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702B1 - 기능성 깔창 - Google Patents

기능성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702B1
KR101303702B1 KR1020120119168A KR20120119168A KR101303702B1 KR 101303702 B1 KR101303702 B1 KR 101303702B1 KR 1020120119168 A KR1020120119168 A KR 1020120119168A KR 20120119168 A KR20120119168 A KR 20120119168A KR 101303702 B1 KR101303702 B1 KR 10130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pring
heel spring
plat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김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철 filed Critical 김재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13/0079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42380A1/ko
Publication of KR10130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insertions or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 스프링을 채택하여 높은 탄성을 구비함으로써 무릎 관절에 주는 부담을 경감시킴과 함께 키 높이 기능까지도 겸비한 기능성 깔창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 모양의 판재로 이루어진 바탕판 및 강재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탕판 하면의 뒤꿈치 부위에 고정되는 뒤꿈치 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바탕판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꿈치 쿠션부는 판 형상의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 상기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및 상기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탕판 하면의 앞꿈치 부위에 고정되며, 판 형상의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및 상기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앞꿈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앞꿈치 쿠션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뒤꿈치 스프링은 원통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앞꿈치 스프링은 원추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뒤꿈치 스프링의 높이는 상기 앞꿈치 스프링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깔창{functional heel insert}
본 발명은 기능성 깔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탄성 및 복원력을 구비하여 무릎 관절에 주는 부담을 경감시킴과 함께 키 높이 기능까지도 겸비한 기능성 깔창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깔창은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바닥으로부터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땀이나 냄새 등을 흡수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한편, 기능성 깔창의 한 종류인 키높이 깔창이 제안되어 있는바, 이러한 키높이 깔창의 경우에는 주로 자체적으로 쿠션(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이하에서는 발바닥을 대략 3등분 했을 때 뒷부분을 '뒤꿈치 부위'라 하고, 움푹 패인 중간 부분을 '중간 부위'라 하고, 앞 부분을 '앞꿈치 부위'라 한다. 한편, 앞꿈치 부위는 다시 발가락에 해당하는 '발가락부'와 발가락부의 바로 뒤에 위치하여 발가락을 지지하는 '평탄부'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발바닥을 전술한 바와 같이 구분한 경우에 키높이 깔창은 앞꿈치 부위에서 뒤꿈치 부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증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뒤꿈치 부위가 대략 1 ~ 5㎝ 정도의 두께를 갖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뒤꿈치 부위의 일부를 수평으로 절개한 후에 거기에 에어백을 삽입 고정함으로써 쿠션감을 한층 더 증가시킨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각종 깔창에 따르면, 깔창의 재질이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성력(복원력)이 약하여 걷거나 뛸 때 발, 특히 뒤꿈치에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며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갈수록 심해져서 관절염 환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무릎 관절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강재 스프링을 채택하여 높은 탄성을 구비함으로써 무릎 관절에 주는 부담을 경감시킴과 함께 키 높이 기능까지도 겸비한 기능성 깔창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기능성 깔창은 발바닥을 3등분 했을 때 발바닥의 뒤꿈치부터 발바닥의 중간 부위까지의 발바닥 모양의 판재로 이루어진 바탕판 및 강재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탕판 하면의 뒤꿈치 부위에 고정되는 뒤꿈치 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기능성 깔창은 전체 발바닥 모양의 판재로 이루어진 바탕판 및 강재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탕판 하면의 뒤꿈치 부위에 고정되는 뒤꿈치 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바탕판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뒤꿈치 쿠션부는 판 형상의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 상기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및 상기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2 특징에서, 상기 바탕판 하면의 앞꿈치 부위에 고정되며, 판 형상의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및 상기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앞꿈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앞꿈치 쿠션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뒤꿈치 스프링은 원통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앞꿈치 스프링은 원추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뒤꿈치 스프링의 높이는 상기 앞꿈치 스프링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꿈치 스프링 전체를 덮어서 고정하는 뒤꿈치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에 따르면, 탄성복원 성능이 뛰어난 강재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쿠션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구두나 운동화 등의 신발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 발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릎 관절이 좋지 않은 관절염 환자 등이 사용할 때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뒤꿈치 스프링의 높이에 의해 키높이 깔창의 기능까지도 겸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깔창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을 상부 및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을 신발 내부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깔창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을 신발 내부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 