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273B1 - 족부 변형 방지 깔창 - Google Patents

족부 변형 방지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273B1
KR101789273B1 KR1020150028125A KR20150028125A KR101789273B1 KR 101789273 B1 KR101789273 B1 KR 101789273B1 KR 1020150028125 A KR1020150028125 A KR 1020150028125A KR 20150028125 A KR20150028125 A KR 20150028125A KR 101789273 B1 KR101789273 B1 KR 10178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otrusion
base
protrusions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012A (ko
Inventor
신채빈
Original Assignee
신채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채빈 filed Critical 신채빈
Priority to KR102015002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2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은, 신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신발 내부의 바닥면과 발바닥 사이를 이격시키는 신발깔창으로서, 상기 발바닥과 접촉 가능하되 복수의 접촉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발바닥과 접촉 가능한 일측 영역에 볼록하게 돌출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및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의 형상 복원을 위해 마련되는 형상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의 내부에 형상 복원부가 마련됨으로써 발가락 질환자가 보행 또는 운동하는 동안 발가락 골절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족부 변형 방지 깔창{INSOL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FOOT}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가락 변형을 방지하고 보행하는 동안 발가락의 골절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깔창은 신발의 내부에 끼워 넣어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신발깔창은 신발 자체의 탄력성에 부가적인 탄력성이나 통기성을 제공함으로써 보행 및 운동시 완충 효과를 통해 착용감은 물론 신발과 발바닥 사이의 통풍을 향상시켜 한층 편안한 착용성과 발의 피로감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신발의 보조기구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발 깔창은 사람마다 키나 몸집 등과 같은 체형이 다르듯 발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요즘에는 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신발 깔창이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 깔창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무지외반증, 발가락 무좀, 발가락의 피부 건조증 등과 같은 질환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특별히 나은 효과를 제공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일 예로, 무지외반증 환자의 경우 발가락 골절의 부자연스러움에 의해 발가락의 상측 젖힘이나 하측 젖힘 동작이 자유롭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평상시에 자주 신발을 벗고 발가락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젖히는 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 깔창은 무지외반증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하거나 운동할 때 발가락 골절 운동 등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467호 (2003. 09. 20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바닥과 접촉 가능한 부분에 형상 복원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여 사용자의 발가락 변형을 방지하고 보행하는 동안 발가락의 골절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신발 내부의 바닥면과 발바닥 사이를 이격시키는 신발깔창으로서, 상기 발바닥과 접촉 가능하되 복수의 접촉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발바닥과 접촉 가능한 일측 영역에 볼록하게 돌출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및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의 형상 복원을 위해 마련되는 형상 복원부를 포함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이 제공된다.
상기 형상 복원부는, 상기 베이스보다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형상 복원부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발가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가락 사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접촉방지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 방지 돌기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베이스 돌기; 및 상기 돌기의 돌출 단부에 단면적이 확장되게 마련되어 발가락의 상부 영역을 커버 가능한 확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돌기 및 상기 확장 돌기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오목홈 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되어 발바닥의 용천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 상에 일정 이상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용천혈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천혈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의 오목홈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촉 본체; 상기 접촉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오목홈의 측방에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본체는, 서로 동일한 동심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링 형상의 복수의 용천혈 접촉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 돌기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도록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 돌기는, 돌출 단부에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부에 복수의 오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의 내부에 형상 복원부가 마련됨으로써 발가락 질환자가 보행 또는 운동하는 동안 발가락 골절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발가락 사이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접촉방지 돌기부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발가락끼리의 상호 접촉을 방지하여 발가락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바닥의 용천혈에 접촉 가능한 용천혈 접촉부가 베이스에 대해 일정 이상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용천혈 위치 차이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에 마련된 복수의 접촉 돌기에 오목홈과 땀 배출통로가 마련됨으로써 땀의 배출을 신속하게 유도하여 사용자의 불쾌감 정도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에서 접촉 돌기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와 외력이 제거된 상태의 돌출부 형상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의 접촉방지 돌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에서 용천혈 접촉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a),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에서 접촉 돌기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와 외력이 제거된 상태의 돌출부 