming at least one locking jaw, and the first pad and the third pad have a locking piec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and the first pad.
  • the third pad may have different hardness values.
  • the first pad has a Y-shape to which the to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border of the phalanges and the ulna forming the big to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hird pa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posterior part of the foot bone. It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it.
  • the third insertion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is extended to the front than the inner side to be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the third 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protrudes longer than the inner side than the inner side do.
  •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upled to the mid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lacement portion which is open or openable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d, the third pad is formed.
  • the bottom portion has an edge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rtion by sewing, and an opening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d and the third pad inside the bottom portio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ortion by sewing.
  • opening and closing the replacement part is formed to be able to replace the first pad or the third pad.
  •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sitioning grooves are formed to hold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outsole.
  • the personalized shoe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midfoot reg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And a second pad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hardness value different from the hardness value of the midsole, wherein the second pad supports the concave arch of the sole. .
  •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upled to the mid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lacement portion which is open or openable to th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d, the second pad, the third pad is formed.
  • Personalized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id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by allowing the pads with different hardness values to be inserted in each area of the forefoot, midfoot, and forefoot of the midsole, and the pad can be replaced as need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n optimized sho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3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dsole.
  • FIG. 6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midsole.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insertion groove 220 second insertion groove
  • Figure 2 is a general foot model
  • Figure 3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midsole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dsole
  • 6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midsole
  • FIG. 7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ersonalized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rsonalized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sole 100, a midsole 200, an insole (not shown), and an upper 300.
  • the outsole 10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200, and in particular,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0,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idsole 200.
  • the midsole 200 may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areas, and may be divided into forefoot, middle and rear areas.
  • the forefoot is the toe region
  • the midfoot is the arch area of the sole
  • the forefoot is the heel.
  •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is provided to be recessed in the upper forefoot region of the midsole 200,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0 is formed in the midfoot region,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is formed in the rearfoot region. do.
  • One pad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grooves 210, 220, and 230. Specifically, a first pad 201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and a second pad 20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0. The third pad 203 is fit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 the midsole 200 is made of a good cushion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or EVA for the shock absorption function during walking.
  • the first pad 201, the second pad 202, the third pad 203 is It is assumed that the hardnes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idsole 200 itself.
  • Hardness values of the first pad 201, the second pad 202, and the third pad 203 may be greater or lower than the hardness values of the midsole 200, and the first pad 201 and the second pad 20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hardness value of each of the third pads 203 may be different.
  • the first pad 201 is lower than the hardness value of the midsole 200 so that the cushion force is better, and the second pad 202 and the third pad 203 are less than the hardness value of the midsole 200. High hardness values may result in insufficient cushioning force.
  • the hardness values of the first pad 201, the second pad 202, and the third pad 203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us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disease, and a walking habit. .
  • the hardness value of each pad (201, 202, 203) can be higher than the hardness value of the midsole (200). There will be.
  • each pad 201, 202, 203 it may be desirable to make the hardness value of each pad 201, 202, 203 lower than the hardness value of the midsole 200 to provide a better cushioning force.
  • At least one of the first pad 201, the second pad 202, and the third pad 203 may be replaced by consumers in consideration of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0,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are formed while forming at least one locking jaw K. Accordingly, the first pad 201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are formed. The second pad 202 and the third pad 203 have a locking piece P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step K.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each of the insertion grooves 210, 220, and 230 has one locking jaw K, and each of the pads 210, 202, and 203 has one locking piece P.
  • the heterogeneity is reduced so that the fit is not impaired.
  • the first pad 201 since the first pad 201 is installed in the forefoot portion of the forefoot, it can support the entire five toes and form an approximately Y shape that can support the phalanges of the big toe and the border of the ulna. In the case of the big toe, the boundary between the phalanx and the ulna protrudes downward, and thus the load is most loaded. Referring to the foot model of Figure 2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boundaries of the phalanges and ulna.
  • the second pad 202 serves to support the arch of the midfoot, which is the inner part of the sole.
  • the arch of the sole is bow-shaped, which causes sudden fatigue when walking or standing for a long time. Therefore, by supporting the arch portion through the second pad 202 to reduce the feeling of fatigue.
