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523B1 -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523B1
KR102123523B1 KR1020180114840A KR20180114840A KR102123523B1 KR 102123523 B1 KR102123523 B1 KR 102123523B1 KR 1020180114840 A KR1020180114840 A KR 1020180114840A KR 20180114840 A KR20180114840 A KR 20180114840A KR 102123523 B1 KR102123523 B1 KR 10212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bottom part
receiving groove
midsol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599A (ko
Inventor
황영순
양기은
손오수
Original Assignee
(주) 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보스산업 filed Critical (주) 보스산업
Priority to KR102018011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5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보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가락을 받치는 제1바닥부, 발볼을 받치는 제2바닥부, 아치를 받치는 제3바닥부 및 뒤꿈치를 받치는 제4바닥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바닥부, 제3바닥부 및 제4바닥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미드솔; 수용공간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발볼, 아치 및 뒤꿈치 방향으로 갈수록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다단쿠션부재; 미드솔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Sole for pain relief}
본 발명은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보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으로, 그 종류만 수십가지에 이르고, 용도와 기능에 따라 운동화, 구두, 슬리퍼, 농구화, 축구화 및 등산화 등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운동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추거나, 패션을 완성하는 하나의 아이템으로 착용자의 스타일과 개성을 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자칫 스타일과 디자인만 고려하여 신발을 선택함에 따라 발 건상이 위협받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발과 관련된 여러 질환 중 대표적인 질환으로 족저근막염이 있는데, 족저근막염은 너무 딱딱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신발을 신거나, 무리한 운동으로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근육인 족저근막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 최근 5년간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14년에는 178,638명이 진료를 받은 기록이 있다.
기록에 따르면, 진료가 7월부터 10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걸로 말미암아 야외 활동량 증가와 함께 증상을 인지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족저근막염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 만성적인 뒤꿈치의 통증과 함께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통증으로 인해 보행습관이 변하게 되면 무픔, 엉치, 허리에도 통증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앞굽보다 뒷굽을 높게 하여 제작된 신발 밑창이 출시되어 있으나, 족저근막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통증을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신발 밑창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3939호, 2017.08.28.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보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가락을 받치는 제1바닥부, 발볼을 받치는 제2바닥부, 아치를 받치는 제3바닥부 및 뒤꿈치를 받치는 제4바닥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바닥부, 상기 제3바닥부 및 상기 제4바닥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미드솔;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발볼, 아치 및 뒤꿈치 방향으로 갈수록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다단쿠션부재; 및 상기 미드솔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다단쿠션부재는, 상기 제2바닥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1쿠션부, 상기 제1-1쿠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바닥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2쿠션부 및 상기 제1-2쿠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4바닥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3쿠션부로 이루어진 제1쿠션층; 상기 제1-2쿠션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1쿠션부 및 상기 제2-1쿠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3쿠션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2쿠션부로 이루어진 제2쿠션층; 및 상기 제2-2쿠션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3쿠션층;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쿠션층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수용홈; 상기 제1수용홈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어 상기 제2쿠션층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2수용홈; 및 상기 제2수용홈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어 상기 제3쿠션층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3수용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제1수용홈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제3수용홈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3쿠션부, 상기 제2-2쿠션부 및 상기 제3쿠션층이 뒤꿈치 부분에서 3단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2-1쿠션부는, 상기 제2-2쿠션부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상기 제3바닥부의 전단(前端)까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3쿠션부, 상기 제2-2쿠션부 및 상기 제3쿠션층으로 갈수록 후단(後端)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다단쿠션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드솔은, 상기 다단쿠션부재보다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은,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보행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족저근막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은 미드솔(100), 다단쿠션부재(200) 및 아웃솔(3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의 미드솔(100)은 인솔(미도시)의 하부에 위치되어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즉 미드솔(100)은 발가락을 받치는 제1바닥부(110), 발볼을 받치는 제2바닥부(120), 아치를 받치는 제3바닥부(130) 및 뒤꿈치를 받치는 제4바닥부(140)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 면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100)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바닥부(120), 제3바닥부(130) 및 제4바닥부(140)를 거쳐 제1수용홈(151), 제2수용홈(152) 및 제3수용홈(153)으로 이루어진 수용공간(150)이 함몰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50)은 신발 밑창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고, 신발 밑창의 전방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형태를 이루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150)을 이루는 제1수용홈(151), 제2수용홈(152) 및 제3수용홈(153)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해보고자 한다.
