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776A -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776A
KR20220007776A KR1020200084889A KR20200084889A KR20220007776A KR 20220007776 A KR20220007776 A KR 20220007776A KR 1020200084889 A KR1020200084889 A KR 1020200084889A KR 20200084889 A KR20200084889 A KR 20200084889A KR 20220007776 A KR20220007776 A KR 20220007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intermediate member
shoe
improved structur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391B1 (ko
Inventor
김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진스포르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진스포르티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진스포르티비
Priority to KR102020008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3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54Producing footwear by compression moulding, vulcanising or the lik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5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compression moulding, vulcanis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견고성이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용상 쾌적함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100)와, 바닥면에 지지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아웃솔(300)과, 상기 갑피와 아웃솔 사이에 개재되며 외관상 갑피의 측면 하측을 덮도록 배치되며 EVA 수지의 파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SHOES HAVING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착용감이 우수하면서도 견고성이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용상 쾌적함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보행시의 충격을 완화하고 외부로부터 보행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행시 착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은 통상 발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저부에 중창을 형성하고 상측에 발을 덮을 수 있도록 갑피를 배치하여 중창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패션은 물론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많아지면서 다양한 유형, 형상 또는 재질의 신발들이 제안되고 있다. 신발의 대표적인 재질로서, 가죽, 섬유나 합성수지 등이 활용된다.
가죽재질로 이루어진 구두와 같은 경우 비교적 형상을 잘 유지하기 때문에 착용에 따라서도 모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지만, 착용에 어려움이 있고 보행에 따라 뒤꿈치나 발가락 부위에 손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통풍성에도 약점을 가지게 된다.
비교적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화나 운동화와 같은 경우 착용시의 편안함이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고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을 가진다.
위와 같은 다양한 신발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으나, 착용시의 편리성과 내구성 및 보행시의 발의 편안함이라는 과제를 모두 충족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비교적 두께가 얇고 연성이 높은 재질로서 신발을 구성하여 수영장이나 해변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380호는 종래기술의 아쿠아 슈즈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측면도이다.
종래기술의 아쿠아 슈즈는 물놀이장 등에서 사용하는 물놀이용 신발로 제작되는 것이 통상이며, 발의 측부와 상부를 덮는 갑피(10)와 발의 바닥에 접하는 바닥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재(20)의 상측에는 인솔창이 사출 성형 등으로 접합되는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신발들의 경우 경량과 유연성 및 배수성에만 초점을 두어 설계되었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사용함에는 충격흡수나 지지력에 있어서는 취약점을 가진다. 또한, 자갈이나 거친 면을 가지는 물 밑의 구조에서 발이 다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중량이며 내구성이 높은 재질을 적용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제조공정상 복잡성과 생산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밀착성이 떨어져 물놀이 등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연성과 지지력의 상반된 요청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생산 공정의 복잡성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과 착용의 편리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경량신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100)와, 바닥면에 지지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아웃솔(300)과, 상기 갑피와 아웃솔 사이에 개재되며 외관상 갑피의 측면 하측을 덮도록 배치되며 EVA 수지의 파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재는 갑피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면서 접착되고, 상기 아웃솔은 중간부재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면서 접착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갑피의 저면 모서리에 재봉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중간부재의 바닥면에 접착되는 인솔부(400)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아웃솔은 상기 중간부재의 상측을 덮도록 상방 돌출되는 전방융기부(310)와, 중간부재의 후측 일부를 덮도록 상방 돌출되는 후방융기부(240)와, 발허리뼈 전방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방 돌출되는 제1측벽부(321)와, 발꿈치뼈 전방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방 돌출되는 제2측벽부(32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는 발의 아치 부위로부터 상기 제2측벽부까지 이어지도록 상방 돌출되는 중간측융기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아웃솔의 전방융기부, 제1측벽부, 제2측벽부 및 후방융기부는 뼈대 및 관절에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중간측융기부는 장족저인대와 종주인대측의 움직임을 보완하여 다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중간부재는, 후방융기부와 결합되는 후측부위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더 돌출되고 두께가 더 두꺼워지도록 후방경사부(220)를 포함함으로써 뒤꿈치의 부하를 분산한다.