단면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깔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을 상부 및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은 크게 발바닥 모양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진 바탕판(110), 바탕판(110)의 하면 뒤꿈치 부위에 고정 배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뒤꿈치 쿠션부(120) 및 바탕판(110)의 하면 앞꿈치 부위에 고정 배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앞꿈치 쿠션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바탕판(110)은 수지(resin)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도 신발에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바탕판(110)은 동(銅)이 살균력 내지는 탈취력을 갖는 것을 고려하여 동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뒤꿈치 쿠션부(120)는 바탕판(110)의 뒤꿈치 부위에 고정 배치되는데, 크게 판 형상의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122)과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122)에서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 및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뒤꿈치 스프링(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122)은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압출 성형에 의해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뒤꿈치 스프링(126)은 원통형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인 5개의 뒤꿈치 스프링(126)이 5각형의 뒤꿈치 스프링 고정판(122)의 각 모서리 부위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에 따르면, 사용되는 뒤꿈치 스프링(126)의 개수에 따라 각 뒤꿈치 스프링(126)의 배치 간격이나 배치 위치 또는 코일의 지름이나 높이가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변형에 대응하여 뒤꿈치 스프링 고정판(122)의 형상이나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의 개수 또는 배치 간격이나 배치 위치 등이 함께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는 다시 뒤꿈치 스프링 고정판(122)에서 상향 연장되며 뒤꿈치 스프링(126)의 코일 두께만큼의 두께와 뒤꿈치 스프링(126)의 코일 지름을 갖는 코일 고정부(124a) 및 하부는 코일 고정부(124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부는 코일 고정부(124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져서 결과적으로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원추 형상을 이루는 원추부(12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에 의해 뒤꿈치 스프링(126)이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이후에는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앞꿈치 쿠션부(130)는 바탕판(110)의 앞꿈치 부위에 고정 배치되는데, 뒤꿈치 쿠션부(120)와 마찬가지로 판 형상의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132)과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132)에서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34) 및 각각의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3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앞꿈치 스프링(1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132)은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는데, 압출 성형에 의해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34)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앞꿈치 스프링(136)의 높이는 발을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뒤꿈치 스프링(126)의 높이보다 작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높은 횡압력에 견딜 수 있는 원추형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인 6개의 앞꿈치 스프링(136)이 직사각형의 뒤꿈치 스프링 고정판(132)의 각 모서리 부위와 중앙 부위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에 따르면, 사용되는 앞꿈치 스프링(136)의 개수에 따라 각 앞꿈치 스프링(136)의 배치 간격이나 배치 위치 또는 코일의 지름이나 높이가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변형에 대응하여 앞꿈치 스프링 고정판(132)의 형상이나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36)의 개수 또는 배치 간격이나 배치 위치 등이 함께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34) 역시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와 마찬가지로 앞꿈치 스프링 고정판(132)에서 연장되며 앞꿈치 스프링(136)의 코일 두께만큼의 두께와 앞꿈치 스프링(136)의 하단의 코일 지름을 갖는 코일 고정부(134a) 및 하부는 코일 고정부(134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부는 코일 고정부(134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져서 결과적으로 상협하광의 원추 형상을 이루는 원추부(13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앞꿈치 스프링(136)이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34)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이후에는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뒤꿈치 쿠션부(120)와 앞꿈치 쿠션부(130)의 스프링 지지판(122),(132)은 모두 접착제 등에 의해 바탕판(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바탕판(110)으로 강재를 채택한 경우에 발바닥에 땀이 차거나 발바닥이 바탕판(1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탕판(110)의 상면에 발바닥 모양의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진 표피(1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표피(100)는 접착제 등에 의해 바탕판(11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표피(100)는 땀이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메시 구조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을 신발 내부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에 따르면, 구두나 운동화 등의 신발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 발, 특히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함으로써 무릎 관절이 좋지 않은 관절염 환자 등이 사용할 때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뒤꿈치 스프링의 높이에 의해 키높이 기능까지도 겸비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깔창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의 분해 사시도인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깔창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바탕판(110')이 발바닥 전체가 아니라 발바닥의 중간 부위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바탕판(110')을 덮는 표피(100')도 바탕판(110')과 같은 사이즈 또는 바탕판(110')보다 약간 큰 사이즈, 예를 들어 바탕판(110')의 외곽선보다 5~10㎜ 정도 더 큰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한 깔창을 '전체 깔창'이라 하고, 도 4에 도시한 깔창을 '부분 깔창'이라 한다.
