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375B1 -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 Google Patents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375B1
KR101261375B1 KR1020110043610A KR20110043610A KR101261375B1 KR 101261375 B1 KR101261375 B1 KR 101261375B1 KR 1020110043610 A KR1020110043610 A KR 1020110043610A KR 20110043610 A KR20110043610 A KR 20110043610A KR 101261375 B1 KR101261375 B1 KR 10126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insole
foot
acupressure
cush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885A (ko
Inventor
신광준
Original Assignee
신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준 filed Critical 신광준
Priority to KR102011004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활동 중에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밑창, 상기 밑창의 상부에 구비되는 깔창 그리고 상기 밑창에 부착되어 있으며 발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깔창에는 발바닥의 내측종아치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솟은 제1지압부와, 발바닥의 횡아치에 대응하여, 하면에서 함몰되게 성형되어 상부로 볼록한 제2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깔창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직물층 및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보다 경질인 형상패드를 포함하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Accupressurable slipper }
본 발명은 실내 활동 중에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에 관한 것이다.
실내화는 건물 안에서만 신는 신을 말하는 것으로, 야외 활동화에 비하여 가벼우며 착용이 편리한 것들이다.
이러한 실내화는 내근자나 학생 등 사용자가 오랜 시간 착용하는 것으로 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야외 활동화에 비하여 큰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일반적인 실내화는 가격적인 면에 치중하여 최소의 구성으로 제작되어 왔다.
일례로, 지압을 겸한 실내화에서는 복수의 돌기를 신발 밑창과 일체로 성형하였는데, 신발 밑창으로 주로 사용되는 질기며 강도가 큰 재질에 발바닥이 직접 닿게 되므로 오랜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푹신한 쿠션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발포수지로 밑창을 성형하면서 지압용 돌기를 함께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쿠션감을 개선하는 한편 밑창이 지나치게 빨리 마모되므로 내구성이 줄어드는 단점과 물기가 있는 바닥에 쉽게 미끄러질 수 있는 단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내화에서 발바닥 지압과 쿠션감을 개선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밑창, 상기 밑창의 상부에 구비되는 깔창 그리고 상기 밑창에 부착되어 있으며 발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깔창에는 발바닥의 내측종아치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솟은 제1지압부와, 발바닥의 횡아치에 대응하여, 하면에서 함몰되게 성형되어 상부로 볼록한 제2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를 제시한다.
더하여, 상기 제2지압부와 상기 밑창 사이에는 함몰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깔창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2지압부의 둘레에는 복수의 쿠션돌기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바닥의 뒤꿈치가 접하는 상기 깔창의 후단부에는 복수의 지압돌기가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깔창의 배면에는 상기 지압돌기에 대응되어 함몰될 수 있다.
이들에서 상기 깔창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직물층 및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보다 경질인 형상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깔창의 둘레는 박음질 처리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1지압부는 상기 쿠션층과 형상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주머니에 의하여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층에는 항균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종아치나 횡아치에 따른 지압 압력을 달리할 수 있어 지압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으며, 발바닥 곡면에 따른 굴곡으로 촉감과 쿠션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의 개략적이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깔창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깔창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1)는 밑창(1), 깔창(2) 그리고 외피(3)를 포함한다.
밑창(1)은 질긴 탄성 재질로, 천연고무나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밑창(1)의 바닥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철로 성형된다. 요철은 물결 무늬 등 반복적이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화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밑창의 두께는 대략 깔창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외피(3)는 밑창(1)에 부착되어 있으며 발을 감싸는 것이다. 이러한 외피는 직물, 가죽,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이 혼용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외피(3)는 강성과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외피의 바깥부분은 질긴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그 내부면에는 촉감이 우수한 직물이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서 외피(3)는 발등과 발꿈치까지 감싸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예로 외피는 발등만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피는 발등이나 발꿈치에 걸쳐지는 끈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외피의 형상에 대한 제한은 없다.
외피(3)는 밑창(1)의 둘레면을 일부 감싸게 형성되며, 접착재에 의하여 밑창(1)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외피와 밑창이 부착된 둘레면을 따라 마감부재(도시 생략)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 마감부재는 밑창과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외피는 밑창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밑창과 외피의 결합을 위하여 바느질이 추가로 행하여 질 수 있다.
