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26B1 -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26B1
KR102647826B1 KR1020220051675A KR20220051675A KR102647826B1 KR 102647826 B1 KR102647826 B1 KR 102647826B1 KR 1020220051675 A KR1020220051675 A KR 1020220051675A KR 20220051675 A KR20220051675 A KR 20220051675A KR 102647826 B1 KR102647826 B1 KR 10264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curvature
arch
skin
position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1839A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명 filed Critical 이재명
Priority to KR1020220051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26B1/ko
Publication of KR2023015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의 아치부를 인체공학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외피(11)와 바닥피(12)로 구성되고,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틀부(1a)가 형성되는 라스트(1)를 기준으로 성형되어,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곡률부(13)를 형성하는 갑피부(10); 상기 바닥피(12) 저면에 부착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형성되어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샹크플레이트(20);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선, 후단에 이격 배치되어 신발 밑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앞, 뒷창부(30)(40); 및 상기 갑피부(10) 내에 수용되고,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되는 인솔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반복적은 답압에 노출되더라도 아치형 곡률부의 초기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발바닥의 아치부분이 형상유지부에 의해 인체공학적으로 받침 지지되어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Shoes capable of supporting the arch of the 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바닥의 아치부를 인체공학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발은 체중을 떠받치는 기능과 몸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기능을 갖는데, 특히 발바닥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불릴 정도로 체내의 모든 장기, 기관과 연결되어 있어 걷는 것만으로도 사람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리고, 바른 걸음걸이 또는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관절 및 척추 등이 휘어지는 등의 악영향을 주어 신체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에 맞는 신발을 착용해야 하지만, 대부분 신발이 기성품으로 규격화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바닥 구조가 뒤틀리는 실정이다.
특히, 굽이 높은 신발이나, 키높이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잘못된 걸음걸이 또는 서있는 자세가 유지되면서 발바닥에 고르게 체중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에 질환이 생기거나 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이에 근자에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을 편안히 해주는 기능성 신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0943088호에서, 스포츠화에 사용되는 인솔에 있어서, 사람의 발바닥의 형상을 띠며, 상기 인솔의 전체 면적에 걸쳐 복수로 적층된 섬유강화플라스틱층을 구비하고,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층 중 발바닥의 장심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발바닥의 장심의 형상에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솔은 상기 인솔의 외측면으로 사람 발의 외측을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된 섬유강화플라스틱 측벽을 더 구비한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 10-1314656호에서, 안창; 상기 안창 저면에 결합되어 발바닥의 형상에 맞춰 변형 가능한 하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드부재는 상기 안창이 발꿈치의 좌, 우, 뒷면을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만곡부를 갖는 발꿈치부와, 상기 안창이 발바닥의 아치를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꿈치부와 아치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사용자의 발꿈치와 아치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되, 상기 하드부재는 상기 발꿈치부 저면에 공기쿠션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접시형상의 몸체와 공기 차폐수단을 포함하는 완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착용자 발바닥의 아치부에 밀착되도록 인솔(안창)을 형성하려는 것이나, 인솔(안창)을 착용자 발바닥 맞춤형으로 제작하더라도 신발 내부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답압에 의해 인솔(안창)이 신발 내부 바닥면과 동일하게 평평하게 변형되므로 발바닥의 아치부 영역을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점이 따랐다.