한편, 이와 같이 바탕판(110')의 길이를 줄임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앞꿈치 쿠션부(130)는 불필요해지고 뒷꿈치 쿠션부(120)만이 구비되는바, 뒷꿈치 쿠션부(120)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참조번호 140은 금속판을 바탕판(110')으로 채택한 경우에 발바닥에 전해지는 딱딱한 느낌을 완화시키기 위해 표피(100')와 바탕판(11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시트를 나타내는바, 이러한 탄성 시트(140)는 예를 들어 라텍스 시트등과 같은 고탄성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참조번호 150은 뒤꿈치 스프링(126) 전체를 덮는 스프링 커버를 나타내는바, 이러한 스프링 커버(150)는 천이나 합성섬유 시트 등으로 이루어져서 접착제에 의해 뒤꿈치 스프링(126)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스프링 커버(150)를 채택함으로써 뒤꿈치 스프링(126)의 뾰쪽한 자유단에 의해 구두 바닥이 손상됨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뒤꿈치 스프링(126)을 하나로 모아주어 함께 신축되도록 하며 뒤꿈치 스프링(126)이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1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기능성 깔창을 신발 내부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능성 깔창을 부분 깔창으로 함으로써 사람이 걷거나 뛸 때 발바닥(대부분은 뒤꿈치 부위에 하중이 가해짐)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면서도 앞꿈치 쿠션부가 생략되고 바탕판의 사이즈가 줄어듦으로써 기능성 깔창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깔창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표피를 라텍스 시트로 할 수도 있는바, 이 경우에는 탄성 시트를 제거해도 될 것이다. 아울러 바탕판의 길이는 앞꿈치 쿠션부의 제거를 전제로 한 상태에서 발바닥의 중간 부위를 벋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증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깔창의 앞꿈치 스프링에도 또한 스프링 커버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표피, 110, 110': 바탕판,
120: 뒤꿈치 쿠션부, 122: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
124: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124a: 코일 고정부,
124b: 원추부, 126: 뒤꿈치 스프링,
130: 앞꿈치 쿠션부, 132: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
134: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134a: 코일 고정부,
134b: 원추부, 136: 앞꿈치 스프링,
140: 탄성 시트, 150: 스프링 커버

Claims (7)

  1. 발바닥을 3등분 했을 때 발바닥의 뒤꿈치부터 발바닥의 중간 부위까지의 발바닥 모양의 판재로 이루어지되 금속 재질인 바탕판 및
    강재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탕판 하면의 뒤꿈치 부위에 고정되는 뒤꿈치 쿠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뒤꿈치 쿠션부는 판 형상의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 상기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및 상기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깔창.
  2. 전체 발바닥 모양의 판재로 이루어지되 금속 재질인 바탕판 및
    강재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바탕판 하면의 뒤꿈치 부위에 고정되는 뒤꿈치 쿠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뒤꿈치 쿠션부는 판 형상의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 상기 뒤꿈치 스프링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된 복수의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및 상기 뒤꿈치 스프링 고정돌기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뒤꿈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깔창.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판 하면의 앞꿈치 부위에 고정되며, 판 형상의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과 상기 앞꿈치 스프링 지지판에서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 및 상기 앞꿈치 스프링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앞꿈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앞꿈치 쿠션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깔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프링은 원통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앞꿈치 스프링은 원추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뒤꿈치 스프링의 높이는 상기 앞꿈치 스프링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깔창.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 스프링 전체를 덮어서 고정하는 뒤꿈치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깔창.