형상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의 접촉방지 돌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은, 다양한 발 또는 발가락 질환을 경험하는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무지외반증, 발가락 무좀, 발가락의 피부 건조증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경험하는 사용자가 사용할 시 발가락 운동 효과 발생과 더불어 질환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이하, '깔창'이라 함)은, 신발(미도시) 내부에 마련되어 신발 내부의 바닥면과 발바닥 사이를 이격시키는 것으로서, 발바닥과 접촉 가능하되 복수의 접촉 돌기(110)가 마련되고 발바닥과 접촉 가능한 일측 영역에 볼록하게 돌출부(120)가 마련되는 베이스(100)와, 돌출부(120)의 내부에 돌출부(120)의 형상 복원을 위해 마련되는 형상 복원부(121)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100)는 대략 발 모양으로 형성되어지며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과 같이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외에도 천류, 가죽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일정 이상의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접촉 돌기(110)가 마련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 돌기(110)는 일 예로, 베이스(100) 상면에 대해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도록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마련된다. 즉, 복수의 접촉 돌기(110)는 베이스(100) 상면으로부터 라운드진 상태로 돌출되되 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접촉 돌기(110)는 베이스(10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발바닥에 일정 이상의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측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발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를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복수의 접촉 돌기(110)가 측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변형 정도가 일정 부분 제한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지압 효과가 과다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접촉 돌기(110)가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탄성 변형이 일정 이상 조절 가능함으로써 전술한 불편을 어느 정도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련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접촉 돌기(110) 표면에는 지압 효과의 상승을 위해 미세 돌기(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 돌기(110)는 다른 예로, 돌출 단부에 확장부(111)가 마련되고 확장부(111)에 복수의 오목홈(112)이 마련된다.
즉, 복수의 접촉 돌기(110)의 단부에는 발바닥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확장부(111)가 마련되며 이와 같이 발바닥과의 접촉 면적 증대에 따른 지압 효과 상승 효과가 유발된다. 여기서, 관련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발바닥과 실질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확장부(111)의 상면에는 지압 효과 상승을 위해 미세 돌기(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확장부(111)에 오목홈(112)이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오목홈(112)과 연통하돌고 땀 배출통로(113)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에 형성된 모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땀이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땀은 일차적으로 오목홈(112) 내로 이동하고 이후 땀 배출통로(113)를 통해 베이스(100) 상면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부분, 즉 확장부(111)에 일정 시간 동안 땀이 고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오목홈(112) 및 땀 배출통로(113)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한 발바닥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100)에는 땀 배출통로(113)를 통해 유도된 땀의 외부 배출을 위한 별도의 땀 배출경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는 발가락과 접촉 가능한 부분에 볼록하게 돌출부(120)가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부(120)는 돌출부(120) 이외의 다른 베이스(100)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대략 유사한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120)는 돌출부(120) 이외의 다른 베이스(100)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형상 복원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자면, 무지외반증 환자의 경우 발가락 골절의 부자연스러움에 의해 발가락의 상측 젖힘이나 하측 젖힘 동작이 자유롭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평상시에 자주 신발을 벗고 발가락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젖히는 운동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도록 돌출부(120)가 평상시에는 다른 베이스(100) 영역에 비해 상측으로 일정 이상 돌출된 벤딩 구조를 갖다가 돌출부(120)에 일정 이상의 압력(예를 들면 신체 자중에 의한 발바닥 압력)이 가해지면 어느 정도 펼쳐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가락 골절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보행 동작을 하는 도중 신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에는 발바닥의 압력이 돌출부(120)에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돌출부(120)가 일정 부분 펼쳐지게 된다.(눌러지는 상태 변화) 반면에, 신발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는 발바닥의 압력이 돌출부(120)에 작용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이때에는 돌출부(120)가 탄성 복원되어 초기 형상대로 벤딩된 상태를 갖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의 펼쳐지는 상태변화 -> 돌출되도록 벤딩되는 상태 변화 -> 펼쳐지는 상태 변화가 지속적으로 다수회 반복 실시됨에 따라 발가락 골절 또한 상측으로 젖혀지거나 하측으로 젖혀지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시되며, 이러한 동작의 반복 실시를 통해 발가락 골절의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돌출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펼쳐지는 상태 변화와 벤딩되는 상태 변화가 효율적으로 변동 가능하다.
돌출부(120)는 일정 이상 형상 복원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20) 내부에는 돌출부(120)의 형상 복원을 위해 형상 복원부(121)가 마련된다.
일 예로 형상 복원부(121)는 일정 이상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면서 베이스(100)보다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0)가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돌출부(12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에폭시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형상 복원부(121)는 일정 이상의 탄성 복원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상 복원부(121)는 돌출부(120) 내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부(120) 자체가 형상 복원부(121)의 재질 또한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는, 복수의 발가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발가락 사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복수의 접촉방지 돌기부(200)가 마련된다.