KR 10-0943088 B1 (2010.02.10.) KR 10-1314656 B1 (2013.09.27.)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신발 밑창을 구성하는 샹크플레이트의 아치형 형상유지부에 의해 바닥피의 아치형 곡률부가 받침 지지되어 반복적은 답압에 노출되더라도 아치형 곡률부의 초기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갑피부의 바닥피가 실제 사람의 발바닥에 대응되는 곡률패턴과 평면패턴으로 구분되어, 곡률패턴이 라스트의 아치형 형틀부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되어 바닥피를 인체공학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을 구성하되, 외피(11)와 바닥피(12)로 구성되고,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틀부(1a)가 형성되는 라스트(1)를 기준으로 성형되어,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곡률부(13)를 형성하는 갑피부(10); 상기 바닥피(12) 저면에 부착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형성되어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샹크플레이트(20);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선, 후단에 이격 배치되어 신발 밑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앞, 뒷창부(30)(40); 및 상기 갑피부(10) 내에 수용되고,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되는 인솔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제조방법은,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틀부(1a)가 형성되는 라스트(1)를 기준으로 갑피부(10)를 성형하여,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곡률부(13)를 형성하는 갑피성형단계(S10); 상기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형성되는 샹크플레이트(20)를 갑피부(10)의 바닥피(12) 저면에 부착하는 샹크플레이트 설치단계(S20);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선, 후단에 앞, 뒷창부(30)(40)를 이격 배치하여 신발 밑창을 형성하는 밑창형성단계(S30); 및 상기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되는 인솔부(50)를 갑피부(10) 내에 설치하는 인솔부 설치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을 구성하는 샹크플레이트의 아치형 형상유지부에 의해 바닥피의 아치형 곡률부가 받침 지지되어 반복적은 답압에 노출되더라도 아치형 곡률부의 초기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바닥의 아치부분이 형상유지부에 의해 인체공학적으로 받침 지지되어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감소됨과 더불어 족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갑피부의 바닥피가 곡률패턴과 평면패턴으로 구분되어, 곡률패턴이 라스트의 아치형 형틀부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되어 바닥피를 인체공학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의 제조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의 바닥피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제조방법에서 신발 밑창을 투톤디자인으로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상, 하, 전, 후" 등의 방향을 타나내는 표현들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의 제조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신발 밑창을 구성하는 샹크플레이트의 아치형 형상유지부에 의해 바닥피의 아치형 곡률부가 받침 지지되어 발바닥의 아치부분이 형상유지부에 의해 인체공학적으로 받침 지지되어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감소됨과 더불어 족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갑피부(10), 샹크플레이트(20), 앞, 뒷창부(30)(40) 및 인솔부(50)를 포함하는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갑피부(10)는 외피(11)와 바닥피(12)로 구성되고,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틀부(1a)가 형성되는 라스트(1)를 기준으로 성형되어,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곡률부(13)를 형성한다.
상기 갑피부(10)는 발바닥, 발등을 포함하는 발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구성으로서, 외부에 노출되는 외피(11)는 복수의 패턴 조합으로 연결되어 발의 굴곡을 따라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피(11) 상부에는 발이 수용되는 개구 형성되고, 개구 주변에는 탄성밴드, 벨크로, 끈을 포함하는 조임수단이 설치되어, 신발에 수용된 발을 안정감 있게 구속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갑피부(10)를 구성하는 바닥피(12)는 후술할 샹크플레이트(20) 및 앞창과 뒷창을 포함하는 밑창부(60)에 의해 비노출 되도록 결합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닥피(12)는 곡률패턴(12a)과 평면패턴(12b)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실제 사람의 발의 굴곡에 따라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는 점이 특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의 바닥피를 나타내는 구성도로, 상기 갑피부(10)의 바닥피(12)는, 발바닥 아치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영역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재단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되는 곡률패턴(12a)과, 곡률패턴(12a)에 봉재되어, 발바닥 가장자리부 곡률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마감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패턴(12b)을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바닥피(12)가 곡률패턴(12a)과 평면패턴(12b)으로 구분되어, 곡률패턴(12a)이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된 상태로 평면패턴(12b)과 연결되므로, 곡률패턴(12a)에 의해 바닥피(12)가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샹크플레이트(20)는 상기 바닥피(12) 저면에 부착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형성되어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합성수지의 재질로는 PP, PE, PVC, 우레탄 등 다양한 소재를 하나 이상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발의 뒷꿈치에서부터 전방으로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어 신발 제조 과정에서 갑피부(10)의 형태를 안정감 있게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바닥피(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피(12) 저면에 접착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바닥피(12)에 형성되는 아치형 