  • the third pad 203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rear foot portion to support the calcaneus. In the case of normal walking, since the impact is generated from the rear portion when contacting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absorb the shock through the third pad 203 or to prevent the midsole 200 from collapsing.
  • the replacement part 31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3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d 201, the second pad 202, and the third pad 203.
  • the replacement part 310 herein means an open or openable pa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300 coupled with the midsole 200.
  • the bottom of the upper 30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200 is completely blocked,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d 201 and the second pad 202 need to be replaced to replace the pad.
  • the replacement part 3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hird pads 203.
  • the first pad 201, the second pad 202, and the third pad 203 may all be replaceable. In this embodiment, only the third pad 203 formed in the rear portion may be replaced. It is assumed that the replacement portion 310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 the replacement part 3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ver, and is cut in a U shape so that the third pad 203 can be replaced by opening the replacement part 310.
  • a plurality of positioning grooves 24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200 so that the coupling with the outsole 100 can be made more accurately.
  • the positioning groove 24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dsole 200 may var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sole 1000.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circular positioning grooves and linear positioning grooves are formed. The positioning groove 240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n the case of the outsole 100 corresponding thereto, a predetermined protrusion (not shown) coupled to the positioning groove 240 is preferably formed.
  • midsole and each pad are preferably coated with a TPU film so as not to be hydrolyzed by moisture.
  •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is formed in the forefoot portion of the midsole 200,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midsole 200.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insertion groove is not formed in the midfoot portion.
  •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is recessed in the shape of a Y to support the toes, the first pad 201 can be fit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it is possible to replace.
  •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is formed in the rear foot region, the outer side than the inner side is extended to the front toward the center line (L) to form asymmetrical shape.
  • the third pad 203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also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side protrudes longer than the inner side.
  • the third pad 203 which is insertable and replaceable in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has an asymmetry inward and outward so that the force is smoothly moved inward when the load is moved from the rear to the forefoot more naturally. This is to make it happen.
  • the normal walking method of the common people is that the rear foot first touches the ground and moves through the middle foot to the forefoot, but the load is 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foot to the inside of the forefoot, that is, the big toe.
  • the third pad 203 is configured asymmetrically to induce normal walking.
  • the wrong walking habits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203 may have different hardness from the midsole 200 itself.
  •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203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ardnesses.
  •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9203 may be replaced by using a shoe having a suitable hardness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203 are replaceable, and for this purpose, a replacement part 310 that is opened or opened is formed in the bottom 300 of the upper.
  • the edge of the bottom 300 is stitched an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and the opening 301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203 inside the bottom 300. Is formed.
  •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203 may be replaced by simply forming the opening 301, but a replacement part 310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301 in consideration of the fitting feeling. .
  • Replacement part 310 is one end of the opening 301 is connected to the sewing, but the unsewn portion is not restrained state can be easily opened by picking up with the finger. Therefore, when the replacement part 310 is closed, the opening 301 is blocked, so that the opening 301 has a flat plane, thereby improving the fitting feeling when the shoes are worn.
  • the locking jaw K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203 are formed.
  • the locking piece P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locking pad P so that the first pad 201 and the third pad 203 are fit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0 and the third insertion groove 230, respectively.
  • the consumer can use while replacing the replaceable pads as needed after purchasing the shoes.
  • the consume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ad, a second pad, and a third pad having various hardnesses, or may be purchased separately.
  • Personalized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joint protection and foot fatigue by selecting and using a pad that fits the individual's body shape, so that fine muscles can be used when walking to help strengthen muscle strength, and when walking It provides comfort and softness, making it suitable for use as a functional shoe for arthritis patients or diabetic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functional shoe that can create high added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체형이나 체중을 고려하여 교체가 가능한 패드가 미드솔에 마련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신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중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3삽입홈;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1패드;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2패드; 상기 제3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3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패드, 상기 제2패드, 상기 제3패드 중 최소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신발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체형이나 체중을 고려하여 교체가 가능한 패드가 미드솔에 마련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신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누구나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가지고 있으며, 날씨에 따라서 혹은 용도에 따라 적합한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특히, 특수한 목적의 기능성 신발들이 널리 알려지고 있는데, 이것은 생활수준의 향상 및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운동화 등과 같은 일반적인 신발들은 아웃솔, 미드솔, 인솔, 갑피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요소들은 제각각의 기능을 하도록 설계 및 제작된다.