대개 발가락 사이에 무좀이 있는 사용자나 발가락 사이의 피부 질환이 있는 사용자는 발가락들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할수록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질환 상태도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발가락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전술한 문제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방지 돌기부(200)는, 베이스(100)로부터 돌출되는 베이스 돌기(210)와, 베이스 돌기(210)의 돌출 단부에 단면적이 확장되게 마련되어 발가락의 상부 영역을 커버 가능한 확장 돌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돌기(210)는 사용자의 발가락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발가락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확장 돌기(220)는 발가락의 상부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본 발명의 신발 깔창에 최대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발가락이 베이스 돌기(210) 사이로 위치하는 순간 베이스 돌기(210) 및 확장 돌기(220)는 일정 이상 벤딩될 수 있는데, 베이스 돌기(210) 및 확장 돌기(220)가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러한 벤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 돌기(210)와 확장 돌기(220)의 연결 부위는 착용감 감소를 방지하도록 라운드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돌기(210) 및 확장 돌기(220)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230) 또는 오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230) 또는 오목홈(미도시)은, 사용자의 발가락과 베이스 돌기(210) 및 확장 돌기(220)와의 접촉 면적을 일정 부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접촉 면적 감소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발가락의 압박 정도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230)는 발가락에 일정 이상의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100) 상에 마련되어 발바닥의 용천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베이스(100) 상에 일정 이상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용천혈 접촉부(300)를 더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베이스(100)의 전체 길이가 사용자의 발바닥 길이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져도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용천혈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용천혈 접촉부(300)가 베이스(100) 상에 고정되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는 용천혈 접촉부(300)가 용천혈을 제대로 자극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용천혈 위치에 따라 용천혈 접촉부(300)의 위치가 베이스(100) 상에서 어느 정도 변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천혈 접촉부(300)는, 베이스(100)의 오목홈(114)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촉 본체(310)와, 접촉 본체(310)에 연결되며 오목홈(114)의 측방에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삽입홈(115)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32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에는 용천혈 접촉부(30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오목홈(114)이 마련되며, 오목홈(114)의 내면에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삽입홈(115)이 마련된다. 여기서, 오목홈(114)의 내경은 접촉 본체(310)의 외경보다 일정 이상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 돌기(320)가 삽입홈(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 본체(310)는 오목홈(114) 내에서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 본체(310)의 위치가 변동할 때 삽입 돌기(320)는 삽입홈(115)에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접촉 본체(310)의 이탈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천혈 접촉부(300)가 베이스(100)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천혈 접촉부(300)를 용천혈 위치에 대응하는 적절한 위치로 옮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본체(310)는 서로 동일한 동심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링 형상의 복수의 용천혈 접촉돌기(311)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용천혈 접촉돌기(311)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촉 본체(310)가 하나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이격된 다수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천혈의 다수 영역을 가압하여 지압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에서 용천혈 접촉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족부 변형 방지 깔창을 설명하는데, 제1 실시예와 중복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접촉 본체(310) 및 복수의 용천혈 접촉돌기(311)의 내부에는 형상기억합금(313)이 내장되게 마련되고, 삽입홈(115)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의 일부에는 형상기억합금(119)이 내장되게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용천혈 접촉부(300)는 발바닥의 용천혈 부위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중량에 따라 가압되는 가압력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용천혈 접촉부(300)는 중량에 의해 가압되어 일정 이상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 변형이 전술한 가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복원되지 않는다면 충분한 지압 효과를 제공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접촉 본체(310) 및 복수의 용천혈 접촉돌기(311)의 내부에 형상기억합금(313)을 내장함으로써 전술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형상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시에도 충분한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15)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의 일부에도 마찬가지로 형상기억합금(119)을 마련함으로써 후술하는 돌기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115)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의 일부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돌기 삽입홈(118)이 마련되고, 삽입 돌기(320)에는 복수의 돌기 삽입홈(118)에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보조 돌기(314)가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천혈 접촉부(300)는 사용자의 용천혈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돌기(314)가 돌기 삽입홈(118)에 삽입된 구조가 채용됨으로써 용천혈 접촉부(300)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 좀 더 견고하게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홈(115)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의 일부에 형상기억합금(119)을 마련함으로써 보조 돌기(314)와 돌기 삽입홈(118)의 상호 걸림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관련 도면에서, 돌기 삽입홈(118)은 오목홈(114)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2개로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이상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접촉 본체(310)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조 돌기(314)와 돌기 삽입홈(118)의 걸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베이스 110: 접촉 돌기