깔창(2)은 밑창(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깔창(2)은 밑창(1)과 분리되는 것이나, 이와 달리 깔창(2)은 밑창(1)의 상부에 접착재나 바느질로 고정할 수도 있다.
깔창(2)의 상면에는 발바닥을 국부 지압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은, 이하에서 제1지압부(41), 제2지압부(42), 쿠션돌기(43), 지압돌기(44)로 구분되어 설명된다. 요철들은 실내화의 착용시 발바닥의 지압과 동시에 발바닥과의 밀착성을 좋게 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건강 증진과 실내화의 착용감을 개선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는 깔창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깔창(2)에는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쿠션층(22), 상기 쿠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직물층(21),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보다 경질인 형상패드(23) 및 상기 형상패드의 하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층(24)을 포함한다.
미끄럼 방지층(24), 형상패드(23), 쿠션층(22) 및 직물층(2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깔창(2)의 둘레는 박음질 처리되어 있다(도 2 참고).
이로써, 오랜 사용에 의하여 각 층의 접착력이 약화된 상태에서도 각 층의 가장자리가 밀려 각 층이 분리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형상패드(23)는 깔창의 기본 형상을 갖추고 있는 판 부재이다. 형상패드(23)는 적어도 쿠션층(22)보다 경질이다. 구체적으로 형상패드(23)는 EVA, 합성수지 등로 제작될 수 있다. 형상패드는 발의 운동에 따라 쉽게 휘어질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형상패드(23)의 외형은 발바닥의 형상에 따른다. 또한, 형상패드(23)의 가장자리는 발의 중간과 후단부에서 상부로 말려지게 형성되어 있어, 실내화를 신었을 때에 발의 가장자리의 곡선을 따라 깔창이 발을 감싸 착용감을 우수하게 한다.
한편, 미끄럼 방지층(24)은 형상패드(23)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층이다. 이 미끄럼 방지층(24)은 얇은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24)에는 복수의 실리콘(도시 생략)이 점착되어 있어, 밑창과 서로 미끄러지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층(24)은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특히, 깔창이 밑창과 접착재나 바느질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층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쿠션층(22)은 형상패드(23) 위에 형성되는 층으로, 쿠션을 부가하기 위하여 발포 수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발포 수지는 일례로 탄성이 우수한 우레탄일 수 있다.
쿠션층(22)은 형상패드의 상면 전체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거나, 전술된 깔창의 요철을 구현하기 위하여 국지적으로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성형된 쿠션층(22)은 접착재에 의하여 형상패드(23)에 결합된다.
한편, 직물층(21)은 쿠션층(22) 위에 결합되어 있는 천 부재이다.
직물층(21)은 나일론, 우레탄 섬유 등의 합성 섬유나, 면 등의 천연 섬유로 짜인 것이다. 이러한 직물층(21)에는 항균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항균 물질의 예는 유기물계의 피톤치드, 제오라이트, 세라 싸이트, 규조트 등의 무기물질계가 있다.
또한, 직물층에는 은 나노 등 귀금속류의 미세 분말이나, 황토, 해조탄, 숯 등의 미세분말이나,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토르말린, 옥, 게르마늄 등의 광물질 미세분말이 선택적으로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물층에 함유되는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건강 증진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깔창(2)에는 발바닥 내측종아치(medical longitudinal arch)에 대응하여 상면에서 볼록하게 솟은 제1지압부(41)와, 발 앞부분의 함몰된 횡아치(transverse arch)에 대응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솟은 제2지압부(42)를 형성하고 있다.
제1지압부(41)는 실내화의 착용자가 서 있거나 걸을 때에 내측종아치를 가압하여, 내측종아치를 자극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측종아치의 지압에 의하여 발바닥은 자극되며 혈액순환 개선 등이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깔창(2)에 형성되는 제1지압부(41)는 쿠션층(22)과 형상패드(23)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주머니(25)에 의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공기주머니(25)는 내부에 공기를 함유하며 밀폐된 것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주머니(25)는 깔창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하중에 따라 적절히 탄성변형하였다가 다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주머니(25)는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공기주머니(25)는 깔창(2)의 길이방향에 따라 장축을 가지는 타원 형상인 메인공간부(251)와, 상기 메인공간부(251)와 연통되어 있으며 발날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보조공간부(252)를 포함한다.
