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757A - 신발패드 - Google Patents

신발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757A
KR20060117757A KR1020050040286A KR20050040286A KR20060117757A KR 20060117757 A KR20060117757 A KR 20060117757A KR 1020050040286 A KR1020050040286 A KR 1020050040286A KR 20050040286 A KR20050040286 A KR 20050040286A KR 20060117757 A KR20060117757 A KR 20060117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hoe
shoe pad
recess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835B1 (ko
Inventor
김원기
Original Assignee
(주)스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텝스 filed Critical (주)스텝스
Priority to KR102005004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83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발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도록 신발내부에 구비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전방요부와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후방요부를 구비하는 패드본체 ; 상기 전방요부에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 ; 및 상기 후방요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흡수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고르게 분산하면서 흡수함과 동시에 뒤꿈치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발뼈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바로잡고 올바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골격의 균형을 점차적으로 회복하고, 신체 불균형에서 기인하는 각 부위의 통증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발바닥의 아치 곡률정도나 교정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아치와 접하게 되는 교정부위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아치, 신발패드, 교정부, 충격흡수부, 전,후방요부

Description

신발패드{A Shoe P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정면도이고,
b)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분해사시도이고,
b)는 전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분해사시도이고,
b)는 전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패드몸체 112 : 전방요부
112a : 만곡부 113 : 조립홈
114 : 후방요부 115 : 관통공
115a : 고정돌기 114a : 평면부
116 : 지지단 117 : 접착제
119,129 : 지압돌기 120 : 교정부
122 : 통기공 122a : 고정공
123 : 조립턱 130 : 충격흡수부
본 발명은 신발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에 대한 신체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발바닥에 집중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신발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개략적으로 발부분을 둘러싸는 갑피(upper)와, 보행시 발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한 밑창(outsole)과, 상기 갑피와 밑창 상간에 개재되어 충격흡수에 의한 착용감을 증대하기 위한 중창(midsole) 및 갑피 내측 바닥면에 개재되어 보다 향상된 착용감을 부여하기 위한 깔창(insole)으로 크게 구성되게 된다.
통상 이와 같은 신발을 신고 걷거나 뛰게 될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충격은 상기 밑창이나 중창에서 주로 흡수하게 되며, 따라서 보다 나은 충격흡수 기능을 부 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 밑창 혹은 중창이 개발되어 왔다.
한편, 알려진 바와 같이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발이 땅에 닿을 경우 발의 뒤축의 바깥쪽부터 땅에 닿은 후 그 다음에 발목이 안쪽으로 돌면서(rolling) 뒤축의 안쪽이 닿게 되고, 그 후 무게중심을 발 앞쪽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다시 바깥쪽으로 회전(swing)하는, 즉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위 내전운동(pronation)이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뒤축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할 때 발목이 과도하게 안쪽으로 도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발목에 무리가 갈 뿐 아니라 발의 안쪽 중앙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하, '아치(Arch)'이라함.)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므로 부상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생물역학체인 인체에서 전신의 골격은 척추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마디마다 고리를 지어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하나의 고리식 연결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의 어느 관절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게 되면 다른 관절의 활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발뼈의 각 부위의 배열이 정확하지 않다면 결국은 발꿈치가 비틀어지고 이로 인해 경골(다리 뼈)의 균형이 깨어져 보행시 충격이 무릎, 발목을 통해 발바닥으로 고루 분포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전신골격과 관절의 불균형을 일으키게 되고 무릎, 엉덩이, 골반, 척추 등의 부위에도 영향을 주어 관절 부위에 통증이 유발된다. 그 중에서 골반(장골)의 틀어짐은 근육과 결체조직의 긴장감을 조성하여 만성적인 요통의 원인이 되고 척추에도 무리를 주어 신체의 충격흡수 능력을 저하시키고, 다리와 골반의 완충능력을 감소시켜 발꿈치에서 받은 진동이 최상부(머리)까지 전달되어 머리통증(편두, 측두통)과 기타 통증을 악화시키는 현상이 초래된다.
미국의 U.S. Public Health Service의 조사에 의하면 도시생활을 하는 87%의 사람들이 발에 문제가 있고, 또 이러한 문제는 어렸을 때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한다. 더구나 이와 같은 발뼈의 배열에 따른 문제는 척추측만, 허리 구부림, 한쪽 어깨의 처짐, 허리 및 목의 거북함과 뻣뻣함 및 통증 등의 만성적 질환으로 점점 발전하고 있다.