112: 확장부 112: 오목홈
113: 땀 배출통로 115: 삽입홈
120: 돌출부 121: 형상 복원부
200: 접촉방지 돌기부 210: 베이스 돌기
220: 확장 돌기 300: 용천혈 접촉부
310: 접촉 본체 320: 삽입 돌기

Claims (13)

  1. 신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신발 내부의 바닥면과 발바닥 사이를 이격시키는 신발깔창으로서,
    상기 발바닥과 접촉 가능하되 복수의 접촉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발바닥과 접촉 가능한 일측 영역에 볼록하게 돌출부가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상기 돌출부의 형상 복원을 위해 마련되는 형상 복원부;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발가락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가락 사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접촉방지 돌기부;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되어 발바닥의 용천혈에 대응하는 부분에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 상에 일정 이상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용천혈 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천혈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의 오목홈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촉 본체;
    상기 접촉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오목홈의 측방에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삽입홈에 삽입 가능한 삽입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본체는, 서로 동일한 동심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링 형상의 복수의 용천혈 접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돌기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 돌기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 삽입홈에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보조 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복원부는, 상기 베이스보다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복원부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 방지 돌기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베이스 돌기; 및
    상기 베이스 돌기의 돌출 단부에 단면적이 확장되게 마련되어 발가락의 상부 영역을 커버 가능한 확장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돌기 및 상기 확장 돌기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오목홈 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본체 및 상기 복수의 용천혈 접촉돌기의 내부에는 형상기억합금이 내장되게 마련되고, 상기 삽입홈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부에는 형상기억합금이 내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 돌기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도록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 돌기는, 돌출 단부에 확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부에 복수의 오목홈이 마련되며 상기 오목홈과 연통하도록 땀 배출통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변형 방지 깔창.

KR1020150028125A 2015-02-27 2015-02-27 족부 변형 방지 깔창 KR10178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25A KR101789273B1 (ko) 2015-02-27 2015-02-27 족부 변형 방지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125A KR101789273B1 (ko) 2015-02-27 2015-02-27 족부 변형 방지 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12A KR20160105012A (ko) 2016-09-06
KR101789273B1 true KR101789273B1 (ko) 2017-11-20

Family

ID=5694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125A KR101789273B1 (ko) 2015-02-27 2015-02-27 족부 변형 방지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5268A (zh) * 2018-05-19 2018-10-23 东莞市顺风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跑步专用鞋垫
CN212590617U (zh) * 2020-04-28 2021-02-26 广东足行健健康科技有限公司 拇趾内侧按摩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110B2 (ja) * 1993-12-28 2000-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粒子画像分析装置
KR200281293Y1 (ko) * 2002-03-22 2002-07-13 김명각 발가락 삽입식 신발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467Y1 (ko) 2003-07-07 2003-09-29 전종원 냄새방지깔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110B2 (ja) * 1993-12-28 2000-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粒子画像分析装置
KR200281293Y1 (ko) * 2002-03-22 2002-07-13 김명각 발가락 삽입식 신발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12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1708B (zh) 鞋内底组合件、底部部件、鞋类物品、组装方法和套件
JP2009512525A (ja) 一体型の中足骨部起伏部を有する履物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101075789B1 (ko) 발 폭의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KR101789273B1 (ko) 족부 변형 방지 깔창
JP2010017514A (ja) 履き物及び内部構造体及び足部矯正方法
WO2011067948A1 (ja) ハイヒール用中敷
KR101303702B1 (ko) 기능성 깔창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102130728B1 (ko)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KR102346677B1 (ko) 발바닥 지지돌부와 탄성진동체를 구비한 신발용 아웃솔
KR200427477Y1 (ko) 발가락 교정 및 무좀 치료 용구
KR101263614B1 (ko) 신발
KR20090028341A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지압 운동화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JP4850462B2 (ja) 足底板対応履物
JP5538615B1 (ja)
CN206252570U (zh) 平衡足压矫正鞋垫
KR200326252Y1 (ko) 파워워킹용 신발
JP3183950U (ja) 靴用滑り止め部材
KR101261375B1 (ko)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JP3154644U (ja) 履物底及びサンダル
KR101176570B1 (ko) 신발용 깔창
JP3178435U (ja) 靴の中敷
JP3213544U (ja) 足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