상기 아웃솔은, 제1측벽부 및 제2측벽부에 형성되는 제1측벽돌부(331) 및 제2측벽돌부(3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솔은 고무재질이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고, 상기 중간부재는 EVA 수지물이 사출에 의하여 제조되어 상호 접착영역에서 접착으로 결합되되, 상기 아웃솔과 결합되는 중간부재의 바닥면의 두께는 7mm 이상 및 48mm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갑피와 아웃솔의 서로 다른 재질의 사이에 중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신발로서의 기능성과 착용감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갑피와 아웃솔 사이에 그 중간의 연성을 가지는 파일론 재질을 개재함으로 인하여 상호 결합성능이 극대화되고 이는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로 이어진다.
또한, 아웃솔에서는 충격의 완화 및 발의 보호 성능을 제공하고, 갑피에서는 발을 완전하게 감싸 착용성을 향상하고, 중간부재는 인대와 근육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발의 모양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신발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쿠아슈즈의 단순성의 장점과 운동화의 보호 및 운동성능의 장점을 융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상의 단순성의 이점도 그대로 가져오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아쿠아 슈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과 중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완제품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발은 특히 물이 많은 개천, 수영장, 해변 등과 같은 곳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유연함과 견고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으며 발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구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기본적으로, 저부에 배치되고 바닥면과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들을 구비하는 아웃솔과, 발등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와, 상기 아웃솔과 갑피 사이에 개재되되 아웃솔보다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아웃솔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 및 미관 등의 목적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다면 후술될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양 발이 마주보도록 서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측을 내측으로, 그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외형상 상측으로부터 크게 갑피(100), 중간부재(200) 및 아웃솔(300)로 이루어진다.
아웃솔(300)은 상측으로는 발의 하중과 비틀림을 지지하고 하측으로는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러한 아웃솔(300)은 마찰력의 향상을 위하여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아웃솔(300)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생산 공정과 관련되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아웃솔(300)은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고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된 갑피(100)와 중간부재(200)보다 그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창부(300)는 크게 지면을 지지하는 바닥부위와 갑피(100)의 하측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의 측벽부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신발로서의 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측벽부위에 상하로 융기 및 함몰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많거나 미끄러운 바닥면에서의 활동성과 안전성의 향상을 위하여 아웃솔(300)이 저부에 마찰력의 향상 및 배수를 위한 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공지의 형상과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갑피(100)는 전체적으로 발등 및 발볼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는 발이 입출될 수 있는 개방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철에 따라 경량신발 및 밀착성이 우수한 신발의 개념을 만족하기 위하여 이러한 갑피(100)의 소재는 신축성이 우수한 경량의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신축성을 고려하여 네오프렌(Neoprene) 소재나, 폴리스판(Polyspan)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갑피(100)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발등 및 발볼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며, 보행간에 발의 변형에 따라 자연스럽게 갑피(100)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발과의 일체감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갑피(100)와 아웃솔(300)이 직접 결합되는 경우 종래의 아쿠아 슈즈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게 되는데, 즉 아웃솔이 지나치게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충격흡수를 못하거나 내구성을 가지지 못하거나 발의 비틀림을 그대로 발목 등의 신체에 전달하여 상해를 가할 수 있다. 또한, 아웃솔이 지나치게 경성의 재질로 이루지는 경우 착화감을 저해할 수 있고 갑피(100)와의 큰 물성 차이로 인하여 접착력이 약화되는 등 내구력이 약해지는 한계가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상기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아웃솔(300)이 갑피(100)와 직접 접합되지 않거나 접합되는 부위를 최소화하도록 중간부재(200)를 그 사이에 개재한다.
상기 중간부재(200)는 갑피(100)의 재질보다는 질기고 신축성이 낮지만, 아웃솔(300)의 재질보다는 변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부재(200)는 EVA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EVA 수지물의 경우 발포과정을 통하여 유연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EVA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생산하는 고압반응기에서 에틸렌 단량체와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VAM)를 중합하여 생산하는 공중합체로 원하는 VA함량만큼 VAM을 투입하여 생산될 수 있다. 이때, EVA 수지의 VA 함량이 예를 들어 15%이라면 이는 85%의 에틸렌과 15%의 VAM을 중합한 제품임을 의미할 수 있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표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EVA를 금형에서 사출하여 중간부재(200)를 생산하기 때문에 파일론(Phylon)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일론 재질의 중간부재(200)에 대해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고 아웃솔(300) 및 갑피(100)와 접착하는 공정을 거치는바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과 중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재(200)는 상측으로 갑피(100)를 결합하고 하측으로는 아웃솔(300)을 결합하며 그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강성을 가지는 재질 간에 완충 및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중간부재(200)는 파일론 재질로 이루어짐은 상기와 같으며, 상하 두께는 아웃솔(300)보다 더 크게 이루어짐에 유의한다. 이러한 중간부재(200)는 외관상 신발의 측면을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갑피(100)의 하측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중간부재(200)의 하단측에 아웃솔(300)과 중첩되는 영역은 접착영역(201)으로 정의한다.
