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862A - 경량신발 - Google Patents

경량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862A
KR20170015862A KR1020170014138A KR20170014138A KR20170015862A KR 20170015862 A KR20170015862 A KR 20170015862A KR 1020170014138 A KR1020170014138 A KR 1020170014138A KR 20170014138 A KR20170014138 A KR 20170014138A KR 20170015862 A KR20170015862 A KR 2017001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idge
bone
cover pa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1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5862A/ko
Publication of KR2017001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Abstract

본 발명은 발의 형상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구조를 구비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경량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서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인솔부 및 상기 인솔부 및 커버부와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밑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부는,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전방융기부와,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후방융기부와, 발가락뼈의 측방으로 배치되는 제1융기부와, 발허리뼈의 전방측의 측방으로 배치되는 제2융기부와, 복숭아뼈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제3융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융기부와 제2융기부 사이의 제1함몰부는 발가락뼈와 발허리뼈의 연결부위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신발을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생산공정이 단순화된다.

Description

경량신발{LIGHT WEIGHT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발의 형상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구조를 구비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경량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보행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외부로부터 보행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행시 착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은 통상 발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저부에 중창을 형성하고 상측에 발을 덮을 수 있도록 갑피를 배치하여 중창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패션은 물론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유형, 형상 또는 재질의 신발들이 제안되고 있다. 신발의 대표적인 재질로서, 가죽, 섬유나 합성수지 등이 활용된다.
가죽재질로 이루어진 구두와 같은 경우 비교적 형상을 잘 유지하기 때문에 착용에 따라서도 모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지만, 착용에 어려움이 있고 보행에 따라 뒤꿈치나 발가락 부위에 손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통풍성에도 약점을 가지게 된다.
비교적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화나 운동화와 같은 경우 착용시의 편안함이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고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을 가진다.
위와 같은 다양한 신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으나, 착용시의 편리성과 내구성 및 보행시의 발의 편안함이라는 과제를 모두 충족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구성과 착용의 편리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량신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생산 공정상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경량신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서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인솔부 및 상기 인솔부 및 커버부와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밑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창부는,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전방융기부와,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후방융기부와, 발가락뼈의 측방으로 배치되는 제1융기부와, 발허리뼈의 전방측의 측방으로 배치되는 제2융기부와, 복숭아뼈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제3융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융기부와 제2융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함몰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최소화하여 상하방향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발가락뼈와 발허리뼈의 연결부위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융기부와 제3융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함몰부는 발꿈치뼈와 발허리뼈의 연결부위에 배치되며, 제3융기부와 후방에 융기된 후방융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함몰부는 지면에 뒤꿈치의 지지시 이를 중심으로 상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신발을 제공한다. 따라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생산공정이 단순화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와 인솔부는, 상호간에 모서리측이 인접되어 마주보는 상태로 보니스 재봉 방식에 의한 연결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감이 향상된다.
상기 커버부와 인솔부와 연결부는, 밑창부와 접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전방측을 덮도록 배치되며 커버부보다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방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후방측을 덮도록 배치되며 커버부보다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후방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커버부는, 상기 전방커버부는, 보행시 힘을 가장 적게 받는 제3발가락뼈 부위에서 전방측으로 만곡진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신체의 변화에 최적화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문양을 형성하며 골격을 이루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활동성과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보강부는, 발포식 나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발포잉크가 커버부의 표면에 결합되어 돌출되면 프레스를 통하여 다시 입체적인 모양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각적인 만족감과 기능성이 극대화된다.
상기 제2융기부와 제3융기부의 가장 높은 지점 사이의 길이는 8㎝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량신발은, 커버부, 인솔부 및 밑창부가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생산공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발의 모양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신발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밑창부의 보강된 형상을 통하여 발의 움직임에 따른 변형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고, 전방커버부와 후방커버부에 의하여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 자체에 골격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보강부를 구비하여 높은 신축성에 대해 구간별로 전체적인 형태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활동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신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량신발에서 커버부와 인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발의 골격을 외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신발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량신발의 커버부와 인솔부의 결합상태에서 발이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량신발에서 커버부와 인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경량신발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량신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경량신발은 기본적으로, 저부의 지면에 접촉되는 밑창부와, 상기 밑창부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와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저면측에서 밑창부의 상면과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인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밑창부는 신발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다면 후술될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양 발이 마주보도록 서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측을 내측으로, 그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단일의 신발을 기준으로 내부 및 외부를 각각 내주측 또는 내면으로, 외주측 또는 외면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신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측으로부터 크게 커버부(100), 인솔부(도 2의 200) 및 밑창부(300)로 이루어진다.