곡률부(13)를 받침 지지하여 반복적인 답압에 노출되더라도 아치형 곡률부(13)가 변형없이 초기 형상으로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주문자 족형으로 커스텀(맞춤) 제작되는 구성도 가능하고, 상기 샹크플레이트(20)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힘살을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샹크플레이트(20) 저면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을 가지면서 접지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밑창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밑창부(60)는 일반적인 통상의 신발과 같이 앞, 뒷창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뒷창부(30)(40)가 이격되어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앞, 뒷창부(30)(40)는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선, 후단에 이격 배치되어 신발 밑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앞, 뒷창부(30)(40)는 탄성을 가지면서 접지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바, 이때 상기 앞창부(30)는 신발 밑창의 전방영역에 배치되고, 뒷창부(40)는 신발 밑창의 굽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앞, 뒷창부(30)(40)는 서로 이격되어 사이공간을 형성하고, 사이공간으로 샹크플레이트(20)가 일부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신발 밑창의 일부구성으로서, 앞, 뒷창부(30)(40)를 서로 연결하고, 또 아치형 형상유지부(21)에 의해 바닥피(12)의 아치형 곡률부(13)를 받침 지지하는 힘살편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솔부(50)는 상기 갑피부(10) 내에 수용되고,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인솔부(50)는 신발 내부에서 발바닥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발바닥과 접하는 상면에 직물지를 포함하는 시트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솔부(50)는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되어 발바닥의 아치부분에 인체공학적으로 밀착되어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감소됨과 더불어 족형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비되고, 이때 아치형 이너곡률부(51)는 샹크플레이트(20)의 아치형 형상유지부(21)에 의해 받침 지지되어 반복적인 답압에 노출되더라도 초기 형상으로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로, 도 2와 함께 하기에서 신발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의 제조방법은 크게 갑피성형단계(S10), 샹크플레이트 설치단계(S20), 밑창형성단계(S30), 인솔부 설치단계(S40)를 포함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1. 갑피성형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갑피성형단계(S10)는,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틀부(1a)가 형성되는 라스트(1)를 기준으로 갑피부(10)를 성형하여,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곡률부(1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2(a)에서, 상기 갑피부(10)는 외피(11)와 바닥피(12)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피(12)는 곡률패턴(12a)과 평면패턴(12b)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도 3처럼 상기 곡률패턴(12a)은 발바닥 아치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영역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재단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한 후, 발바닥 가장자리부 곡률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평면패턴(12b)으로 마감한 상태로 곡률패턴(12a)과 봉재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바닥피(12)가 곡률패턴(12a)과 평면패턴(12b)으로 구분되고, 곡률패턴(12a)이 평면패턴(12b)에 영향을 받지 않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되므로, 곡률패턴(12a)에 의해 바닥피(12)가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2. 샹크플레이트 설치단계(S20)
본 발명에 따른 샹크플레이트 설치단계(S20)는, 상기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형성되는 샹크플레이트(20)를 갑피부(10)의 바닥피(12) 저면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되거나, 주문자 족형으로 커스텀제작되어, 바닥피(12) 저면에 접착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도 2 (b)에서,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신발 밑창의 일부구성으로서, 아치형 형상유지부(21)에 의해 바닥피(12)의 아치형 곡률부(13)를 받침 지지하는 힘살편의 기능을 수행하여 반복적인 답압에 노출되더라도 아치형 곡률부(13)가 초기 형상으로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에 컬러층(22)이 형성되고, 상기 컬러층(22)은 후술하는 앞, 뒷창부(30)(40)와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되어, 신발 밑창이 외관상 투톤디자인으로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의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제조방법에서 신발 밑창을 투톤디자인으로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를 참조하면, 상기 앞, 뒷창부(30)(40)는 서로 이격되어 사이공간을 형성하고, 사이공간으로 샹크플레이트(20)의 컬러층(22)이 일부 노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컬러층(22)과 앞, 뒷창부(30)(40)의 색상을 달리 형성함으로써 감각적이도 독창적인 심미감을 표출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개성에 부합할 수 있는 디자인의 신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밑창형성단계(S30)
본 발명에 따른 밑창형성단계(S30)는,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선, 후단에 앞, 뒷창부(30)(40)를 이격 배치하여 신발 밑창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2 (c)에서, 상기 앞, 뒷창부(30)(40)는 고무를 포함하는 접지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고, 샹크플레이트(20) 저면에 접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앞창부(30)는 신발 밑창의 전방영역에 배치되고, 뒷창부(40)는 신발 밑창의 굽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앞, 뒷창부(30)(40)는 서로 이격되어 사이공간을 형성하고, 사이공간으로 노출되는 샹크플레이트(20)가 지면에 비접촉 상태로 이격되어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신발 밑창에 탄성을 제공한다.