또한, 반대로 안쪽으로 도는 움직임이 거의 없거나 부족한 경우의 사람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충격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장시간 걷지 못하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신발의 경우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벗어나는 경우 대하여 특별히 교정수단이 부여된 것을 살펴보면, 주로 밑창이나 중창의 부위별로 밀도를 다르게 하는 다중밀도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으로 내전운동의 정도나 사용자의 체중및 발바닥면의 아치의 곡률정도에 따라서 다양화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특히 다중밀도로 이루어진 밑창이나 중창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느끼는 부위인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교정효과가 미비하며, 밑창의 경우 상대적으 로 밀도가 낮은 부분이 쉽게 훼손되어 내구성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교정수단이 밑창이나 중창에 부여된 신발의 경우 가격이 매우 고가일 뿐 아니라, 구조상 밑창이나 중창이 훼손될 경우 신발전체를 다시 구입해야 하는 등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고르게 분산하면서 흡수함과 동시에 발뒤꿈치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신발패드를 제공함에 제 1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뼈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바로잡고 올바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골격의 균형을 점차적으로 회복하고, 신체 불균형에서 기인하는 각 부위의 통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신발패드를 제공함에 제 2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양한 발바닥의 아치 곡률정도나 교정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아치와 접하게 되는 교정부위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신발패드를 제공함에 제 3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신발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도록 신발내부에 구비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전방요부와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후방요부를 구비하는 패드본체 ;
상기 전방요부에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 ; 및
상기 후방요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흡수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요부는 상기 패드본체의 전방에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만곡부상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요부는 상기 패드본체의 후방에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평면부상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는 상기 교정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만곡부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곡률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선,후단이 두께는 상기 전방요부의 깊이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고, 몸체중앙의 두께는 상기 전방요부의 깊이보다 큰 크기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전방요부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 통공과 일치되는 통기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외부면에 상기 전방요부의 내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턱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요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조립턱과 대응하는 조립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요부는 내부면에 상기 교정부의 외부면에 탄력적으로밀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턱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의 외부면에는 상기 조립턱과 대응하는 조립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전방요부의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와 조립되는 고정공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공을 통해 상기 교정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일정높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전방요부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과 조립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후방요부에 접착제 또는 매직테이프를 매개로 하여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는 상기 후방요부와 대응하는 신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또다른 매직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패드본체의 사출성형시 상부면이 외부 노출되도록 상기 후방요부에 일체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 또는 교정부는 합성수지 또는 동등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탄성을 지니는 주원료에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원적외선 방사체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소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본체 또는 교정부는 상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압돌기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패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정면도이고, b)는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신발패드(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발사용자의 신발내에 구비되어 보행시 발바닥면과 신발이 접하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올바른 보행이 가능하도록 발뼈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올바르게 잡을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패드본체(110), 교정부(120) 및 충격흡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발의 앞꿈치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방이라 하고, 뒤꿈치에 해당하는 부분을 후방이라 한다.
또한, 신발패드 사용자의 신체하중을 발바닥전체에 고르게 분포시켜 보행 움직임을 균형있고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신발패드(100)는 발바닥 전체와 접촉하는 면적을 갖는 크기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보행의 편의성과 중량감소를 고려해 발가락과 앞꿈치와 대응하는 전반부분의 일부는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드본체(110)는 상기 발바닥의 안쪽 중앙에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인 아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해당하는 부위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전방요부(112)와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해당하는 부위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후방요부(114)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패드본체(110)는 폴리우레탄 또는 EVA를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되어 신발내에 신발사용자의 발바닥과 면접하도록 구비되고, 발바닥과 대략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패드부재이다.
상기 전방요부(112)는 상기 후방요부(114)의 전체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되며, 상기 후방요부(114)와 서로 분리된 전방요부(112)는 상기 패드본체(110)의 몸체전방에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만곡부(112a)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후방요부(114)는 상기 패드본체(110)의 몸체후방에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평면부(114a)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부(112a)와 평면부(114a)는 상기 패드본체(110)를 구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며, 상기 패드본체(110)의 전방몸체의 선단일부를 제외하는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발바닥과 발등사이의 경계부위를 감싸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단(116)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패드본체(110)의 선단테두리는 신발장착후 보행시 신발과 패드본체(110)간의 경계선에 형성되는 단차가 신발패드의 사용자 발바닥을 통하여 느끼지 못할 정도로 상기 패드본체(110)의 두께중 가장 얇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정부(120)는 상기 패드본체(110)의 전방요부(112)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폴리우레탄을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되는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교정부(120)는 일본공업규격(JIS K 6301 A)기준 GS-706N 경도계로 측정하는 경우 55 내지 75의 경도를 갖추어 발바닥의 아치에 상면이 고르게 접하면서 받쳐주도록 상기 만곡부(112a)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추어 사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물이다.