밑창부(300)는 상측으로는 발의 저부를 지지하고 하측으로는 지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러한 밑창부(300)는 마찰력의 향상을 위하여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전체적인 신발을 이루는 재질들이 종래의 신발에 비하여 경량화되는 개념을 제시하므로, 상기 밑창부(300)는 사출성형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 TPE(Thermo plastic elastomers) 소재,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재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밑창부(300)는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고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된 커버부(100)와 인솔부(200)보다 그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러한 밑창부(300)는 크게 지면을 지지하는 바닥부위와 커버부(100)의 하측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의 측벽부위로 구분될 수 있는데, 경량신발의 보강성을 위하여 측벽부위에 상하로 융기 및 함몰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커버부(100)는 전체적으로 발등 및 발볼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는 발이 입출될 수 있는 개구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량신발의 개념을 만족하기 위하여 이러한 커버부(100)의 소재는 신축성이 우수한 경량의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신축성을 고려하여 네오프렌(Neoprene) 소재나, 폴리스판(Polyspan)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00)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발등 및 발볼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며, 보행간에 발의 변형에 따라 자연스럽게 커버부(100)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발과의 일체감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커버부(100)는 대략 밑창부(300)에 바로 결합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인솔부(200)와 먼저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도 2에서는 커버부와 인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경량성과 결합의 견고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커버부(100)와 인솔부(200)가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밑창부(300)에 대해 인솔부(200)의 저면이 함께 접착되면서 밑창부(300)의 측벽부위의 내면에서 커버부(100)의 하측 외면이 함께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커버부(100)의 하단측은 인솔부(200)의 외주연을 따라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종래에는 덧버선을 생산함에 있어서, 커버부에 해당되는 갑피의 내면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인솔부에 해당되는 바닥부를 반전시키고 갑피의 하단측 외주면과 바닥부의 저면의 외주측을 면접한 상태에서 재봉을 한 이후에 재봉면이 바깥으로 보이지 않도록 갑피를 다시 뒤집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갑피와 바닥부의 결합방식은 외측의 마감은 큰 문제가 없으나 내면에서 재봉된 모서리부위가 돌출되기 때문에 착용감에 문제가 있고 경우에 따라 발바닥이나 볼에 대한 신체손상의 우려가 존재하였다. 또한, 생산공정이 복잡한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커버부(100)와 인솔부(200)를 보니스 방식으로 재봉하는 결합방법이 제안된다. 즉, 커버부(100)를 뒤집거나 인솔부(200)를 반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부(100)의 하측단부의 모서리와 인솔부(200)의 외주 모서리를 인접시키도록 배치하고 평면상 인접된 부위를 상하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재봉사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한 번의 재봉 공정으로 커버부(100)와 인솔부(200)를 결합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단순화됨은 물론 발에 착용시 연결부위에 단차나 돌출부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착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커버부(100)와 인솔부(200)가 재봉되는 연결 부위를 연결부(210)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210)는 후술될 바와 같이 밑창부(300)의 내주측에 접착되어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인솔부(200)는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한 재질이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솔부(200)는 땀이나 수분의 흡습 또는 배수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공극 또는 관통홀이 형성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메쉬 형태를 가지는 합성섬유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쉬 형태는 발바닥의 감촉과 배수 또는 흡습의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밑창부(300)와 커버부(100) 및 인솔부(200)가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고, 경량의 재질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밑창부(300)에 의한 전체적인 지지의 성능의 향상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밑창부(300)는 바닥부위와 측벽부위를 포함하되, 측벽부위가 융기 또는 함몰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부(300)의 측벽부위는 앞꿈치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전방융기부(301)와, 뒤꿈치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후방융기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융기부(301)와 후방융기부(302)는 신발의 전후방향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대략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대칭이란 완전한 기하학적 대칭이 아닌 발의 좌우 모양을 고려한 대략적인 대칭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밑창부(300)는 앞꿈치에 인접된 부위에서 융기되는 제1융기부(311)와, 발허리뼈 측방에서 융기되는 제2융기부(312)와, 후방융기부(302)에 인접된 복숭아뼈의 하측 부위에서 융기되는 제3융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융기부들의 배치는 