첫째, 제1수용홈(151)은 제2바닥부(120), 제3바닥부(130) 및 제4바닥부(140)를 거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제1-1쿠션부(211), 제1-2쿠션부(212) 및 제1-3쿠션부로 이루어진 제1쿠션층(210)이 삽입되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수용홈(151)은 제2수용홈(152) 및 제3수용홈(153)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 다단쿠션부재(200)가 수용공간(150)에 1차적으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둘째, 제2수용홈(152)은 제1수용홈(151)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는 것으로, 제2-1쿠션부(221) 및 제2-2쿠션부(222)로 이루어진 제2쿠션층(220)이 삽입되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구성이다.
이때 제2수용홈(152)은 제1수용홈(151)보다는 면적이 작되, 제3수용홈(153)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다단쿠션부재(200)가 수용공간(150)에 2차적으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셋째, 제3수용홈(153)은 제2수용홈(152)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는 것으로, 제3쿠션층(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쿠션층(230)의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제3수용홈(153)은 수용공간(150)의 최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다단쿠션부재(200)가 수용공간(150)에 3차적으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미드솔(100)은 다단쿠션부재(200)보다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용공간(150)에 삽입된 쿠션감있는 다단쿠션부재(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함이다.
만약 미드솔(100)이 다단쿠션부재(200)보다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미드솔(100)의 수용공간(150)에 삽입된 다단쿠션부재(200)를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단쿠션부재(200)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특히 아치를 받치는 제3바닥부(130)가 무너져 안정적인 보행을 유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미드솔(100)의 손상이 가기 마련이다.
예컨대, 미드솔(100)의 경도는 50~55이고, 다단쿠션부재(200)의 경도는 30~40일 수 있는데, 그 임계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미드솔(100)의 경우 경도가 50 미만이면 수용공간(150)에 삽입된 다단쿠션부재(200)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힘이 약해 보행작용이 흐트러질 수 있고, 경도가 55를 초과하면 미드솔(100)이 너무 딱딱해져 착용자의 발바닥에 무리를 가할 수 있으므로, 미드솔(100)은 50~55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단쿠션부재(200)의 경우 경도가 30 미만이면 보행시 과도하게 소프트(soft)해져 쿠션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경도가 40을 초과하면 다단쿠션부재(200)가 오히려 단단해져 쿠션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다단쿠션부재(200)는 30~40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단쿠션부재(200)는 수용공간(150)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발볼에 대응되는 제2바닥부(120), 아치에 대응되는 제3바닥부(130) 및 뒤꿈치에 대응되는 제4바닥부(140)로 갈수록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다단쿠션부재(200)는 발볼, 아치 및 뒤꿈치 방향으로 갈수록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지도록 제1쿠션층(210), 제2쿠션층(220) 및 제3쿠션층(230)으로 이루어지는데, 즉 신발밑창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다단 적층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행시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쿠션감을 충분히 부여해주는 작용을 한다.