메인공간부(251)와 보조공간부(252)를 포함하는 공기주머니(25)는 대략 삼각형 판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측종아치의 전체 면적과 고르게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음에 따른 하중의 전달에 따라 가압된 메인공간부의 공기 중 일부를 보조주머니가 수용하게 되므로, 하중에 의하여 공기주머니가 터지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공기주머니(25)의 상부에는 쿠션층(22)이 형성됨으로써, 쿠션층(22)에 의하여 공기주머니(25)의 가장자리와 형상패드(23)의 상면과의 경계가 부드럽게 이어지게 된다. 즉, 공기주머니(25)의 가장자리와 형상패드(23) 상면과의 단차진 경계를 쿠션층(22)이 덮으면서 완만하며 탄력있는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주머니와 형상패드의 단차진 경계을 누르고 있는 발바닥에 이질적 촉감이 없으며, 착용감이 개선되는 것이다.
제1지압부(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 위에 형상패드(23), 공기주머니(25), 쿠션층(22)이 빈틈 없이 적층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1지압부(41)의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영구적인 함몰 변형이 일어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공기주머니(25)이 탄성력은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달리함으로써 제1지압부의 탄력을 바꿀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제2지압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강한 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한편, 도 2와 도 4를 참고하면, 제2지압부(42)는 발의 횡아치에 대어짐으로써 착용감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가 하중을 실어 내딛을 때마다 횡아치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지압부(42)는 대략 깔창의 전단과 제1지압부(41)의 중간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지압부(42)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상패드(23)에는 해당 위치에서 상부로 솟은 볼록부(231)가 성형되어 있다. 볼록부(231)는 형상패드(23)의 두께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형상패드(23)에서 해당 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성형된 것이다. 따라서, 볼록부(231)의 배면은 함몰되어 있으며, 제2지압부(42)의 하면은 상부를 향하여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지압부(42)의 탄력은 볼록부(231)를 형성하고 있는 형상패드(23)의 탄력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형상패드의 두께나 재질 및 볼록부의 크기, 곡률 등의 형상적 요소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형상적 요소가 정해지면 제2지압부의 탄력은 각 제품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적어도 제2지압부(42)는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눌려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제2지압부는 제1지압부에 비하여 상대적인 형상 변형이 크게 이루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보행할 때에 제1지압부보다 쉽게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제1,2지압부의 돌출된 굴곡으로 착용감을 증진시키면서, 보행시에는 제1지압부가 상대적으로 강한 압박을 내측종아치에 가하고, 제2지압부는 약한 압박을 횡아치에 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착용감의 우수성과 국지적인 지압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깔창(2)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2지압부(42)의 둘레에는 복수의 쿠션돌기(43)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쿠션돌기(43)는 발바닥의 촉감을 개선하는 것이다.