발가락 관절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발가락의 관절을 도시한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체의 발의 구조는 사람마다 개인의 차이는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한정사항들은 다양한 발의 형태, 크기 등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발은 뒤꿈치를 이루는 발꿈치뼈(230)와, 상기 발꿈치뼈(230)의 전방측으로 배치되어 일반적인 발가락의 개수인 5개로 각각 연결되는 제1발허리뼈(221) 내지 제5발허리뼈(22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은 가장 내측 즉, 엄지발가락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5'는 가장 외측 즉, 새끼발가락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가락의 개수가 5개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상기 표현은 가장 내측과 가장 외측의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각각의 발허리뼈에는 제1발가락뼈 내지 제5발가락뼈(215)가 근육 및 인대에 의하여 연결되며, 각각의 발가락뼈들은 굽힘이 가능하도록 발가락관절을 구비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신발의 각각의 부위가 각각의 발을 이루는 뼈의 구조에 대응된다고 할 때에는 대략 평면상 인접되어 배치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대응의 의미는 관절의 움직임이나 뼈대의 배치상태에 따라 고려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신발의 외측을 기준으로 제1융기부(311)는 제5발가락뼈(215)의 측방에 배치되어 발가락의 변형에 따른 신발의 구조를 지지하게 된다.
제2융기부(312)는 제5발허리뼈(225)의 측방, 더욱 정확하게는 제5발허리뼈의 전방측 측방에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융기부(311)와 제2융기부(312)의 사이에는 제1함몰부(참조번호 미표시)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함몰부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발가락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변형이 이루어진다.
측면상 대략 상기 제1함몰부의 중심측은 제5발가락뼈(215)와 제5발허리뼈(225)의 연결부위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의 변형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3융기부(313)는 발꿈치뼈(230)의 부위의 측벽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3융기부(313)와 제2융기부(312)의 사이에는 제2함몰부(참조번호 미표시)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2함몰부는 대략 발꿈치뼈(230)와 발허리뼈(225)의 연결부위의 요홈의 부위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데, 발의 내측에서 이러한 요홈의 높이가 가장 높으므로 이러한 제2함몰부는 내측에서 변형시 더욱 의미를 가지게 된다.
한편, 발의 내측에서는 상기된 사항과 대칭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제1발가락뼈의 부위에는 측방으로 내측의 제1융기부(311)가 배치되고, 제1발허리뼈(221)의 부위에는 측방으로 내측의 제2융기부(312)가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발가락뼈와 제1발허리뼈(221)의 연결부위에 제1함몰부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3융기부(313)와 후방융기부(302)의 사이에는 뒤꿈치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제3함몰부(참조번호 미표시)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지면에 뒤꿈치의 지지시 제3함몰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의 절곡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2융기부(312)와 제3융기부(313)의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길이는 대략 8~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신발의 사이즈가 260mm인 경우 상기 길이는 9.4㎝ 내지 10.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인 것이 최적의 길이이다. 상기 길이는 최단거리인 직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밑창부(300)의 융기부와 함몰부를 통하여 경량신발에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신체의 자연스러운 변화에 따른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착용감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내구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100)에는 전방커버부(110)와 후방커버부(12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부(110)와 후방커버부(120)는 커버부(100)보다 내구성과 인장강도가 더욱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부(110)와 후방커버부(120)는 커버부(100)가 신축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힘을 받는 부위에서 신축성을 어느 정도 억제하면서 외부의 충격에 저항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능하는데, 전방커버부(110)와 후는 커버부(100)보다 더 경성(傾性)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100)가 네오프렌 재질로서 이루어질 때 전방커버부(110) 및 후방커버부(120)는 천, 가죽이나, 합성섬유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부(120)는 신발의 착탈시에 후방측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뒤꿈치에 하중이 실렸을 때 이를 보강할 수 있도록 기능하며, 전방커버부(110)는 특히 보행시 앞꿈치가 들리는 현상과 외부의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전방커버부(110)와 후방커버부(120)의 형상과 관련하여 도 5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방커버부(120)는 대략 밑창부(300)에서 커버부(100)의 개구부측까지 후방측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방커버부(120)의 상단측에는 상측으로 더욱 돌출된 연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9)는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며 신발 착탈의 용이성을 향상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39)는 후방커버부(120)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전방커버부(110)와 같이 커버부(100)의 상면에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되는 방식 또는 열융착되는 방식 등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량신발의 