내용인즉 보행시 발가락이 접촉되는 제1바닥부(110)에 착용자의 하중이 부여되면 가장 먼저 발볼에 그 힘이 전해지게 되는데, 다단 적층형 구조를 가진 다단쿠션부재(200)가 미드솔(100)의 수용공간(150)에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발바닥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면서 아치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끄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제1쿠션층(210), 제2쿠션층(220) 및 제3쿠션층(230)의 외부 둘레면은 수용공간(150)에 안정적인 삽입이 가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제1쿠션층(210)은 발볼을 지지하는 제2바닥부(120)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1쿠션부(211), 제1-1쿠션부(211)에 연장 형성되어 아치를 지지하는 제3바닥부(130)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2쿠션부(212) 및 제1-2쿠션부(212)에 연장 형성되어 뒤꿈치를 지지하는 제4바닥부(140)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3쿠션부(213)로 이루어져 수용공간(150)의 제1수용홈(151)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쿠션층(210)은 제2쿠션층(220) 및 제3쿠션층(230)보다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공간(150)의 제1수용홈(151)에 삽입되어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1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둘째, 제2쿠션층(220)은 제1-2쿠션부(212) 및 제1-3쿠션부(213)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2쿠션부(2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1쿠션부(221)와 제1-3쿠션부(213)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2쿠션부(222)로 이루어져 수용공간(150)의 제2수용홈(152)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제1쿠션층(210)와 제3쿠션층(230)의 사이에 삽입된 형태의 제2쿠션층(220)은 제1쿠션층(210) 및 제3쿠션층(230)보다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으로, 수용공간(150)의 제2수용홈(152)에 삽입되어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2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특히 제2-1쿠션부(221)는 제2-2쿠션부(222)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신발 밑창의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도 3의 A)으로 형성됨으로써, 보행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줄 수 있다.
만약 제2-1쿠션부(221)가 제2-2쿠션부(222)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신발 밑창의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가 아닌, 제2-2쿠션부(222)와 나란한 방향으로 편평한 형태를 가진다면 보행시 발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발바닥에 무리를 주게 되므로, 제2-1쿠션부(221)가 제2-2쿠션부(222)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신발 밑창의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셋째, 제3쿠션층(230)은 제2-2쿠션부(22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미드솔(100)에 형성된 수용공간(150)의 제3수용홈(153)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3쿠션층(230)은 제1쿠션층(210) 및 제2쿠션층(220)보다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공간(150)의 제3수용홈(153)에 삽입되어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3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특히 제1-3쿠션부(213)와, 제1-3쿠션부(213)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제2-2쿠션부(222)와, 제2-2쿠션부(22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제3쿠션층(230)이 발의 뒤꿈치 부분에서 3단 형태의 구조로 만들어줌으로써, 발바닥에 가해질 수 있는 통증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관절 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끔 두껍게 만들어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제1-3쿠션부(213), 제2-2쿠션부(222) 및 제3쿠션층(230)의 후단(後端)을 살펴보면, 신발 밑창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즉 제1-3쿠션부(213), 제2-2쿠션부(222) 및 제3쿠션층(230)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1-3쿠션부(213), 제2-2쿠션부(222) 및 제3쿠션층(230)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면 수용공간(150)에 다단쿠션부재(200)의 삽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다단쿠션부재(200)가 제1쿠션층(210), 제2쿠션층(220) 및 제3쿠션층(230)의 다단으로 형성됨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1차, 2차 3차적으로 완화시켜주어 족저근막염의 예방이 가능하고, 나아가 발목 등의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는 등 보행시 발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아웃솔(300)은 미드솔(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이다.