4. 인솔부 설치단계(S40)
본 발명에 따른 인솔부 설치단계(S40)는, 상기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되는 인솔부(50)를 갑피부(10) 내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2 (d)에서, 상기 아치형 이너곡률부(51)는 샹크플레이트(20)의 아치형 형상유지부(21)에 의해 받침 지지되어 반복적인 답압에 노출되더라도 초기 형상으로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솔부(50)는 아치형 이너곡률부(51)에 의해 발바닥의 아치부분에 인체공학적으로 밀착되어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감소됨과 더불어 족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라스트 1a: 아치형 형틀부
10: 갑피부
11: 외피 12: 바닥피
12a: 곡률패턴 12b: 평면패턴
13: 아치형 곡률부
20: 샹크플레이트 21: 아치형 형상유지부
30: 앞창부
40: 뒷창부
50: 인솔부 51: 아치형 이너곡률부
60: 밑창부

Claims (4)

  1. 외피(11)와 바닥피(12)로 구성되고,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틀부(1a)가 형성되는 라스트(1)를 기준으로 성형되어,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피(12)에 아치형 곡률부(13)를 형성하는 갑피부(10);
    상기 바닥피(12) 저면에 부착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피(12)의 아치형 곡률부(13)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샹크플레이트(20);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선, 후단에 이격 배치되어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일부가 노출되는 사이공간을 형성하고, 신발 밑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앞, 뒷창부(30)(40); 및
    상기 갑피부(10) 내에 수용되고,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되는 인솔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샹크플레이트(20)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되며, 발의 뒷꿈치에서부터 전방으로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갑피부(10)의 바닥피(12)는,
    발바닥 아치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영역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재단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되는 곡률패턴(12a)과,
    곡률패턴(12a)에 봉재되어, 발바닥 가장자리부 곡률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마감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패턴(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2. 삭제
  3.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틀부(1a)가 형성되는 라스트(1)를 기준으로 갑피부(10)를 성형하여, 발바닥의 아치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곡률부(13)를 형성하는 갑피성형단계(S10);
    발의 뒷꿈치에서부터 전방으로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형상유지부(21)가 형성되는 샹크플레이트(20)를 갑피부(10)의 바닥피(12) 저면에 부착하는 샹크플레이트 설치단계(S20);
    상기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샹크플레이트(20)의 저면 선, 후단에 앞, 뒷창부(30)(40)를 이격 배치하는 밑창형성단계(S30); 및
    상기 갑피부(10)의 아치형 곡률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형 이너곡률부(51)가 형성되는 인솔부(50)를 갑피부(10) 내에 설치하는 인솔부 설치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갑피성형단계(S10)에서, 갑피부(10)는 외피(11)와 바닥피(12) 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피(12)는 곡률패턴(12a)과 평면패턴(12b)으로 구분되며,
    상기 곡률패턴(12a)은 발바닥 아치부분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영역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재단되고, 라스트(1)의 아치형 형틀부(1a)를 포함하는 가장자리부 곡률형상을 따라 성형한 후, 발바닥 가장자리부 곡률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평면패턴(12b)으로 마감한 상태로 곡률패턴(12a)과 봉재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제조방법.
  4. 삭제
KR1020220051675A 2022-04-26 2022-04-26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4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675A KR102647826B1 (ko) 2022-04-26 2022-04-26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675A KR102647826B1 (ko) 2022-04-26 2022-04-26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839A KR20230151839A (ko) 2023-11-02
KR102647826B1 true KR102647826B1 (ko) 2024-03-14

Family

ID=8874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675A KR102647826B1 (ko) 2022-04-26 2022-04-26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50Y1 (ko) 2001-02-28 2001-09-26 김정채 신발창
JP2005278989A (ja) 2004-03-30 2005-10-13 Achilles Corp 屈曲の良い靴
KR101314656B1 (ko) 2013-04-17 2013-10-07 풋헬스 주식회사 자가 맞춤형 인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621A (ko) * 2005-04-21 2006-10-25 이미숙 신발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43088B1 (ko) 2007-10-10 2010-02-18 홍윤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포츠화용 인솔
KR20170092063A (ko) * 2016-02-02 2017-08-10 이수정 탄발성이 우수한 기능성 신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650Y1 (ko) 2001-02-28 2001-09-26 김정채 신발창
JP2005278989A (ja) 2004-03-30 2005-10-13 Achilles Corp 屈曲の良い靴
KR101314656B1 (ko) 2013-04-17 2013-10-07 풋헬스 주식회사 자가 맞춤형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839A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3739B1 (en) Toe protection sandal
US7565754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cushioning sole
EP1646295B1 (en) Footwear having an enclosed and articulated toe
US6836979B2 (en) Shoe structure
US7377056B2 (en) Shoe construction
US6775930B2 (en) Key hole midsole
US7275337B2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KR101553728B1 (ko) 보행 장비
US856709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JP6306319B2 (ja) 靴、及び靴底部品
KR101054622B1 (ko) 조립신발
JP2006528519A5 (ko)
KR102016091B1 (ko) 착용이 간편한 기능성 신발
US20120137540A1 (en) Composite sole assembly
EP3649881A1 (en)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KR102647826B1 (ko) 발바닥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235814A1 (en) Sole assembly and a high heel footwear having the same
KR20170015862A (ko) 경량신발
KR20080090758A (ko) 아치 지지체가 형성된 신발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KR101148042B1 (ko)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6662473B2 (en) Shoe with ergonomic insole unit
US20220395047A1 (en) Shoe, in particular a bathing sandal
US20240074886A1 (en) Orthopedic walker
KR200322512Y1 (ko)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