상기 접착영역(201)은 측면으로만 형성되어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다만, 결합성을 고려한다면 상기 중간부재(200)는 측면과 전체적으로 이어지는 저면을 구비하여 갑피(100)의 하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접착영역(201)은 저면과, 이에 이어지는 모서리 영역에 이어진다.
아웃솔(300)은 중간부재(200)의 저면 전체와 측면의 일부를 감싸며 접착영역(201)에 대응되는 접착영역을 가진다. 결합성의 강화는 물론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고려하여 복수의 융기부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방 중심측으로 상방 돌출되는 전방융기부(310), 후방에서 돌출되어 뒤꿈치 부위를 지지하는 후방융기부(240), 측면에서 돌출되되 전후방 중심보다 대략 전방으로 치우치는 제1측벽부(321)와 후방으로 치우쳐 돌출되는 제2측벽부(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321)와 제2측벽부(322)는 좌우측으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융기부(310)는 중간부재(200)의 전방을 상측까지 감싸도록 융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보행시 앞꿈치가 지면에 닿는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후방융기부(240)는 어느 정도 상측으로 융기되어 중간부재(200)의 후방측을 감싸고 있으며 뒤꿈치 부위의 동작에 대응하여 지면에 닿는 영역을 커버한다. 제1측벽부(321)와 제2측벽부(322)는 발의 비틀림을 고려하여 형성되며 제1측벽부(321)는 대략 발허리뼈 전방 부위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고 제2측벽부(322)는 발꿈치뼈의 전방 부위 측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측벽부에는 각각 슬립 방지를 위한 요철인 제1측벽돌부(331)와 제2측벽돌부(332)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부재(200)에도 측면에 상측으로 융기된 중간측융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측융기부(210)는 전후방 폭이 제1측벽부(321) 및 제2측벽부(322)보다 넓게 형성된다. 사기 중간측융기부(210)는 대략 발의 아치 부위로부터 제2측벽부(322)부위까지 이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장족저인대와 종주인대측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부재(200)는 EVA 수지물인 파일론 재질로서 아웃솔(300)보다 연성이고 갑피(100)보다는 경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대의 움직임에 보다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고, 주로 뼈대의 연결부위에서 강성을 제공하는 아웃솔(300)의 제1측벽부(321)와 제2측벽부(322)에 보강하여, 인대의 움직임이 큰 장족저인대, 족근인대, 종주인대, 삼각인대 측의 움직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후방융기부(240)에 의하여 하측 일부가 감싸지는 중간부재(200)의 후방측은 융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부위보다 경사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념에 의하여 후방경사부(220)가 형성되고 측방에서 바라볼때 상측이 발목에 더 가깝고 하측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적 특성에 더하여 상기 중간부재(200)는 하측이 더 두꺼워지도록 다단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후방측이 4단의 단을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갑피(100)는 발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간부재(200)의 측면부위에 내측에서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갑피(100)의 저부는 개방되어 저면의 인솔부(400)와 결합된 이후에 중간부재(200)의 바닥면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00)와 인솔부(400)가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중간부재(200)에 함께 접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갑피(100)의 하단측은 인솔부(400)의 외주연을 따라 재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종래에는 덧버선을 생산함에 있어서, 갑피의 내면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인솔부에 해당되는 바닥부를 반전시키고 갑피의 하단측 외주면과 바닥부의 저면의 외주측을 면접한 상태에서 재봉을 한 이후에 재봉면이 바깥으로 보이지 않도록 갑피를 다시 뒤집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갑피와 바닥부의 결합방식은 외측의 마감은 큰 문제가 없으나 내면에서 재봉된 모서리부위가 돌출되기 때문에 착용감에 문제가 있고 경우에 따라 발바닥이나 볼에 대한 신체손상의 우려가 존재하였다. 또한, 생산공정이 복잡한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갑피(100)와 인솔부(400)를 보니스 방식으로 재봉하는 결합방법이 제안된다. 즉, 갑피(100)의 하측단부의 모서리와 인솔부(400)의 외주 모서리를 인접시키도록 배치하고 평면상 인접된 부위를 상하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재봉사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한 번의 재봉 공정으로 갑피(100)와 인솔부(400)를 결합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단순화됨은 물론 발에 착용시 연결부위에 단차나 돌출부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착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갑피(100)와 인솔부(400)의 연결부위인 재봉부(430)는 중간부재(200)의 내측으로 접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인솔부(400)는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한 재질이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솔부(400)는 땀이나 수분의 흡습 또는 배수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공극 또는 관통홀이 형성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메쉬 형태를 가지는 합성섬유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쉬 형태는 발바닥의 감촉과 배수 또는 흡습의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쉬 형태는 후술될 바와 같이 깔창부(미도시)의 연통공과 함께 배수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갑피(100)의 후측에는 상단에서 상측으로 더욱 돌출된 연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9)는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며 신발 착탈의 용이성을 향상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갑피(100)에서 발이 입출되는 개구부측에서는 반복사용에 따른 손상이 방지되도록 개구부의 상단측을 감싸는 형태로 링부(1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웃솔을 제조하는 공정(S110)으로부터 공정이 개시될 수 있고, 상기 아웃솔(300)은 신발 전체에서 가장 경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게 됨은 상기와 같다.