KR1020120119168A 2012-09-13 2012-10-25 기능성 깔창 KR10130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7936 WO2014042380A1 (ko) 2012-09-13 2013-09-03 기능성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171 2012-09-13
KR20120008171 2012-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702B1 true KR101303702B1 (ko) 2013-09-03

Family

ID=4945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168A KR101303702B1 (ko) 2012-09-13 2012-10-25 기능성 깔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3702B1 (ko)
WO (1) WO20140423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268A (ko) 2015-08-20 2017-03-02 김재철 구두 밑창용 깔창 보조장치
KR102227064B1 (ko) 2019-09-11 2021-03-11 김용덕 임산부용 기능성 인솔
KR20220165150A (ko) * 2021-06-07 2022-12-14 이경선 자세교정용 발란스 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1869A1 (de) * 2019-11-25 2021-05-27 Mark Volle Sehnenendenadaptionsvorrichtung (SE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982A (ko) * 2000-04-08 2001-10-22 최용실 동판으로 냄새 제거하는 방법
KR20100011163U (ko) * 2009-05-07 2010-11-17 조세리 보강재가 내장된 발 교정기구
KR100999900B1 (ko) * 2008-04-15 2010-12-09 (주)아이젝스티비 스프링 완충 신발
KR101051229B1 (ko) * 2008-03-28 2011-07-21 주식회사 엠에스존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4191A1 (en) * 2003-02-07 2004-08-12 Chul-Soo Park Shock absorbing sho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982A (ko) * 2000-04-08 2001-10-22 최용실 동판으로 냄새 제거하는 방법
KR101051229B1 (ko) * 2008-03-28 2011-07-21 주식회사 엠에스존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100999900B1 (ko) * 2008-04-15 2010-12-09 (주)아이젝스티비 스프링 완충 신발
KR20100011163U (ko) * 2009-05-07 2010-11-17 조세리 보강재가 내장된 발 교정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268A (ko) 2015-08-20 2017-03-02 김재철 구두 밑창용 깔창 보조장치
KR101746421B1 (ko) * 2015-08-20 2017-06-27 김재철 구두 밑창용 깔창 보조장치
KR102227064B1 (ko) 2019-09-11 2021-03-11 김용덕 임산부용 기능성 인솔
KR20220165150A (ko) * 2021-06-07 2022-12-14 이경선 자세교정용 발란스 솔
KR102532285B1 (ko) * 2021-06-07 2023-05-12 이경선 자세교정용 발란스 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2380A1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1988B2 (ja) 靴のインソール
US8250784B2 (en) Shoe insole
CN107581708B (zh) 鞋内底组合件、底部部件、鞋类物品、组装方法和套件
US20140259754A1 (en) Removable Shoe Insert for Corrective Sizing
US20160021978A1 (en) Self-tailored insole
KR101303702B1 (ko) 기능성 깔창
US20150351494A1 (en) Shoe midsole assembly equipped airbag system
EP4140456A1 (en) Leg protector
JP4457076B2 (ja) 履物及びそれに用いる中敷
KR102013672B1 (ko)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KR102123523B1 (ko)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KR101149489B1 (ko)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KR100974859B1 (ko) 신발의 쿠션장치
KR102130728B1 (ko)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KR101789273B1 (ko) 족부 변형 방지 깔창
US20190320757A1 (en) Apparatus for orthopedic use
JP2008067953A (ja) 履物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KR101176570B1 (ko) 신발용 깔창
KR101233153B1 (ko) 신발 깔창
JP3626175B1 (ja) 靴用中敷パッドおよび靴
KR20170130913A (ko) 안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