상기 패드본체(110)는 상기 교정부(120)의 경도보다 높은 85 내지 95의 경도를 갖추어 발바닥의 아치를 탄력적으로 받쳐 주면서 올바른 보행자세와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드본체(110)의 경도가 85보다 낮으면 발바닥의 아치를 적극적으로 받쳐주지 못하여 큰 교정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95보다 높으면, 발바닥의 아치에 무리한 자극을 주게 되어 사용자의 관절에 악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각질이나 굳은살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교정부(120)는 선,후단의 두께가 상기 전방요부(112)의 깊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반면에, 몸체중앙의 두께는 상기 전방요부(112)의 깊이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면이 위로 볼록한 단면을 갖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요부(112)에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교정부(120)는 상면의 곡률이 서로 상이하도록 몸체중앙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적어도 2개이상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신발사용자는 발바닥의 아치곡률이나 교정정도에 맞추어 다양한 상면곡률을 갖는 복수개의 교정부(120)중 어느 하는 선택하여 전방요부(112)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장착된 교정부(120)의 몸체중앙은 발바닥의 아치에 고르게 접하여 보행시 아치에 적절한 자극을 주면서 하중을 고르게 분산하고, 비정상적인 내전운동에 대한 교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교정부(120)는 상기 전방요부(112)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공(115)과 일치되는 통기공(122)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115)과 통기공(122)은 상기 패드본체(110)와 교정부(12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의 갯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보행시 상기 패드본체(110)의 바닥면과 신발 바닥면간의 빈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관통공(115)과 통기공(122)을 통하여 순환되어 발바닥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정부(120)는 외부면에 상기 전방요부(112)의 내부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턱(123)을 구비하거나 상기 조립턱(123)과 대응하는 전방요부(112)의 내부면에는 상기 조립턱(123)과 대응조립되는 조립홈(113)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정부(120)는 상기 조립턱(123)과 전방요부(112)내부면 간의 밀착력이나 상기 조립턱(123)과 조립홈(113)간의 조립에 의해서 상기 패드본체(110)의 전방요부(112)에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삽입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방요부(112)는 내부면에 상기와 반대로 상기 교정부(120)의 외부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립턱을 구비하거나 상기 조립턱과 대응하는 교정부(1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조립턱과 대응조립되는 조립홈을 구비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교정부(120)는 도 4(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전방요부(11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일정높이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15a)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고정공(122a)을 구비하거나, 이와 반대로, 상기 전방요부(112)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과 조립되는 고정돌기를 일정높이로 돌출형성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전방요부(112)에 구비되는 고정돌기(115a)는 상기 교정부(12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고정돌기(115a)의 상단이 상기 고정공(122a)을 통하여 상기 교정부(120)의 상부면으로 외부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돌기(115a)가 외부돌출되면 발바닥의 아치와 접촉함으로써 지압효과를 기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부(130)는 상기 패드본체(110)의 후방요부(114)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보행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교정부(120)의 경도보다는 낮은 10 내지 30의 경도를 갖는 실리콘 또는 라텍스와 같은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충격흡수부(130)는 상기 후방요부(114)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접착제 (117)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부착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후방요부(114)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를 매개로 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드본체(110)는 상기 후방요부(114)와 대응하는 신발의 바닥면에 또다른 매직테이프를 구비하여 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신발에 대하여 패드본체(110)의 움직임이 없도록 확고히 부착될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격흡수부(130)는 상기 패드본체(110)의 사출성형시 몸체대부분은 상기 패드본체(110)내에 매입되는 반면에 발바닥의 뒤꿈치가 접하는 상부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패드본체(110)의 후방요부(114)에 일체로 구비되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패드본체(110)의 후방요부(114)에 별도로 제작된 충격흡수부를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신발패드를 제조하는 공정을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본체(110)와 상기 교정부(120)에는 도 5(a)(b)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행시 발바닥에 미세한 마사지효과를 불러 일으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도록 상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압돌기(119)(129)를 각각 구비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지압돌기(119)(129)는 발바닥의 아치와 대응하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후방요부(112)(114)를 구비할 수 있도록 사출성형되는 패드본 체(110) 또는 상기 전방요부(112)에 구비되는 교정부(120)는 합성수지 또는 동등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탄성을 지니는 주원료에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원적외선 방사체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소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합성수지는 