단면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전방측에서 대략 제2융기부가 배치되는 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부(100)와 인솔부(200)가 상호간 모서리가 인접된 상태로 보니스공법과 같은 재봉방식의 연결부(210)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면, 인솔부(200)의 저면과 커버부(100)의 하측 외주에 접합부(400)가 도포되고, 상기 접합부(400)는 접착제와 같은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접합부(400)는 밑창부(300)의 상측에 도포되거나, 커버부(100)와 인솔부(200)와 밑창부(300)에 함께 도포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접합부(400)를 통하여 인솔부(200)와 밑창부(300), 커버부(100)와 밑창부(300)가 결합되며, 또한 인솔부(200)와 커버부(100)의 연결부(210)에서의 연결상태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융기부들의 내면에는 접합부(400)가 형성되므로, 각각의 융기부들에서 커버부(1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량신발에서 커버부와 인솔부가 결합된 상태를 전방측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부(100)는 전방측에서 발등을 감싸는 형태로 전방커버부(110)와 결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전방커버부(110)의 내측은 제1발가락뼈를 대부분 덮도록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제3발가락뼈(213)에서는 덮는 부위가 최소화되는 형태로서 배치된다. 또한, 제5발가락뼈(215)가 배치되는 부위에서는 다시 후방측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는 보행시 실질적으로 엄지발가락과 새끼 발가락 부위에서 힘을 가장 많이 받는 상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측 결과 제3발가락부위에서 보행시 힘을 가장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커버부(110)는 제3발가락뼈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전방측으로 만곡진 만곡부(112)를 구비하게 되며, 전방커버부(110)의 후방측 라인은 태극모양의 일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발의 폭의 기준으로 볼 때 엄지발가락의 폭이 다른 발가락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므로 만곡부(112)는 외측으로 치우친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전방커버부(110)는 보행시 발이 받는 힘에 따른 최적화된 형태를 구비하게 되므로 착용감은 물론 내구성향상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모양에 따라 시각적인 만족감도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00)와 전방커버부(110)는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전방커버부(110)의 후방측에서 상하면을 관통하여 전방재봉부(111)가 도면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량신발에서 커버부와 인솔부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측에서 도시한 후면도이다.
후방커버부(120)는 전방커버부(110)와 마찬가지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부(100)의 후방측을 지지하게 되며, 내구성을 고려하여 하측에서 좌우로의 폭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커버부(120)는 상단측에 연장부(139)가 배치되어 파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커버부(1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정후방으로 관통되는 방식으로 후방재봉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커버부(110)와 후방커버부(120)는 커버부(100)가 인솔부(200)와 결합되기 전에 미리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연결부(210)에 의한 결합시 함께 재봉 특히, 보니스재봉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100)에서 발이 입출되는 개구부측에서는 반복사용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도록 개구부의 상단측을 감싸는 형태로 링부(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따른 경량신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서 커버부(100)와 인솔부(200)가 연결부(21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이러한 커버부(100)와 인솔부(200)는 밑창부(300)에 함께 접합부(40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과정 및 구체적인 형태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00)는 외면측에 결합되어 반복적인 변형에 대해 발의 구조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보강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500)는 외면에 소정의 문양을 형성하면서 전후 또는 상하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골격으로 기능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보강부(500)는 합성수지재질이 커버부(100)의 외면에 재봉되거나, 접착되거나, 융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500)는 소정의 요철면으로서 커버부(100)에 배치될 수 있는데, 미관적인 향상과 보강성능을 고려하여 발포식 나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포식 나염은 폴리우레탄 폼(Poly Urethane Foam)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커버부(100)가 인솔부(200)와 결합되기 전의 공정에서 커버부(100)에 대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부(500)는 커버부(100)를 이루는 섬유의 표면에 대해 나염처리면을 형성하고 이에 대해 금형을 덮어 씌운 상태에서 나염재를 주입한다. 