쿠션돌기(43)는 쿠션층(22)을 형성할 때에 국지적인 두께를 달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쿠션돌기(43)는 우레탄 발포폼 등의 쿠션층 재질이 가지는 약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요철을 형성하는 쿠션돌기의 쿠션감으로 인하여 촉감을 개선하면서, 보행시에는 쉽게 눌려질 수 있어 보행시 발바닥을 지나치게 가압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나아가, 도 2와 도 6을 참고하면, 발바닥의 뒤꿈치가 접하는 상기 깔창의 후단부에는 복수의 지압돌기(44)가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깔창(2)의 배면에는 상기 지압돌기(44)에 대응되어 함몰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지압돌기(44)는 형상패드(23)를 제조할 때에 하면은 함몰되고, 그에 따라 상면이 볼록하도록 성형하고, 이에 쿠션층(22) 등이 부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개개의 지압돌기(44)의 면적은 제2지압부(42)보다 작은 것이어서 높은 하중에 의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중이 크게 전달되는 뒤꿈치 살을 강하게 눌러줄 수 있다. 이로써 뒤꿈치에 대한 지압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화는 깔창에 형성된 굴곡의 탄력이 서로 다른 것이다. 따라서 내측종아치, 횡아치, 뒤꿈치 등 해당 부위에 알맞은 압력으로 지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효율적인 지압으로 혈액순환의 촉진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착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며, 우수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10 : 실내화
1 : 밑창
2 : 깔창
21 : 직물층 22 : 쿠션층 23 : 형상패드 231 : 볼록부
24 : 미끄럼 방지층 25 : 공기주머니 251 : 메인공간부 252 : 보조공간부
41 : 제1지압부 42 : 제2지압부 44 : 지압돌기 43 : 쿠션돌기
3 : 외피

Claims (8)

  1. 밑창,
    상기 밑창의 상부에 구비되는 깔창 그리고
    상기 밑창에 부착되어 있으며 발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깔창에는
    발바닥의 내측종아치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솟은 제1지압부와,
    발바닥의 횡아치에 대응하여, 하면에서 함몰되게 성형되어 상부로 볼록한 제2지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깔창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쿠션층,
    상기 쿠션층의 상면에 부착되는 직물층 및
    상기 쿠션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보다 경질인 형상패드를 포함하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2. 제1항에서,
    상기 제2지압부와 상기 밑창 사이에는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3. 제1항에서,
    상기 깔창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2지압부의 둘레에는
    복수의 쿠션돌기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4. 제1항에서,
    발바닥의 뒤꿈치가 접하는 상기 깔창의 후단부에는
    복수의 지압돌기가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깔창의 배면에는 상기 지압돌기에 대응되어 함몰되어 있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깔창의 둘레는 박음질 처리되어 있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7. 제1항에서,
    상기 제1지압부는 상기 쿠션층과 형상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주머니에 의하여 돌출형성되어 있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8. 제1항에서,
    상기 직물층에는 항균 물질이 더 포함되어 있는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KR1020110043610A 2011-05-09 2011-05-09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KR10126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10A KR101261375B1 (ko) 2011-05-09 2011-05-09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10A KR101261375B1 (ko) 2011-05-09 2011-05-09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85A KR20120125885A (ko) 2012-11-19
KR101261375B1 true KR101261375B1 (ko) 2013-05-06

Family

ID=4751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610A KR101261375B1 (ko) 2011-05-09 2011-05-09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819B1 (ko) * 2013-07-23 2015-03-04 윤근수 발지압용 쿠션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149Y1 (ko) * 2002-06-10 2002-10-14 강석금 지압용 슬리퍼
KR100788854B1 (ko) 2005-08-08 2007-12-27 이봉주 롤링형 도보를 가능하게 하는 건강신발
KR100937471B1 (ko) * 2009-03-24 2010-01-19 주식회사 풋바란스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인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149Y1 (ko) * 2002-06-10 2002-10-14 강석금 지압용 슬리퍼
KR100788854B1 (ko) 2005-08-08 2007-12-27 이봉주 롤링형 도보를 가능하게 하는 건강신발
KR100937471B1 (ko) * 2009-03-24 2010-01-19 주식회사 풋바란스 족궁 지지체를 구비한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85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52665A1 (en) Soft and elastic shoe pad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WO201106878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KR20200029371A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US20120137540A1 (en) Composite sole assembly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US20210068495A1 (en) Footwear stimulating the foot by reflexology massage
US20220225732A1 (en) Shoe insole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KR101261375B1 (ko) 발바닥 지압이 가능한 실내화
KR101080873B1 (ko) 패턴 일체형 하부결합체가 구비된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0728B1 (ko)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JP2005185675A (ja) 履物
KR20220002004U (ko) 지압 슬리퍼
KR101979998B1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JP4850462B2 (ja) 足底板対応履物
JP3245393U (ja) サンダル
KR20110055146A (ko) 신발용 맞춤형 힐컵과 이를 구비한 인솔
KR20200040033A (ko) 탄성슬리퍼
CN216220396U (zh) 柔性鞋底及平底鞋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KR102574998B1 (ko) 가변형 인솔
CN217136989U (zh) 一种便于更换增高垫体的休闲鞋
CA2822618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