강도가 뛰어나고 탄성력이 우수한 TPU(Thermo-elastic Polyurethane)가 바람직하며, 항균제는 은 또는 기타 무기향균제를 사용하고, 소취제는 다공성 파우더를 사용하고, 방향제는 마이크로캡슐화한 방향제를 사용하고, 원적외선 방사체는 토르말린(Tourmaline) 파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99.9%의 항균성, 99.9%의 소취율, 92,7%의 원적외선 방사율이 달성되는 함량비로 각각의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도 재질이 가볍고 탄력이 있으며 구조가 튼튼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260℃의 용해로에서 TPU 또는 합성수지 칩을 용해하면서 상기의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및 원적외선 방사체를 일정 중량비로 주원료에 투입하여 혼합한 다음, 혼합 용융물을 패드본체 또는 교정부의 모양의 캐비티를 갖는 금형으로 각각 공급하여 패드본체와 교정부를 각각 사출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드본체(110)와 교정부(120)는 서로 다른 색갈을 갖추어 육안식별이 용이하도록 사출성형전 혼합용융물에 사전에 설정된 색소를 주입하여 성형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패드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전,후방 요부(112)(114)에 각각 교정부(120)와 충격흡수부(130)를 삽입하여 제조완성된 신발패드(100)는 발바닥의 아치와 상기 교정부(120)가 서로 대응하고, 발바닥의 뒤꿈치와 충격흡수부(130)가 서로 대응하도록 신발내에 구비된다.
그리고, 다양한 체중과 아치곡률을 갖는 사용자는 신발패드(100)를 구비하는 신발착용후 발바닥의 아치와 교정부(120)가 서로 면접하는 정도가 느낌상 너무 미약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방요부(112)에 장착된 교정부(120)를 상기 교정부(120)의 상면 곡률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다른 교정부로 교체하여 재장착하고, 아치와 교정부(120)가 서로 면접하는 정도가 느낌상 너무 과다하여 보행이 불편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교정부(120)의 상면 곡률정도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또다른 교정부로 교체하여 재장착한다.
이에 따라, 발바닥의 아치와 교정부(120)가 서로 고르게 탄력적으로 면접되면, 보행시 발바닥의 바깥쪽에 안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될때 발목이 과도하게 안쪽으로 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내전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발의 골격, 인대, 근육이 정상적으로 배치되거나 성장되도록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도록 신발내 에 구비되는 패드본체에 아치와 접하는 교정부와 뒤꿈치와 접하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고르게 분산하면서 흡수함과 동시에 발바닥에 집중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발뼈의 비정상적인 배열을 바로잡고 올바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골격의 균형이 점차적으로 올바르게 회복되고, 신체 불균형에서 기인하는 각 부위의 통증을 해소할 수 있는 한편, 발바닥의 다양한 아치 곡률정도나 교정정도에 따라 아치와 접하게 되는 교정부위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0)

  1. 신발사용자의 발바닥과 접하도록 신발내부에 구비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아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전방요부와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와 대응하는 상면에 함몰형성되는 후방요부를 구비하는 패드본체 ;
    상기 전방요부에 교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 ; 및
    상기 후방요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흡수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요부는 상기 패드본체의 전방에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만곡부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요부는 상기 패드본체의 후방에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평면부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는 상기 교정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만곡부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곡률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선,후단이 두께는 상기 전방요부의 깊이와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고, 몸체중앙의 두께는 상기 전방요부의 깊이보다 큰 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전방요부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일치되는 통기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외부면에 상기 전방요부의 내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요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조립턱과 대응하는 조립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요부는 내부면에 상기 교정부의 외부면에 탄력적으로밀착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턱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의 외부면에는 상기 조립턱과 대응하는 조립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전방요부의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와 조립되는 고정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공을 통해 상기 교정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일정 높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전방요부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공과 조립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후방요부에 접착제 또는 매직테이프를 매개로 하여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는 상기 후방요부와 대응하는 신발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또다른 매직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패드본체의 사출성형시 상부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후방요부에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 또는 교정부는 합성수지 또는 동등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탄 성을 지니는 주원료에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원적외선 방사체중 적어도 하나이상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소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본체 또는 교정부는 상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압돌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패드.