아웃솔은 고무로 주로 이루어져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미드솔은 보행시의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쿠션이 좋은 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다. 그리고 인솔 및 갑피도 다양한 형상 및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하루 중 낮 동안의 대부분 시간을 직립 상태로 생활하기 때문에 발에 많은 하중이 작용되어 저녁이 되면 발이 붓거나 쉽게 피로해지는 경우가 많다. 신체 중 발은 큰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고 직립 보행을 하는 인간에게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신체 부위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에서 발을 제2의 심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발을 잘 씻고 관리해야 함은 물론이고, 올바른 보행습관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신체 특성에 맞는 적합한 신발을 착용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걸음걸이가 이상하거나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 관련 질환을 가진 사람의 상당수는 본인에게 맞지 않는 신발을 오랜시간 착용함에 따른 부작용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신발은 1차적으로 보행시의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안밖으로 균형을 유지하여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973호의 '신발창'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쿠션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충격완충수단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을 포함한 공지의 신발창 혹은 신발류의 경우 신발로 한번 제작되고 나면 신발의 미드솔에 대한 교체나 수선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신발 구조상 미드솔은 갑피와 일체로 결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미드솔은 당연히 갑피와 결합된 후에는 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일반 소비자들 중 일부는 대량 생산되어 판매되는 일반 신발을 구매한 후 자신의 체중이나 신체 기능을 고려하여 인솔을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즉, 미드솔의 교체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한 인솔을 자신에 맞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인솔을 사용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미드솔이 개개인의 체형이나 체중에 맞지 않는 것이라면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지기 쉽고 고가의 인솔의 기능은 반감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소비자들이 대량 생산되어 판매되는 신발을 구매하더라도 본인의 체중과 같은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미드솔에 장착되는 복수의 패드 중 최소 하나 이상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은, 아웃솔, 미드솔, 인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3삽입홈;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1패드; 상기 제3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3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 중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삽입홈, 상기 제3삽입홈은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편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서로 상이한 경도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패드는 발가락 부위가 접촉될 수 있는 Y자 형상을 이루되, 엄지발가락을 이루는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3패드는 상기 후족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종골을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삽입홈은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패드도,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으로 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는,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갑피 하단과 재봉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재봉으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체부를 열어서 상기 제1패드 또는 제3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의 하면에는 상기 아웃솔의 결합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인 맞춤형 신발은,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중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2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패드는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2패드,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은 미드솔의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각각의 영역에 경도값이 다른 패드를 삽입되게 하고, 필요에 따라서 패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최적화된 신발을 구성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발 모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
도 4는 미드솔의 상면 사시도.
도 5는 미드솔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미드솔의 하면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제2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부호의 설명>
100 : 아웃솔
200 : 미드솔
210 : 제1삽입홈 220 : 제2삽입홈
230 : 제3삽입홈 201 : 제1패드
202 : 제2패드 203 : 제3패드
240 : 위치결정홈
300 : 바닥부 301 : 개구부
310 : 교체부
K : 걸림턱
P : 걸림편 L : 센터라인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것일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및 보호영역이 도면 자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반적인 발 모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4는 미드솔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미드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미드솔의 하면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제2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은 아웃솔(100), 미드솔(200), 인솔(미도시), 갑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미드솔(200) 하면에 아웃솔(100)이 결합되는데, 특히 미드솔(200)의 상면에는 제1삽입홈(210), 제2삽입홈(220), 제3삽입홈(230)이 형성된다.
미드솔(200)은 크게 3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 영역으로 구분된다. 전족부는 발가락 영역이며, 중족부는 발바닥의 아치 영역이고, 후족부는 뒷굽부를 의미한다.
미드솔(200)의 상면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제1삽입홈(210)이 마련되며, 중족부 영역에 제2삽입홈(220)이 형성되고, 후족부 영역에 제3삽입홈(230)이 형성된다.