상술한 것처럼 아웃솔(300)은 보행시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내외부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면서 마찰력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다양한 고무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단, 아웃솔(300)에 대한 기술적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정도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드솔
110: 제1바닥부
120: 제2바닥부
130: 제3바닥부
140: 제4바닥부
150: 수용공간
151: 제1수용홈
152: 제2수용홈
153: 제3수용홈
200: 다단쿠션부재
210: 제1쿠션층
211: 제1-1쿠션부
212: 제1-2쿠션부
213: 제1-3쿠션부
220: 제2쿠션층
221: 제2-1쿠션부
222: 제2-2쿠션부
230: 제3쿠션층
300: 아웃솔

Claims (5)

  1. 발가락을 받치는 제1바닥부, 발볼을 받치는 제2바닥부, 아치를 받치는 제3바닥부 및 뒤꿈치를 받치는 제4바닥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바닥부, 상기 제3바닥부 및 상기 제4바닥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된 미드솔;
    상기 수용공간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발볼, 아치 및 뒤꿈치 방향으로 갈수록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다단쿠션부재; 및
    상기 미드솔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다단쿠션부재는,
    상기 제2바닥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1쿠션부, 상기 제1-1쿠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바닥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2쿠션부 및 상기 제1-2쿠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4바닥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3쿠션부로 이루어진 제1쿠션층;
    상기 제1-2쿠션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1쿠션부 및 상기 제2-1쿠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3쿠션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2쿠션부로 이루어진 제2쿠션층; 및
    상기 제2-2쿠션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3쿠션층;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제1쿠션층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수용홈;
    상기 제1수용홈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어 상기 제2쿠션층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2수용홈; 및
    상기 제2수용홈의 하부에 연통 형성되어 상기 제3쿠션층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3수용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제1수용홈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제3수용홈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미드솔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3쿠션부, 상기 제2-2쿠션부 및 상기 제3쿠션층이 뒤꿈치 부분에서 3단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2-1쿠션부는,
    상기 제2-2쿠션부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상기 제3바닥부의 전단(前端)까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3쿠션부, 상기 제2-2쿠션부 및 상기 제3쿠션층으로 갈수록 후단(後端)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다단쿠션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상기 다단쿠션부재보다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KR1020180114840A 2018-09-27 2018-09-27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KR10212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40A KR102123523B1 (ko) 2018-09-27 2018-09-27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40A KR102123523B1 (ko) 2018-09-27 2018-09-27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99A KR20200035599A (ko) 2020-04-06
KR102123523B1 true KR102123523B1 (ko) 2020-06-16

Family

ID=70282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840A KR102123523B1 (ko) 2018-09-27 2018-09-27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27A (ko) * 2020-11-06 2022-05-13 김중호 신발의 밑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673B1 (ko) * 2021-09-30 2022-03-18 주식회사 에프씨지코리아 골프 스윙에 의해 발생되는 지면반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골프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09B1 (ko) * 2008-09-24 2009-07-31 주식회사 월드프리모 보행시 충격이 완화되는 신사화의 신발창
US20180116337A1 (en) * 2016-10-27 2018-05-0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with multiple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939B1 (ko) 2015-11-06 2017-09-04 (주)명문스포츠 충격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발밑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09B1 (ko) * 2008-09-24 2009-07-31 주식회사 월드프리모 보행시 충격이 완화되는 신사화의 신발창
US20180116337A1 (en) * 2016-10-27 2018-05-0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with multiple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27A (ko) * 2020-11-06 2022-05-13 김중호 신발의 밑창 구조
KR102425738B1 (ko) * 2020-11-06 2022-07-27 김중호 신발의 밑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99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293B2 (en) Outsole with extendable traction elements
US11910868B2 (en) Sole with projections and article of footwear
US10238174B2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US9402440B2 (en) Cushioning sole for shoe
US8490297B2 (en) Integrated, cumulative-force-mitiga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ubstantially-inclined shoes
US7140125B2 (en) High-heeled fashion shoe with comfor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features
KR100992423B1 (ko) 신발 밑창
US20240082681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durometer outsole and directional cleat pattern
US20030061732A1 (en) Shoe incorporat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elements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CN102469843A (zh) 鞋用鞋头以及与其一体成形的大底
KR102123523B1 (ko) 통증 완화용 신발 밑창
US20200170336A1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flexibility and traction
KR102013672B1 (ko)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WO2011135278A1 (en) A sole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038052B1 (ko) 신발 바닥의 구조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101377364B1 (ko) 위치 고정 가능한 완충 깔창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200454328Y1 (ko) 과내전 및 외전 방지용 신발 깔창
WO2007089122A1 (en) A sole structure of footwear
KR100627676B1 (ko) 신발의 솔 구조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WO2008108562A1 (en) Shoe
TWM656803U (zh) 防滑減壓鞋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