KR1020050040286A 2005-05-13 2005-05-13 신발패드 KR10119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86A KR101196835B1 (ko) 2005-05-13 2005-05-13 신발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86A KR101196835B1 (ko) 2005-05-13 2005-05-13 신발패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583U Division KR200392936Y1 (ko) 2005-05-13 2005-05-13 신발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57A true KR20060117757A (ko) 2006-11-17
KR101196835B1 KR101196835B1 (ko) 2012-11-14

Family

ID=3770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86A KR101196835B1 (ko) 2005-05-13 2005-05-13 신발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8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10B1 (ko) * 2007-01-24 2008-05-08 바이오메카닉스 (주) 족관절의 기능강화를 위한 기능성 안창
KR101054066B1 (ko) * 2008-07-24 2011-08-04 주식회사 와이비엘엠비오라 신발 깔창
KR20150137420A (ko) * 2014-05-29 2015-12-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족교정구
KR20190016498A (ko) * 2017-04-10 2019-02-18 (주)다짐아이엔씨 개인 맞춤형 신발
KR102049077B1 (ko) *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KR20200094031A (ko) * 2019-01-29 2020-08-06 (주)한국바른자세연구원 발 교정용 기능성 안창
CN111904095A (zh) * 2019-05-08 2020-11-10 广州崇泰科技有限公司 一种足弓支撑减震高弹性能持久的舒适鞋垫
WO2023075576A1 (ko) * 2021-10-27 2023-05-04 원종칠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05580B2 (en) * 2013-01-08 2017-02-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lantar fascia support system
KR101797734B1 (ko) * 2016-11-29 2017-12-13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라이프 내반슬 및 외반슬 교정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13Y1 (ko) * 2002-01-21 2002-05-03 이태성 신발중창
KR200298005Y1 (ko) * 2002-08-05 2002-12-12 김동현 지압용 신발 및 깔창
KR200319548Y1 (ko) * 2003-04-07 2003-07-12 강신석 쿠션신발
KR200384224Y1 (ko) * 2005-02-14 2005-05-12 비에이치코리아 주식회사 발 교정용 신발깔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10B1 (ko) * 2007-01-24 2008-05-08 바이오메카닉스 (주) 족관절의 기능강화를 위한 기능성 안창
KR101054066B1 (ko) * 2008-07-24 2011-08-04 주식회사 와이비엘엠비오라 신발 깔창
KR20150137420A (ko) * 2014-05-29 2015-12-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족교정구
KR20190016498A (ko) * 2017-04-10 2019-02-18 (주)다짐아이엔씨 개인 맞춤형 신발
KR20200094031A (ko) * 2019-01-29 2020-08-06 (주)한국바른자세연구원 발 교정용 기능성 안창
KR102049077B1 (ko) * 2019-04-04 2019-11-26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WO2020204669A1 (ko) * 2019-04-04 2020-10-08 원종칠 신체 교정용 신발 깔창
CN111904095A (zh) * 2019-05-08 2020-11-10 广州崇泰科技有限公司 一种足弓支撑减震高弹性能持久的舒适鞋垫
WO2023075576A1 (ko) * 2021-10-27 2023-05-04 원종칠 신체교정용 신발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835B1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US6510626B1 (en) Custom orthotic foot support assembly
JP3942027B2 (ja) 履物ソール
US4325380A (en) Orthotic device for the heel of a person's foot
US8196315B2 (en)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US20050022421A1 (en) Ballet pointe shoe
US20120272546A1 (en) Healthy insole
KR101454607B1 (ko) 인체의 체형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발가락 교정기
JP2009512525A (ja) 一体型の中足骨部起伏部を有する履物
KR101642347B1 (ko)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US20200163407A1 (en)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AU2020376694B2 (en) Shoe insole
KR200392936Y1 (ko) 신발패드
JP2012527297A (ja) O脚またはx脚を予防して使用者体重に合うクッションを提供する人体均衡履物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KR101098019B1 (ko) 교정용 보정신발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20110007476U (ko) 아치부위체형 맞춤 선택형 충격흡수분산기능성 보형물을 갖는 신발
KR200340469Y1 (ko) 신체 교정을 위한 신발패드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0412025Y1 (ko) 다기능 신발 안창
KR200312254Y1 (ko) 신발용 발의 아치 보형물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0928712B1 (ko)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