각 삽입홈(210,220,230)에는 하나씩의 패드가 삽입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제1삽입홈(210)에는 제1패드(201)가 끼워지고, 제2삽입홈(220)에는 제2패드(202)가 끼워지고, 제3삽입홈(230)에는 제3패드(203)가 끼워진다.
미드솔(200)은 보행시의 충격흡수 기능을 위해 폴리우레탄이나 E.V.A와 같은 쿠션이 좋은 소재로 제작되는데, 특히,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는 미드솔(200) 자체의 경도값과는 다른 경도값을 갖는 것으로 한다.
미드솔(200)의 경도값 보다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의 경도값은 크거나 낮을 수 있고,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각각의 경도값도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패드(201)는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낮아 쿠션력이 더 좋도록 할 수 있고, 제2패드(202)와 제3패드(203)는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경도값이 높아 쿠션력이 부족할 수도 있다.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의 경도값 선정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중이나 특정 질병의 유무 및 보행습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과체중을 가진 사용자인 경우에는 미드솔(200)이 쉽게 찌그러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는 각 패드(201,202,203)의 경도값이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높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는 각 패드(201,202,203)의 경도값이 미드솔(200)의 경도값보다 낮게 하여 보다 좋은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의 경우 소비자들이 자신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중 최소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하다가 피팅감이 좋지 않거나 피로도가 크게 느껴지는 경우 기 설치된 각 패드의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패드를 교체 설치하여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1삽입홈(210), 제2삽입홈(220), 제3삽입홈(230)은 하나 이상의 걸림턱(K)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에는 걸림턱(K)에 대응하는 걸림편(P)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과 같이 각 삽입홈(210,220,230)에는 하나씩의 걸림턱(K)이 형성되고, 각 패드(210,202,203)에는 하나씩의 걸림편(P)이 형성되게 한다.
각 삽입홈(210,220,230)에 걸림턱(K)을 형성하고, 각 패드(201,202,203)의 가장자리에 걸림편(P)을 두는 것은 경도가 다른 미드솔(200)과 각 패드(201,202,203)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삽입홈(210,220,230)과 패드(201,202,203)의 경계부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이질감을 줄여 피팅감이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1패드(201)의 경우 전족부의 발가락 부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5개의 발가락 전체를 받쳐줄 수 있으면서 엄지발가락을 이루는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까지 받쳐줄 수 있는 대략 Y자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엄지발가락의 경우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중이 가장 많이 실리는 부위가 되기 때문에 도면과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도 2의 발 모형도를 참조하면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패드(202)는 발바닥의 안쪽 부위인 중족부의 아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발바닥의 아치부는 활 모양의 굽어져 있어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오래 서 있는 경우 급격한 피로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제2패드(202)를 통해 아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한다.
또한, 제3패드(203)는 후족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종골을 받쳐주도록 한다. 정상적인 보행인 경우 지면에 접촉시 후족부부터 충격이 발생되기 때문에 제3패드(203)를 통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미드솔(200)이 무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에서는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중 최소 하나 이상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데, 완성된 신발 상태에서 패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와 대응하는 갑피(300)의 바닥부에 교체부(3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의미하는 교체부(310)란, 미드솔(200)과 결합되는 갑피(30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부위를 말한다.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 미드솔(200) 상면과 결합되는 갑피(300)의 바닥부는 완전히 막혀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는 패드의 교체를 위해 교체가 필요한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중 최소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교체부(310)가 형성된다.
제1패드(201), 제2패드(202), 제3패드(203) 모두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고, 본 실시예의 경우 후족부에 형성되는 제3패드(203)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해당 부위에 교체부(310)를 두는 것으로 한다.
덮개 같은 형태로 교체부(310)가 형성되며, U자형태로 절개되어 교체부(310)를 열어서 제3패드(203)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의 경우 미드솔(200)의 하면에 아웃솔(100)과의 결합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결정홈(240)이 형성되도록 한다.