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생산된다. 이러한 아웃솔(300)은 2면이 한 개의 세트를 이루어 프레스 작업을 통하여 제조되는데, 온도의 범위는 95℃ 이상 105℃ 미만일 수 있다.
이와 동시 또는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중간부재(200)가 사출과정을 통하여 제조(S120)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부재(200)는 EVA 수지물로서 파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와 같다. 사출의 온도 범위는 80℃ 이상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부재(200)는 바닥면을 가지고 상측으로 갑피(100)와 인솔부(400)를 결합하고 하측으로는 아웃솔(300)을 결합한다. 이러한 중간부재(200)의 두께는 7mm 이상 4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7mm는 중간부재(200)와 아웃솔(300)의 접착력의 유지 및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로 볼 수 있으며, 완충기능 및 사용용도에 따라 상기 두께는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아웃솔(300)과 중간부재(200)가 준비되면 접착단계 이전에 접착면 처리(S210)가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간부재(200)의 접착영역(201)과 상기 접착영역(201)에 대응되는 아웃솔(300)의 부위에 선처리제가 도포되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처리제의 도포 과정에서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아웃솔(300)와 중간부재(200)의 조직이 이완되어 상호 호환성이 높아진다. 상기 선처리제와 접착제는 신발의 제조 및 접착에 있어서 공지의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아웃솔(300)의 접착부위는 내측면의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선처리가 완료되면 접착제의 도포 및 건조(S220) 공정이 이루어지고, 도포는 갑피(100), 중간부재(200)와 아웃솔(300)에 함께 이루어지며 2회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포공정의 전에 접착영역과 비접착영역의 구분을 위하여 게이지 선을 먼저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 이후에 건조공정이 선행되며, 이러한 건조는 60℃ 이상 80℃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갑피(100)의 중간부재(200)와의 결합 전에 갑피(100)와 인솔부(400)의 재봉부(430)를 통한 결합이 선행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갑피(100)와 중간부재(200)의 결합시 신골을 먼저 끼워 형태를 유지한 이후에 접착(S23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S230)공정이 완료되면 도색(S300)을 통하여 미관을 향상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색(S300)은 접착이 이루어지기 전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접착 및 도색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술된 바에 따라 중간부재(200)가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미관을 고려하여 단을 구분하여 도색함으로써 미관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은 갑피와 아웃솔의 서로 다른 재질의 사이에 중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신발로서의 기능성과 착용감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갑피와 아웃솔 사이에 그 중간의 연성을 가지는 파일론 재질을 개재함으로 인하여 상호 결합성능이 극대화되고 이는 내구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또한, 아웃솔에서는 충격의 완화 및 발의 보호 성능을 제공하고, 갑피에서는 발을 완전하게 감싸 착용성을 향상하고, 중간부재는 인대와 근육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발의 모양과 움직임에 최적화된 신발의 제공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쿠아슈즈의 단순성의 장점과 운동화의 보호 및 운동성능의 장점을 융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상의 단순성의 이점도 그대로 가져오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갑피 130...연장부
140...링부 200...중간부재
201...접착영역 210...중간측융기부
220...후방경사부 300...아웃솔
310...전방융기부 321...제1측벽부
322...제2측벽부 331...제1측벽돌부
332...제2측벽돌부 340...후방융기부
400...인솔부 430...재봉부

Claims (6)

  1. 상측에서 발등을 덮도록 배치되는 갑피(100);
    바닥면에 지지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아웃솔(300);