이때, 발포잉크가 주입되면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게 되고 이를 프레스를 통하여 균일한 두께 또는 원하는 형상의 두께로 형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된 보강부(500)는 신발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모양과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모양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구간은 상하보강구간(510)으로서 상하방향으로의 인장을 지지하고, 전후방으로 절곡되어 소정의 전후방 두께를 가지는 전후보강구간(520)에서는 전후방향으로의 인장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100)가 신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밀착성과 일체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강한 운동에는 적절하지 않은 문제를 가지기 때문에 보강부(500)를 통하여 활동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경량신발은, 커버부(100), 인솔부(200) 및 밑창부(300)가 경량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생산공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발의 모양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신발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밑창부(300) 보강된 형상을 통하여 발의 움직임에 따른 변형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고, 전방커버부(110)와 후방커버부(120)에 의하여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0) 자체에 골격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보강부(500)를 구비하여 높은 신축성에 대해 구간별로 전체적인 형태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활동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커버부 110...전방커버부
111...전방재봉부 112...만곡부
120...후방커버부 121...후방재봉부
130...연장부 200...인솔부
210...연결부 300...밑창부
301...전방융기부 302...후방융기부
311...제1융기부 312...제2융기부
313...제3융기부 400...접합부
500...보강부 510...상하보강구간
520...전후보강구간

Claims (2)

  1.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와 모서리측이 인접되어 마주보는 상태로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인솔부;
    상기 인솔부 및 커버부와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전방융기부와,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융기된 후방융기부와, 발가락뼈의 측방으로 배치되는 제1융기부와, 발허리뼈 전방측의 측방으로 배치되는 제2융기부와, 복숭아뼈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제3융기부를 구비하는 밑창부; 및
    상기 커버부의 전방측을 덮도록 배치되며 보행시 힘을 가장 적게 받는 제3발가락뼈 부위를 덮는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전방측으로 만곡진 만곡부를 구비하고 제1발가락뼈의 대부분을 덮도록 제1발가락뼈가 배치되는 부위로 갈수록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융기부와 제2융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함몰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최소화하여 상하방향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발가락뼈와 발허리뼈의 연결부위에 대응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융기부와 제3융기부의 가장 높은 지점 사이의 거리는 8㎝ 내지 12㎝이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제2함몰부는 발꿈치뼈와 발허리뼈의 연결부위에 배치되고,
    제3융기부와 후방에 융기된 후방융기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함몰부는 지면에 뒤꿈치의 지지시 밑창부가 이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경량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잉크가 커버부의 표면에 결합되어 돌출되면 프레스를 통하여 입체적인 모양이 형성되며, 커버부의 외면에 문양을 형성하고 골격을 이루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경량신발.
KR1020170014138A 2017-01-31 2017-01-31 경량신발 KR20170015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138A KR20170015862A (ko) 2017-01-31 2017-01-31 경량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138A KR20170015862A (ko) 2017-01-31 2017-01-31 경량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073A Division KR20150075777A (ko) 2013-12-26 2013-12-26 경량신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47A Division KR20170116599A (ko) 2017-09-29 2017-09-29 경량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862A true KR20170015862A (ko) 2017-02-09

Family

ID=5815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138A KR20170015862A (ko) 2017-01-31 2017-01-31 경량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58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776A (ko) * 2020-07-09 2022-01-19 주식회사 호진스포르티비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20220061727A (ko) * 2020-11-06 2022-05-13 김중호 신발의 밑창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776A (ko) * 2020-07-09 2022-01-19 주식회사 호진스포르티비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20220061727A (ko) * 2020-11-06 2022-05-13 김중호 신발의 밑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4528B2 (ja) 歩行具
JP5411988B2 (ja) 靴のインソール
US6775930B2 (en) Key hole midsole
US7644517B2 (en) Modular article of footwear
US78366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oe with improved construction
KR101054622B1 (ko) 조립신발
JP2009543657A (ja) シーソー型の靴の靴底
JP2012249744A (ja) シューズのカウンター構造
JP2003339402A (ja)
JP2022521944A (ja) 摩耗ガード付きフットウェア製品
JP7085649B2 (ja) シューズ
JP5227713B2 (ja) 履き物及び内部構造体
EP3649881A1 (en)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JP3501444B2 (ja) インソールボード分割型の靴底構造
KR20170015862A (ko) 경량신발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US20230380543A1 (en) Sole and shoe including same
KR20170116599A (ko) 경량신발
JP2024515116A (ja) 靴及び靴用のインサート又は層
KR20150075777A (ko) 경량신발
JP3152462U (ja) 靴底
KR20050114995A (ko) 아치형 신발 깔창
KR20120071294A (ko) 조립신발
JP6501237B1 (ja) インソール
JPH0755922Y2 (ja) 安全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