미드솔(200) 하면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240)은 아웃솔(10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원형 위치결정홈과 직선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위치결정홈(240)은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아웃솔(100)의 경우 위치결정홈(240)에 결합되는 소정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드솔 및 각 패드는 TPU 필름으로 코팅되게 하여 수분에 의한 가수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7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신발은 미드솔(200)의 전족부에 제1삽입홈(210)이 형성되고, 미드솔(200)의 후족부 상면에 제3삽입홈(230)이 형성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중족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1삽입홈(210)은 발가락을 받쳐줄 수 있도록 Y 자 형상으로 함몰되며, 제1삽입홈(210)에 제1패드(201)가 끼워질 수 있고,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제3삽입홈(230)은 후족부 영역에 형성되되, 센터라인(L)을 기준으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비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3삽입홈(230)에 삽입되는 제3패드(203) 역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한다.
제3삽입홈(230)에 삽입 및 교체 가능한 제3패드(203)를 내측과 외측이 비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은 보행시 보다 자연스럽게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하중이 이동될 때 내측방향으로 힘의 이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람들의 정상적인 보행 방식은 후족부가 가장 먼저 지면에 닿게 되고 중족부를 거쳐서 전족부로 이동하되, 후족부 외측에서 전족부의 내측 즉, 엄지발가락쪽으로 하중이 이동되는데, 이러한 보행 방식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3패드(203)를 비대칭으로 구성하여 정상적인 보행을 유도하도록 한다.
특히,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보행 방식이 잘못되어 이상한 걸음걸이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본 발명의 신발을 통해 잘못된 보행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언급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제2실시예에서도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는 미드솔(200) 자체와는 다른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도 서로 다른 경도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패드(201)와 제3패드9203)는 신발을 착용하여보고 자신의 신체 특성에 보다 맞는 적당한 경도를 갖는 것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갑피의 바닥부(300)에는 개구되거나 개폐되는 교체부(31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부(300)의 가장자리는 갑피 하단과 재봉되어 연결되며, 바닥부(300)의 내부에 제1패드(201) 및 제3패드(203)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301)가 형성된다. 단순히 개구부(301)만을 형성시켜서 제1패드(201) 및 제3패드(203)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지만, 피팅감을 고려하여 개구부(301)에 개폐되는 교체부(310)를 마련하도록 할 수 있다.
교체부(310)는 개구부(301)의 일단이 재봉으로 연결되나, 재봉되지 않은 부분은 구속이 없는 상태이므로 손가락으로 집어 상부로 쉽게 올려 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체부(310)를 닫아 두는 상태이면 개구부(301)는 막히게 됨으로써 개구부(301)는 편평한 평면을 이루게 되어 신발 착용시의 피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언급하였듯이 제1삽입홈(210) 및 제3삽입홈(230)에는 걸림턱(K)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패드(201) 및 제3패드(203)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편(P)을 형성시켜서 제1패드(201)와 제3패드(203)를 제1삽입홈(210) 및 제3삽입홈(230)에 각각 끼워 장착할 때 걸림편(P)이 걸림턱(K)에 의해 지지되게 함으로써 신발 착용시의 이질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인 맞춤형 신발은 소비자가 신발을 구입한 후 교체 가능한 패드를 필요에 맞게 교체하면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소비자는 다양한 경도를 갖는 제1패드, 제2패드, 제3패드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혹은 별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인 맞춤형 신발은 개개인의 체형에 맞는 패드를 선택 사용함으로써 관절보호 및 발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보행시 미세 근육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근력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보행시 편안함과 부드러움을 제공하여 관절염 환자나 당뇨환자들에게 적합한 기능성 신발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아웃솔, 미드솔, 인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1삽입홈;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후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3삽입홈;
    상기 제1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1패드;
    상기 제3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3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 중 어느 하나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 상기 제3삽입홈은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걸림편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는 서로 상이한 경도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발가락 부위가 접촉될 수 있는 Y자 형상을 이루되, 엄지발가락을 이루는 지골과 척골의 경계부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3패드는 상기 후족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종골을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삽입홈은 센터라인을 기준으로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어 비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패드도, 내측보다 외측이 전방으로 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3패드 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갑피 하단과 재봉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일단이 재봉으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체부를 열어서 상기 제1패드 또는 제3패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하면에는 상기 아웃솔의 결합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맞춤형 신발은,
    상기 미드솔의 상면으로 중족부 영역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제2삽입홈;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미드솔이 가진 경도값과 다른 경도값을 갖는 제2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패드는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과 결합되는 상기 갑피의 바닥부는 상기 제1패드, 상기 제2패드, 상기 제3패드에 대응하는 곳에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교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신발.