    상기 갑피와 아웃솔 사이에 개재되며 외관상 갑피의 측면 하측을 덮도록 배치되며 EVA 수지의 파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간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갑피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면서 접착되고, 상기 아웃솔은 중간부재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면서 접착되어 결합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저면 모서리에 재봉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중간부재의 바닥면에 접착되는 인솔부(400);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중간부재의 상측을 덮도록 상방 돌출되는 전방융기부(310)와, 중간부재의 후측 일부를 덮도록 상방 돌출되는 후방융기부(240)와, 발허리뼈 전방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방 돌출되는 제1측벽부(321)와, 발꿈치뼈 전방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방 돌출되는 제2측벽부(322)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발의 아치 부위로부터 상기 제2측벽부까지 이어지도록 상방 돌출되는 중간측융기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아웃솔의 전방융기부, 제1측벽부, 제2측벽부 및 후방융기부는 뼈대 및 관절에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중간측융기부는 장족저인대와 종주인대측의 움직임을 보완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후방융기부와 결합되는 후측부위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더 돌출되고 두께가 더 두꺼워지도록 후방경사부(220)를 포함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제1측벽부 및 제2측벽부에 형성되는 제1측벽돌부(331) 및 제2측벽돌부(332)를 포함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고무재질이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고, 상기 중간부재는 EVA 수지물이 사출에 의하여 제조되어 상호 접착영역에서 접착으로 결합되되, 상기 아웃솔과 결합되는 중간부재의 바닥면의 두께는 7mm 이상 및 48mm 이하의 범위인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1020200084889A 2020-07-09 2020-07-09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102368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89A KR102368391B1 (ko) 2020-07-09 2020-07-09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89A KR102368391B1 (ko) 2020-07-09 2020-07-09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776A true KR20220007776A (ko) 2022-01-19
KR102368391B1 KR102368391B1 (ko) 2022-03-02

Family

ID=8005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889A KR102368391B1 (ko) 2020-07-09 2020-07-09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3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918A (ja) * 2006-02-10 2007-09-20 Yonex Co Ltd スポーツシューズ
KR20070105833A (ko) * 2007-01-18 2007-10-31 주식회사영풍제화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JP5465814B1 (ja) * 2012-05-10 2014-04-0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アウトソールおよびミッドソールを備えた靴底
KR20170015862A (ko) * 2017-01-31 2017-02-09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경량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918A (ja) * 2006-02-10 2007-09-20 Yonex Co Ltd スポーツシューズ
KR20070105833A (ko) * 2007-01-18 2007-10-31 주식회사영풍제화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JP5465814B1 (ja) * 2012-05-10 2014-04-0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アウトソールおよびミッドソールを備えた靴底
KR20170015862A (ko) * 2017-01-31 2017-02-09 주식회사 지티에스글로벌 경량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391B1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541B2 (en) Flexible shoe sole and methods of construction for a shoe utilizing the sole
US7946058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n articulated midsole and outsole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US7013583B2 (en)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5435077A (en) Layered cushioning system for shoe soles
JP2009543657A (ja) シーソー型の靴の靴底
US20120036740A1 (en)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CA3066563C (en) Pain prevention footwear sole
US20200196702A1 (en)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US20070289161A1 (en) Modular article of footwear
KR20040011451A (ko) 신발 구성법
CN103976503A (zh) 具有两部件式鞋底夹层组件的鞋类产品
KR20150130477A (ko) 보호 요소를 갖는 경량의 중창 부재를 구비하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US6581305B2 (en) Footwear with fixedly secured insole for structural support
US20110047832A1 (en) Footwear sole construction
WO2012079646A1 (en) Multi-layered sole for heeled footwear
KR102368391B1 (ko)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신발
JPS61154503A (ja) ミツドソ−ル
JP7053744B2 (ja) ソール要素
KR101080873B1 (ko) 패턴 일체형 하부결합체가 구비된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3269B1 (ko) 구두의 완충구조
CN213820077U (zh) 一种新型鞋底及具有该鞋底的鞋
JPS6131101A (ja) ミツドソ−ル
KR200464470Y1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KR101179978B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