PCT/KR2017/005803 2017-04-10 2017-06-02 개인 맞춤형 신발 WO201819046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7034868A KR102090974B1 (ko) 2017-04-10 2017-06-02 개인 맞춤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6283 2017-04-10
KR10-2017-0046283 2017-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63A1 true WO2018190463A1 (ko) 2018-10-18

Family

ID=6379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5803 WO2018190463A1 (ko) 2017-04-10 2017-06-02 개인 맞춤형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0974B1 (ko)
WO (1) WO20181904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3880A1 (en) * 2020-08-20 2022-02-24 Romeo & Juliette, Inc. Impact reduction footwear through heel and metatarsal cavit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860A (ko) 2019-02-13 2020-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괴타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102375673B1 (ko) * 2021-09-30 2022-03-18 주식회사 에프씨지코리아 골프 스윙에 의해 발생되는 지면반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골프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624A (ko) * 2007-07-30 2009-02-04 류현욱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US7490416B2 (en) * 2004-01-26 2009-02-17 Townsend Herbert E Shoe with cushioning and speed enhancement mid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KR20090059886A (ko) * 2007-12-07 2009-06-11 김준엽 신발의 중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190A (ko) * 2008-10-13 2010-04-22 최현규 등산 효과, 신체 교정 효과, 발의 하중 분산 효과 및 지압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신발
KR20160148570A (ko) * 2014-04-09 2016-12-2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35B1 (ko) * 2005-05-13 2012-11-14 (주)스텝스 신발패드
KR101685112B1 (ko) * 2015-05-27 2016-12-12 주식회사 제뉴인그립 하이힐용 안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0416B2 (en) * 2004-01-26 2009-02-17 Townsend Herbert E Shoe with cushioning and speed enhancement mid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KR20090012624A (ko) * 2007-07-30 2009-02-04 류현욱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KR20090059886A (ko) * 2007-12-07 2009-06-11 김준엽 신발의 중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190A (ko) * 2008-10-13 2010-04-22 최현규 등산 효과, 신체 교정 효과, 발의 하중 분산 효과 및 지압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신발
KR20160148570A (ko) * 2014-04-09 2016-12-2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착탈형 인서트를 구비한 신발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3880A1 (en) * 2020-08-20 2022-02-24 Romeo & Juliette, Inc. Impact reduction footwear through heel and metatarsal cav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974B1 (ko) 2020-03-19
KR20190016498A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9446C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EP2367454B1 (en) Article of footwear
US8069586B2 (en) Orthopedic foot appliance
KR101287391B1 (ko) 신발 안창
US20130160331A1 (en) Shoe Insole or Midsole with a Tri-Dome Configuration for Foot Rehabilitation
WO2014151499A2 (en) Removable shoe insert for corrective sizing
WO2018190463A1 (ko) 개인 맞춤형 신발
US20090025255A1 (en) Plantar wearable with open shoes
US20100018077A1 (en) Spring-supported arch support and method
WO2010134661A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CN108652125B (zh) 一种全包裹式亚健康矫正鞋
WO2020013640A1 (ko)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WO2016163627A1 (ko) 좌우동형 신발
WO2019164357A1 (ko) 바른발 기능성 양말
WO2021085574A1 (ja) 靴の中敷き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US9974355B2 (en) Padded foot support with a ball of foot depression
CZ305699B6 (cs) Víceúčelová obuv pro diabetiky s optimalizovanou konstrukcí
KR200362908Y1 (ko) 고도의 등산자세를 재현할 수 있는 신발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20200049024A (ko) 교정용 신발
WO2018088768A1 (ko) 스트레칭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신발
KR102239837B1 (ko) 인솔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WO2023229325A2 (ko) 건강 보조 교정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050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034868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050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